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개인 부합이 조직, 직무, 개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차항 회귀 분석 및 반응표현 방법론의 적용

        현희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개인-환경간 부합 중에서 네 가지 성격차원(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에 기초한 개인-조직간 부합과 다섯 가지 직무특성 모델(기술의 다양성, 피드백, 과업 자율성, 과업 중요성, 과업 정체성)에 기초한 개인-직무간 부합, 그리고 5요인 성격에 기초한 상사-부하간 부합이 조직, 직무, 개인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한 연구의 틀 속에서 다루었다. 또한 부합 연구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비판을 받아왔던 차이점수 대신 Edwards(1991)가 제안한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 방법론을 사용하여 부합이 결과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상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개 기업체로부터 얻은 307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부합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간접 측정치와 직접측정치를 사용하였다. 개인-조직간 부합에 대한 간접측정치를 얻기 위해서 바람직한 조직유형과 현재의 조직유형 각각을 따로 측정하였으며, 개인-직무간 부합 정도를 알아내기 위해 응답자가 원하는 직무특성과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특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개인간(상사-부하) 부합을 알아내기 위해 응답자 본인의 성격과 직속상사의 성격을 측정하였다. 또한 부합에 대한 직접측정치를 얻기 위해서 응답자가 조직, 직무 및 상사와 얼마나 부합한다고 생각하는지를 직접적으로 물어보았다. 연구 결과, 개인-조직간 부합의 직접 측정치는 조직에 대한 태도와 관련되어 있었으며, 개인-직무간 부합의 직접 측정치는 직무관련 태도와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상사-부하간 부합은 상사에 대한 태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부합에 대한 간접 측정치를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 차원 중 외향-내향 차원과 감각-직관 차원에서는 개인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조직 유형과 현재 조직유형이 부합될수록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다섯 가지 직무특성에서 전반적으로 개인이 원하는 직무특성과 현재의 직무특성이 부합될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 직무몰입, 직무수행이 더 높았다. 또한 성격의 5요인에서 상사와 부하의 성격이 부합될수록 상사에 대한 만족과 신뢰가 더 높았다. 다양한 종류의 개인과 환경간 부합이 결과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다차항 회귀분석과 반응표면 방법론을 적용하여 3차원 상에서 이들간에 존재하는 관계를 밝혔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에는 앞으로의 연구과제와 이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생활체육 승마가 주관적인 신체증상에 대한 개선도 조사 연구

        현희정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reconstructing the exiting horse riding program by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it improved the symptoms of life-style related diseases experienced by modern people. Prior studies from January 2000 to February 2017 were analyzed through search terms on the Korean Educational and Scientific Information Service(http://www.keris.or.kr) and the Google Academic Information Search Engine(https://scholar.google.co.kr) and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 domestic horse riding centers from April 10, 2017 to May 10, 2014. Among 292 respondents, 79 (82.1%) of the 95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symptoms improved which is consisten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lumbar muscle strengthening. In the case of urinary incontinence, 144 (95.4%) of the 151 patients answered that the improvement was effective, which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equestrian exercises strengthen the pelvic floor muscles. In the case of menstrual cramps, 97 of 176 women reported having menstrual cramps, 81 (83.5%) of which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improvement in symptoms which is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suggest proper equestrian exercises can help with pelvic correction and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In the case of metabolic syndromes, 47 of 47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ir symptoms. This i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positive effects of equestrian exercise such as stabilization of the trunk, weight distribution, and pelvic correction. In order to get the proper riding exercis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introduce customized equestrian program for each age and symptom from the introductory process.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the clinical experiment n the future according to symptoms in connection with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본 연구는 생활체육 승마를 통해 현대인들이 일상생활에서 겪고 있는 생활습관성 질환증상들의 개선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올바른 승마프로그램에 대한 재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대해서 2000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keris.or.kr), 구글학술정보검색엔진(https://scholar.google.co.kr) 등의 단어들을 검색어로 하여 자료을 수집 하였고 국내 승마장 14곳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5월 10일 까지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292명 응답자 중 요통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95명 중 78명(82.1%)이 개선 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요부근육 강화 등 선행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요실금인 경우 151명 중 144명 (95.4%)이 개선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고 이는 승마운동이 골반근육을 강화 한다는 선행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생리통인 경우에는 여성 176명 중 97명이 생리통을 경험한다고 하였고, 이 중 81명(83.5%)이 개선효과가 있었다고 응답하였는데 이 또한 골반교정, 골반기저근 강화 등의 연구들과 일치한다. 대사증후군인 경우에는 47명 응답자 중 47명 모두 개선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올바른 승마운동을 통해 체간의 안정화, 체중분산, 골반교정 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선행 연구결과와 유의하다. 올바른 승마운동을 위해서는 입문과정에서부터 연령별, 증상별 맞춤형 승마 프로그램 설계 및 도입이 필요하고 향후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승마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증상별 임상 실험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 시대극 의상에 나타난 크로스 섹슈얼적 표현에 관한 분석 : 영화 '왕의 춤'과 '파리넬리'를 중심으로

