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 청소년의 행동과 기질적 특성, 환경적 요인의 관계 분석 : 모와의 대상관계 특성을 중심으로

        형지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과 자기개념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를 바탕으로 이후 성인이 되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급격한 신체 및 정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많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 쉽다. 특히, ADHD 행동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이전의 아동기부터 ADHD 증상으로 인해 주변의 부정적 피드백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충동성과 과잉행동 조절 능력의 부족, 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로 인해 부모, 교사, 또래 친구 등 주요 타자와의 관계 문제는 물론, 낮은 자아존중감, 비행, 왕따 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형성 등의 2차적 문제 등에 노출되기 쉽다. 때문에 ADHD 청소년의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DHD의 원인으로는 생물학적 원인론과 환경적 원인론, 생물학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의 상호작용 등 연구자에 따라 그 주장은 다르지만,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고려했을 때, 기질적 특성과 부모와의 관계 경험 등이 모두 일정 부분 ADHD 유발에 영향을 주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유전으로 볼 수 있는 기질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자극추구, 위험 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등과 ADHD 청소년의 행동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집단과 달리 예외적 특성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해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및 관계의 질에 따라서도 ADHD 행동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측해볼 때, 도널드 위니캇의 대상관계 이론은 기질적으로는 ADHD 행동 특성을 보여야 함에도, ADHD 행동 특성을 보이지 않는 청소년들의 예외적 상황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상담은 이미 발생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후속 조치가 될 수도 있지만, 특정 문제가 발생하기 전 이에 대해 예방하는 역할 역시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그런점에서 본 연구에서 ADHD 행동 특성을 보이지 않는 예외적 상황에 놓인 학생들의 예방적 요인 혹은 보호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향후 이들에 대한 개입방안 설정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기 청소년의 기질적 특성(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민감성, 지속력)과 ADHD 행동과의 관계 및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기질적 특성과 ADHD 행동과의 관련을 보이지 않은 예외의 결과에 연관이 있는 환경적 요인(촉진적 환경, 안아주기, 놀이하기, 중간대상)은 무엇인가? 먼저 ADHD 행동과 관계가 높은 기질을 알아보고자 서울소재 초등학교 2곳의 6학년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DHD 행동과 관련이 있는 기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ADHD 행동을 보이지 않는 학생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질과 ADHD 행동 간의 상관을 살펴보는 양적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극추구가 높을 수록 주의력 결핍 행동을 나타냈다. 둘째, 자극추구가 과잉 행동 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자극추구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므로, 주의를 기울이고 심사숙고하여 결정내리는 것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기질과 ADHD 행동 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부모의 촉진적 환경을 경험하였다.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안아줌을 경험하였다. 셋째, 부적상관과 정적상관을 경험한 두 집단 모두 대상제공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안아주기, 대상제공, 놀이하기를 경험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기질과 ADHD 행동 간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고려했을 때, 성장과정에서 아무리 기질적으로 ADHD 행동을 보이기 쉬운 특성을 갖고 태어난 청소년이라 할지라도 어린 시절 모와의 관계에서 제공받은 환경의 질적 경험 차이에 따라 이후 그 행동 경향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족상담자는 ADHD 청소년과의 상담과정에서 모에게는 자녀와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이끌고, 청소년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내담자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충분히 좋고 안정적이며 질적으로 풍부한 대상관계의 경험을 새로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내담자가 모와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As an adolescent period is important to form self-identity and self-concept, based on this condition, after that period, they become one of members of society. But in this period adolescent sharply experiences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nd they easily encounter psychological problems. Spacially, ADHD adolescent have high possibilities of exposing to negative feedback on their ADHD symptoms in childhood, and lack of capabilities at controling impuls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r attention deficit disorder(ADD) can make the second problem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teachers, or same age ground, self-sense of respect, delinquency, experience of being an outcast, or negative form of self-concept. Therefore suggesting the effective reasons of adolescent behavior characters and its alternative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here. Although the reasons of ADHD are differen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of biological etiology and environmental etiology, and interaction of both of them, congenital feature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the causes of having ADH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andard studies. It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low causes of stimulation pursuit, evasion of danger, social sensitiveness and patience, and behavioral features of ADHD adolescent. As qualitative studies about the group shown in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and adolescent seen in exceptional features carries into affect, it investigates their differences. Specially when we guess that ADHD features can be shown in accordance with a quality of a main fosterer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andard study, the exceptional situations of the adolescents who don’t show ADHD even though they have temperamentally ADHD behavioral features can be described in object relations theory by Donald Wiscot. Counseling can be follow-up action of psychological problem but before facing with the problem, the role of its prevention is the most necessary study. Precautions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me students who don’t show the symptoms of ADHD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should be apprehended and analysed to be an important basis of intervening plan for them. A subject for inquiries of the study is following. Subject for inquiry 1: How ar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n organic features ( stimulation pursuit, evasion of danger, social sensitiveness and patience) of early adolescent and ADHD behavior? Subject for inquiry 2: What is the environmental factors (accelerative environment, bug, play, transitional object) that are not related with the organic features and ADHD behavior? First of all, to investigate the high disposition related to ADHD behavior we investigate 173 6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we selected some students who did not show ADHD symptoms even though they tended to have ADHD. Based on thi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bega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is following. First, a high stimulation pursuit causes attention deficit behavior. Second, hyperactivity is characterized by overstimulation pursuit. The adolescent who have a high stimulation pursuit can have high curiosity about something new. It mean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ay attention or decide something carefully. Environmental influential factors of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are following. First, students in nega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from parents. Students in posi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ly caring from their parents. Thir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oth of them don't appear the features of the offered target. Fourth, the students in nega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caring, offered object, and playing. Based on the result above we considere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Although the adolescent was temperamentally born to be the one who have ADHD tendency, the differences of qualitative experience in provided environment made by relationship with mother in childhood can make changes in their behavior tendency. Therefore family counselor lead mother can set up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ir kids with ADHD in counseling progress . Also the counselor try to give adolescent client stable and qualitatively ample object relations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Based on that counselors need to help adolescent clients to reset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