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半導體 생산용 初純水 제조공정의 濃縮廢水 再利用에 따른 온실가스 排出量 산정에 관한 硏究

        한종민 湖西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첨단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들도 산업화 및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 인간의 삶은 과거보다 풍요롭고 편리해지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많은 천연자원들을 소비하고 있고 이로 인해 지구온난화 및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산업은 전력, 가스 등의 에너지와 물을 많이 사용하는 업종으로 소비하는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제조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DI-Water System에 추가로 물 재이용시설인 Re R/O System을 적용하고, 6개월 동안의 운영 자료를 기초로 하여 환경적 편익과 경제적 편익 등의 실효성을 조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용수 절감의 경우 DI-Water System만을 단독으로 운영할 때보다 월 평균 약 2,767㎥의 상수도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물 재이용 시설 추가에 따른 전력소비량은 종전보다 월 평균 약 3,134.6 kwh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배출량 측면의 경우 Re R/O System 전력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 1329.07 ㎏-CO2와 R/O 농축수 재이용량에 의한 온실가스 절감량 918.64 ㎏-CO2를 비교한 결과 전력소비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월 평균 약 410.43 ㎏-CO2 만큼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정개선을 통해 전력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를 반영한다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월 평균 약 254.10 ㎏-CO2가 감축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I-Water System을 단독으로 운영할 경우 DI Water 1㎥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3.01 kg-CO2, Re R/O System을 운영할 경우 DI Water 1㎥ 추가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0.48 kg-CO2, 두 시설을 연계하여 동시에 운영하였을 경우 DI Water 1㎥ 생산 시 온실가스 배출량은 2.15 kg-CO2로 R/O System 대비 약 0.86 kg-CO2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절감됨을 알 수 있었다. 경제적인 측면의 경우 Re R/O System을 적용함으로써 상하수도 요금이 월 평균 약 38.1%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해 보면 DI-Water System 운영 시 R/O 농축수의 재이용시설 설치를 고려한다면 상수도 사용량 감소에 따른 비용절감 뿐만 아니라 DI Water 1㎥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노인들의 소속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

        한종민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이유가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으로 구성된 소속감의 부재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만 60세 이상의 노인 290명을 대상으로 자살생각, 우울, 좌절된 소속감, 짐이 되는 느낌, 삶의 이유 척도를 자기보고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분석하기에 앞서 노인 삶의 이유의 요인구조를 살펴봤으며 그 결과, 세 개의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생존 및 대처 신념, 가족책임 및 자녀관련 걱정, 죽음공포 및 사회적 비난에 대한 두려움). 회귀분석 결과, 짐이 되는 느낌, 삶의 이유의 하위 요인 중 하나인 생존 및 대처 신념이 우울, 연령, 교육수준을 통제한 이후에도 자살생각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이유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좌절된 소속감과 생존 및 대처신념의 상호작용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생존 및 대처 신념의 수준에 따라서 좌절된 소속감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 between the Absence of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was moderated by Reasons for Living among older adul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290 participants ages over 60 years old were recruited from senior welfare centers, senior citizens' centers, park for the elderl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assessi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Thwarted Belongingness, Perceived Burdensomeness, Reasons for Living.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the factor structure of RFL is appropriated for the study samp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identify three factor: Survival and Coping Belifes, Fear of Death and Social Disapproval, Family Responsibility and Child-related Conc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Survival and Coping Belief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Suicidal Ideaton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ge, education Second, Survival and Coping Belief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ther reasons for living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urvival and Coping Beliefs should be considered in interpreting the Thwarted Belongingness and Suicidal ideation.

