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不在地主 抑制를 爲한 差等課稅方案

        한희섭 慶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zing the system of the absentee landowner's farmland, a scheme of leving the graded tax scale to it and the expectation effect of the scheme. I. The Points at issue The trouble points that are drawn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 The proportion of landowners to absentee landowners in our comity is larger then that of foreign country. ii) The portion of the absentee landlord's farmland is on ascending tendency though the abslute area of agricultural land is on decending tendency. iii) There is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agricultral land system and the Positive Law of agritural land. iv) These are the great abstacle to the agricultural economic stabilization and the progress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I. The Reform Measures. The reform measures that are present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 As a scheme leving the graded tax scale on acquiring the farmland, ·Under the Acquisition Tax, including the absentee landowner's farmland among the luxurious property and being able to levy a heavy tax to it, ·Under the Registration Tax, including the absentee landowner's farmland among the rest real estate and accessing a tax. ii) As a scheme leving a graded tax scale according to the size of farmland, ·Under the Property Tax, leving a successive graded tax according to the possessing period of the absentee landowner's farmland, ·Under the Tax on Possessing Large Size of Land, the land which is located out of the city planning region should be also involved in the category of articles subject to taxation in case of individual. iii) As a scheme leving a graded tax scale on the degree of utilizing the farmland, ·Under the Farm Land Tax, not endowing with the basic deduction from the taxable income of leased land but leving a tax, ·being able to levy the Inhabitant's Tax in accordance with the Farm Land Tax. III. The Expectation Effect When we adopt the system which is that an absentee landowner is levied a tax by the graded tax scale, the expectation effects are as follows ·restoring the principle that a tiller should have the farmland. ·ascending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inducing the promotion of soil fertility. ·being able to do a great deal for the relaxation of the present state, that is, leaving the agricultural community for the urban community. And we can also expect the social and economical effect as follows, and so forth, ·fairly distributing the resources and incomes. ·contributing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economy. ·contraining the speculative mentality on the farmland.

      • XML기반 문제은행시스템(IDB)의 설계 및 구현

        한희섭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XML을 이용하여 통합적인 문제를 생성, 검색 및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XML기반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표준화된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의 표준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XML DTD로 설계하였다. 설계된 표준안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수학 교육용 문제를 추출하였으며 XML Data로 저장을 하였다. XML Data로 저장을 함으로써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확한 검색과 다른 시스템과의 공유가 될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과 학습자 DB 그리고 문제 관리 DB간의 관계형 DB를 이용하여 문제은행을 구축함으로써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맞는 문항을 제공할 수 있다. XML파서와 문제 해석기를 구현하여 표준화된 문제를 온라인으로 학습자에게 제공하였다. 시스템의 활용 결과 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평가용 문항을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제공하고 웹 상의 비표준화된 문제들을 통합시키는데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본 논문은 아직은 시작단계에 있는 XML의 활용에 대해 교육을 위한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로 문제의 표준화 및 각종 문서의 표준화 과정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문제에 대한 표준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XML Data간의 공유와 검색의 용이성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XML의 본래의 취지나 목적과는 달리 기업에서 구축되고 있는 시스템들은 상업적인 특수성에 따라 공개와 공유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업화된 시스템의 제한된 사용으로는 교육현장에서 교육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즉, 본 연구는 특정 기업에 의존해서는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게 하며 교육현장에서 보다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서 XML 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안을 마련하고 그에 따라 자료의 공유와 검색의 용이함을 이용하여 효율적 자료활용의 기반이 되길 바란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XML-based Item Bank System. The proposed system can apply the student an effective assessment by creating, searching and providing of educational problems using XML. In order to supply standard problems to student, first, we analyzed the standard types of various problems and designed these types with XML DTD. Second, we extracted math problem in the elementary school by applying these standard types. Third, we constructed the Item Bank System using relational Data Base and XML parser. The result of system applying, proposed system could offer the student the standard problems at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we shown to be applied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tegrated non-standard problems effectively.

