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 교화소의 관한 연구

        허진교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북한 교화소 내에서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인권침해 범위와 양상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화소 실태 및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을 국제법 틀 안에서 인권 가치관을 기준으로 현 실태를 분석한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조명하고 UN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인권 제도를 우선으로 보고 김정은 시대까지의 북한 교화소 역사·실태를 검토·분석함으로써 인권침해 상황의 개선 방안을 국제법적 관점 중심으로 모색한다. 2005년 이후 UN 총회 산하 위원회에서 11차례 걸쳐 북한인권 결본 연구는 북한 교화소 내에서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인권침해 범위와 양상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화소 실태 및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을 국제법 틀 안에서 인권 가치관을 기준으로 현 실태를 분석한다.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의 보편적 가치를 조명하고 UN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인권 제도를 우선으로 보고 김정은 시대까지의 북한 교화소 역사·실태를 검토·분석함으로써 인권침해 상황의 개선 방안을 국제법적 관점 중심으로 모색한다. 2005년 이후 UN 총회 산하 위원회에서 11차례 걸쳐 북한인권 결의안 채택 중 찬성표를 가장 많이 얻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10여 년 이상을 끌어온 북한인권법이 정치권에서 그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통과됐다. 그렇지만 아직 국내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의 인권침해는 오늘날까지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인권침해의 중심에 북한 교화소가 자리하고 있다. 북한 교화소에는 재판을 통해 2년 이상의 형량을 선고받은 정치범 이외의 경제범이나 강력범들이 수용되는 곳으로 정치범수용소보다 더 다양한 인권침해 유형들을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소년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황해북도 사리원 소년교화소, 북한 군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안남도 신양군 지동리에 있는 군인교화소 등 다양한 나이와 직업을 비롯한 교화소의 운영실태 및 감금 조건, 교화사업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정확히 고찰할 수 있다. 북한은 정치적 성격을 지닌 범죄자와 그렇지 않은 범죄를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1973년 5월 사회안전부(사회안전성)로부터 국가정치보위부(국가안전보위성)를 독립시켜 국가정치보위부는 정치범을, 사회안전부는 기타의 범죄자를 취급하도록 분리했다. 이러한 데는 두 기관의 역할을 구분하고 상호 간의 갈등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교화소는 사회안전성 교화국에서 관리하고, 정치범들은 국가안전보위성에서 관리하는 정치범수용소는 통제구역 혹은 특별독재 대상 구역으로 부르고 있다. 북한에서 교화란 정치·사상적 측면에서 ‘죄를 범한 자들을 육체노동과 사상투쟁·사상 교양을 거쳐 참다운 인간으로 개조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북한 교화소는 정치범수용소와 다르게 사회안전성에서 관리한다는 점과 가족 단위가 아닌 본인만 수용하며, 서신 거래 및 면회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북한은 1995년 4월 평화를 위한 평양 국제체육 및 평양축전기간 북한을 방문하게 된 AI 관계자가 북한에는 사리원 교화소를 포함하여 3개의 교화소가 설치되어 있고, 이곳에는 약 800여 명에서 1,000여 명의 북한주민들이 수용되어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반국가사범 약 240명은 형산교화소에 수용되어 있다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증언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 수감자들은 교화소 내에 있는 공장에서 강제노동에 동원돼 물품 생산을 한다. 노동법상 규정은 일반노동의 경우 1일 8시간, 재소 노동자들은 1일 10시간이지만, 실제로는 오전 5시에 기상을 하여 다음날 오전 1시경에 하루 일과를 마친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증언했다. 강냉이를 비롯해 배춧국과 뭇국이 주 식사이지만 작업량 미달에는 굶거나 독방 혹은 식사가 줄어든다고 했다. 이처럼, 북한 교화소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인권침해가 북한에 의해 자행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가 특별한 우려와 주목을 보내왔으며, 북한주민들의 정치적·사회적 저항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북한이 교화소를 운영해 왔다는 점에서 일부에서는 북한 전반적인 지역을 하나의 거대한 교화소 혹은 수용소, 인권침해의 장소로 비유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북한의 교화소는 북한 인권 문제에서 핵심적 사안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코로나로 전 세계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보내고 있는 지금 북한 역시 식량난과 교화소 운영이 어려우며 수감자들을 더 가혹하게 노동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시대까지의 교화소 변화에 대해서 경제 개혁이 발표되었던 2002년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시기를 기점으로 전·후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대상 시기는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전을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 시기로 나누고,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후를 시장화 시기와 권력이양시기로 세분화하려고 한다. 7.1 경제관리개선 조치를 기점으로 한 것은 이 시기 북한에서 정치·경제·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획기적인 사변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교화소의 변천을 연구하면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부터 국가의 예산 소진이 확대되고 주민을 통제하는 국가권력에 대한 복지도 붕괴하면서 권력과 주민 간에 공생하는 관계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기별 북한 교화소에 대한 정책과 규모, 운영 방식을 분석하려고 한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양한 변화들이 감지되기도 했다. 김일성 주석 생존시인 1995년 이전의 교화소 정책은 교양과 처벌 위주가 기본이었다면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6년부터 2001년 시기에는 탄압과 처형이 결합이 된 강도 높은 정책으로 바뀌게 된다. 