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있어 성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본청의 하위직공무원을 대상으로

        함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의 변모하는 환경하에서 정부는 주어진 목적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여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조직 및 인력관리에 있어 새로운 시각과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국가경쟁력의 향상은 행정부가 공공정책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통합·관리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행정관료인 공무원들의 의식구조나 행태가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한 인력의 확보와 관리방안의 마련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공무원의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해 기존의 조직몰입 연구를 통하여 그 개념을 정리하고 몰입의 유형을 분류하여 몰입의 유형과 조직몰입 결정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더불어 남성과 여성의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의 차이점을 통해 정부조직의 효율성제고 및 향후 공직에의 여성인력 확대에 따른 인사관리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연구를 토대로 조직몰입의 유형을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의 두 가지로 구분하고,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결정변수로서 개인심리 변수, 직무·역할 변수, 조직신뢰 변수를 선정하여 분석모형을 만들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Likert식 5점척도이며 조사대상으로는 서울시 본청의 6급이하 공무원을 대상으로 242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에서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t-test, 상관관계 검증,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의 결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으로서 공직에의 사회적 인정감은 정서몰입에, 고용안정성은 근속몰입에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은 정서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경제적 보상의 경우는 근속몰입을 설명하는 변수로서 확인되었으나, 인사공정성이나 역할모호성의 경우는 정서몰입이나 근속몰입을 설명하는 변수로서 부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신뢰 변수의 경우에는 행동적 차원의 신뢰나 인지적 차원의 신뢰 모두가 조직몰입(정서몰입이나 근속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서 분석되었다. 조직몰입에 있어 남성공무원과 여성공무원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몰입의 경우 남성공무원과 여성공무원간에 평균에 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속몰입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직에의 사회적 인정감이나 고용안정성은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행동적 신뢰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으나, 경제적 보상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서몰입이나 근속몰입에 있어 영향요인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본 결과 정서몰입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미미하였고, 근속몰입의 경우에는 많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즉, 정서몰입에 있어 직무만족과 행동적 신뢰는 남성과 여성공무원 모두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나, 인지적 신뢰의 경우에는 여성공무원의 경우에만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근속몰입에 있어 남성공무원의 경우에는 선정된 독립변수들이 모두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공무원의 경우 인지적 신뢰를 제외한 7개 변수 모두가 근속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남성과 여성공무원의 경우 조직몰입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여성이 각종 성차별과 대체직업의 부족 등의 불리한 상황에 처해 있으며 또한, 여성은 업무에 있어서도 하위직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대체로 남성의 업무를 보조하거나 단순업무가 많고 한정된 업무에 국한되어 있는 등의 환경적 요인들이 많은 원인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별차에 근거한 공공부문의 효율적 인력관리 및 정책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지며, 더불어 이러한 성별차이를 유도하는 원인의 제거가 보다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남성과 여성공무원간의 성별 차이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별 자체에서 오는 차이인지 조직문화 등의 사회적·문화적 풍토에서 오는 차이인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이고 심도있는 접근이 필요하며, 앞으로의 후속연구 또한 이러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these days governmental productivity has been emphasized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public servants have been criticized by their self-limiting behavior and easy-going attitude. Today national competitiveness is considered to be dependent on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servants. There have been many reformative measures, but all have not shown any satisfactory results. The key factor to enhance the productivity is to promote and encourage the ability and attitude of the public servants. Many researches which focused on improving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have been using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as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ublic office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gender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divid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o two categories: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based on the voluntariness to remain in the involved organiza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questionnaire are mad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The data in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Seoul Municipality. From the total of 242 questionnaires sent, 218 responses were returned. Among the returned questionnaires, 18 copies that had a high central tendency and poor responses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200 were analyz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he SAS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social respect and job satisfaction affect affective commitment, while job security and economic rewards affect continuance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influence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is shows that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Secondly, the mean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s that men score higher in the degree of continuance commitment than women. However, no gender differences can be found in the case of affective commitment. Also according to the mean difference in the variables, women show higher points in social respect, job security and economic rewards than men; while men are higher i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behavioral trust.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n case of affective commitment, little differences can be found between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and female groups. On the contrar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n and women show great differences. In other words, in case of men non of the variables have influences on continuance commitment; while in case of women seven variables(except cognitive trust) affect continuance commitment. Therefore, it is hoped that future personnel policy to be made on the basis of gender difference. Final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of statistical analysis and sample representation, resulting some problems in generalization.

