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

        한지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한·중 동형한자어는 표기가 모어와 동일하거나 비슷하여 한국어 학습에서 초기 접근이 수월하다는 이로움이 있는 반면, 중·고급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올라가도 지속적으로 오류를 야기하는 아킬레스건이다. 이러한 현상은 모어의 간섭과 한국어 교수·학습 현장의 주된 흐름이 맞물린 결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두 언어의 대조를 통해 한·중 동형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어휘 학습 자료를 만들고 이를 한국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활용해야 한다. 이 연구는 중국어권 학습자의 효율적인 한국 한자어 학습을 위해, 『한국어 기본어휘』에 드는 한자어 1,146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해 여러 언어권의 사전을 활용하여 대조 분석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각 어휘별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이러한 자료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중국어권 학습자가 생산한 글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학습 자료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중국어권 학습자가 생산한 글 속에 나타난 한·중 동형한자어 오류문을 찾아 그 유형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오류 현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가 생산한 오류문은 모두 모어의 간섭을 드러내는 것으로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여러 사전들을 비교함으로써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 자료로 사용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现代汉语词典》·《中韓辭典》·《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학습사전》을 비교·검토 한 결과, 현재의 학습 자료가 한·중 동형한자어를 학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담고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한·중 동형한자어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 자료가 별도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중국어권 학습자의 올바른 한국 한자어 사용을 위한 학습 자료 구축을 위해 ‘기본한자어 1,146’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어휘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국어대사전》, 《다음사전》, 《现代汉语词典》, 《中韓辭典》, 《Oxford Chinese Dictionary》,《Merriam-Webster’s Chinese-English Dictionary》, 《講5社 中日 辞典》을 함께 대조한 결과 동형동의어 563개, 동형부분이의어 333개, 동형완전이의어 53개, 《中韓辭典》에 수록되지 않은 어휘 197개로 분류되었다. 대조한 결과는 제 4장과 부록을 이용하여 각 영역 내에서 개별 어휘별로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각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또한, 대조 연구를 진행 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표준국어대사전》과 《中韓辭典》의 불충분한 점들을 정리함으로써 한·중 동형한자어 학습 자료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고 이것을 의미기술, 예문, 자료 제시 방법, 연구 방법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어휘 자료는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중 동형한자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의과정에서 선택한 연구 자료의 확장과 벤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각적 제시라는 두 가지 방법론은 이후 진행될 한·중 동형한자어 대조 연구와 사전 및 학습 자료 구축을 위한 연구에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 연구는 1,146개라는 제한된 어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이러한 연구가 한·중 동형한자어 전체로 확대되어 효율적인 학습 자료를 충분히 구축하고, 이것이 한국어 교수·학습의 현장에서 활용된다면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 한자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한다.

      • 푸드 네오포비아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양육기간을 중심으로

        한지현 강릉원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구매자의 푸드 네오포비아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구매자인 반려인과 사용자인 반려동물 간의 관계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의 개발과 구매 촉진에 필요한 마케팅 요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 만 19세 이상 반려인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7일부터 2023년 3월 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354부를 수집하였으며, 그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34부(94.4%)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높을수록,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와 반려동물 양육기간 간의 상호작용 변수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구매자(반려인)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강하더라도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긴 구매자(반려인)보다 반려동물 양육기간이 짧은 구매자(반려인)가 곤충 기반 반려동물 사료 구매의도가 높아진다. 본 연구는 미래의 대체 식품으로 주목받는 곤충이라는 원료를 활용하여 반려동물 사료를 개발하고, 구매자(반려인)와 사용자(반려동물)가 불일치하는 반려동물 사료 산업에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buyer's food neophobia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pet food containing insect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the length of pet ownership, which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er and their pet, moderates this effect. A total of 354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nationwide from March 7 to 9, 2023. After excluding incomplete or unreliable responses, a final sample of 334 participants (94.4%)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buyer's (pet owner's) food neophobia were associated with a lower intention to purchase pet food containing insects.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buyer's neophobia and the length of pet ownership. That is, pet owners with shorter periods of pet ownership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insect-based pet food, even if they have food neophobia, compared to those with longer pet ownership perio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et food utilizing insects as alternative ingredients, and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the pet food industry to devise tailored marketing strategies that align with the preferences of pet owners and their pets.