        현희정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패션은 현대로 들어서면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상승에 따른 페미니스트적 사고의 수용, 성역할 경계의 모호성, 복합적인 다원주의 시대의 돌입, 적극적 자기 관리를 추구하는 웰빙(well-being)트렌드 등이 맞물려 자유로운 감성과 다양한 성정체성을 추구하게 되었고, 남성적 이미지 요소와 여성적 이미지 요소를 혼합하여 동시에 표출하는 양성적 이미지의 표현이 자유로워졌다. 이러한 양성적 표현의 자유는 성별의 한계를 극복한 완전한 성의 표현과 남성 안에 내재된 여성성의 발산(發散), 또는 서로 다른 성의 정신적 조화로서 크로스 섹슈얼이라는 새로운 패션 트렌드를 탄생시켰다. 크로스 섹슈얼은 21세기 문화코드로서 그 상징성을 가지며 단순한 의복 표현양식이 아닌 양성의 특징을 교차하거나, 각각의 요소들을 반대의 성에 차용하고, 남성이 여성의 의상,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화장 등의 치장을 통해 창조적인 왜곡을 유도한다. 오늘날 변화된 남성성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다수 나타나고는 있으나, 한정된 연구 논제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성패션의 가치를 인식하고 새로운 트렌드인 크로스섹슈얼 패션의 표현요소가 17세기(바로크시대) 서구 남성복식의 장식성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그 시대의 복식이 반영된 시대극 영화분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남성패션이 여성패션의 조력자가 아닌 동등한 주도자(主導者)로서 역할을 인식하고 미래패션의 디자인적 요소를 유추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Fashion has pursued various gender identities and liberal sensibility along with the well-being trend, which gives priority over the aggressive self-control, the acceptance of feminism followed by the raised social statue of female, comprehensive cultural pluralism, and ambiguity of gender roles. This freedom of expression towards the bi-sexuality created a new fashion trend so-called ‘cross sexual’ as the spiritual combination of opposite sex, the release of female hormone that is inherent in male, or a perfect sexual expression that overcame the limit of sex distinction. The cross sexual trend has been symbolized as the cultural code of 21st century, which is not just as the expression of cloth, but leads a creative change by means of cosmetics, accessories, hair style, female costume by male, adopts each of different elements to the opposite sex, and crossovers the feature of both sexes, Today, as the changed concept of male sex has become a matter of grave concern, although many researches as to this issue appeared, but they are only in the limited area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recognize the value of male fashion and to prove the expressional elements of a cross sexual fashion as a new trend is originated from the decoration style of the western male dress and its ornament in 17th century (The Baroque age).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has meaning to analogize design factors of future fashion by understanding the fact that male fashion does not just play a supplementary role but an equal leader as much as a female fashion.