      • 國內産業用 火藥類 市場分析 및 展望

        한희섭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Ⅰ. 問題의 提起 및 硏究의 目的 오늘날 産業用 火藥은 土木工事, 鑛山, 建設, 시멘트 業界 등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主要 資材이다. 火藥은 爆發 에너지를 利用한 目的 하고자 하는 일을 수행하는 産業으로 科學 및 醫藥 등 여러 分野에 이르기까지 廣範圍한 分野에서도 利用되고 있다. 産業用 火藥의 需要는 주로 地下資源 採掘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資源의 고갈 및 合理化 등으로 減少되었으며, 相對的으로 대형 土木 공사로 比重이 높아지고 있으나, 全體的인 成長率은 정체 또는 減少 하는 狀況이다. 國內産嶪俑 火藥 市場은 1개 業體에 의하여 獨占體制로 유지하여 왔으나, 1993년 경쟁사의 登場으로 獨占時代를 마감하고 競爭時代로 돌입하였으며, 또한 國內市場은 경쟁사의 이외의 開放化의 물결 속에서 多國籍企業의 위협을 받고 있는 實情이다. 따라서, 그 동안 獨占時代에 消費者의 要求와 充足을 소외시 하였던 관행을 벗어나 産業用火藥 市場의 급격한 변화에 對應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戰略 및 品質改善이 절실히 要求되었다. 이러한 變化의 흐름 속에서 火藥類 市場은 고객만족을 위한 品質變化 와 고객중심의 마케팅 전략 등으로 새로운 市場으로 跳躍하였으며, 現在도 끊임없이 需要者의 要求와 市場의 變化에 對應하기 위하여 勞力 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多國籍企業의 國內市場 進出 등의 위협 속에서 견고히 市場을 지켜가기 위한 기업마다의 새로운 營業戰略과 사업의 多邊化가 절실히 要求된다. Ⅱ. 연구내용 이 時點에서 본 論文은 1) 國內 産業用 火藥市場의 現況을 알아본 다음 2) 國內 火藥業界의 實態를 검토하고 3) 國內 火藥業界의 現況 및 問題點과 發展可能性을 分析하고 向後成長, 發展하기 위한 方案 및 展望을 提示하는데 본 硏究의 目的이 있다. Ⅲ. 연구결과 본 論文의 硏究目的을 達成하기 위하여 硏究節次는 火藥에 關聯된 火藥市場 調査分析에 의한 內部診斷을 거쳤으며 본 硏究를 위해 必要한 理論的 土臺는 이미 전문서적 및 연구성과에 대한 調査分析을 통하여 體系化하였으며, 火藥에 關聯된 現況파악은 정부 刊行物, 火藥關聯 協會, 硏究機關, 海外出張 報告書 등을 參照하였다. 內容展開는 旣存 관련자료의 考察과 實證 분석법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내용을 전개하여 결론을 내렸다. 제1장 序論의 경우는 問題提起 및 硏究目的을 敍述 하였고, 제2장 에서는 産業用 火藥의 歷史 및 發展과정과 火藥産業의 特性을 살펴 보았으며 제3장 은 産業用 火藥市場의 現況(國內 및 世界의 販賣現況 등)을 分析하였고 제4장 은 國內 産業用 火藥류 사용현황(생산량, 판매량 추이,製品 ) 實態를 調査 分析하였다. 제5장 에서는 分析한 結果를 바탕으로 現在 火藥業界의 現況 및 問題點에 대한 향후 對應策 및 發展 展望 提示하였다 Commercial explosives are necessary for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coal mining, mineral mining and cement business. With their blasting energy, explosives have been used widely from special industry to medical field. There are four kinds of main users for commercial explosives, which are construction, coal mine, limestone mine and general mineral mine. Out of these four users, the demand by limestone mine and general mineral mine are getting low. On the other hand the demand by construction field is getting high. But the rate of growth in this field is still low. For a fairly long time, company 'H' has taken monopolistic position in the domestic market. But with the appearance of company 'K' in year 1993, the era of monopoly had been over and the era of competition had started. Under the condition of the advent of competitor and the opening of construction market on January 1, 1997 by the launch of WTO system and the entry of government alprocurement agreement, competition had started in domestic market. Now foreign companies can get into the Korean market. They can invade the domestic explosives market with an agreement on capital and technique with other third competitor. They even can do production and sales in domestic market by direct investment on the manufacturing facility. Now such rapid changes in traditional market as competition pattern, distributive structure and demand by user are expected that we should prepare the proper countermeasure by research and analysis. Accordingly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commercial explosives market with escaping the general practice of negligence of the needs of customers by manufacturers, marketing strategy is necessary. Hereafter domestic commercial explosives market situ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Secondly, domestic explosives market analysis will be d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ng a marketing strategy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commercial explosives business with a plan to overcome the hardships and problems the domestic explosives market has.

