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NS 뷰티콘텐츠 특성과 개인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주연 창신대학교 특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SNS 뷰티콘텐츠 특성과 개인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주연 창신대학교 복지문화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지도교수 우미옥)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초고속 인터넷망의 발달로 개인 스마트폰, 테블릿 PC, 스마 트 워치 같은 스마트웨어러블의 보편화로 특정 시간이나 장소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 서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의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일상생활의 필수 매체로 선택한 응답자는 전체 의 70.3%에 달했으며, 일상생활의 필수 매체로 인식하며 가전제품 중 스마트폰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은 전화나 문자 서비스를 훨씬 넘어서 사무업무, 생활보조 기능 등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뷰티콘텐츠 특성이 개인성향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고 소비자들의 특성과 성향을 고려한 콘텐츠 제작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 고자 하며 마케팅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23년 7월 15일 부터 2023년 8월 30일 까지 대구, 부산지역의 20세에서 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71부를 수집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 분석을 실시, 신뢰도 검증을 위하 여 Cronbach’s α값을 확인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SNS 뷰티콘텐츠 특성과 개 인성향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며 사후분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SNS 뷰티콘텐츠 특성, 개인성향, 행동의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236명(87.1%)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의 경우, 20대가 206명(76.0%)로 가장 응답 비율이 높 았다. 결혼유무의 경우, 미혼이 214명(79.0%)였으며, 직업은 학생이 164명(60.5%)로 가 장 응답 비율이 높았고. 월평균소득의 경우, 200만원 미만이 182명(67.2%)로 응답 비율 이 높았다. 둘째, SNS 뷰티콘텐츠 특성의 차이 분석 결과, 성별, 소득, 결혼유무 에서는 모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SNS 뷰티콘텐츠 특성이 정보성, 유희 성에 차이가 있었고, 행동의도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직업에 따른 차이에서는 인지욕구성향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SNS 뷰티콘텐츠 특성 중 유희성 요인이 감각추구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뷰티콘텐츠 특성이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모든 요인이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유희성, 상 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SNS 뷰티콘텐츠 특성 중 유희성 요인이 감각추구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 로 볼때, 단순한 정보성, 상호작용성, 편리성 외에 놀이와 정보 검색, 상호소통 등을 겸 한 오락성, 즉 유희성을 내포한 콘텐츠 생성이 중요하다. 무수한 콘텐츠 알고리즘의 생성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뷰티서비스는 일상의 즐거움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 SNS, 뷰티콘텐츠, 개인성향, 행동의도

      • 진단코드와 입원시 상병을 이용한 의료의 질 모니터링

        홍주연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utilizing diagnosis codes and present on admission (POA) in the monitoring of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To this end, this study has sought to apply hospital acquired condition(HAC), patient safety indicators (PSI), and classification of hospital acquired diagnosis (CHADx) currently being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on Korean healthcare institutions. For evaluation, this study has utilize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IRA) data on the Korean Case Payment System, the fee-for-service (FFS) payment system and diagnosis related groups (DRGs) payment system payments and POA between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4. To evaluate whether the POA collection influenced diagnosis coding, the average number of claimed diagnosis codes were calculated prior and after POA collection. The diagnosis codes applying to HAC and CHADx were subject to simple and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other diagnosis in order to observe if there have been changes prior and after POA collection. To evaluate whether the diagnosis codes with POA could be used in monitoring of the quality of care,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analysis of HAC, CHADx and PSI occurrence in a case of limiting the analysis scope to the frequent diseases occurring after hospitalization using POA, and the case of using all frequent diseases using POA, coupled with variance analyses between healthcare institutions. Lastly, to evaluate the factors behind variance in occurrences of HAC, CHADx and PSI,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ifferent stages while differentiating patient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OA collection did not influence diagnosis cod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laimed disease codes before and after POA collection; the occurrence of diagnosis codes relating to quality of care indicators in the Korean Case Payment System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HAC 9.9%, CHADx 63.34% prior to POA collection and HAC 9.63%, CHADx 64.92% after POA collection. Moreover, a urinary infection showed the highest occurrence before and after POA collection, demonstrating little change in the shape of diagnosis codes relating to quality of care indicators. Additionally, the variance between healthcare institutions on the occurrence of quality indicators were large. This study has also confirmed that there was variance between institutions in the same disease groups, as this study has singled out a high-frequency disease group as disease groups could have influenced such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s. The application of POA magnified this difference between institutions, which indicated that the diagnosis codes using POA has a high potential as a quality indicator. Limiting the scope to the frequent diseases occurring hospitalization, factors influencing variance of HAC, CHADx and PSI occurrence were both patient and institution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disease groups influenced patient characteristics heavily; this indicates that modifications to severity at the patient level is an important factor. Modifications of patient-specified severity would be required to utilize disease codes relating to quality indicator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quality indicators of diagnosis codes utilizing POA were useful tools in monitoring, and demonstrated the potential of monitoring quality of care using the POA and diagnosis codes in Korean healthcare institutions. Monitoring quality of care using POA requires a centralized system that continuously collects and updates data, similar to overseas applications. Going forward, it would be necessary to embrace diverse approaches and long-term evaluations reflecting influential factors on the monitoring of quality of care, using diagnosis codes and POA.

