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호전요와 청백자 연구

        홍야오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예로부터 사람들은 항상 도예의 매력에 의해 이를 소중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의 빠른 생활 리듬과 생태 환경의 악화는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편안하고 조화로운 예술 분위기를 구축하여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야 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게 되었다. 그리고, 청백자의 순수하고 단아하고 고요한 기질은 현대인의 심미에 적합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다시 청백자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게 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도자기로 이름을 떨친 경덕진 가마터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중 호전요는 중국 경덕진 도요지의 가장 대표적인 고대 가마이며, 특히 송나라 때 호전요에서 생산된 청백자는 당시 중국 도자 제작의 최고 수준을 대표한다. 호전요 유적지는 현재의 강서성(江西省) 경덕진시에서 동남쪽으로 4km 떨어진 경성인민공사(竟成人民公社) 호전촌(湖田村) 생산 지역에 위치하며, 호전촌은 남산과 남하 사이에 위치한다.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하고 있으며, 그 주변의 삼보봉(三寶蓬) 자석(瓷石), 요리유과(瑤裏釉果) 유과(釉果): 유약에 배합하는 자석(瓷石)의 일종으로 이를 분쇄한 후, 일정량의 유회(釉灰)와 결합하여 유약을 제조한다. 이는 경덕진 도자 유약의 주요 원료이며, 부량현(浮梁縣) 요리향(瑤裏鄉)에서 생산된다. 는 호전요의 역대 도자 제조업에 끊임없이 생산 원료를 제공해 주었다. 호전요는 중국의 연속적인 도자기 제조 기간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생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으며. 한 때 부랑현((浮梁縣))에 폭넓게 분포하였다. 오나라 때부터(서기 907-960년), 경덕진 도자업은 당나라의 난전요(蘭田窯)를 토대로 가마 구역과 도자 제작 공예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남하(南河)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호전 등 구역에 가마가 건설되면서 호전요가 탄생되었다. 시대의 발전과 생산력 제고 등 다양한 요소의 원인으로 인해 호전요의 산업은 송나라와 원나라 때(960-1368년)에 절정에 이른다. 특히, 명나라 초기와 중기(1368-1567년)부터 호전요의 다양한 규모의 가마터들이 운송을 개선하고, 물을 쉽게 얻기 위해 잇따라 남산 아래의 남하 남쪽 연안과 현재의 호전촌으로 이전하여 모이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일정 규모의 수공업 도자 제작 공장들을 등장하였고, 민간 도자 용품을 주로 생산하면서 호전요의 지위를 점차 대체하게 되었다. 당시 경덕진 도심에는 왕실에 도자기를 공급하는 도자기 공장이 설립되었고, 관청이 민요에서 생산되는 원료, 품종 및 양식을 엄격하게 제한하였다. 이는 호전요의 발전을 더욱 곤란하고 느리게 하였으며, 제품 역시 도시 구역에 위치한 왕실 도자기 공장에 비해 크게 떨어지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호전요의 지리적 위치가 남하 유역이었기 때문에 해마다 수해(水害)를 입어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결국 도심에 위치한 왕실 가마터에 비해 남산 아래의 호전요에 위치한 가마들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서 호전요의 공장들이 점차 경덕진 도시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며, 호전요는 명나라 융경(隆慶), 만력(萬曆) 때에 이르러 마침내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헌 인용법, 현장 조사법과 사례 분석법을 통해 호전요의 발생에서 멸망에 이르는 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호전요의 각 시기별 생산 품종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자세히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원료와 가마, 생산품의 특징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호전요의 발전 과정과 연속성을 연구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송나라 호전요 생산품의 장점을 살펴보고, 생산품의 특징, 심미 가치와 문화 가치에서 출발하여 청백자의 심미 컨텍스트가 현대 청백자 혁신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였다. 오나라 때에 호전요는 아직까지 농업에서 분리되지 못하여 생산 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았고, 도자의 소성 원료에 일원화(一元) 배합으로 자석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생산량이 낮았다. 호전요는 오나라 때의 소지 재료와 유약에 모두 높은 철 함량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외관과 화학 구성이 모두 월요(越窯) 청자와 유사했으며, 청자는 오나라의 주요 제품이었다. 