      • 의료소비자의 정보탐색행태와 선택요인에 따른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의료미용병원의 미용시술을 중심으로

        함수진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의 미용시술병원 정보 원천 및 선택요인 알아보고, 각 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미용시술병원의 마케팅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수도권 지역의 10대에서 30대 남녀를 대상으로 664명의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주성분 분석법(Principle Component Analysis), 상관관계,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료소비자는 자신의 외모 불만족으로 인해 시술을 결심하게 되며, 시술 효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용시술 시작 연령대는 점점 낮아지고 있다. 코로나 이전에 시술을 경험한 비율이 높고, 비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지만, 자신의 경험 및 주변인들의 추천으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얻기 때문에 병원 종사자의 전문성 및 시설의 위생, 현대화에 신경을 써야 하며, 의료서비스의 차별화 및 고급화를 통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정보탐색 원천, 선택요인, 지속이용 의도의 상관관계로 보았을 때 상업적인 광고보다는 기존 고객의 재방문 및 소개, 온라인 후기 등에 높은 비중의 마케팅 비용을 할애하여야 높은 효율을 보이고, 고객의 만족도 및 신규방문, 재방문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병원의 마케팅 실무자, 미용시술병원 종사자에게 앞으로의 마케팅 방향 및 의료소비자에 대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medical consumers select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cosmetic surgery hospital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hospital,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arketing development of the cosmetic procedure hos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664 men and women in their 10s and 30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 Tabulation Analysis, One way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edical consumers decide to perform a procedure to improve their appearance, and consider the effect of the treatment the most important, and the initial cosmetic procedure is gradually getting younger. Nowadays,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ustomers should be increased through differentiation and advanced medical services. The information about hospitals is obtained by recommendation of oneself or acquaintances, the professionalism of hospital workers and hygiene of facilities should be further modernized. Because there are less experienced in the procedure and visits are irregular than before COVID-19. In terms of the correlation, selection factors, continuous use of the sources of information search marketing that has a high proportion of the introduction of existing customers and online reviews show high efficiency and can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new visits, revisits rather than commercial advertisement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research material on future marketing directions and medical consumers for marketing practitioners at cosmetic procedure hospitals.

      • Exploring Collaborative L2 Writ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함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writing in the Kore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middle school context for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The study carefully looks into students’ collaborative dialogues and written products in order to explore how their language development and attitudes toward L2 writing change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practices. The exploratory investigation for 6 weeks aims at answer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dynamics of peer interaction in low proficiency level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FL group writing in terms of Language-Related Episodes (LREs)? 2) How does the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change over time in terms of fluency and accuracy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practices? 3) How do the learners’ attitudes toward L2 writing change over time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practices? Eight Korean middle school EFL learners(two groups of four) of low proficiency’s writing products written collaboratively over 6-week experiment, questionnaire result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nners. All the students’ dialogues during the writing task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part in order to discover the dynamics of peer interaction regarding LREs, language development, and attitudinal changes. First, the quantitative analyses showed that the amount of LREs occurred during the tasks has increased over time. The qualitative analyses of the students’ dialogues revealed that collaborative practices helped them to raise awareness on lexis, grammar, and mechanics in their writing. Second,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the students produced longer texts with a wider range of vocabulary and decreased grammatical errors. However, they stayed at producing simple sentences, due to their low English proficiency. Third, in terms of attitudinal changes, students gained confidence in writing in English with reduced anxiety. The students who were in favor of individual writing at the beginning came to build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llaborative L2 writing. Collaborative writing encouraged students to notice gaps between their own linguistic knowledge with others’ by giving opportunities to negotiate meanings in order to reconstruct a story with peers. It promoted them to discuss not only the content but also the word choice, grammatical form, and mechanics in writing. By exchanging ideas and thoughts with peers of similar proficiency level, the students could learn English in a supportive atmosphere. Recognizing that each individuals have potentials to contribute to group writing, the students became active writers while enhancing their language proficiency and self-confid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considerable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low proficiency in the Korean EFL contexts, especially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at more EFL teachers need to consider collaborative L2 writing as an essential part of L2 learning. Implementing collaborative L2 writing would help students of low English proficiency become effective and confident writers. 