      • 여자 중 고등학생의 생활습관 및 식습관에 따른 가당식품 섭취빈도에 관한 연구

        홍주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focused on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researched their personal background, lifestyle, dietary habits and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cy to figure out their sweetened food intake level and the influence factor of sweetened food intake, thereby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nutrition education of sugar intake reduction in teenage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Eupyeong-gu, Seoul. To sum up,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on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cy, there is on average 36.4 times of intake per person per week. In the cas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is 41.8 times on average, whereas there is 33.3 times on average fo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us, it seems that this result has no significant meaning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intak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s 8.5 times more than tha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for the intake frequency by the sweetened food typ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equently have the intake of 'sugars'. On the other h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equently have the intake of 'beverages' though. Among 30 main items of sweetened food, 'chocolates' is the most frequent intake for all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cy by each factor, the case of students who have lower grades in studies and have more irregular eating habits than the other students is more likely to have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tly. And also,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no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have more frequent sweetened food intake than the other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cy and each factor, when it comes to more and more PC use, watching TV in weekend, and eating-out and snake intake frequency, it shows that sweetened food intake is becoming more frequent on that account. When the number of having a breakfast is on the rise, however, the number of sweetened food intake is decreased thoug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research the influence on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cy by each factor, snake intake frequency, eating-out frequency, academic grades and sweetened flavor prefer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weetened food intake in order of influ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have a sweetened food intake frequently th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reference to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showed that the group of students who have an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has less frequent sweetened food intake than the other group of students who does no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nutrition education related to sweetened food intake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 that account.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result, it is indicate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nutri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s very low.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the nutrition education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more frequently. In order to reduce sweetened food intake in teenagers, it is essential to conduct the nutrition education for students to purchase the snacks which are nutritionally balanced and have a proper calorie on the basis of a desirable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by their own efforts. As sweetened food intake is on the rise depending on stress and sleep satisfac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educational policy and the program about stress management and sufficient sleep in teenagers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여자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개인배경, 생활습관, 식습관 및 가당식품 섭취빈도를 조사하여 청소년의 가당식품 섭취수준과 이들의 가당식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당 섭취 저감화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은평구 소재의 여자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가당식품 섭취빈도조사 결과 1주일을 기준으로 전체 1인 평균 36.4회 섭취하고 있었고, 여중생이 41.8회, 여고생이 33.3회 섭취하고 있어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여중생이 여고생보다 약 8.5회 더 섭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당식품 종류별 섭취빈도에서 여중생은 ‘당류’, 여고생은 ‘음료류’를 가장 빈번하게 섭취하고 있었고, 주요 가당식품 30개 중에서는 여중·여고생 모두 ‘초콜릿’을 제일 빈번하게 섭취하고 있었다. 각 요인에 따른 가당식품 섭취빈도 분석 결과 학업성적이 낮고, 식사를 불규칙적으로 할수록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고 있었고, 영양교육 수혜 경험이 없는 여중생이 다른 집단보다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고 있었다. 각 요인과 가당식품 섭취빈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PC이용과 TV시청(주말)시간, 외식과 간식섭취횟수가 증가할수록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침식사횟수가 증가할수록 가당식품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각 요인의 가당식품 섭취빈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결과 간식섭취횟수, 외식횟수, 학업성적, 단 맛 기호도 순으로 가당식품 섭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중생이 여고생보다 가당식품을 자주 섭취하였으며, 여중생의 경우 학교에서 영양교육을 받은 집단이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가당식품 섭취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당 섭취 관련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조사 결과 고등학생의 영양교육 경험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이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당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바탕으로 열량 및 영양적으로 적절한 간식을 스스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양교육이 필요하며, 스트레스와 수면만족도에 따라 당 섭취가 증가하므로 청소년의 스트레스 관리와 충분한 수면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성격과 자아 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홍주연 梨花女子大學校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ct of recalling previous experiences is a ecological valid cognitive activity which the elderly often engage in.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on this topic but the results have been equivocal at the best. The reasons for this ambivalent findings are due to several factors. One of which is the lack of conceptual definition about what reminiscence is, and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ation that could provide comparable results across studies. Another is the determination of what type of reminiscence has adaptive value.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reminiscence by examining its functions and to construct a Korean-Reminiscence Functions Scale for Elderly(K-RFS-E) based on this analysis. Second is to construct a valid and reliable ego-integrity scale to determine adaptive reminiscence functions. And Lastly is to examine psychologcial correlates of reminiscence functions in the elderly. 