그 이후인 2002년부터 시장화 시기인 2011년까지는 주민의 생존권 보장 차원에서 통제가 양호해졌으나 김정은 정권 이후에는 치료와 처벌을 병행하면서 인권에 관심을 보이는 양태가 나타난다. 교화소의 규모 역시 활성화 부분과 해체 부분으로 엇바뀌기도 하고, 또한 교화소보단 집결소와 노동단련대를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기도 한다. 최근에는 외국인 사범들이 늘어나면서 외국인 전용 특별교화소를 확장하기도 한다. 특징적인 것은 운영 방식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됨이 나타났다. 계획경제가 운영되던 시기에는 비교적 국가의 복지예산에 따른 집체적 관리가 기본이었다면, 이후 경제난을 겪으면 서부터는 수용자나 연고자 부담의 운영이 대부분이었다. 7.1 경제관리개선 조치가 발표되면서 교화소의 수용자들은 사회 노동시장에 진출해 교화소 자체 예산 충당에 몰입하는 전대미문의 운영변화도 감지되었다. 시장화 시기에 들어서면서 특사나 조기 석방을 명목으로 연고자들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는 형태도 노후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북한의 인권상황이 심각해지고 국제사회의 지탄의 목소리가 높아가는 상황에서 인권 유린의 불모지인 북한 교화소 변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북한 교화소의 변화를 알면 그 담당 기관인 사회 안전기관의 활동 변화를 알 수 있고 나아가 북한 당국의 정책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한국에서 북한의 다양한 정치기관들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심도 있게 진행됐지만, 교화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 내부에서 형벌을 받고 수용된 사람들을 관리하는 교화소에 관한 미시적 연구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자료의 부족이나 가능한 연구방법론의 한계 등 북한 연구에 있어 제한적인 현실을 고려하더라도 북한 교화소 연구가 가지는 사회적 파급력을 생각할 때, 그리고 북한 인권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할 때 이는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 「형법」에 의거한 공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화소의 실태 및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들에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북한의 인권실태가 최소화될 방안들을 다방면으로 모색한다. 무엇보다, 북한 교화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인권침해 문제점들의 개선 방안을 국제법적 관점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더불어 모색하는 방안들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논문과 저서, 정부 기관 연구원 등에 소장된 자료와 최근 발표된 북한 관련 언론 매체, 신문을 참고로 접근하려고 한다. 또한 부족한 자료에 대해서는 북한 교화소 관리자 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물론 북한 교화소에 대한 자료는 북한 내부에서도 철저한 보안, 기밀 사항이므로 국내에서 직접 자료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서베이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했다. 의안 채택 중 찬성표를 가장 많이 얻었다. 또한 국내에서도 10여 년 이상을 끌어온 북한인권법이 정치권에서 그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통과됐다. 그렇지만 아직 국내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의 인권침해는 오늘날까지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인권침해의 중심에 북한 교화소가 자리하고 있다. 북한 교화소에는 재판을 통해 2년 이상의 형량을 선고받은 정치범 이외의 경제범이나 강력범들이 수용되는 곳으로 정치범수용소보다 더 다양한 인권침해 유형들을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소년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황해북도 사리원 소년교화소, 북한 군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안남도 신양군 지동리에 있는 군인교화소 등 다양한 나이와 직업을 비롯한 교화소의 운영실태 및 감금 조건, 교화사업 규정을 분석함으로써 북한 인권 유린 실태를 정확히 고찰할 수 있다. 북한은 정치적 성격을 지닌 범죄자와 그렇지 않은 범죄를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1973년 5월 사회안전부(사회안전성)로부터 국가정치보위부(국가안전보위성)를 독립시켜 국가정치보위부는 정치범을, 사회안전부는 기타의 범죄자를 취급하도록 분리했다. 이러한 데는 두 기관의 역할을 구분하고 상호 간의 갈등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교화소는 사회안전성 교화국에서 관리하고, 정치범들은 국가안전보위성에서 관리하는 정치범수용소는 통제구역 혹은 특별독재 대상 구역으로 부르고 있다. 북한에서 교화란 정치·사상적 측면에서 ‘죄를 범한 자들을 육체노동과 사상투쟁·사상 교양을 거쳐 참다운 인간으로 개조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북한 교화소는 정치범수용소와 다르게 사회안전성에서 관리한다는 점과 가족 단위가 아닌 본인만 수용하며, 서신 거래 및 면회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북한은 1995년 4월 평화를 위한 평양 국제체육 및 평양축전기간 북한을 방문하게 된 AI 관계자가 북한에는 사리원 교화소를 포함하여 3개의 교화소가 설치되어 있고, 이곳에는 약 800여 명에서 1,000여 명의 북한주민들이 수용되어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반국가사범 약 240명은 형산교화소에 수용되어 있다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증언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 수감자들은 교화소 내에 있는 공장에서 강제노동에 동원돼 물품 생산을 한다. 노동법상 규정은 일반노동의 경우 1일 8시간, 재소 노동자들은 1일 10시간이지만, 실제로는 오전 5시에 기상을 하여 다음날 오전 1시경에 하루 일과를 마친다고 북한이탈주민들은 증언했다. 강냉이를 비롯해 배춧국과 뭇국이 주 식사이지만 작업량 미달에는 굶거나 독방 혹은 식사가 줄어든다고 했다. 이처럼, 북한 교화소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인권침해가 북한에 의해 자행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가 특별한 우려와 주목을 보내왔으며, 북한주민들의 정치적·사회적 저항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북한이 교화소를 운영해 왔다는 점에서 일부에서는 북한 전반적인 지역을 하나의 거대한 교화소 혹은 수용소, 인권침해의 장소로 비유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북한의 교화소는 북한 인권 문제에서 핵심적 사안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코로나로 전 세계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보내고 있는 지금 북한 역시 식량난과 교화소 운영이 어려우며 수감자들을 더 가혹하게 노동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김정은 시대까지의 교화소 변화에 대해서 경제 개혁이 발표되었던 2002년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시기를 기점으로 전·후를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 대상 시기는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전을 ‘고난의 행군’ 이전 시기와 ‘고난의 행군’ 이후 시기로 나누고, 7.