      • 협력 사고 촉진을 위한 웹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 관한 탐구

        한희섭 高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Collaborative Knowledge is based on mutual confidentiality an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 members of a group. The best successful example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is Wikipedia (http://en.wikipedia.org), which is an encyclopedia based on Wiki. The Wikipedia policy is based on mutual confidentiality and freedom; the principles of Wiki-way were developed by Ward Cunningham. The meme map of Web2.0 includes the concept of Wiki-wa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KMS) as a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SCL) system that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wards Wiki-way. Since students will be immersed in these cultural environments, it is likely to be second-nature for them to use these systems in their life and learning. Furtherm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fficient structure for a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using collaborative knowledge for pedagogic purposes. Collaborative Learning is a process designed to solve creatively any given collaborative problems. The attrac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lies in idea that one learner's knowledge is transferred to others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and that active learning takes place as learners modify their (mis)understandings by comparing ideas with each other. From a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perspective, th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based in a place of mutual trust and freedom of activity for positive interaction to take place. According to the Kunifuji, S's (2005) study, "Creativity Support Systems in Japan", the process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consists of convergent thinking activity, divergent thinking activity, creation of detailed ideas, and evaluation of ideas. The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needs to integrate the 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o this thinking support system, because students need to manage a lot of collaborative knowledge during collaborative thinking in collaborative learning. In this study, th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as support for collaborative thinking and collaborative knowledge management, was implemented based on Wiki-way and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fostering collaborative thinking using controlled tests For evaluation of results, the following five study topics were investigated: - Does this environment support the fostering of divergent thinking? - Does this environment support the fostering of convergent thinking? - Is this effectiveness dependent on the variables of the proposed system? - Does this environment promote networking among group individuals? - Does this environment support and maximize this well-structured knowledge base by collaboration?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consists of an adaptive navigation map, a knowledge map, and a monitoring tool. First, the navigation map supports fostering of divergent thinking. The map was implemented using an adaptive scaling measure for personalized navigation in a hidden linked structure. Divergent thinking is the process of exploring new knowledge space and modifying existing knowledge. The map helps learners to explore their collaborative knowledge space, and improves the modification of group pages. Next, the knowledge map supports fostering of convergent thinking. The knowledge map was implemented using a learning process model, pre-post structure, such as the KJ-method of Kawakita, J (1975), for con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is the process used to collect the majority view in a group. The knowledge map helps learners to concentrate on a few important pages and to discard many non-important pages for the purpose of problem-solving. Regarding the third problem of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was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is experiment was a controlled test for comparis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e variables for regression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modification events for both systems (normal Wiki and the proposed system), the preferences of lecture, the impression of the teacher, and the collaborative propensity of learners. The modification event indicates the inter communication for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explanation of 17.9% regarding the difference of modification events in both groups (t=2.165, p<0.017).