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溫突暖房用 구멍炭 화덕 燃燒器에 關한 硏究

        허병무 全北大學校 1982 국내석사

        RANK : 248639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 normalization of the Ondol native to Korea, a standardization of heating concerning the uptake 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Ondol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energy in the residence. In foreign countries, it is used a way, panel heating, that passes water, steam and air through the panel after heating. In Korea, it is used passing heated water through an arranging of Iron pipe and PVC pipe on the floor of the Ondol. It is consumed as about 35% of our total energy in homes. On this rate, 75% is used in a heating system at ho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how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surface with improvement on the combustor and the internal structure in the Ondol, and to decrease the loss of energy with shielding the heat around the combustor and the Ondol. Therefore, it is compared the conventional combustor used in the past with the new type improved on the proper body of combustor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The improved combustor saves about 42% more than the conventional type. 2.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improved type in the Ondol surface is higher 3~5˚C than the conventional type. Especially, in the experiment of condition 4 as the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Ondol is the smallest, the improved type is 36˚C of the surface maximum temperature in the Ondol and minimum temperature 25˚C, also, the conventional type is 38˚C of the surface maximum temperature in the Ondol and land minimum temperature 20˚C, from ignition to perfect combustion. That is the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ormer is smaller than the latter. 3. In the condition 4, the average temperature of exhaust gas in the conventional type is 83˚C and the improved type is 12.4˚C. Therefore, the heatloss to pass through the uptake is smaller as much as that. The expence of fuel is cut down because the burning time per briquet is two and a half hours longer than in the improved type.

      • Lactocorder를 利用한 酪農經營의 生産性向上에 關한 硏究

        허병무 한경대학교 생물환경·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An ultimate goal of dairy farmers is to get more income by improving dairy farm management. One of the major points for the high income is to increase milk yield and milk quality which can get higher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actocorder which is an equipment to estimate milking behavior of individual cow and milking conditions on milk quantity and quality improvement. From 2004 to 2006, 50 dairy farms in Gyeonggi-do were involved in the study using Lactocoder and survey researches. Cows were individually monitored milking behaviors and estimated the monitoring effect by Lactocoder, checking milk yield, milk quality, milking time, milking machine and somatic cell counts. The results showed that Lactocoder helped to increase milk production in 9 farms (18.0%), improve milk quality in 28 farms (56.0%) and get the first grade milk in 44 farms (88.0%). For example, farm A increased income of 20.63 won per liter of milk, improving somactic cell counts and bacterial cell counts by using Lactocoder.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estimating milking condition using Lactocder will help to establish a right milking behavior and monitor proper operation of milking machine and then get more income of dairy farms by improved milk production and quality. 낙농경영은 현재, 기록에 의한 체계적인 경영관리보다는 주먹구구식의 경영으로 방만한 경영형태를 유지하는 농가가 대다수이며, 생산성향상의 가장 기본적 요소가 되는 기술수준향상 및 생산비절감방안에 대한 농가단위 대응은 미흡한 실정이다. 낙농가들의 최우선의 목표는 경영개선을 통한 소득증대이다. 소득증대를 하기 위해서는 유량증대와 유질등급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유질 개선에 대해 세균 수 감소를 위한 착유관리, 체세포 감소를 위한 도태와 착유시설관리, 과감한 시설투자와 체계적인 경영관리로 낙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식 최첨단 착유기기인 Lactocorder를 이용하여 개체 및 착유상태를 분석하고 착유방법·습관을 교정하여 유질개선을 유도함으로서 낙농경영의 생산성·수익성향상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경기도 여주군·포천시 검정참여 목장 50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Lactocorder를 이용한 개체관리를 실시하여 개체 착유습관 개선으로 유량변화, 유질개선, 착유시간 변화, 착유기계 점검, 체세포수 점검결과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낙농가별 유량증대 농가는 9호(18.0%), 유질개선 농가는 28호(56.0%)로 나타났으며, 체세포수는 1등급 44호(88.0%)로 향상되었다. 또한, A목장의 착유진단 실시 후 생산성 향상 결과 체세포등급은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세균등급은 1B등급에서 1A등급으로 향상하여, 유대단가가 ℓ당 724.06원에서 744.69원으로 20.63원 수익이 상승되었다. 