      • 아동학대 피해의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

        한지현 전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roups depending on the change trajectory of child maltreatment, and to test the effects of children and parents variables in determining these latent classes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For this study, the data from waves 2~6 (2011~2015)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st (n=2,300) and 4th (n=2,325)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 Latent Class Growth Model(LCGM) using Mplus 7.21 was ado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Also, to determin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each type, a multinominal logistic model using SPSS 18.0 was perform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hysical abuse, childhood from the 2nd to the 6th grad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creased, low maintenance,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Also, early adolescence from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was also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s. Second, in emotional abuse, childhood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decreased,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Early adolesc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creased, low maintenance,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Third, in neglect, childhood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maintenance, low decreasing, low increasing, and no maltreatment type. Early adolesc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aintenance, low increasing, and no maltreatment type. Fourth, in children’s variables, predicting variables that affect each type were children’s gender, emotional problems, and school record. In parent’s variables, parenting style, health status, education level, and home economic levels were associated with the trajectory classes. In other words, they were more vulnerable to child maltreatment if they were boys, had emotional problems, and did not satisfy school records. In parent’s variables, parenting styles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predictors than physical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home economics. This study is meaningful by classifying latent classes depending on maltreatment types. The predicting variables of maltreat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were shown similar tendency and we confirmed that the variables affect continuously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상상력 강화장치 연구

        한지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애니메이션을 본 수용자들은 그 곳을 가리켜 ‘꿈(夢)같다.’ 라고도 하고 ‘상상(想像)력이 풍부하다.’, ‘환상(幻想)적이다.’ 라고들 한다. 이에 논자도 애니메이션의 꿈, 환상, 그리고 상상의 세계를 즐겁게 보아는 왔지만 ‘애니메이션에서 왜 상상이력이란 수식어가 중요하게 작용 하는가’ 에 관해서는 간과해 왔었다.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시각적 재미를 주는 오락성을 넘어 인간의 심리적 감성을 극대화 하는 특별한 영상표현예술이다. 애니메이션에서 상상력을 극대화 시키는 장치를 연구하기 위해서 첫 번째, 애니메이션과 상상력의 관계, 두 번째 상상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장치 즉, 요소들을 작품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이론화 하고자 한다.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동형이의어 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한지현 순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ntrasted and analysed homographs extracted from Korean textbooks for native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And attempted to find a suitable method for homographs. Homographs ar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the same shape but are different partly or totally in meaning from the Korean use of the characters. Chinese speakers often use the chinese meaning of homographs when speaking Korean. As a result many chinese speakers apply chinese meanings to Korean when they first begin to learn Korean. In order to protect these errors, learners must first be taught the basic differences on the ground of throughly contrasted and analysed data. And the Korean meanings of homographs need to be emphasised to chinese learners. This learning needs a teaching way suitable to homograph and contrasted and analysed data of homographs. When we look over existing studies, we find that the studies on homograph were performed but seldom on Korean textbook. And there were no studies on a teaching method suitable to homograph.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is progressed in two directions significantly First I extracted Homograph out of the vocabularies in the three Representative Korean textbooks. Then I contrasted and analysed Korean and Chinese meaning after classifying homograph into two categories, partial and total. There were 209 homographs that showed only partial meaning with Chinese character and 22homographs that were totally dissmilar from the chinese meanings within the textbooks that I analyzed. There were seldom words that appeared in all three textbooks, 54words which have the same shape but partly different meanings and 10words which has same shape but totally different meaning. This demonstrates the complexity and variation between the vocabulary presented in different text book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more homographs in midium grade textbooks compared to beginning and advanced. The application of chinese meaning to homographs continues as learners begin to rapidly increase their vocabulary in medium level classes. Second I intended to make a learning and teaching approach suitable for homograph. In order to do this I discussed the teaching methods appropriate for teaching homographs. It's needed to let Chinese speakers not to be chaotic because of the feature of homographs. Chinese speakers have to exercise the differences of basic meaning on the ground of contrasted and analyzed data. And they have to learn even meaning relation in the context through the situation where homographs are used in Korean. As a result of looking over several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method was most suitable. And I suggested a vocabulary centered teaching model on the ground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model as a suitable one to homographs. This study can be a direct material of teaching and learning by contrasting and analyzing homogrphs in the Korean textbooks. I expect this study will be a help somehow to learners and teachers.