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p-value of 0.049 at the just system variable. In the fourth case, the monitoring tool promotes positive inter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a group,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modification events decreased among group members. The tool stimulates learners to take part in group activities by monitoring the collaborative status in a group. Finally, each of the collaborative knowledge structures was analyzed by linked-type. In the proposed environment, the linked-structure was rich and hierarchical compared with the normal Wiki environment, and learners created more cross-links which bind related information than in normal Wiki. This shows that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group contents is better in the proposed environment. Wiki-way, as a new Web-cultural paradigm, demonstrates powerful potential to support an environment of trust for users by the freedom of authoring through the example of Wikipedia. The limited collaborative paradigm via Wiki-way can change a learning culture, the teaching-learning authority and a teacher's role. In terms of learning culture, Wiki-way will support a new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reedom and mutual trust, without controlling the cultural environment. The transfer of the teaching-learning authority results in a change from system- and teacher-driven collaborative learning to a student-driven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also are required to play a role of a conveyer of knowledge in the master-apprenti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respond to students and convey knowledge to students. The potential power of Wiki-way is great for any educational system and it is a new paradigm in a learning environment. 온라인을 통한 학습이든 면대면 학습이든 협력학습 공간은 학습자 간에 상호 신뢰와 자유롭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협력사고가 촉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학습자들이 개개인의 지식과 경험들을 협력그룹에 적극적으로 제시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협력지식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쌓이게 되면 협력지식의 내용과 구조의 복잡도가 높아지므로 학습자들에게 사고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게 된다. 협력그룹에서 협력사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협력지식을 추가하는 것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수정, 제거할 수 있는 방법과 환경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협력지식을 구축하여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위키피디아 백과사전(http://www.wikipedia.org)을 들 수 있다. 위키피디아의 기본 환경에는 워드 커밍햄(Ward Cunningham)이 개발한 위키의 정신인 상호 신뢰와 자유의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웹 문화의 경향은 웹2.0의 기본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는 상호 신뢰와 자유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위키의 협력활동 모델을 협력학습시스템에 적용하여 미래를 살아가야할 학습자들의 정보활용 기초 소양으로써 문화적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적으로 협력학습 상황에 맞는 바람직한 학습환경을 구현하여 효과를 분석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협력학습은 학습활동을 수행할 때 학생 개인의 학습효과와 동료들의 학습효과가 동시에 최대로 성취될 수 있도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책임있는 역할 활동을 활성화시키려는 학습전략이다. 협력학습 과정 속에는 동료에 대한 신뢰와 학습자 각자의 책임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본 환경으로서의 위키는 매우 잠재력이 높은 교수학습 시스템이라 할 수 있으며, 많은 연구들이 협력학습 시스템으로서 위키의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특히 김유정(2004)과 김진주(2004)의 연구에서는 위키에서의 사고지원이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지원하는데 효율적임을 보여주었다.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사고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사고지원과 협력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지원 환경이 요구된다. 구니후지 스스무(2005)의 창조성개발 시스템론에 따르면 발상지원시스템은 그러한 문제해결 과정을 발산적 사고지원시스템을 이용하여 개념공간을 확장시켜나가고 수렴적 사고지원시스템을 통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의견수렴과정을 거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 과정에 이르는 시스템적 지원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또한 가와키다 지로(1975)의 KJ-법에서는 구성원들에게 문제해결과정을 프로세스화 함으로써 협력그룹에서 수렴적 사고활동에 협력 작업 프로세스의 체계화가 주는 효과성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협력학습을 위해 위키 환경의 가능성 분석을 바탕으로 협력과정을 지원하기 위한 사고지원 시스템으로서의 협력학습시스템 모델을 개발하고, 동적인 협력지식을 관리하기 위한 협력지식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여 협력사고촉진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해 학습환경이 협력지식구축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키기반의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을 구현하고 협력학습활동에서 발산적 사고활동과 수렴적 사고활동을 거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야하는 과제 수행과정에 지원 환경에 의해 학습자들의 사고 촉진에 차이가 있는지, 그 결과 협력지식의 구조에 차이가 생겼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로 설정된 다섯 가지에 대해 협력지식관리 시스템의 효과성을 실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발산적 사고지원 시스템으로서 내비게이션 맵의 효과는 학습자들의 개념공간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어 개념공간의 변형 횟수의 증가로 이어졌고, 보다 복잡한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풍부한 트리구조를 생성할 수 있었으며, 협력지식에 대한 발산적 사고활동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적응형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하여 웹공간이 갖고 있는 그룹구성원들 간의 활동 패턴에 따라 내비게이션을 안내하는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그룹과 구성원간의 협력활동 상태에 맞추어 그룹 협력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향으로 내비게이션을 안내함으로써 그룹에서의 협력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렴적 사고지원 시스템으로서 지식 맵은 학습자들이 표출해 놓은 협력지식들의 수가 증가 되었을 때 본 학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지식들을 프로세스화 하여 표현하게 함으로써 의견 수렴과정 속에 관심이 되는 주요 협력지식 페이지들에 활동이 집중되고 의견교류가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협력활동에서 협력지식관리 시스템과 일반 위키 시스템에서 시스템 변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기 위해 두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학습자들에 의해 일어난 수정이벤트 횟수를 구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강사의 호감도, 강의 내용에 대한 선호도, 협력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성향을 조사하여 회귀분석을 해본 결과 시스템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설명력에서도 시스템변인이 높게 나타났다. 