      • 한라봉에 대한 차응애의 기주 적합성 평가 : 발육, 생명표 통계량 및 선호성 검정

        현희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itness of Tetranychus kanzawai Kishida on different host plants: young and old leaves of the mandarin orange 'Shiranuhi' ((Citrus unshiu × C. sinensis) × C. reticulata), Japanese violet (Viola japonica Langsd.) and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L.). The development and oviposi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constant temperatures (20, 25 and 30℃) and a life table parameters were estimated. T. kanzawai could complete it's development on 'Shiranuhi' young leaves, japanese violet and kidney bean, while all died during the immature period on 'Shiranuhi' old leaves. The total developmental period of T. kanzawai feeding on 'Shiranuhi' young leaves was 17.4, 13.4 and 10.2 days at each temperature, respectively, which was longer than 16.1, 9.5 and 7.0 days of kidney bean. The female longevity of T. kanzawai on young leaves of 'Shiranuhi' were 19.1, 15.0 and 12.3 days at each temperature,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22.1, 14.1 and 10.9 days investigated from kidney bean. The fecundity was 18.1, 23.9 and 17.8 eggs per female on young of 'Shiranuhi', which was less than them of japanese violet and kidney bean at each temperatur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ife table parameters on such host plants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intrinsic rate of increase (r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kidney (0.1542, 0.2563 and 0.3251), japanese violet (0.1087, 0.2007 and 0.2673) and 'Shiranuhi' young leaves (0.0868, 0.1002 and 0.1217) at each temperatur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elect test for each host plant, the average number of settled T. kanzawai followed; young leaves of 'Shiranuhi' : kidney(3.7 : 5.4), japanese violet : kidney(1.3 : 6.8) and young leaves of 'Shiranuhi' : japanese violet(6.5 : 2.2). The management strategy against T. kanzawai in citrus orchards was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자기공명분광영상 분석 프로그램 개발 :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에서의 뇌 내 대사물질 변이

        현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Proton magnetic spectroscopy (1H-MRS) can provide biochemical information on in vivo brain metabolite concentrations. 1H-MRS acquires magnetic resonance signal either from one voxel (single voxel spectroscopy) or from multiple voxels (multi-voxel spectroscopy).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imaging (MRSI), a multi-voxel spectroscopy method, can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alteration of brain metabolites from whole-brain-wise voxel data, although it requires a computerized tool to analyze large-scale voxel data. The existing MRS analysis software tends to focus on pre-processing and quantitation of spectra, but they generally do not provide features developed for the interpretation and processing of large-scale MRSI voxel data. In the current study, an in-house MRSI analysis software that can efficiently process large-scale voxel data was developed and tested using MRSI data from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ethod: Demographic and clinical information as well a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MRSI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tients with PTSD and 12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 (HC) participants. After using LCModel (Linear Combination of Model) for pre-processing and fitting of the MRSI spectra, the in-house software was used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1) to create an MRSI slab image to visualize the region of interest, (2) to create an MRSI slab mask image that includes only valid voxels through voxel quality check, and (3) to calculate the average chemical concentration of each metabolite in consideration of partial volume effect. Results: A series of two-tailed independent-samples t-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average chemical concentrations between the PTSD and HC groups. The myo-inositol concentration was higher in PTSD than in HC.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hich took into account the effect of the number of MRSI voxels included in th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s between the PTSD symptom severity and average chemical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a third-order polynomial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urrent CAPS-5 total score and choline concentration. Conclusion: The MRSI analysis software developed i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it provides a platform-independent execution environment, as it is written by C++ and Qt framework; (2) it does not require additional system configurations; (3) it provides a supplement to the existing MRS analysis software by providing MRSI slab image visualization and basic statistical tools. Although the clinical implication of the results in the current study did not clearly explained, the in-house software did prove its ability to efficiently analyze large-scale, whole-brain-wise voxel data. With further implementation of visualization and statistical tools, this MRSI analysis software may become a much more useful tool for MRSI data analysis. 서론: 수소자기공명분광법(proton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1H-MRS)은 체내 대사물질의 농도에 대한 생화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 단일 복셀(단위용적기법) 또는 동시에 여러 개의 복셀(다용적기법)에서 자기공명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자기공명분광영상법(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imaging, MRSI)은 다용적기법에 속하는 기술로, 대뇌 전체(whole brain)에서 신호를 획득하여 뇌 대사물질 변이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산화 도구가 필수적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MRS 분석 소프트웨어는 스펙트럼의 전처리와 정량 분석 기능 위주이며, 획득한 다량의 복셀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능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후자에 중점을 둔 MRSI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을 대상으로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 10명과 성별과 연령을 매칭한 정상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임상적 평가, 뇌 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분광영상을 획득하였다. LCModel(Linear Combination of Model)을 이용하여 MRSI 스펙트라의 전처리와 정량 분석을 진행한 후, 인하우스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 MRSI 슬랩(slab) 영상을 획득하여 관심영역을 확인하고 (2) 복셀품질확인(voxel quality check)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복셀만을 포함하는 마스크 영상을 생성하고 (3) 부분용적효과(partial volume effect)을 고려하여 각 대사물질의 평균 화학적 농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대사물질의 평균 화학적 농도를 군간 비교한 결과, 마이오이노시톨(myo-Inositol) 농도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높았다. 그러나 분석에 포함된 복셀 수의 효과를 고려한 선형회귀분석에서는 군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 심각도와 대사물질 농도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한 선형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CAPS-5(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5) 총점과 콜린(choline) 농도 간에는 3차다항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MRSI 분석 프로그램은 (1) C++과 Qt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개발하여 플랫폼 독립적인 실행 환경을 가지고 (2) 사용에 앞서 별도의 시스템 설정이 필요 없으며 (3) 슬랩 영상 시각화 및 기초적인 통계 도구를 제공하여 기존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보완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결과의 임상적 의미는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으나, 개발한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뇌 전체에서 획득한 다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추후 시각화 및 통계 도구 추가 등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유용한 MRSI 분석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삼국시대 창녕지역 횡구식석실묘 출토 토기 양식의 소멸과정 연구