지속적인 Lactocorder를 이용한 착유진단을 통하여 위생적이고 올바른 착유습관 정착 및 착유기의 지속적인 점검을 실시하여 유량증가 및 유질향상은 생산성향상으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고, 생산성향상(기술수준, 비용절감)으로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Lactocorder를 이용하여 우수한 경제형질개체를 발굴, 산유량 증대와 젖소개량에 의한 생산성제고로 농가소득증대와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TV의 제품진화과정에서 지배적 디자인요소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허병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TV시장은 우리나라 기업이 글로벌(Global) 1위와 2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새롭게 부상하는 중국 기업들과 과거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일본 기업들의 다양한 도전을 받고 있다. TV시장에서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요소를 기반으로 시장 지배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TV에서는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디자인해야 하는지, 어떤 요인이 TV가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Dominant Design)이 될 수 있도록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필요한 시점이다. 제품은 사용의 불편함과 기능의 불만으로부터 진화가 시작되어지며 사용자와 제품을 둘러싼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제품은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생물이 진화되는 것과 유사하다. 제품은 혁신을 통해서 변이가 발생하고, 소비자가 시장에서 선호하여 선택받은 제품은 다음세대에 다시 생산되게 된다. 여기서 변이, 선별, 복제라는 보편적 다윈주의 원리가 적용 되므로 제품은 진화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은 혼자서 스스로 진화할 수 없고, 인간과 상호작용을 하며 진화한다. 따라서 제품진화는 제품과 생산자, 소비자를 같이 연구해야 한다. 제품이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되는 과정을 보면 다수의 제품 중 혁신적인 제품이 시장에 나타날 때 이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대다수가 선호하게 되면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사용자, 환경이 같이 진화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제품의 진화모형을 제시하고 여기에 지배적 디자인요소와 지배적 디자인 결정요인을 추가하여 제품진화 관점에서 제품이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되기 위한 요소가 무엇인지 사례분석을 통해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TV디자인의 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TV가 어떻게 진화해왔으며 제품의 속성과 환경, 지배적 디자인의 결정요인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제품진화이론을 통해 제품의 발전과정을 이해하고 지배적 디자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해 시장에서 제품이 지배적 디자인이 되기 위한 경쟁과정을 TV의 제품진화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생물학에서 진화는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축적하여 집단 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생물진화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개체의 무의식적 변형을 위주로 하고 제품진화는 인간을 매개체로 필요로 한다. 제품진화는 생물진화와 같이 내적요인에 의한 진화와 외적 요인에 의한 진화로 나누어진다. 내적요인으로는 제품의 사용목적과 사용성, 인간의 심리적인 특성, 기술의 발달 등이 있으며 외적요인으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환경요인으로 나누어진다. 제품은 인간에 의해 사용되면서 편의성과 개인적인 취향에 영향을 받게 된다. 환경 또한 외적요인이나 제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사용자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제품의 내적요소인 기본 속성은 형태와 소재, 표면처리가 있고 사용자와는 기능과 사용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배적 디자인은 특정 제품군에서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가장 선호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시장 점유율 50%이상의 단일제품을 일컫는다. 제품이 처음 출시되면 다수의 경쟁제품이 존재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특정한 하나의 제품만 소비자가 선호하게 되고 이것이 지배적 디자인이 된다.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기술의 개방성, 호환성, 기업의 전략, 제품가치, 정부정책, 학습효과, 마케팅 전략의 7가지가 있다. 제품은 기능과 사용성의 불만으로 진화가 시작되고 지배적 디자인 결정요인에 의해 선택되어 다음 세대로 진화하게 된다. 지배적 디자인이 항상 다른 제품보다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 수도 있는데 이는 제조사의 마케팅이나 경쟁사간에 상업적 이해관계에 의해 조정되고 결정되기 때문이다. 제품마다 가지고 있는 기본 속성이 있으며 지배적 디자인이 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다면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TV를 시대별로 분류하여 진화 과정을 분석해 보고 제품을 둘러싼 환경과 지배적 디자인 결정요인이 TV의 제품진화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TV(Television)는 전파로 변환된 영상을 받아서 움직이는 화상을 재현하는 장치로 우리에게 가장 일반화되어있는 대중매체라 할 수 있다. TV에 있어서 지배적 디자인요소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디자인 영역, 기능 영역으로 구분된다.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해상도가 있으며 디자인 영역에는 형태, 소재, 표면처리가 있다. 기능 영역에는 운영체계와 사운드, 채널선택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배적 디자인관점에서 TV의 제품진화과정을 1920년대부터 10년 단위로 시대별 사례를 분석 하였고 분석방법은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사용하였다. 1920년대의 초창기 TV는 원형이 없었기에 거실에 놓여있는 측음기 형태로 출발하였다. 소재는 쉽게 구할 수 있고 다루기 쉬운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가구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1930년대는 미국과 영국의 TV 제조사가 늘어났으며 다양한 모델들이 출시되었다. 화면은 전체적으로 둥글게 제작되었고, CRT는 깊이가 깊었으며 실내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이나 가구들과 어울리기 위해 비싼 재질의 목재로 마감 처리되었다. 1940년대는 생산기술이 발달하면서 TV는 소형화가 되고 화면 하단에 있던 스피커가 화면 양쪽으로 이동하면서 수직구조의 형태에서 수평구조 형태로 변화되었다. 소재는 여전히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지만 금속을 적용하여 화면주위를 장식하거나 부분적으로 금속을 붙여서 컬러와 재질의 차이를 주었다. 1950년대에는 근대 TV의 원형인 비대칭 형태가 처음 나타나 정착되었으며, TV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기술이 향상되고, 형태도 다양해졌다. 1960년대 플라스틱 성형기술의 도입으로 TV디자인이 자유롭게 변화되었고 박스 형태를 비롯하여 둥근 구모양이나 구의 형태에 가까운 박스모양의 비대칭형태도 나타났다. 