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陶齋 尹昕의 『溪陰漫筆』 譯註

        황교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陶齋 尹昕(1564〜1638)의 『溪陰漫筆』을 학술적으로 번역하였다. 저자는 조선 중기의 뛰어난 문인 학자로, 부친은 영의정 尹斗壽이고 계부는 우의정 尹根壽이며 큰형은 영의정 尹昉이고 아우인 尹暉와 尹暄은 각기 형조 판서와 평안도 관찰사를 역임한 그야말로 명문가의 자제였다. 이러한 바탕 위에 문과 급제를 통해 관료로 진출한 저자는, 스승 牛溪 成渾의 실용주의적 학풍의 영향을 받고 자신의 담박한 성품이 더해져 작가적 역량을 키우고 기풍을 형성하였다. 1613년(광해군5)에 癸丑獄事가 일어나자 『溪陰漫筆』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벼슬에서 물러나 한적한 삶을 영위하게 되면서 주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 것인데, 이후 벼슬길에 다시 나가서도 붓을 내려놓지 않았다. 자신이 살아간 宣祖代부터 仁祖代까지의 이야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임진왜란과 癸丑獄事, 李适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 굵직한 사건을 경험하는 속에서 깊은 고민과 현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함께 스며 있다. 별세하기 전까지 이어진 20여 년간의 기록은 3권 3책, 도합 399칙으로 남아서, 400년 가까이 흐른 오늘의 우리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된 『溪陰漫筆』은 현존 유일본이다. 필사본 형태의 이 기록은 내용과 형식, 頭註 등을 종합해 볼 때 尹昕이 남긴 기록을 후대에 옮겨 적은 것으로 판단되며, 조선 후기 어느 시점에 奎章閣에 보관되다가 일제시대 朝鮮總督府로 이관되고 해방 이후 서울대 규장각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필사자가 저자가 아니고 필사본에 오류가 산견되지만 내용이 담고 있는 고유의 가치는 가히 주목할 만하다. 하위 갈래는 逸話ㆍ笑話ㆍ詩話ㆍ備忘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대부 逸話가 양적으로 절대 우위를 점한다. 내용적인 면에서 보면, 逸話와 詩話, 笑話는 흥미로운 소재를 소개하거나 기행문 같은 일상의 소소한 경험도 다루었지만 귀감이나 勸戒的 차원의 글도 상당하다. 備忘錄 형태의 기록은 조정에서 일어나는 현안과 禮制를 비롯한 다양한 역사적 사실에 관심을 보인 것들이 주류를 이루며, 時政記나 實錄, 文集 등에서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서술 방식으로는 다시 ‘口演 활용’과 ‘文獻 전재’로 구분할 수 있다. 구연 활용은 이야기판에서 전해들은 내용을 사실 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하였는데, 어떤 경우는 동일한 내용을 두 번 소개하기도 하였고 여타 일화의 분량보다 몇 배나 되는 장문으로 서사성을 강하게 드러낸 글도 존재한다. 서사성이 강한 작품은 조선 후기 野談 문학과 연결 지어 볼 대목이다. 文獻 전재의 경우, 備忘錄 형태를 제외하면 전대의 기록을 그대로 반영하기보다는 저자의 관점과 의도에 맞춰 재구성하였다. 또 학파와 지역을 뛰어넘는 인물 선정과 균형 잡힌 서술을 선보였으며, 전대의 野史와 결이 다른 直書의 흔적도 발견된다. 글의 소재가 흥미보다 교술적인 내용들이 많다 보니 『燃藜室記述』, 『朝野僉載』, 『硏經齋全集』의 「蘭室譚叢」, 『大東嘉言善行』 등 주로 역사와 제도, 예제 등을 다룬 서적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는 『溪陰漫筆』이 널리 보급되지 못한 소치여서 이것만으로 이 책의 성격과 가치를 단정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溪陰漫筆』은 조선 중기의 정치와 사상, 문화, 제도 등 사회 전반을 살피는 데 있어 아주 소중한 자료가 아닐 수 없으며, 文藝美에 있어서도 동시대 저명한 작가들에 비해 손색없는 수준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This thesis provide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value of “Gyeem Manpil (溪陰漫筆),” based on fundamental research on the life, study, time of writing, relationship with the transcriber, characteristics of narratives, and impact on the later generations of the author, Dojae Yoon Heun (陶齋 尹昕, 1564-1638), and aims to serve as an academic resource through translation, annotation, and punctuation. Yoon Heun was born to a prestigious family. His father Yoon Doo-soo held the position of Premier, uncle Yoon Geun-soo and older brother Yoon Bang performed the role of Vice Premier, and younger brothers Yoon Hwi and Yoon Hwon served as Minister of Hyeongjo (Ministry of Law Enforcement) and Governor of Pyeongan-do Province, respectively. The author kept a record of what he had experienced as a public official throughout a series of incidents such as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1598, Incident of Seven Bastards, Yi Gwal’s Rebellion, and Qing Invasion of Korea in 1636, from the reigns of Seonjo, Gwanghaegun, to Injo. Only “Dojaejip (陶齋集)” and “Gyeeum Manpil” are passed down to the present among his publications. “Gyeeum Manpil,” especially, is a valued piece in the genre of pilgi (筆記) in the mid-Joseon period, which contributes to the depth of Korean studies. The content of pilgi literature varies depending on the er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hor. Yoon Heun developed his unique style of manpil (漫筆) based on his non-materialistic personality, flexible thinking, and influence from his mentor, Woogye Sung Hon, who was pragmatic and tended to seek truth grounded on concrete evidence. In Gyeeum Manpil, the author focused on anecdotes of scholar-officials, rather than sohwa (笑話, joke or humorous story) or sihwa (詩話, critique on poetry). His interest in politics and ritual system was represented in the excerpts from sijeonggi (時政記, administrative records), sillok (實錄, veritable records), and anthologies. The anecdotes of scholar-officials include amusing stories and travel essays, but mostly exemplary cases and lessons learned therefrom to bear in mind. Yoon Heun had written Gyeeum Manpil for around 20 years from 1613, when he resigned from his position in the wake of Incident of Seven Bastards, to the year he passed away. Since it had not been proofread, his book, composed of three volumes and three chapters with 399 stories, delivers the message in diverse forms of narratives. The verbal narration was recorded without fact-checking. He cared less about the length or redundancy, introducing an extra-long story or the same story twice. When he included existing literature in the book, he restructured the story to better present the original author’s perspective and