        현희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삼국시대 창녕지역은 교동고분군, 송현동고분군, 계성고분군등의 고총고분들이 경주지역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유적들이 집중분포하고 다. 이러한 창녕지역의 고분은 동일시기 다른 지역과는 달리 묘제와 출토토기에 있어서 지역색이 뚜렷한 특징을 보인다. 이는 수혈계횡구식석실의 묘제가 가장 먼저 출현하고 많은 양을 차지하며, 축조방법과 출토토기에 있어서 ‘창녕형’이라 불릴만큼 동일시기 다른 지역과는 뚜렷한 지역색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삼국시대 창녕지역 집단을 지금까지 신라와 가야로 이분화 하여 나타내며 신라화시기를 논해온 것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삼국시대 창녕지역은 그 시기 다른 가야소국들이 서로 통합되지 못하고 신라화 되었듯이 창녕지역도 신라화 되었지만 언제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므로 삼국시대 창녕지역의 고분과 출토토기의 고고학적 자료를 통하여 창녕지역의 모습과 소멸과정을 밝히는 개별 실체 연구는 전체 가야사를 복원하는데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 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기초적인 작업을 토대로 전체가야사를 묶는 각각의 중요한 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색이 뚜렷한 창녕지역만의 문화적 독자성을 인정하고 통시적인 관점에서 삼국시대 창녕지역 문화의 특징과 변천과정, 소멸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창녕지역 토기를 중심으로 형식을 분류, 단계와 편년을 설정하여 시간적 축을 설정 주변 가야지역과 다른 지역색이 뚜렷한 공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녕지역의 소멸과정이 신라화라는 것을 인지하고 동일시기 경주지역 토기와 제작기법, 형태, 문양등을 비교하여 어느 단계 부터 점차 같아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로써 창녕지역 토기 양식의 소멸과정의 시점과 특징, 완전히 소멸된 시점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삼국시대 창녕지역 토기는 4단계로 설정․편년되며 시간적으로 정형성이 추출되었다. 공간적으로도 다른 가야지역과 달리 지역색이 뚜렷한 창녕형토기가 나타나고 묘제에 있어서도 수혈계횡구식석실이 제일 먼저 출현하여 가장 많은양을 보이고 있으며 구조적인 요소중에서도 제지역적인 특징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삼국시대 창녕지역의 독자적인 문화로 보았으며 이러한 독자적 문화는 Ⅰ~Ⅱ단계까지는 계속하여 존속되어 오다가 Ⅲ단계에 이르러서는 신라적인 토기요소들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Ⅳ단계에 들어서면 앞에서 나타났던 창녕지역만의 독자적인 문화는 완전히 사라지고 토기에 있어서는 동일시기 경주지역과 형태. 문양, 제작기법에 있어서까지 완전히 동일해지며 묘제에 있어서도 큰 흐름은 같으나 구조적인 면에서 신라적인 요소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창녕지역의 독자적인 문화는 5세기 후엽까지는 존속하였으며 6세기 초엽에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창녕지역의 독자적 문화의 소멸은 비사벌가야의 해체와도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소멸은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소멸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