또한 이 시기 호전요는 한 종류의 백자 제품을 생산하였고, 비록 오나라의 청자 생산량에 비해 크게 부족하지만 품질이 청자보다 높았으며, 도자의 품질이 하얗고 섬세했으며, 투광성이 뛰어나 중국 강남 지역 최초의 백자 생산지가 되었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 남방이 청자를 독점하던 국면을 해소하였고, 다른 한편으로 청백자의 소성에 견실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오나라 후기 호전요에서는 백자와 비슷하지만 구별되는 새로운 자기 품종인 청백자를 소성하기 시작하였다. 이 청백자는 옥기(玉器)의 색깔과 품질을 모방하여 소성한 새로운 도자 품종이며, 태질이 하얗고 단단하며, 유색은 청색에 흰색을 띠고 흰색에 청색을 나타내며, 강한 투명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가장 귀한 도자 제품이 되었다. 이 청백자의 출현은 호전요가 송나라 도자산업의 절정기를 맞이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송나라(宋代) 때는 중국 고대 도자 제조업 발전의 절정기이며, 청백자는 송나라 도자 산업에서 가장 대표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청백자의 생산은 발생부터 쇠락에 이르기까지 약 4세기가 걸렸으며, 송나라 때 6대 가마 계열에서 청백자의 가마 수량이 가장 많았고 제품 분포가 가장 광범위하였다. 청백자를 생산한 가마 중에서 경덕진이 제일 품질이 좋으며, 그 중 호전요는 경덕진 가마에서 가장 대표적인 가마이다. 호전요가 이 시기에 생산한 청백자는 중국 도자 역사에서 매우 높은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 때문이다. 첫째, 경덕진의 도자 산업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전개되었고, 그 영향력 역시 점차 확대되어 중국 조정은 경덕진의 도자 산업을 중시하게 되었다. 둘째, 독특한 태질과 유약에 따른 것이다. 셋째, 호전요 청백유의 옥과 같은 질감, 매끄럽고 우아하며 호쾌한 조형은 당시의 심미사상에 부합하였다. 송나라 후기 경덕진에서 우수한 품질의 자석(瓷石)이 오랫동안 채굴되어 사라졌기 때문에 중, 하급 품질의 자석을 사용하게 되었으나 내화도가 낮았기 때문에 소성한 자기가 쉽게 변형되는 매우 심각한 원료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 결과 도자산업이 상당한 기간 동안 흥성했던 남하(南河)와 소남하(小南河) 유역의 일부 중, 소형 가마들이 잇따라 문을 닫게 되었다. 다만, 호전요와 도심 지역의 일부 가마들은 북방 정요(定窯)의 복소(覆燒)공예 복소(覆燒)공예: 도자기 소성 방법 중에 하나이고, 또한 반소(反燒)라고 하며, 완(碗)과 접시 유형의 소지를 거꾸로 가마 도구에서 덮어서 소성하는 방법이다. 유구(釉口) 복소와 망구(芒口) 복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를 사용하여 어렵게 그 명맥을 유지하며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이러한 원료 위기를 잠시 완화시켰다. 원나라(元代) 초기에 영토가 크게 확장되고, 해외 시장이 확대되면서 청백유 망구자(芒口瓷) 망구자(芒口瓷): 복소법으로 소성한 자기이고, 입구에 유약이 없고 소지가 노출되기 때문에 “망구자”라고 한다. 의 생산이 점차 증가되었다. 이때 호전요는 소성하는 자기의 품종이 확대되어 더 이상 기존의 청백자에 한정되지 않았으며, 이는 중국 북방 지역에서 남쪽의 경덕진으로 이주한 장인들의 영향을 받아 커다란 변화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원나라 중기에 이르러 경덕진의 광산업(鑛産業)은 도심에서 동쪽으로 백 리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요리마창산(瑤裏麻倉山)에서 우수한 도자 제작 원료인 고령토(高嶺土)를 새롭게 발견하며, 마침내 자석과 고령토를 결합한 “이원화(二元) 배합”제작법이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고령토의 과학적인 사용은 도자 제작 자원의 근원을 확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성 온도를 향상시켜 자기의 폐기율을 낮추어 원료 위기를 해소함으로써 호전요 도자산업의 새로운 번영을 이끌게 되었다. 원나라 중기와 후기, 경덕진 호전요 등의 지역은 청백자를 소성하는 동시에 흑유자(黑釉瓷), 추부자(樞府瓷), 청화자와 유리홍자(釉裏紅瓷) 등도 생산하여 원나라 궁궐과 해외 무역에 필요한 제품을 공급하였다. 이 시기 호전요의 뛰어난 성과는 청화자의 소성에 성공한 것이며, 청화자는 청백유 혹은 백유를 기초로 회화 문양의 장식을 추가하여 탄생된 도자의 한 종류이다. 이는 코발트를 이용하고, 청백자 소지에 그림을 그린 후, 투명 유약을 시유하여 고온에서 한꺼번에 소성하는 유하(釉下) 색채화 자기로써 중국의 도자 역사에서 획기적 의미를 지닌 중대한 청화백자의 발견이었다. 명나라 초기에 어기장(禦器廠)이 설립되어 관부(官府)가 민간 가마의 생산과 관련한 원료, 품종과 양식 등을 엄격하게 제한했기 때문에 호전요는 다시 위기를 맞아 발전이 더뎌지며, 단지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는 청화완과 청화접시 등의 기물만을 소성하게 되었다. 이 청화자는 장인들이 임의로 그린 것이고,문양이 비교적 간단하며 한꺼번에 완성하여 가장 소탈하고 속박하며 자연스러운 민간 가마의 청화 예술 스타일을 보여준다.명나라 중기부터 각 시골에 산재되어 있던 민간 가마들이 도심에 위치한 어기장 주변으로 모이게 되며, 호전요 역시 점차 도심으로 이전하였으나 융경과 만력 시기에 이르러 결국 쇠락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