가장 일반적으로 협력활동에 쓰이고 있는 게시판을 기반으로 한 학습시스템은 사고지원 효과에서 위키 시스템과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비교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로 제안된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이 웹공간에서 협력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효과적인 학습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모니터링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책임의식을 일깨워주고 모든 학습자들이 고르게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협력지식이 균등하게 공유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지원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습자들간의 네트워킹이 강화되고 의사소통이 활성화 되었다. 다섯째, 구축된 협력지식의 구조를 살펴보면 협력지식관리시스템에서 보다 풍부한 트리구조를 형성하면서 협력지식이 구축되어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지식을 구조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적응형 협력지식관리시스템이 학습자들의 협력적 사고활동을 촉진시키고, 효과적인 구조로 협력지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학습 환경에 대한 변화는 최근 웹2.0의 경향을 반영한 환경이며 학습자들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신뢰적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협력학습 환경 연구의 관점이 관리와 통제의 기술적 관점에서 자유와 신뢰적 환경 구성을 제안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새로운 환경은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요구하게 된다. 학습자에게는 학습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도적으로 학습관리를 하도록 요구한다.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상호 신뢰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내비게이션 맵, 지식 맵, 모니터링 도구와 같은 환경적 지원이 효과적이었다. 즉, 학습자들 간에 학습 활동 상태를 인지하고 자신의 역할을 찾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요구 되었다. 교사에게는 학습자를 관리하거나 통제하는 역할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협력공간에서 함께 생활하면서 지적 권위를 통한 지식의 전수자로서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한다. 즉,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협력학습환경은 학습자, 학습 지식, 협력그룹 등을 통제와 관리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과정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력학습 본래의 목적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 대중국 해외직접투자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희섭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devices for increas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China, the major production base and market of the world, in order to advance the industry of Korea and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superiority of Korean companies in the world and Chinese domestic market. It was done by researching into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ment in China and analyzing how well Korean companies in China are managed. Chinese economy has grown rapidly by 9 percent a year for the past 25 years since China adopted the economic reform and open-door policy in 1978. This splendid record and good prospects for the future growth of Chinese economy show that huge Chinese economic potential is being realized at high speed. Furthermore, since China joined WTO in 2001, it has opened its market more and more accelerating the realization of its potential.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China has grown steadily except during the 1999 Asian currency crisis, since recording amazing 152.1% growth rate in 2001. This ceaseless growth made FDI in China come to 9.6% in total FDI of the world in 2003 regardless of the trend of decreasing FDI of the world from 2000 to 2003. In the mean time, FDI in China by Korea started in 1988, but began in earnest in 1992 when Korea and China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hip. Although it collapsed for a while in 1999 Asian currency crisis, the FDI in China by Korea has increased greatly, reaching 43.3% of all FDI by Korea in 2004. It was due to the recovery of Korean economy and the affiliation of China with WTO. The first characteristic of Korean investment in China is that investment in manufacture takes a large part because the most of the investment is for cost reduction by using moderately priced labor force. Secondly, insufficiently globalized, small or medium-size investments utilizing proximity and the Chosun tribe take a relatively high portion. Lastly, the Korean investment is concentrated on the Bohai rim economic circle including Shandong and Beijing. Competition in Chinese market is becoming more fierce as a lot of companies with global brands are entering the Chinese market while Chinese local companies are evolving considerably. At the same time, the return on investment in China is decreasing as FDI in China is increasing constantly on account of the liberalization of Chinese economy, especially since joining WTO. Under the circumstances, the devices of FDI in China by Korean companies for winning against Chinese companies and securing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