본 연구는 한국 중학교 학생들 중 영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협력적 글쓰기 과업이 제2언어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영작문 쓰기 과업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양식을 살펴보고, 협력적 대화의 기능과 언어 관련 담화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분석한다. 여덟 명의 한국 중학교 3학년 여학생들(집단 1과 집단 2)이 6주간의 그룹 영작문 쓰기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영어 수준이 비슷한 하위 학습자들이 한 그룹을 이루어 매주 이야기 재구성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6주간의 탐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언어 관련 담화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어떠한 협력적 상호작용 양상을 보여주는가? 2) 유창성과 정확성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언어 발달이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는가? 3)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제2언어 쓰기에 대해 어떠한 태도 변화를 보이는가? 학생들의 협력적 대화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이 끝난 후 학생들의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살펴본 언어 관련 담화의 양상, 언어 발달, 영어 쓰기에 관한 태도 변화를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관련 담화의 양이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협동 과정을 통해 동료들과 언어 관련 담화를 주고 받으며 학습자들은 문법과 어휘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였다. 둘째, 쓰기 결과물 측면에서의 발달을 찾기 위해 학습자들의 텍스트가 세밀하게 분석되었다. 언어 발달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긴 텍스트를 만들어 내었다. 뿐만 아니라, 어휘 사용과 문법적인 측면에서 향상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더욱 풍부한 어휘를 사용하였고 문법적인 오류가 줄어들었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영어 글쓰기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었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협력적 글쓰기 활동이 영어 쓰기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안에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동료들과 교환함으로써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영어 쓰기에 대해 자신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EFL 학습 환경에 있는 중학교 학습자들 중 특히 영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영어 쓰기 활동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어 본 연구는 협력적 글쓰기 활동이 학습자들이 자신감 있고 효과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줌을 시사한다.

      • Understanding molecular functions of PINK1, Parkin and VDAC1 in Parkinson’s disease

        함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behind Parkinson’s disease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PINK1, Parkin and VDAC1 in the cell and animal models for the disease. The activation of Parkin E3 ligase is regulated by interaction between it’s UBL and RING1 domains. In healthy cells with normal mitochondrial function, the UBL and the RING1 domain of Parkin bind to each other to inhibit its activity. However, under mitochondrial damage conditions, the upstream regulator PINK1 phosphorylates Parkin at serine 65 in the UBL domain, reducing the binding between the UBL and the RING1 domain. Phosphorylation of the serine 65 in Parkin induces ubiquitination of Parkin’s substrates, such as MFN1, MFN2, and VDAC1, and increases Parkin-mediated mitophagy, suggesting that the phosphoryl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activating the E3 ligase activity of Parkin. In addition, three patient mutations within the UBL domain of Parkin, K27N, R33Q and A46P, susta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BL and the RING1 domain even after serine 65 phosphorylation by PINK1, which explains how these mutations in Parkin induce Parkinson’s disease. These results show that binding between the UBL and the RING1 domain of Park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related Parkinson’s disease. The two types of VDAC1 ubiquitination by activated Parkin have different impacts on regulation of mitophagy and apoptosis. Mono-ubiquitination of VDAC1 by Parkin on lysine 274 inhibits apoptosis, while poly-ubiquitination of VDAC1 on lysines 12, 20, 53, 109, and 110 promotes mitophagy. Apoptosis, which is regulated by mono-ubiquitination of VDAC1, occurs as a result of increasing mitochondrial calcium uptake. The calcium uptake is regulated by MCU, a calcium channel located in the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and mPTP, a mitochondrial pore responsible for apoptosis. The mono- and poly-ubiquitination of VDAC1 occur independently in a PINK1-Parkin pathway-dependent manner. Furthermore, Parkin patient mutation with K211N suppresses the poly-ubiquitination, while Parkin patient mutation with T415N is defective in the mono-ubiquitination of VDAC1. Drosophila model animals containing Parkin K211N mutation consistently show PD-related phenotypes and defective Parkin-mediated mitophagy, while Drosophila model animals with T415N mutation shows increased mitochondrial calcium uptake and increas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is thesis research suggests a detailed mechanism of PD pathogenesis caused by mutations in PINK1 and Parkin, and underlines an etiological importance of PD-associated genes in the regulation of mitochondrial homeostasis. Also, VDAC1 has been proposed as a novel regulator of PD, which extends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PD pathogenesis and proposes VDAC1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PD medication.