초기 플라스틱 성형은 기술적인 문제로 정밀도와 강도가 부족하여 가공이 용이한 둥근 형태와 모서리에 라운드(Round)가 많이 들어간 형태로 디자인 되었으나 1970년대 들어 성형기술의 발달로 직선적이며 간결한 디자인이 자리 잡았다. 1980년대는 원격조정 리모컨의 등장으로 TV와 사용자간의 접촉은 불필요하게 되었으며 복잡한 조정부위를 감추고 TV를 간결하게 만들었다. 1990년대에는 대부분의 제품이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었으며 디자인도 현대적인 느낌의 세련된 형태를 추구하였다. 2000년 이후에는 화면이 완전 평면이 되고 TV의 디자인이 단순하고 각진 스타일로 통일되었으며 화면을 받치고 있는 스탠드에 대한 디자인이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후 스탠드 형태는 화면과 더불어 TV의 디자인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2000년대 후반 TV시장은 한국기업들이 주도하였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출시한 TV는 외관에 투명사출을 적용하거나 실제 금속을 적용하여 고급감과 디자인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최근에는 TV의 화면이 더욱 대형화되어 화면을 둘러싸고 있는 베젤(Bezel)은 더욱 얇아지고 화면부에서는 디자인 요소가 더욱 줄어들었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화가 TV의 제품진화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둘째, TV의 형태는 소재의 발전과 밀접한 영향이 있다. 셋째, 조작방식은 1980년 이전까지만 형태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넷째, 운영체계는 형태변화와 상관성이 적으나 소비자가 TV를 선택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다. 다섯째, 사운드는 TV 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비중은 다른 요소에 비해 낮다. 여섯째, 기술의 개방성과 기업의 전략, 제품가치, 마케팅 전략은 지배적 디자인을 경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이상과 같이 6가지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면, TV의 제품진화과정에서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할 때 중요한 요소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소재이며 지배적 디자인 결정요인에서는 기술의 개방성과 기업의 전략, 제품가치, 마케팅 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TV의 디자인 전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현재 출시된 제품에 대해 디자인 동향을 분석한 결과 얇고 가벼워 보이는 컨셉의 디자인은 아직까지는 차별화되어 보이나 LCD 역시 OLED에 근접한 화질과 얇은 두께의 구현이 가능해지고 OLED대비 낮은 원가로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할 때 지불하는 가치 측면에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OLED TV도 더 이상 단순히 얇고 좋은 화질가치로만 소비자에게 선택받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OLED만 가능한 접거나 말리는 등 구조 자체를 변경하여 차별화 된 제품가치를 주어야 할 것이다. 기술의 개방성 측면에서 OLED는 이미 다양한 제품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제조 기업도 현재 10개 업체로 확대되어 긍정적인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일관된 투자와 마케팅을 통한 기업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은 향후 OLED TV가 지배적 디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사례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인터넷과 문헌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 실제 제품의 형태와 차이가 있어 자료의 분석이 다소 주관적임을 밝혀둔다. 소비자가 제품에 따라 중요시하는 특징이 다르기에 본 논문을 기초로 하여 다른 제품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지배적 디자인요소와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제품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으면 한다. Korean TV companies are ranked the first and second in the world TV market. but there are various challenges for newly emerging Chinese companies and Japanese companies seeking to regain their gl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in the TV market, it is necessary to keep the market dominance based on competitive factors for consumer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have clear grounds on which elements to focus on when design TV. The product begins to evolve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dissatisfaction of the user in relation to the user, and i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ser and the product. Products are constantly evolving, which is analogous to the evolution of organism. Products are transformed through innovation, consumers are preferred in the market, and product reproduced again by selected many times. Here, we can say that the product evolves because of the universal Darwinian principle of mutation, selection, and reproduction. But the product can not evolve by itself, but it evolves by interacting with humans by humans.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evolution of a product, we have to look at the mutually evolving forms of products, producers, and consumers. When a product is seen as a dominant design in the market, innovative products appear among a large number of products on the market and a market is create around the product. The majority of users are favored, that product become dominant designs in the market.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oduct evolution model that can explain the evolution of products, users, and environment together. And here, we will try to derive new impli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 evolution through actual cas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dominant design factor and the dominant design decision factor in order for the product to become dominant design in th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TV design evolved to establish the design direction of TV and analyze the changes of product attributes and environment that are the basis of evolution, and the determinants of dominant design.