54 items of the pre-K-RFS-E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of the existing reminiscence functions scales, and free-response survey and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by developmental psychology professionals. The 54 items were then given to 400 adults aged over 60 living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Of the 400 subjects, 295 responses were factor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37 items and 9 factors were extracted. The 37 items were shortened to 27 items in consideration of the target population. The names of the 9 factors are boredom reduction, identity exploration, transmission, contrition, conversation, intimacy maintenance, escapist, and death preparation. The reliability of K-RFS-E estimated by Cronbach's coefficient(α) was .87 for the scale and the .87 through .58 for each factor. The effect of various socioeconomic variable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reminiscence functions of the elderly was assess by standard regression analysi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for overall reminiscence frequency, a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redom reduction, health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identity exploration, self-perceived health and incom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ntrition. Age and self-perceived healt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nversation, self-perceived health, a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intimacy maintenance, age, self-perceived health and sex were significant predictors were death preparation and finally, a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problem solving factor. In study II, 34 items of the pre-ego-identity scale were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existing scale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e-ego-identity scale items were examined by developmental psychology professionals. The 34 items were given to 300 of the 400 subjects in study I and of the 300, 222 responses were analyzed. The items were factor analyzed and 2 factors consisting of 16 items were extracted. The names of the 2 factors were acceptance of one's past and aging and attitude toward life. The reliability of the ego identity scale was estimated by Cronbach coefficient(α). Reliability for the whole scale was .83 ,the reliability for acceptance of past and aging factor was .83, and attitude toward life was .53. In order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psychological predictors of reminiscence, a serie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uted using, ego-integrity, depression, three personality domains as predictor variables on each of the 9 K-RFS-E factors and the total K-RFS-E sc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psychological predictor for the total K-RFS-E score but the factors were differentially predicted by the variables. Specifically, acceptance of one's past and ag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redom reduction, depression and acceptance of one's past and ag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lf-exploration, neurotism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ransmission, acceptance of one's past and ag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s for contrition. Also, extraver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conversation, attitude tooward life was significant predictor for intimacy maintenance, acceptance of one's past and aging, and neuroticism weres significant predictors for escapist factor, attitude toward lif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problem solving, and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redictors for death preparation. In conclus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d sound instrument to assess the various functions of reminiscence in the elderly and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ue of psychologic as well as demographic variables. As the results show the concept of reminiscence has proven to be not a unidimensional but a multidimensional concept which correlates differentially with variou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psychological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further study and research in reminiscence activity among the aged. 본 연구는 노년기 회상기능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를 돕기 위해 노년기 회상기능에 미치는 성격 및 자아 통합감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와 개방식 조사를 통해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제작하였으며 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 노인 자아 발달의 정도가 노인회상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어 문헌분석을 통해 자아 통합감 척도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척도를 바탕으로 노인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으로써 자아 통합감과 성격을 연구하였다. 노인 회상기능 척도를 제작하기 위해 개방식 질문과 문헌연구, 그리고 기존 외국척도를 바탕으로 노인 회상기능에 대한 54개의 문항들을 제작 분류하였으며 이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노인 회상기능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검사에서는 서울과 지방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재가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회상을 왜 하는가에 대한 개방식 질문을 하였고 이에 대한 반응 중 65명의 반응이 분석, 분류되었다. 노인 회상기능 척도 개발을 위한 본 검사에서는 노인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이중 295명의 반응이 분석되었다. 54개의 문항에 대한 문항분석 결과, 9개의 요인에 대한 37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37개로 구성된 검사가 노인에게 너무 길다고 판단되어 요인 부하량에 따라 요인별로 3개씩 문항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27개의 문항이 선택되었다. 추출된 9개의 요인은 무료함 감소, 자아탐색, 전수, 회한, 대화, 부재자 갈망, 회피, 죽음대비, 그리고 문제해결로 명명되었다. 노인 회상기능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내적 일치도가 .87 이었고 요인별로 .58에서 .83의 수준이었다. 노인회상기능에 대한 개인적 배경 변인의 영향을 보기 위해 표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회상빈도의 추정치인 총점을 예측해주는 변인은 건강이었으며 요인별로 보면, 연령이 무료함 감소 요인을, 건강이 자아탐색 요인을, 건강과 수입이 회한요인을, 연령과 건강이 대화 요인을 예측하였고 연령과 건강이 부재자 갈망 요인을, 건강, 성별과 연령이 회피요인을, 연령, 건강과 성별이 죽음대비 요인을, 그리고 연령이 문제해결요인을 의미 있게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연구와 기존척도의 분석을 바탕으로 자아 통합감 척도에 대한 34개의 문항들을 제작하였다. 자아 통합감 척도 개발은 노인 회상기능 척도에 참여한 400명 중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중, 222명의 반응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2개의 요인에 대한 16개의 문항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문항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 그리고 삶에 대한 태도로 명명되었다. 자아 통합감 척도의 전체 신뢰도가 .83이었으며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은 .83 그리고 삶에 대한 자세는 .61이었다. 노년기 회상기능에 대한 심리적 변인의 영향을 보기 위해 노인 회상기능 척도, 자아 통합감 척도, 노인 우울척도-단축형, 그리고 성격 오 요인 검사를 60세 이상 노인들에게 실시하였다. 서울과 지방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95명의 반응에 대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회상 빈도의 추정치인 노인 회상기능 총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심리적 변인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무료함 감소 요인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이, 자아 탐색 요인은 우울정도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이, 전수 요인은 신경증이, 회한요인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이 의미 있게 예측해 주었다. 또, 대화요인은 외향성이 부재자 갈망은 삶의 태도가, 회피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수용과 신경증이, 그리고 문제해결요인점수는 삶의 태도가 유의하게 예측해 주었으며, 죽음 대비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해 주는 변인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노인 회상기능은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다면적인 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배경 변인과 노인 회상기능과의 관계성 연구에서는 건강이 노인회상기능에 중요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성격과 자아 통합감, 그리고 절망감의 심리적 변인들은 노년기 회상기능의 하위 요인별로 각각 상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회상기능척도와 자아 통합감 척도를 제작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노인회상기능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배경 변인, 그리고 심리적 변인들을 밝힘으로써 노인회상기능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의 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회상치료에 보다 효과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집단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말(馬) 심리치료 요인의 질적분석에 근거한 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홍주연 대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말(馬)이 인간의 치료에 이용되었다는 기록은 그리스 신화에서부터 찾을 수 있고 긍정적인 치료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들도 있지만 정서적․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을 명확히 규명한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내담자에 대한 치료적 접근 방법을 체계화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운영과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인이 지각하는 말(馬)의 심리적인 영향을 규명한다. 