      • Time- and space-resolved spectroscopic study on carrier and exciton dynamics in various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s and semiconductor quantum dots

        함수진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다양한 기능성 나노구조체,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및 양자점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 전자, 디스플레이, 신소재 산업 등에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 과학기술로써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실제로 소재를 다양한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합성과 구조분석 등의 기초적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여러 물질의 광물리적 특성을 관찰하는 심도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많은 연구 그룹들은 소재의 응용성과 소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앙상블 수준에서 진행되어왔다. 앙상블 실험을 통해 다양한 물질에 대한 여러 중요한 광물리적 특성들이 발표되었지만, 이 방식은 평균화된 데이터만을 볼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단분자 분광학 기술은 하나의 물질에서의 구조적 이질성 및 물질 주변의 다양한 나노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질의 미세한 물성 변화까지도 세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단분자 분광학을 이용하여 여러 물질의 특성 및 나노 환경에 따른 광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광전자소자로의 효율적인 응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넓은장 허초점 이미징 기술은 다중발색단 분자시스템에서 이중극자 모멘트의 방향 및 발색단 사이의 각도와 같은 분자의 구조적 정보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퍼릴렌비스이미드와 포피린으로 각각 구성된 서로 다른 링 크기를 가진 고리형 분자시리즈에서 위 기술을 사용하여 분광학적 방법을 통해 최초로 분자의 구조를 재현해내었다. 또한, 분자시스템에서 2차원뿐 아니라 3차원에서의 구조적 이질성과 왜곡이 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고리형 포피린 분자 시리즈에서는 실험결과를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형광 트래핑 부위의 장소 선택성에 대한 정보를 밝혀냈다. 위 실험방법과 공초점 현미경법을 사용하여, 파이공액이 확장된 다양한 모양의 벤조포피린 분자시리즈의 광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이공액의 경로가 감소함에 따른 형광 수명의 증가와 형광 스펙트럼의 단파장 이동을 관찰할 수 있었고, 단위체 수의 증가에 따른 광안정성의 감소현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벤조포피린의 구조적 특성은 허초점 이미징 기술과 선형 이색선 분석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동일한 단위체 수를 갖더라도 구조에 따라 광물리적 성질이 뚜렷하게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위와 같은 유기 물질뿐 아니라,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공간 및 시간 분해 분광법을 사용하여 CH3NH3PbI3 페로브스카이트 필름의 결정 및 결정립계에서의 광 발광 세기 및 형광 수명을 각각 측정하였고, 과량의 CH3NH3I 가 결정과 결정립계에서 더 밝은 발광 세기 및 더 긴 발광 수명시간을 유발하는 것을 관찰했다. 시공간 분해 분광법을 통한 화학양론적 및 비화학양론적 페로브스카이르 필름의 비교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기반기술 연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양자점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먼저, CsPbBr3 와 CH3NH3PbBr3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비교함으로써 물질의 구성에 따른 발광 선폭의 확장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를 통해 CH3NH3PbBr3 양자점이 CsPbBr3 양자점보다 더 국부 전계의 변동에 민감하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이는 두 양이온(Cs 와 CH3NH3)이 갖고있는 이중극자 모멘트의 본질적인 차이로 인해 캐리어에 의해 유도되는 스타크 효과가 달라짐으로부터 발생된 차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페로브스카이트의 조성이 방출 선폭 확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주며, 높은 색순도의 발광소자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이다. 다음으로, InP 양자점의 발광 효율 및 색순도 결정 요인을 관찰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양자점의 발광 스펙트럼에서 관찰되는 장파장 끌림 현상은 발광소자로의 응용에 있어 발광효율을 떨어트리고, 정확한 색구현을 저해하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InP 양자점의 구성 및 구조(핵/껍질 또는 핵/껍질/껍질)에 따라 달라지는 간헐적 소광현상, 시간 분해 발광 스펙트럼 및 온도 의존성 발광 스펙트럼을 분석함으로써 양자점에 껍질을 효과적으로 둘러싸는 것이 광 안정성 및 발광 효율을 높이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얕은 트랩과 깊은 트랩의 관점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차세대 물질들의 들뜬 상태 동역학 및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이해하고 아울러 고효율, 고안정성 및 고색순도의 발광 소자를 개발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on a variety of functional nanostructures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s, and quantum dots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as a key science technology that can provide new solutions for energy, electronics, display, and new material industry. In fact, in order to apply various materials to efficient device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n-depth studies to observe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materials further than basic studies such as synthesis and structural analysis, but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t the ensemble levels. Although many important information has been published through ensemble experiments to characterize the material properties, there is a limitation that only averaged data can be seen. Single-molecule spectroscopy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udy structural heterogeneity in complex materials and even fine-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depending on changes in various nano-environments around the material. Therefore, understanding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nano-environment using single-molecule spectroscopy is important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various optoelectronic devices. Single-molecule defocused wide-field imaging (DWFI) has been demonstrated to be