      • 조선족 부모의 문화유지 가치관이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정의 한국어 사용과 유아 흥미도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부모의 한국어 교육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고 조선족 부모의 문화유지 가치관이 가정의 한국어 사용과 유아의 한국어 흥미도를 매개로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족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외적 요인으로서의 가정의 중요성과 내적 요인인 개인의 흥미의 영향력을 강조하여 유아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actual status and awareness of Korean education by Korean-Chinese parents, 2) explore the correlations among Korean-Chinese parental cultural maintenance,Korean use at home, children`s interest in Korean, children`s Korean proficiency, 3)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Chinese parental cultural maintenance,Korean use at home, children`s interest in Korean on children`s Korean proficiency, 4) to ident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Korean use at home and children`s interest in Korean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Chinese parental cultural maintenance and children`s Korean proficiency.

      • 나움 가보(Naum Gabo)의 구축주의 조각 : 빈 공간의 조형화

        한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나움 가보(Naum Gabo)의 구축주의 조각에 관한 연구이다. 가보는 20세기 초의 과학개념을 기반으로 공간에 대한 시각을 새로이 갖게 되어 이를 자신의 조각에 반영함으로써 비어있는 공간이 작품의 주요요소로 간주되게 하였다. 이는 기존의 양괴중심의 닫혀 있었던 조각에서 탈피하여 공간으로 확장된 열린 조각을 이루었으며, 보이지 않는 빈 공간이 조각의 조형요소로 실체화되는 계기를 이루었다. 가보의 미술은 혁명기 전위적인 미술운동인 러시아 구축주의의 토대에서 성장하였다. 러시아 구축주의는 1917년 혁명을 통한 사회 개혁의 분위기에서 성장한 미술양식으로 기하학적인 형태와 공학에서 볼 수 있는 구축의 방식이 그 형식적인 특징을 이루었으나, 각자의 정치 이념에 따라서 예술을 대하는 태도가 상이하였다. 타틀린은 전통적인 재현적 공간을 거부하고 '실제공간에서의 실제재료'라는 측면을 강조하였으며 예술이 사회적인 이념에 봉사하는 수단이 되기를 역설한 반면 가보는 미술의 사회적인 목표보다는 새로운 재료와 형태에 의거한 조형적인 혁신에 치중하여 비공리적이고 형식적인 구축주의를 선호하였다. 예술을 독자적인 순수 조형의 영역으로 취급한 점에 있어서는 절대주의자인 말레비치와 공통적이었으나 말레비치가 초월적이고 정신적인 세계를 추구한 반면 가보는 과학적 사고체계로 객관적으로 분석되는 현실세계를 제시하였다. 가보는 큐비즘과 미래파의 형식적인 언어에서는 영향을 받았지만 이들이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여겼으며 과학적 사고와 방식을 자신의 조각에 적용함으로써 시대에 맞는 혁신적인 미술 양식을 성립하고자 하였다. 그가 과학에서 받아들인 것은 현대성을 상징하는 재료와 과학적인 기법과 아울러 보다 중요한 것은 작품의 형식이 명료히 드러나는 기하학적 물질을 개념적으로 다루는 과학의 분석적인 사고체계였다. 이는 보다 근본적인 면에서 과학에 접근한 것이며 과학의 주지주의적인 사고체계가 빈 공간을 조각의 조형 요소로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술의 영역에 도입된 것이었다. 그는 이를 위해 기하학의 용적측정법(stereometry)을 도입하여서 빈 공간을 수용하는 '구축'으로서의 조각으로 나아갔을 뿐 아니라 조각이 기하학의 도형과 마찬가지로 객관적인 형식으로 인지되는 주지적 분석의 대상이 되게 하였다. 나아가 수학적인 모델을 직접 작품의 형상에 도입하여서 예술과 과학의 결합을 시도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과학적 방식을 인용한 것은 예술을 과학화했다가 보다 어디까지나 예술로서의 조각적 입체의 혁신을 위한 것이었다. 빈 공간을 조형화하려는 가보의 탐구는 재료와 형식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발전에 나아갔다. 투명한 재료는 빛의 침투 반사를 수반하여 그의 작품을 더욱더 비물질화시키는 동시에 표면이 가상적인 면으로 변형되어 비어있는 공간이 가시화되게 하였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인식은 투명한 면위를 줄 무늬로 조각하거나 실제의 가느다란 줄을 반복하여 매다는 반투명한 선의 흐름으로 인하여 더욱 발전되었다. 또한 그는 조각에 움직임을 도입하여서 공간의 실체에 더욱 가까이 접근하고자 하였다. 그의 작품에 도입된 움직이는 요소는 현대적인 역동미를 상징하고자 할 미래주의자와는 달리 순수하게 조형적인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즉 그는 역동성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역동성자체가 공간 속에 전치되어 있는 것을 시각화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따라서 실제의 움직임 뿐 아니라 역동감이 암시된 가상의 움직임도 동등한 움직임의 요소로 취급하였으며 이는 '움직임'이 그에게 있어서 공간을 더욱 적극적으로 조각의 요소로 시각화하기 위한 하나의 형식이었음을 나타낸다. 조각의 내부에 빈 공간을 수용하려는 가보의 태도는 비어있는 공간에 구조를 이루며 형성되는 건축의 방식에 다가서게 되어 건축적인 조각을 이루게 되었고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공공조작을 통하여 사회적인 공간을 조각의 요소로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가보의 공공조작은 실제 기능적인 목적과는 결부되지 않고 순수하게 형식적인 측면에서만이 건축과 결합된 조형적인 공간이었으며, 예술고유의 영역을 고수하면서 사회 속에 예술을 구현하려는 의지를 나타낸다. This study is about the constructivist sculpture of Naum Gabo (1890∼1977). Gabo based his work upon the scientific concepts born in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which conceived a totally new concept of space and reflected it on his sculptures to make empty space the main element of his work. This served as a momentum to cast off from closed sculpture mainly focusing on 'mass' and to expand the inner structure of sculpture to the outer space, thus the invisible empty space becoming concrete as one plastic element of sculpture. Gabo's art has grown on