둘째, 매개를 이용한 심리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규명한다. 셋째,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을 구성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한다. 연구는 세 단계로 수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말(馬)의 심리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5년 이상 말(馬)과 관련된 일에 종사하였거나 승마 경력이 있는 엘리트 승마 선수와 생활체육연합회 회원 25명을 대상으로 ‘말(馬)과 함께 하는 활동에서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영향은 무엇인가’라는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놀이, 미술, 음악, 독서 등과 같은 매개를 이용한 심리치료의 치료적 요인 30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선행된 두 연구를 토대로 47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척도를 구보 이상의 기승술을 가진 18세 이상의 승마인 166명에게 설문조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로 도출된 2차 예비척도를 승마인 104명에게 설문조사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승마인이 지각하는 말(馬)의 심리적 영향은 ‘상호작용을 통한 정서적 자각’, ‘말(馬)을 통한 적극적인 감정의 표현과 자기이해’, ‘신체적․정신적 활동을 통한 정화’의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매개를 이용한 심리치료의 치료적 요인은 감정 표현, 상호작용, 정화와 관련된 30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는 ‘적극적 표현과 자기이해’, ‘정화’, ‘정서적 자각과 사회화’ 등 3개 하위요인이 구성되었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95이며 각 요인별 신뢰도를 살펴보면, ‘적극적 표현과 자기이해’(요인 1)는 .858이고 ‘정화’(요인 2)는 .922이며 ‘정서적 자각과 사회화’(요인 3)는 .818로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매개를 이용한 심리치료를 실시하는 치료사 30명이 평정한 내용타당도는 전체 문항이 양호한 것으로 판정 되었다. 이상의 연구와 같이, 한국인의 문화적․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파악은 말(馬)을 이용한 새로운 치료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으며, 치료적 요인을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내담자 유형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말(馬)을 이용한 심리치료를 활성화 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말(馬)매개치료의 치료자나 내담자를 대상으로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을 탐색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말(馬)매개치료가 활성화되어 치료자나 내담자를 대상으로 치료적 요인을 파악하는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말(馬)매개치료를 위한 기초 연구이므로 향후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을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내담자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료적 요인의 효과 검증을 통해 실제적인 말(馬)매개치료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what develops scale of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s in equine. The record that equine was used for curing a human being can be found from the Greek myth. There are also preceding researches on positive curing effect. However, a research on therapeutic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 is difficult to be found. According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systematizing therapeutic approach to clients and of being able to be expected the effect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rogram and on positive cure, by developing scale of closely examining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s in equine. The following are the problems of this study. First, it closely examines psychological influence in equine that horsemen perceive. Second, it closely examines the therapeutic factors of psychological therapy of using medium. Third, it forms items in order to develop scale of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s in equine and verifies the reliability in scale of the content validity. A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ree stages. As for the first stage, to grasp psychological influence of equine, it carried out the open-ended question as saying that 'what is the psychological influence that can be felt in activity of being together with equine?' targeting elite horse-riding players, who had engaged in job related to horse for over 5 years, and 25 members for Sports for All Association, and analyzed qualitatively its results. As for the second stage, it elicited 30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logical therapy of using medium such as play, art, music and reading through literature consideration. As for the third stage, it formed preliminary scale in 47 items based on two preceding researche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performing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166 horsemen in over 18 years old who have horseback skill in over trotting as for the composed scale.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by performing questionnaire survey to 104 horsemen as for the secondary preliminary scale, which was elicited as i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influence of equine, which horsemen perceive, was analyzed with 3 types in ‘emotional perception through interaction,’ ‘positively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equine,' and ‘purification through physical emotional activity.' Second, the therapeutic factor in psychological therapy of using medium was elicited to be 30 factors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on, interaction, and purification. Third, the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 scale in equine was composed of 3 sub-factors such as ‘positive 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 ‘purification’ and ‘emotional perception and socialization.’ The whole reliability in scale is .895. Given examining reliability by each factor, the good reliability was shown with .858 for 'positive expression and self-understanding'(factor 1), and .922 for 'purification'(factor 2), and .818 for ‘emotional perception and socialization’(factor 3). The content validity, which 30 therapists of carrying out psychological therapy of using medium rated, was judged to be good in the whole items. As the above research,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 in equine, which considered Koreans'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an be attempted the new therapeutic approach of using equin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rapeutic factor will be capable of contribute to developing program by client's type and to vitalizing psychological therapy of using equine. The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a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not what inquired into the psychological therapeutic factor in equine targeting therapists or clients of equine facilitated psychotherapy, thereby having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Accordingly, there will be necessity for a follow-up research of grasping therapeutic factor targeting therapists or clients, by which the equine facilitated psychotherapy is vitalized hereafter. Second,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equine facilitated psychotherapy. Thus, there should be a research on the actually equine facilitated psychotherapy through developing according to client's type and effectively verifying therapeutic factors with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psychologically therapeutic factor in the future.