useful to determine molecular structure parameters, such as the orientations of transition dipole moments and the angular relationships between chromophores in multichromophoric molecular systems. For a series of acetylene-linked perylene bisimide (PBI) macrocycles with different ring size comprising three to six PBI dyes, we reconstructed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multichromophoric system using DWFI method. Furthermore, we revealed that the structural heterogeneities and distortions depend on the ring size. For porphyrin, especiall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we ascertained site selection for fluorescent trapping sites. Collectively, these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results provide the basis for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and energy hopping/emitting processes in an important class of artificial light-harvesting molecular systems widely used in molecular electronics technology.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of a series of highly π-conjugated benzoporphyrin molecules (BPNs) with different shapes were investigated in the condensed phase using single-molecule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fluorescence properties of single BPNs were found to be affected by the number of porphyrin units and their molecular shapes. Notably, the single-molecule fluorescence dynamics of the BPN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fluorescence lifetimes and blue shifts of the fluorescence spectra indicative of decreasing π-conjugation pathways in the molecules. The distributions of the spectroscopic parameters and the photostabilities for the molecules also suggest conformational complexities and heterogeneities. Specifically, as the number of constituent porphyrin units increased, the one-step photobleaching behavior ratio and photostability decreased, and the spectroscopic parameter distributions broadened.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BPNs were also directly determined using defocused wide-field imaging and linear dichroism analyses. In particular, molecules with the same number of constituent porphyrins but different molecular shapes exhibited distinct photophysical properties. In addition to these organic materials, researches on organic/inorganic hybrid perovskite and inorganic quantum dots have also been carried out. Since the discovery of organometallic trihalide perovskites, there have been tremendous efforts to exploit these hybrid materials and understand their optoelectronic properties for the development of solar cells with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ies. Although the improved performance of perovskite solar cells with excess CH3NH3I has been reported, the dedicated research of the free charge carrier dynamics is lacking.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photoluminescence (PL) intensities and lifetimes at the grains and near the grain boundaries of CH3NH3PbI3 perovskite films using spatially and temporally resolved PL spectroscopy. An excess CH3NH3I was found to cause brighter PL intensities and longer PL lifetimes at both the grains and grain boundaries. This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stoichiometric and non-stoichiometric perovskite films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optoelectronic properties induced by excess CH3NH3I, opening a new way for optimization of perovskite solar cells. Finally, I have studies various quantum dot systems. First, I explore the composition-related emission linewidth broadening by comparing CsPbBr3 and CH3NH3PbBr3(MAPbBr3) perovskite NPs. We find that MAPbBr3 NPs are more sensitive to fluctuations in the local electric fields compared with CsPbBr3 NPs due to an intrinsic difference in dipole moment between the two A cations (Cs and MA), which shows a carrier-induced Stark shif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ositions of perovskite NP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mission linewidth broadening and it also provides insights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NP-based devices with high color purity. Next, I investigated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ly the energy trap distributions and trap state emissions of InP-based QDs with different shell structures. The time-resolved and temperature-dependent PL spectra clearly indicated that the well-passivated InP/ZnSe/ZnS QDs showed nearly trap-free emissions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77–297 K). The on- and off-time probability on single QD blinking and Auger ionization efficiencies also showed that these QDs are hardly affected by the surface trap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not only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next generation materials depending on the excited state dynamics and structures, but als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gh efficiency, high stability and high color purity light emitting devices.