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후를 시장화 시기와 권력이양시기로 세분화하려고 한다. 7.1 경제관리개선 조치를 기점으로 한 것은 이 시기 북한에서 정치·경제·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획기적인 사변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교화소의 변천을 연구하면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부터 국가의 예산 소진이 확대되고 주민을 통제하는 국가권력에 대한 복지도 붕괴하면서 권력과 주민 간에 공생하는 관계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기별 북한 교화소에 대한 정책과 규모, 운영 방식을 분석하려고 한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양한 변화들이 감지되기도 했다. 김일성 주석 생존시인 1995년 이전의 교화소 정책은 교양과 처벌 위주가 기본이었다면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6년부터 2001년 시기에는 탄압과 처형이 결합이 된 강도 높은 정책으로 바뀌게 된다. 그 이후인 2002년부터 시장화 시기인 2011년까지는 주민의 생존권 보장 차원에서 통제가 양호해졌으나 김정은 정권 이후에는 치료와 처벌을 병행하면서 인권에 관심을 보이는 양태가 나타난다. 교화소의 규모 역시 활성화 부분과 해체 부분으로 엇바뀌기도 하고, 또한 교화소보단 집결소와 노동단련대를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기도 한다. 최근에는 외국인 사범들이 늘어나면서 외국인 전용 특별교화소를 확장하기도 한다. 특징적인 것은 운영 방식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됨이 나타났다. 계획경제가 운영되던 시기에는 비교적 국가의 복지예산에 따른 집체적 관리가 기본이었다면, 이후 경제난을 겪으면 서부터는 수용자나 연고자 부담의 운영이 대부분이었다. 7.1 경제관리개선 조치가 발표되면서 교화소의 수용자들은 사회 노동시장에 진출해 교화소 자체 예산 충당에 몰입하는 전대미문의 운영변화도 감지되었다. 시장화 시기에 들어서면서 특사나 조기 석방을 명목으로 연고자들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는 형태도 노후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북한의 인권상황이 심각해지고 국제사회의 지탄의 목소리가 높아가는 상황에서 인권 유린의 불모지인 북한 교화소 변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북한 교화소의 변화를 알면 그 담당 기관인 사회 안전기관의 활동 변화를 알 수 있고 나아가 북한 당국의 정책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동안 한국에서 북한의 다양한 정치기관들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심도 있게 진행됐지만, 교화소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 내부에서 형벌을 받고 수용된 사람들을 관리하는 교화소에 관한 미시적 연구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자료의 부족이나 가능한 연구방법론의 한계 등 북한 연구에 있어 제한적인 현실을 고려하더라도 북한 교화소 연구가 가지는 사회적 파급력을 생각할 때, 그리고 북한 인권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할 때 이는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북한 「형법」에 의거한 공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화소의 실태 및 운영에 대한 제반 사항들에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북한의 인권실태가 최소화될 방안들을 다방면으로 모색한다. 무엇보다, 북한 교화소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인권침해 문제점들의 개선 방안을 국제법적 관점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더불어 모색하는 방안들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논문과 저서, 정부 기관 연구원 등에 소장된 자료와 최근 발표된 북한 관련 언론 매체, 신문을 참고로 접근하려고 한다. 또한 부족한 자료에 대해서는 북한 교화소 관리자 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한다. 물론 북한 교화소에 대한 자료는 북한 내부에서도 철저한 보안, 기밀 사항이므로 국내에서 직접 자료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서베이를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cope and pattern of widespread human rights violations within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To this end, this thesis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and its oper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value of human rights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law. By illuminating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by giving top precedence to the human rights system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by reviewing and analyzing the history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up to the Kim Jong-un era, this thesis seeks way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law. Since 2005, the UN General Assembly Committee has received the most votes in adopting resolutions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on 11 occasions. In addition, the legislation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which had dragged on for more than a decade in South Korea, has been passed only recently as the political circles agreed on the need. However, despite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est and efforts,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continue to this day, and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appears to be at a storm center of such human rights violations.