      • 의복관여도 따른 백화점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홍주연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백화점 소비자들의 의복관여도 수준과 사회인구적 특성에 따른 집단들 간의 판매원 서버스 중요도와 만족도 및 품질평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판매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수준에 따른 집단들간의 재구매 의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의복관여도 문항(관심 4문항, 즐거움 3문항, 상징성 4문항, 위험지각 4문항, 유행추구 4 문항)과 판매원 서비스 평가에 관한 문항, 재구매 의도에 관한 문항, 사회인구학적 특성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서비스 품질평가는 SERVQUA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백분율, Cronbach’s α계수, 요인분석, Paired t-test, 분산분석(ANOVA) 및 Duncan’s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복관여도 수준에 따른 집단간 판매원 서비스 중요도에 있어 고관여 집단이 중관여 집단과 저관여 집단에 비해 판매원의 전문성과 태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매원 서비스 만족도에서는 고관여 집단은 중 ·저관여 집단보다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 하위차원(자아표현/쾌락적 가치추구, 유행추구, 경제적/사회적 위험지각)에 따라 판매원 서비스 평가를 알아본 결과 유행추구 성향이 높은 고관여 집단일수록 저관여 집단에 비해 고객편의제공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경제적 위험지각 성향이 높은 고관여 집단 일수록 저관여 집단에 비해 판매원 전문성 품질을 낮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표현/쾌락적 가치추구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간의 판매원 서비스의 중요도에서는 20-30세의 집단이 41-50세의 집단보다 판매원 고객편의제공이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학력에 따라 살펴본 결과 고학력일수록 고객편의제공을 중요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판매원 서비스 만족도에 있어서는 50세 이상의 집단이 20-30세, 31-40세, 41-50세보다 판매원 서비스 전문성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소득에 있어서는 1000만원 이상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고객편의제공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모든 집단들이 판매원 서비스 품질을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원의 서비스 만족도에 따른 재구매 의도를 알아본 결과 판매원의 서비스에 만족도가 높은 고만족 집단이 중만족과 저만족 보다 재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 판매원의 서비스 만족도가 재구매에 큰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ales persons' service and evaluations of service quality among groups according to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Also, another purpose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intention to re-buy among groups according to levels of satisfactions on sales persons' service. As an instrument,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 factor analysis, paired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ales persons' service, and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mong groups according to level of clothing involveme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ales persons' service, and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level of sub-de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ales persons' service, and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among groups according to consu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to re-buy among groups according to level of satisfaction on sales persons' service.