intention, rather than publishing it as it is, except for a memorandum. Respectable figures from both Yeongnam and Honam Schools were introduced in a balanced manner, just as he had selected scholars regardless of their faction or school when he mentioned the system of Tao in Korea. He never disrespectfully addressed anyone even when they were culpable. “Gyeeum Manpil,” which displays the institution and culture of the country in a descriptive manner, influenced the books about history, institution, ritual system, and lessons in the later generations, including “Yeollyeosil Gisul (燃藜室記述)”, “Joya Cheomjae (朝野僉載)”, “Nansil Damchong (蘭室譚叢)” of “Yeongyeongjae Jeonjip (硏經齋全集)”, and “Daedong Gaeon Seonhang (大東嘉言善行)”. Given that access to the book was limited at the time of publication, its value should be defined and estimated beyond the aforementioned influence. It must have had a more powerful and extensive impact if it had been widely spread, as it touches upon various themes and messages. “Gyeeum Manpil” is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re of pilgi, the author, and Haepyeong clan which was the hegemon during those times, and contribute to research on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study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 이명직과 김응조의 재림론 비교 연구

        황교은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성결교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하여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사중복음에 대한 신학적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이다. 정빈과 김상준에 의해 시작된 한국성결교회는 교파적 배경 없이 복음전도관이라는 열악한 환경 가운데에서 오직 한국인에게 복음을 전파하여 영혼구원 이루고자 하는 열망 가운데 발전하여왔다. 1961년에 한국성결교회는 양분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이후 예성과 기성 두 교단은 사중복음이라는 성결교회의 근간을 이루는 신학사상을 공유하며 각자의 신학을 발전시키는데 힘을 쏟아왔다. 그동안 연구된 성결교회의 사중복음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에 대한 연구 주제들을 살펴보면, ‘중생, 성결, 신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림’에 대한 연구는 양적으로 많지 않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가 풍요로움 가운데 현실만족에 치우쳐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결교회의 사중복음 가운데, ‘재림’에 대한 연구물을 살피며, 특별히 두 교단의 주요 학자인 이명직과 김응조의 재림론을 비교하였다. 각자 주어진 상황은 달랐으나, 이명직과 김응조 두 인물은 성경을 중심으로 사역하였고 성결교회에 보물과 같은 저서들을 많이 남김으로서 오늘날 성결교회의 신학을 살피는 데 있어 반드시 연구해야 할 인물들이다. 본 연구는 이명직과 김응조가 주장하는 재림에 관한 내용인 ‘세대주의 전천년설’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한국성결교회로 전파된 과정 그리고 이를 계승 발전하였던 두 신학자의 재림론을 비교 정리함으로써, 오늘날 큰 관심을 누리지 못하고 왜곡된 시선을 받기도 하는 ‘종말론적 신앙’이 얼마나 소중한 성결교회의 신학적 유산인지를 발견하게 할 것이다. Abstract A Comparative Study of Lee Myeong-Jik and Kim Eung-Jo for Their Second Coming Theories Hwang, Kyo-Eun Major in Histor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ungkyul University There is an ongoing stream of theological reach on the Fourfold Gospel including Regeneration, Holiness,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toda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Holiness Church.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itiated by Jeong Bin and Kim Sang-jun developed with its passion for saving souls by spreading the Gospels to the Korean people despite its poor environment at the Evangelical Preaching Hall without any denominational backgrounds. In 1961, the Korean Holiness Church suffered the pain of division. Since then,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orders of Ye-Sung(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Gi-Sung(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e two orders have devoted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their respective theology by sharing the Fourfold Gospel, which is the theological idea at the root of the Holiness Church. Of studies on "Regeneration, Holiness,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in the Fourfold Gospel, the number of the studies on "Second Coming"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tudies on "Regeneration, Holiness, and Divine Heal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the "Second Coming" in the Fourfold Gospel of Holiness Church and compare Lee Myeong-Jik and Kim Eung-Jo, who were principal scholars of the two orders, for their Second Coming theories. Even though they were in different situations, Lee and Kim served their ministry around the Bible and wrote important books like the treasure of Holiness Church. They must be covered by any studies on the theology of the Holiness Church today. The study compared and arranged the two theologians for the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which is about Second Coming argued by Lee and Kim,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its spread to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 addition to the Second Coming theories of the two theologians who inherited and developed it, demonstrating how precious ‘apocalyptic faith,’ which attracts no big interest and is subjected to a distorted viewpoint today, is as the theological heritage of Holiness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