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s are where economic or violent criminals other than political prisoners sentenced to more than two years in prison are detained, so that this thesis has been allowed to analyze more diverse typ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an those in the North’s political prison camps. In particular, by analyzing various ages and occupation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correctional centers, conditions of confinement, and reformation program regulations, such as the Sariwon Youth Correctional Center in North Hwanghae Province for juvenile offenders and the Military Correction Center in Jidong-ri, Sinyang-gun, South Pyongan Province, for North Korean soldiers, this thesis has been able to accurately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North Korea manages to deal with criminals by thoroughly separating political prisoners from common criminals. In May 1973, the Ministry of State Political Security became independent from the Ministry of Public Security (Social Safety), with the former dealing with political prisoners and the latter covering the other criminals. The purpose of this is to distinguish the roles of the two state agencies and to prevent conflicts between them. Rehabilitation in North Korea means “reforming those who have committed sins into true human beings through manual labor, ideological struggle, and ideological education” in terms of politics and ideology. Unlike political prison camps, correctional centers in North Korea allow prisoners correspondence and visitors, under limited conditions though. In April 1995, an AI official who visited North Korea during the Pyongyang International Sports Festival for Peace and the Pyongyang Festival for Peace claimed that there were three correctional centers including the Sariwon Correctional Center in North Korea and about 800 to 1,000 North Koreans were detained in the centers. The official also argued that there had been errors in the testimony of North Korean defectors that about 240 anti-state political offenders were detained in the Pyongsan Correctional Center. Inmates are forced to labor in factories operating inside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s to produce goods. According to the socialist state’s Labor Law, the average North Korean works eight hours a day while inmates work 10 hours a day. In reality, however,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ed for this thesis testified that the inmates in their home country, a prime example of the “Hermit Kingdom,” have to wake up at 5 AM and call it a day at around 1 AM the next day. Their main meals are corn porridge and cabbage and radish soup, but the surveyed defectors claimed that if their workload is regarded as insufficient, the inmates are forced to starve or put in solitary confinement, or provided with under-quantitative meals. As such,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has received special concern and atten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the North Korean regime is continuing systematic human rights violations, in a bid to fundamentally block possible political and social resistance from the general public. In this context, many see the entire area of ​​North Korea as a huge correctional camp, or a hotbed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fore, the correctional center must be considered a key issue in resolving North Korea's human rights violations. Currently, the world is experiencing economic hardship due to the coronavirus, and North Korea also suffers food shortages and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mentioned correctional centers, and there are concerns that the prisoners may be subject to harsher labor. Therefor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look into the reality of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s before and after July 1, 2002 when a strong nationwide economic reform drive was announced by the Pyongyang regime. Also, the target period of this study is divided largely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7.1 Economic Management Reform Measures’ and this period is further divided into two sections again -- before and after the ‘March of Suffering (or Arduous March).’ Meanwhile, the research on the other target period looks into the situa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7.1 Measures and is sub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a free market system and the power transfer period, respectively. Why this thesis uses the time of the 7.1 Measures as the reference point for its target period is that the reform measures can be seen as an epoch-making event in which another huge change in North Korea’s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arenas took place.