      • 한중일 3국 협력의 제도화 연구 : 동아시아 협력의 불가역성과 한중일 상호관계의 내재화

        홍주연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tries to propose an explanation based on international relations regarding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three important countries in Northeast Asia :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is research tries to analyze ‘the trilateral cooperation’ from the viewpoint of ‘Embedded Un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Irrevocable Cooperation’ with the below-mentioned questions in mind : 1)how ‘the trilateral cooperation’ would be possible?, 2)which elements make ‘the trilateral to be constructed or developed?, 3)is ‘the trilateral cooperation’ stalemate when the elements which promote ‘the trilateral cooperation’ are not sufficient?, 4)if ‘the trilateral cooperation’ is accomplished, does it become institutional cooperation such as EU in Europe or not? The prime purpose for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to expla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by examining how cooperation among three important Nor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s constructed. Thus,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functioning mechanism of many East Asian regional regime such as ASPAC, ASEAN, APEC, ARF, ASEM, ASEAN+3, ACD, EAS, TCS prior to the inauguration of TCS(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 in 2011, this research explained three countries’ core initiative and diplomatic strategies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regime-making process of the above-mentioned international regimes.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functioning mechanism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tries to empirically discuss the depth, change, and pattern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 what kind of natures ‘the trilateral cooperation’ has developed via the above-mentioned regional regime. Based on timeline, this research examined three different period : 1)from the Cold War to the accomplishment of ASEAN+3 in 1997, 2)the developments after the inauguration of ASEAN+3 in 1997, 3)After 2008, the year which ‘the trilateral summit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tarted to be held with the separate format compared to ASEAN+3.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show that the existence of the United States in Northeast Asia is important, and three countries(South Korea, China and Japan) have different tendencies of diplomatic strategy even though they all seek to simultaneously strengthen regional and out-of-the area influences. Hence, three countries(South Korea, China and Japan) do not have any intentions to build solid institutions which will evidentially stipulat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member states. Since they do not want to give up the benefits which can be gained via regional regime, however, they created flexible framework of regime which can be adjusted with regards of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and joined as member states. During this process, based on vectors created by the amounts and directions of diplomatic policies’ influences among three countries under the existence of the United States, regional regimes(ASEAN, APEC, ARF, ASEM, ASEAN+3, ACD, EAS) become to construct ‘the Chain of Cooperation’. This phenomenon is the particular institutional process solely witnessed in Northeast Asia, and it makes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experience ‘Irrevocable Cooperation’ which cannot be witnessed in any other regions. On the other side, besides the factor such as ‘the Chain of Cooperation which exists in Northeast Asia’, via an analysis this research explained that the directions of diplomacy by three countries(South Korea, China and Japan) could be classified as an important factor which can intensify ‘the trilateral cooperation’ not only in the quantity but also in quality. Looking back three countries’ diplomatic strategies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the trajectory of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based on each important period, although each diplomatic strategy by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s not able to create influential variables when it comes to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Cooperation, but it could be witnessed that those strategies by three countries can produce sufficient changes for ‘the trilateral cooperation’ per se. Meanwhile, the issue of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s generally examined under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the chang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framework of domestic political situations in each country. Those viewpoints could be useful to sketch the environment and backgrounds in general for three countries come to make a decision in order to construct ‘trilateral cooperation’, but they are not able to explain the process and elements of the reason why ‘the trilateral cooperation’ proceeded and developed to the form of institution. Moreover, those viewpoints fails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trilateral cooperation’ still exists whilst conflicts related to history, territory and security issues which are classified as disturbing factors against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re still unsolved. If we mainly focus on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variables related the United States, and the factors of domestic politics in each country, it seems that there are tangible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active dynamism of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China and Japan. When it comes to the reason ‘why the ‘trilateral cooperation’, not any other multilateral regime, this research explains that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hare many ideological elements and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can exceed national interests or variables of institutions, and thus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 trilateral cooperation’ has interesting elements which can be simultaneously categorized as factors for cooperation or conflicts based on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the ways of usage. Furthermore, when ‘the trilateral cooperation’ could be analyzed not as trilateral relations which are the simple combination of bilateral relations but as trilateral relations which is intimately and systematically related each other, this research shows that other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 are possible.