the basis of Russian Constructivism, avant-garde art movement in revolutional times. Russian Constructivism is formally characteristic in its methods of construction which remind us geometric forms and technological techniques, but artistic attitudes varied according to each ideologies. For example, Vladimir Tatlin asserted that art should be a tool of serving social ideologies by rejecting traditional representative space and emphasizing the 'real material in real space' aspect. On the other hand Gabo preferred non-utilitarian and formal constructivism to social aim of art by focusing on plastic innovation with new materials and forms. In dealing with art as an area of plastic form, Gabo's view of art is similar to that of Kasimir Malevitch, but the latter pursued transcendental, spiritual world while the former presented a real world which can be objectively interpreted by the scientific system of thought. Gabo, though influenced by the formal languages of Cubism and Futurism, regarded those languages out of date and attempted to establish innovational styles of art by applying certain scientific thoughts and methods to his sculpture. What he accepted from science are not only materials and scientific techniques symbolizing modernity but also, more importantly, analytic systems of thought that deal with materials conceptually and geometric structures from which forms of work reveal themselves clearly. This approached science with a more fundamental aspect, and from this act, the intellectualistic thinking systems of science began to be employed to accommodate empty spaces to sculpture as one plastic element. For this, Gabo imported the stereometry in his sculptures as a 'construction' that invites empty space and thus made sculpture an object of intellectual analysis which could be recognized as an objective form like geometric diagrams. Moreover, by applying mathematical models directly to the images of his work, he attempted to unite art with science, but this was to innovate sculptural form rather than to scientify art. Gabo's exploration to plastify empty space has developed with various changes in both material and formal aspects. His transparent materials accompanied penetration and reflection of light to dematerialize his works more and transformed the surface into a imaginary plane to visualize empty spaces. This recognition of space became more clear through his striped sculpture of transparent plane or his piece with semi-transparent streams of repeated thin strings. Also he tried to come more closely to the reality of space by introducing some movements to his sculpture. He introduced mobile elements from pure plastic intention unlike those futurists who tried to symbolize modem dynamic beauties. That is, his aim was not to represent dynamics but to visualize the transposition of dynamics itself into the space. Therefore he treated imaginary movements which implies dynamics as equal to actual movements, and this means that the 'movement' was for Gabo one other possible form to visualize space as a sculptural element. Gabo's attitude to accommodate empty space in the inner side of sculpture approached to the architectural methods of constructing empty spaces inside, accomplishing architectural sculpture. He extended his works a step forward to the social space through his monumental sculptures. However, Gabo' s monumental sculptures, unrelated to actual function, are plastic spaces united with the architecture in the formal aspect which reveal his will to realize art in society by sticking to the inherent realm of art. Through his own constructivist sculpture, Gabo tried to demonstrate his scientifically analytic attitude toward space. Space inside the constructed form was purely plastic one for Gabo, so he made use of models that presented scientific concepts as a tool to actualize space. This Gabo's concept of space and his intellectualistic approaches to art started to convert the concept of sculpture, and the innovational materials and sculptural techniques he used have exerted great influences upon the sculptors of the next generation.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사의문문의 담화맥락적 연구