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sweeping reform drive might have given a great impact on a change in the management of the correctional centers in North Korea. Since the start of the reform drive, the poverty-ridden socialist state's budget exhaustion was expanded and the welfare system that helps the top rulers take control of the public collapsed, causing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people. Accordingly, this thesis is going to analyze the policies, scales, and operational methods of correctional centers in North Korea by period. As a result of a series of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various changes were noticed. Before 1995, when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was alive, the main policy to operate of the correctional centers largely relied on mental refinement and punishment, but from 1996 to 2001, the period of the “March of Suffering,” the policy was changed to a more intensive one that combined repression and execution. From 2002 to 2011, under the Kim Jong-un regime, the situation improved in terms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live. But after his death, the North Korean rules showed interest in human rights by taking both of the education and punishment measures, simultaneously. The biggest change noted in the North at that time was a variety of managerial methods to operate the correctional centers. In the period when the planned economy was implemented, the regime operated the centers with the nation’s welfare budget and on a collective management basis. However, after the 7.1 Measures were announced an unprecedented change in operating the centers happened, The inmates of the correctional camps were allowed to advance into the social labor market, immersing themselves into supporting their camps financially. Also, as the North joined the free market economic system, the correctional centers have been abandoning their tactics to secure or appropriate their operational budgets through special pardons or early releases.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a barren land of human rights violations, has great significance at a time when the human rights abuse in North Korea is getting wors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voices against such violations are increasing. It is indisputable that knowing th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s could help the outside world update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reclusive state. This shall also help us to figure out any policy change of the North Korean hierarchy. Although studies and researches on North Korea’s political agencies or institutions have frequently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those on ‘Gyohwaso’ are very rare. In this respect, research on correctional institutions that manage prisoners and prisoners within North Korea is bound to be limited due to the lack of data and limitations of possible research methods. But this is a crucial and critical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expected impact of this ‘Gyohwaso’ study on North Korea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ping thi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North’s human rights situation inside the correction centers at least. For this study, I tried my utmost to refer to the existing research papers, books written by a great man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data stored in government agencies and institutes, as well as recently published North Korean media and newspapers. Besides, in a bid to overcome insufficient data and a lack of research materials, I interviewed dozen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cluding those who used to be either the prison officials or inmates of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s. Since the data on the North Korean correctional center is strictly controlled and classified as highly confidential even within North Korea, it was highly difficult to obtain those relevant data.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extend my deep gratitude beyond measure to those who helped this author upgrade and highlight this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