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핵심 국가들이라 할 수 있는 ‘한국·중국·일본 3국간의 협력’에 대한 국제정치학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일 3국간의 협력은 어떻게 가능한가? 한중일 3국간의 협력의 형성이나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리고 협력을 증대시키는 요인들이 부족할 때 한중일 3국간의 협력은 정체하는가? 또한 한중일 3국간의 협력이 이루어질 때 그것은 유럽의 EU와 같은 제도적 협력인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라는 질문을 염두에 두고, ‘제도화 되지 않은 협력의 내재화(Embedded Uninstitutional Cooperation)와 협력의 불가역성(Irrevocable Cooperation)’이란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한중일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어떻게 협력이 구축되어 나갔는지 살펴봄으로써 3국간의 협력이 실증적으로 형성 및 발전되어 가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에 있다. 이에 냉전기부터 2011년 ‘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TCS: Trilateral Cooperation Secretariat)’이 이루어지기까지 동아시아 지역협력체로 창설된 ASPAC, ASEAN, APEC, ARF, AESM, ASEAN+3, ACD, EAS, TCS의 형성과정 및 작동 기제, 발전 과정 등에 주목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한중일 3국의 주요 이니셔티브와 외교 전략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두 번째 목적은 3국간의 협력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그 작동 기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역협력체들을 통한 한중일 3국간의 협력이 어떠한 성격을 띠고 있는지 한중일 3국간 협력의 높낮음, 변이, 패턴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시기적으로 본 연구는 냉전기부터 1997년 ASEAN+3가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과정, 1997년 ASEAN+3가 개최된 이후의 과정, 그리고 ASEAN+3와는 별도의 한중일 3국간 정상회의가 시작된 2008년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분석의 결과, 동북아시아에는 미국이 존재하며, 한중일은 역내 영향력과 역외 영향력을 동시에 추구하는 외교 전략을 추구했으며 그 방향이 달랐다. 따라서 3국은 권리·의무를 확실하고 명확하게 묶어두는 견고한 제도(institution)의 성립을 원치 않았으나, 역내 레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을 포기할 수 없었으므로 자국의 이익에 맞게 협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한 형태의 레짐을 설립하고 이에 가입하였다. 그런데 미국의 존재하에 3국 외교정책 영향력의 총량 및 방향이 만들어내는 벡터에서 하나 둘씩 이루어진 지역협력체들(ASEAN, APEC, ARF, ASEM, ASEAN+3, ACD, EAS)이 ‘협력의 사슬고리(Chain of Cooperation)’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동아시아에서만 관찰되는 특수한 제도적 프로세스이며 더불어 동아시아 국가들에게 타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협력 증진의 불가역성’을 경험하게 하였다. 다른 한편,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에 존재하는 사슬고리형 협력 기제의 작동 변수와 함께 한중일 3국의 국가외교정책의 방향 또한 한중일간 협력의 양적 · 질적 심화를 이루어가는 큰 변수라는 사실을 분석을 통해 설명하였다. 한중일 3국의 지역협력 외교전략과 각 시기별 동아시아 협력의 흐름을 살펴보았을 때, 각국의 외교전략이 ‘동아시아 협력’이라는 큰 흐름을 변화시키지는 못하였으나, 3국간의 협력에 있어서는 충분히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 동안 ‘한중일 3국간의 협력문제’는 일반적으로 국제정세의 변화라는 국제정치적 환경 요인과 미국 변수 혹은 한중일 각국의 국내정치적 상황이라는 테두리 내에서만 설명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은 한중일 3국이 협력을 구축해 나가기로 결정을 내리게 되는 시점의 환경 · 배경을 전반적으로 가늠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3국 협력의 진전 및 제도화된 형태로의 발전에 이르기까지의 요인과 과정까지는 설명하지 못한다. 그리고 왜 동북아시아 지역 협력의 방해 요인으로 꼽히던 역사·영토·안보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갈등적 상황이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국 협력이 나타나고 있는지 설명하지 못한다. 국제정치적 환경 요인과 미국 변수 그리고 한중일 각국의 국내정치적 상황만으로는 상당한 역동성을 가지고 있는 ‘한중일 3국간의 협력’ 문제를 구체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여러 다자적 관계 중 왜 한중일 3국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은 이익이나 제도의 변수를 넘어서는 관념적 요인과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해석과 활용 방식에 따라 그것이 갈등의 요소도 될 수 있고 협력의 요소도 될 수 있는 흥미로운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설명한다. 나아가 세 국가 사이의 관계가 단순한 양자관계의 합이 아닌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유기적인 삼각관계로 파악했을 때 또 다른 경험적 · 이론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성역할 태도가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적응의 조절효과 : 재미 한국인 이민자 부부 및 동거 연인을 대상으로

        홍주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on effects of accultur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Korean-American couples.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yadic influences of gender role attitude, accultur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232 married and non-married couples who are currently cohabitating completed the self-report surve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Mplus 7.3.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dyadic model was examined to te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males negatively predict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females whereas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females positively predict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les. To further specify the power difference of actor and partner effects, a model with equality constraints was tested. Results showed that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ere stronger for males. Also, the partner effect was greater than the actor effect for both males and females. Second,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ration Model (APIMoM) was tested with acculturation as a moderator. Thre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found. Acculturation of both males and females moder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mal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females but in different directions. That is, the negative effect of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of males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females was weakened when the acculturation of males was high, and when the acculturation of females was low. In addition, males’ accultur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gender role attitud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 acculturation of males was high, the actor effect of their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was lessened. On the other hand, the acculturation of female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role attitudes of female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les. This study tried to specify the role of acculturation in the intimate relationships of Korean immigrants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and acculturation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that the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acculturation―suggest that when studying immigrants, their value and culture may not be uniformly shaped, and migh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ome and host cultures. Meticulous investigation that captures this nuanced within-group difference will allow researchers to exte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timate relationships of minorities and furthermore, their mental health. 