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products through product evolution theory and sugges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dominant design decisions and analyze how the dominant design influenced the evolution of the competition process in order to become the product dominant design in the market. Dominant design refers to a product that is the most preferred product in the market for a particular product family, and generally refers to a single product that occupies more than 50% of the market share. Dominant design may not always have superior technology than other products because it may be coordinated and determined by marketing interests of the manufacturer or by commercial interests among competitors. The product has its own basic attributes and it will be a great help to make a competitive product if you know what important factor is to become dominant design. To this end, we analyzed the evolution process of TV by the age, and examined how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product and the dominant design decision factors affected the evolution of TV. Evolution in organisms refers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ire group by accumulating change through generations. The organism makes an unconscious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 to adapt to the environment, the product needs the human as medium, and the human is trying to change the environment. In the case of organism, evolution has a mechanism of natural selection that is in itself. On the contrary The product evolves through the choice of artificial selection according to human cultural progress. Evolution can be divided into evolution by internal factors and evolution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evolution of organism. Internal factors include product usability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xternal factors are divided in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e product is affected by convenience and personal taste while being used by the user. The environment is also an external factor, but it can be defined as an indirect factor because it indirectly influences through the user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 product. Basic attributes that can be regarded as internal factors of the product can be seen by form,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and The usesr as external factor are connected with products by function and usability. Dominant design is a single product that occupies more than 50% of market share. There are a lot of competitive products due to uncertain technology and market at the initial stage of product launch. However, As time elapses, only a specific product among various products is preferred by the consumer. This is the dominant design. There are eight factors that determine dominant design: Technological Interrelatedness, Complementary Assets, Owner Mindt, Switching Cost, Government Policy, Learning Effect, Network Externality, and Marketing Strategy of Dominant Company.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product, and consumer can be regarded as dominant design elements, and the evolution of the next generation by dominant design decision factors is evolved by the complaint of function and usability between user and product. This process is composed of evolutionary mechanism model. TV is a device that reproduces the moving image by receiving the image converted to the radio wave, and it is the most popular media for us. In TV, design factors are display panel, resolution, shape, material and usability as internal factors. Outside factors are usage environment, politics, economy, society. There is a cultural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 evolution and dominant design, the process of TV evolu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terms of decade from the 1920s. The design analysis of TV by the age was made by the form analysis. In the early days of TV, there is no original form, so it seems to start with the product that seems to match the usage environment. It is mainly used in the living room, so it looks like a phonograph in the living room. The design is box-shaped because using furniture made method that is easily available and easy to handle. In the 1930s, more product increase because the number of TV manufacturer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K increased. The screen was round, and the CRT tube was deep. It is finished with expensive wood to match with furniture such as tables and cabinets used indoors. Since th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speaker and the speaker located at the lower side is moved horizontally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creen, The material still uses wood as the main material, but with metal, decorations