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J. S. Bach의 <French Suite No.6>의 분석연구

        허드보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J. S. Bach <French Suite No.6> 분석연구 허드보라 고신대학교 대학원 음악과 요약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바로크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의 모든 분야에 걸쳐 총 1100여곡의 작품을 남겼다. 건반악기 작품은 486곡으로 바흐의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건반악기를 위한 모음곡으로는 <영국 모음곡>, <프랑스 모음곡>등이 있다. 모음곡이란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기악곡 형식 중의 하나로 여러 개의 춤곡 또는 소곡들이 일정한 순서에 의해 구성된 작품이며 바흐에 이르러 기본순서가 체계화 되었고 대위법의 구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바흐 <프랑스 모음곡 제 6번(French Suite No. 6)>을 문헌연구와 전통적인 구조분석을 기초로 연구하여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모음곡 양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와 바흐 모음곡의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각 악장의 근본구조를 20세기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쉔커식 이론(Schenkerian theoy)’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쉔커식 이론’은 조성 음악 작품을 위계와 연장의 방법을 통해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하나의 근본구조를 도출해 내는 이론으로 20세기를 대표하는 이론가 하인리히 쉔커(Heinrich Schenker, 1868-1935)의 ‘구층 분석법(Layer Analysis)’을 기초로 새롭게 분석하는 방법이다. ‘구층 분석법’이란 하나의 작품을 세 종류의 층(Foreground, Middleground, Background)을 통해 중심이 되는 근본선율과 I-V-I의 베이스 분산화음화를 찾아가는 분석 방법으로 근본구조를 통해 작품의 전체구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제 6번>은 1722-1725년에 작곡된 작품으로 여덟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전통적인 구조분석을 했을 때 이 곡은 바로크 모음곡의 대표적 특징인 2부분 형식이 곡의 구성과 화성적인 면에서 모두 드러난다. Courante와 Gigue는 A부분과 B부분이 대칭적 구조를 보이며 B부분이 반진행으로 대조되고 Allemande, Sarabande, Gavotte, Polonaise, Menuet, Bourrée는 B부분이 긴 비대칭적 구조를 보인다. 또한 모든 악장에 2부분 형식의 화성적 특징인 I-V-I의 진행이 나타난다. 또한 이 작품은 바흐 모음곡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곡으로 체계화된 모음곡의 순서인 알르망드-쿠랑트-사라반드-선택악장-지그를 사용하고 모든 악장에 대위적 기법이 나타난다. 그리고 바흐가 중요시한 유기적인 조성관계가 조성의 통일과 전조를 통해 나타나며 Courante와 Gigue는 바흐 모음곡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탈리아 형식의 빠른 템포와 단순한 리듬 및 간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프랑스 모음곡 제 6번>을 ‘쉔커식 이론’의 ‘구층 분석법’을 통해 단계적으로 분석 하였을 때 크게 두 가지의 근본구조가 나타난다. 우선 근본구조 안에서 근본선율을 살펴보면 총 6개의 악장(Allemande, Sarabande, Menuet, Gavotte, Polonaise, Gigue)은 ^3-^2-^1의 순차하행이 나타나고 2개의 악장(Courante, Bourrée)은 ^5-^4-^3-^2-^1로 순차하행한다. 다음으로 베이스를 살펴보면 ^3- ^2-^1의 근본선율이 나타날 때는 I-V(ii)-I의 분산화음화를 보이며 Courante와 Bourrée는 I-IV-I-V-I로 진행된다. 근본 선율 이외에도 각 악장의 전조부분에서는 대부분 5음 이상의 중요한 순차하행이 나타나므로 근본구조 안에 낮은 기(Beam)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바흐 <프랑스 모음곡 제 6번>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 모음곡 양식인 2부분 형식과 바흐 모음곡의 특징들인 모음곡의 기본순서, 대위적 기법, 유기적인 조성관계가 잘 조화되어 있으며 ‘쉔커식 이론’으로 분석하여 볼 때 순차하행하는 선율들과 I-V-I의 베이스 분산화음화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