본 연구는 미국에 이민하여 거주 중인 한인 부부 및 동거 중 연인을 대상으로 성역할 태도와 관계 만족의 관계를 문화적응이 조절하는 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을 적용하여 남성과 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문화적응, 그리고 그 상호작용이 자신 뿐 아니라 상대방의 관계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는 총 232쌍(464명)의 동거 중 연인과 부부가 참여했고, 성역할 태도, 문화적응, 관계 만족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이 실시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Mplus 7.3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유의한 조절효과에 대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태도와 관계 만족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본 기본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 만족을 부적으로 예측했고,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는 남성의 관계 만족을 정적으로 예측했다. 이 때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크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등가제약 모형을 설정하여 살펴본 결과, 전통적 성역할 태도가 관계 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의 관계 만족에는 남성의 성역할 태도보다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성의 관계 만족에는 여성의 성역할 태도보다 남성의 성역할 태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태도와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한 최종 모형을 검증한 결과,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와 여성의 관계 만족 간의 부적 관계를 남성의 문화 적응과 여성의 문화적응이 조절하였다. 또한,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와 남성의 관계 만족 간의 부적 관계를 남성의 문화적응이 조절하였다. 반면,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와 남성의 관계 만족 간 정적 관계는 남성과 여성의 문화적응이 조절하지 않았다. 즉,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가 남성과 여성의 관계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여성의 문화적응이 낮을 때 약화되었고, 남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가 여성의 관계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남성의 문화적응이 높을 때 약화되었으나, 여성의 전통적 성역할 태도와 남성의 관계 만족 간의 정적 관계는 문화적응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와 관계 만족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인 이민자들의 친밀한 관계에서 문화적응이 갖는 효과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문화적응 수준에 따라 성역할 태도가 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이민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때 이들의 가치관과 문화가 일률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과 태생 국가와의, 그리고 거주 국가와의 그것과는 또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집단 내 미묘한 차이를 고려한 보다 정교한 탐구를 바탕으로 타국에서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이들의 친밀한 관계, 나아가 정신 건강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 거울을 이용한 환타지의 조형적 표현 연구 : 신화를 중심으로

        홍주연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논문은, 신화를 포함한 환타지를 거울과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표현한 작품에 관해 다루고 있다. 환타지와 신화, 그리고 거울을 다루는 과정을 통해 습득하려하는 것은, 정체성 탐구를 위한 실마리와 더불어, 발상의 전환으로 인해 기존의 경계를 흔들어 시각의 변화와 확장을 경험하는 것이다. 각 개인의 환타지는 내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근본에 관한 표현을 의미하는 신화는 개인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에 대한 해답이라고 할 수 있는 정체성과 관계되어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거울과 함께 작용하여 의문에 대한 범위가 확대된다. 그리고 환타지와 신화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가상세계도 거울로 시각화되어 나타나면서, 오히려 더욱 관념적인 범위를 확장시키게 된다. 환타지와 신화가 이미 가상세계에 위치하고 있다면, 거울은 그 세계를 나타내는 창(窓)이 되어 양쪽 세계의 중간인 경계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거울이 만들어 내는 가상공간으로 인해, 거울은 경계로서의 역할로부터 밀려나게 된다. 거울을 통해 반영된 상(相)이 경계의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지만, 반복되어 나타난 상(相)의 공간은 경계로서의 위치를 흔들기도 한다. 이렇게 경계를 위태롭게 하는 행위로, 경계를 가변적인 것으로 만들고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경계는 안과 밖, 실재(實在)와 가상(假象)을 넘어, 사고와 시각이 변화하고 확대되는 계기를 제공한다. This study deals with works expressing the fantasy including myths through mirrors and illustration. What we intend to obtain through the procedure of dealing with fantasy, myth and mirror are to stir up the existing tendency by menas of conversion of ideas and thereby to experience change and extension of viewpoints in addition to providing clues for study of identity. Each individual's fantasy reflects his(her) inside and myths meaning expressions of the basis are related to identity, which can be said as an answer to an individual's yesterday, today and the future. When these two elements act together with a mirror, range of questions becomes extended. In addition, as the imaginative world, which can be said as belonging to areas of fantasy and myth, is visualized by means of a mirror, it extends ideological range all the more. If fantasy and myth are already located in the imaginative world, a mirror becomes a window expressing such world, being located at the middle boundary of both worlds. But because of imaginative space being generated by a mirror, mirror is dismissed from its role as a boundary. Although a look being reflected through a mirror gives meaning of boundary, space of repeatedly appearing look also stirs up the location as a boundary. By means of endangering behaviors in such a way, it intends to make the boundary a variable one and extends it. The boundary making such fluid changes provides an opportunity of changing and extending thoughts and viewpoint, jumping over the inside & the outside and actuality and imagination.

      • Determination of Acaricides in Honey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홍주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nalytical method based on solid-phas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has been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caricides (ami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and tetradifon) in honey sample. In the stability test of acaricides in honey, amitraz underwent a rapid degradation into 2,4-dimethylaniline (DMA), 2,4-dimethylphenylformamide (DMPF), and N-(2,4-dimethylphenyl)-N’-methylformamidine (DMPMF), whileas other acaricides were found to be stable even for over three months. Extraction of five acaricides from 5 g of honey sample was carried out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20 mL of ethylacetate. For purification, Florisil-SPE cartridge with elution of 5 mL of n-hexane/acetone (55:45, v/v) was found to remove interferences effectively.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in the selected ion monitoring mode. Spik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covery, precision, and limits of detection (LODs) of the method. The overall recovery values from honey spiked at 0.02 and 0.20 μg/g levels,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75% for all acaricides, except DMA. The method detection limits for acaricides were ranged from 0.1 to 3 ppb. The developed method in this study was applied for the monitoring of acaricides in honey products collected from urban marke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