        한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수사의문문으로 질문과 응답을 할 때, 담화 맥락 상황을 이해하며, 그에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한국어를 보다 자연스럽게 구사하도록 돕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사의문문의 형태 ․ 의미적 특징을 알아보고, 외국인 학습자들이 다양한 담화 맥락 상황에 따라 의미 변화를 일으키는 수사의문문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일반의문문과 더불어 수사의문문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여 다양한 형식과 의미의 한국어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의 연구를 하였다. 1. 서론에서는 수사의문문에 대한 연구 목적 및 필요성과 기존의 연구 성과를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본고의 연구 대상과 논의 순서를 밝혔다. 2. 담화 맥락과 수사의문문에서는 담화 맥락의 개념을 정리하며, 수사의문문에서 담화 맥락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수사의문문이 일반의문문과 어떠한 변별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본고에서의 수사의문문 기준을 제시한다. 3.수사의문문의 특성 중 부정사와의 통합관계, 부사와의 통합관계, 부정법 실현,초분절적 특성, 관용 표현의 특성에 대하여 각 항에 해당하는 예문을 통해 설명하였다. 4. 수사의문문의 담화 기능을 기술하는데, 담화기능의 해석과 담화기능의 실제로 나누었다. 담화기능의 해석은 grice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을 제시하고, 담화 기능의 실제는 강조, 진술을 기본으로 기타 다른 기능들의 결합을 화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기능을 예문과 함께 제시하였다. 5. 한국어 교육에서의 수사의문문 교육방안의 실제를 보여주는 장으로, 하나의 대화 구조를 통해 여러 가지 담화 상황을 설정해 보는 교육 방안과 관용어구를 이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6. 이상 본 연구의 연구 과정을 소개, 한국어 교육에서의 수사의문문의 관심을 촉구하며, 교육 현장에서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한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를 차기 연구로 남겨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