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新築工事現場의 建設 廢棄物 管理實態에 關한 調査硏究

        허봉창 仁濟大學校 尖端産業技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건설업의 경우 지난 50년간 높은 경제성장과 더불어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을 해오는 가운데 건설물량은 해마다 증가시켜 왔으며 현재에도 대량의 건설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이렇게 계속 되어지는 신축 건설물량에 수반되는 건축폐기물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폐기물은 해체·철거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보다 더 혼합된 종류가 많고 유해한 유기물도 있으며 공사현장의 여건 등에 의하여 분리·보관하여 배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신축현장에서의 폐기물 관리 및 처리방안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건설폐기물은 특성과 성상이 다양하고 수많은 폐기물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처리방법을 각기 달리 해야 하는 만큼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관련기술의 보급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현장 및 처리업체를 대상으로 건설폐기물의 현황과 종류, 발생 및 처리, 재활용 등에 대한 관리실태를 조사하여 본 바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폐기물 관련 개선대책의 수립에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되도록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신축현장의 폐기물은 건설폐재류(콘크리트 덩이, 시멘트 벽돌, 석재류), 폐금속류, 폐목재류, 폐합성수지류, 폐지류, 폐섬유류, 폐유리류, 폐단열재 등이 주종을 이루며, 이는 선행논문(오은호, 1998;한국건설산업연구원 외, 1997)에서 폐기물 구분중의 11가지 품목과 거의 일치하였다. 2) 건설공사 현장의 95% 정도가 폐기물의 발생량을 배출차량의 적재함 부피로 개량하고 종류 또한 한 두 가지 정도로만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폐기물 적정관리를 위한 종합적인 관리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의 부족(신동우 외, 2000) 이라는 문제점을 남기고 있었다. 3) 폐기물 처리는 100%의 현장에서 위탁처리 하고 있었으며 위탁업체의 81%가 수집·운반업자, 19%가 중간처리업자였다. 따라서 많은 량의 폐기물이 중간처리(파쇄, 소각, 고형화, 선별, 재활용)를 거치지 않고 매립장으로 처분되고 있어 환경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4) 폐기물을 불법으로 처리한 현장은 94.7%에 달해 아직도 많은 현장에서 부적정한 방법으로 폐기물의 일부를 처리하고 있었으며, 불법처리의 이유에서 폐기물 처리 비용 과다(42.5%), 처리방법이 곤란해서 (39.5%), 위탁처리업체 지연(11.5%)등으로 나타났으며 방지대책으로는 처리비용 인하(35.5%), 처리장 확충(27.5%), 공사비예산책정 시 폐기물처리비 현실화(25%) 등으로 나타났다. 5)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활용품목 기술 확대(35%), 재활용 처리업체 확대(22.5%), 철저한 분리수거(30%) 등으로 응답하여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재활용기술의 확대 보급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6) 건설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감량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공법개선(25%), 효율적인 자재관리(40%), 현장관계자 의식교육 강화(15%), 과다배출 현장체재(20%) 등을 제안하고 있었다. With the high economic growth for the past 50 years, the construction business has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and the amount of construction has increased year after year. A lot of construction activities still have been continuing. Along with this development of construction business, the construction waste in proportion to the quantity of new construction has been increasing year after year. Various wastes occurr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new buildings include more mixed and poisonous materials than those occurred at the dismantlement and removal site. I 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keep the wastes before they are disposed because it depends on the given condi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rovide the program to control and dispose the wastes which are occurred at the construction site of new buildings. As buildings wastes have various properties and forms, their disposal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quantity and sorts and they should keep being studied,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levant technology should be activat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ctuality of controlling of the facts, sorts, occurrence, disposal and recycle of construction wastes and then to propos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rogram related to the wastes. The facts of controlling are as follows. 1) The wastes of the new building construction site composed of construction wastes(a mass of concrete, cement block and stone), metal waste, synthetic resin waste, fiber waste, glass waste and insulation material waste. These were in accord with the previous thesis (Oh, Eun-Ho, 1998: Korea Construction Industry laboratory, 19971, which classified the wastes into 11items. 2 ) 95% of the construction site had solved the increase of quantity of wastes by improving the volume of loading equipment of waste discharge vehicle and the sort of the vehicle was one or two.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comprehensive control plan for the waste disposal were insufficient.(Shin, Dong-Woo, etc..) 3) 100% of waste disposal were committed to the disposing agents; 81% of collecting and transporting agents, and 19% of middle disposing agents. According to this, as lots of quantity of the wastes went into a landfill without the middle disposal(crushing, incineration, making a solid material, selection and recycle), it had increased the burden of environment. 4) The places where were illegally disposing the wastes amounted to 94.7% and they were still disposed a t a lot of sites unjustly. There were several reasons why they were disposed illicitly; The waste disposal costed a lot.(42.5%) The disposal method was difficult. (11.5%) The disposing agents were delayed. The several prohibiting plans for the illegal disposal were proposed; the reduction of the disposing cost(35.5%), the amplification of the disposing places(27.5%) and the realization of the waste disposal expense when the construction cost budget were assigned(25%) 5) Several methods were answered for the increase of the rate of recycling; the expansion of technology of recycling items(35%), the expansion of disposing agents for recycling(22.5%) and the intensive separating collection(30%). More than of the majority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expansion of the recycling skill was best.6) The ways to inhibit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the construction wastes were proposed: the improvement of public law(25%), the effective materials management(40%), the intension of consciousness training of the worker on the spot(l5%) and the excess disposal system on the spot.(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