      • Microdomain orientation of PS-b-PMMA by controlled interfacial interactions

        함수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study, we focused on suggesting the experimental surface conditions for neutrality using P(S-r-MMA) random copolymer to fabricate the perpendicular microdomain orientations to the substrate.The microdomain orientation in thin films of cylinder- and lamella-forming diblock copolymers, polystyrene-block-poly(methyl methacrylate) (PS-b-PMMA),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the film thickness and the composition of random copolymers composed of styrene (S) and methyl methacrylate (MMA), denoted as P(S-r-MMA), that were anchored to the substrate.Using scanning force microscopy (SFM) and grazing incidence small-angle x-ray scattering (GISAXS), the dependence of the microdomain orientation on film thickness around lattice period (or d-spacing, L0), where the microdomain orientations normal to the film surface could be achieved, showed that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balanced interfacial interactions (the so-called neutrality in random copolymer) was 0.64 of PS mole fraction (XPS) for the cylindrical microdomain having narrow compositional range of P(S-r-MMA) from 0.52 to 0.72 of XPS, whereas for the lamella microdomain it was observed at XPS = 0.55 ranging extensively from 0.48 to 0.78. 본 연구는 자기조립(self-assembly)의 특성을 가진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templates및 scaffolds 등의 나노리소그래피(nanolithography) 응용에 필요한 표면에 수직으로 배향된 마이크로도메인(microdomain)을 형성하기 위하여 neutral / nonpreferential wetting을 통한 표면개질 방법을 사용하였다.이를 위해 박막(thin film)에서 실린더(cylinder)와 라멜라(lamellar) 마이크로도메인 구조를 갖는 PS-b-PMMA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계면인력(interfacial interaction)을 조절하기 위해 PS-r-PMMA 랜덤공중합체의 조성에 따른 표면 성질을 알아보고, 블록공중합체의 두께를 조절하여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 배향성을 확인하였다.먼저PS의 mole fraction을 0.34에서 0.85까지 조절하여 다양한 조성을 갖는 PS-r-PMMA neutral brush를 형성하고 이 위에 블록공중합체의 농도와 spin speed를 변화시켜 조절한 필름표면의 마이크로도메인의 배향성을 Scanning probe microscopy (주사탐침현미경)을 통해서 확인하고, 필름의 전체 두께영역에서 수직배향이 되었음을 Grazing Incidence Small-Angle X-ray Scattering (GISAXS)로 조사하였다.그 결과로 얻어진 필름의 두께에 따른 PS-b-PMMA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배향성을 보면, 실린더의 경우에는 PS-r-PMMA 랜덤공중합체가 0.64의 PS mole fraction을 가질 때 가장 안정된 계면인력(balanced interfacial interaction)을 가진 최적의 neutral surface를 형성하고, 라멜라의 경우에는 0.55의 PS mole fraction을 가진다. 또한 PS-r-PMMA 랜덤공중합체의 조성에 따른 수직배향구간을 살펴보면 실린더의 수직배향성보다 라멜라의 수직배향성이 보다 넓은 영역에서 나타났다.따라서 이 연구는 PS-b-PMMA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필름 두께 조절과 neutral surface을 이용한 표면개질 방법으로 마이크로도메인의 수직배향성을 구현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다양한 나노구조의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심플하고 유익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