are placed around the screen, or a part of the TV is covered with a metal, and a design that gives a difference feeling in color and texture has begun to appear. In the 1950s, the asymmetrical form of the modern TV was first introduced and settled. As the TV supply increased, the technology was improved and the design was expanded competitively as the model was diversified. In the 1970s, the form of the TV design was changed freely by the plastic molding, and the box shape asymmetry close to the shape of the sphere or spherical shape. And The color was also applied to the vivid color. The initial plastic forming technology has technical problems, TV was designed as round shape and rounded corners for precision and rigidity. In the 1970s design, The remote control system made the contact between the TV and the user unnecessary and hiding the complicated adjustments knobs makes the TV design simple. In the 1990s, most of the products were made of plastic molds and the design changed to a more modern and stylish design. Since 2000s, the screen has become completely flat and the design of the TV has been simplified, the style has been unified with each binary hard style, and the stand has been newly attracted attention, so the stand design with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has appeared. The shape of the stand was an important factor in judging the design of the TV set along with the form of the screen. In the late 2000s, the tendency of TV designs to be dominated by Korean companies began to appear clearly. TV market launched by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attempted to differentiate their designs by using transparent injection or real metal materials. In recent years, the size of the TV screen has become larger, and the bezel surrounding the screen has become more slimmer, and the design elements have been reduced on the screen. On the contrary, the stand shap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V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display panel change on TV evolution is very important. Second, the form of TV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material. Third, the change of control styles have influenced TV design in the past, but it does not affect it at present. Fourth, the operating system has no effect on the change of TV design but it affects the process of consumer selection. Fifth, sound affects TV design but its weight is lower than other factors. Sixth, The openness of technology, Corporate strategy, Product value, and Marketing strategy are important factors in dominant design. In conclusion,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dominant design in the evolution of TV are display panel and material, and openness of technology, corporate strategy, product value, and marketing strategy are important influences on dominant design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pplied to the evolution of OLED TV. As a result, the future prospects for OLED is positive, and transparent materials made the design differentiated. In dominant design decision factors, OLED is already wide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and the number of companies manufacturing OLED TV is increasing, which is positive for technology openness and efforts to raise the value of products by lowering prices to the extent that customers can purchase them through strategy and cost reduction of companies with clear direction and invest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show the possibility that OLED TV will become dominant design in the future. The marketing strategy continues to emphasize the differentiated image quality and technology of OLED. But LCD is also capable of realizing image quality and thinness close to OLED, and are becoming more competitive in terms of the value they pay when consumers purchase products at a lower cost than OLED. OLED TV is no longer just thin and difficult to accommodate with good picture quality values, so they will have to give other product values that are only possible with OLED. This will require effort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TV itself, such as folding or curling, to differentiate it in design. The data used in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i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books. It differs from the actual product shpae and the data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by year, so it seem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ther products, it is also meaningful to analyze the dominant design factors and determinants in the process of evolution. Based on this, We expect to create dominant designs by presenting clear directions in future product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