      • 국내입양에 대한 국민의식과 활성화 방안

        한종민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 who is not protected by divorce by change of sense of values, abscondence, unwed mother's increase by marriage outside pregnancy, economical difficulty etc. along with sudden society change in the case of our country is increasing. But, because domestic adoption had been inactive than main point protection child's number, because specific gravity that foreign countries adoption occupies is high, had constituted a public problem. This research allowed purpose of research to grope activation way of domestic adoption grasping understanding and awareness about people attitude survey that is adoption about adoption, attitude about adoption, attitude about open adoption, attitude about hangup of domestic adoption and activation way etc. hereupon. This research was gone by literature research and two ways of researches to search people's way about adoption laying stress on virtue research about adoption for this purpose. First, referenced data and so on that is collected through connection books and domestic thesis about adoption in literature research, seminar data, art and science announcement literature, faur and equitable spirit misgovernment flag publication etc., and used statistical data of Health-Welfare Ministry and health society researcher. Draw adult man and woman unintentionally more than 20 years old that inhabit Chongju city researches and executed question investigation to 312 people. Because examined data encode, use SPSS WIN 10.0 programs, processed sum total and study finding is as following. If see respondent's attitude about adoption, respondent's 54.8% was interested in adoption, and because consideration motive serves to help misfortune child, because there are many responses, affirmative development is expected forward. But, adoption of disabled children or tool child was expose that is difficult. Hoping that many people do adoption through full text adoption institution in case affiliate, most respondent distinction of sex be unrelated, but prefer girl than boy and age preferred newborn baby. Respondent of blood type 70% wanted to agree with foster parents, census registration ravailability 59.9% hoped that raise by my child. After adoption responded that do not need if there is no need and special discord for the present after adoption after adoption. If examine attitude about open adoption, is restricting extent about open availability than perfection open, but had affirmative attitude fairly about that exhibit adoption truth to child and that child meets birth parent. But, was expose that dislike about that inform adoption truth around. Also, foster parents session was thought that raise well adoption child little more and need get information about adoption. Problem of domestic adoption felt confucian family values which taking a serious view blood. The other side, spoke that people's each person's effort as well as country is important, and first of all change negative people's way about domestic adoption to activate domestic adoption. Wish to do following offer on the basis of above-mentioned result. First, because of administration formality, must simplify duplicate process and erase needless document and simplify adoption formality. Second, the country must support fully about adoption arrangement expense, and governmental financial support is magnified about adoption home which need economical help do. Third, should be converted by open adoption that consider in child's situation than adoption parents' situation for wholesome growth development of adopted child and genuine development of domestic adoption. Fourth, need to examine thoroughly permission of singleness adoption (celibacy home) in case have enough ability that domestic adoption can affiliate in inactive situation. Fifth, must activate home trust protection achievement drive rain infertility couple's participation with that keep children and tool increases obstacle child adoption. sixth, publicize actively in national dimension because social awareness about domestic adoption is very negative yet, must change negative people's way about adoption positively.

      • 예방적 유지보수를 위한 박층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능 평가

        한종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sphalt pavement in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bu Expressway in the 1970s and a total length of road pavement has reached 110,091 km by 2017. As the length of roads increases and the road pavement life increases, road maintenance costs increase by 20 years or more. Road maintenance costs will reach 2,882.9 billion won in 2016, which will be spent on road pavement. Accounting for 27.0%. Maintenance of pavement roads i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condition of the pavemen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it is divided into post repair method and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pplication of the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in order to effectively deal with the maintenance of the roads every year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proper maintenance for the sections requiring maintenance due to budget shortage. In this paper,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the thin layer hot mixed asphalt mixture and the pavement method developed for preventive maintenance was verified through the laboratory mix design and physical tests, and the durability performance by the Hamburg wheel tracking and pavement accelerated test. And the site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site mix design analysis and on - site construction monitoring, as well as on - site survey analysis by follow - up survey on two test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urability and the workability were excellent by comparing the conventional maintenance method of the conventional hot mixed asphalt mixture for the overlay after cutting and the non - cut thin layer hot mixed asphalt mixture of the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As a result of evaluating Marshall stability, indirect tensile strength and dynamic stability as a laboratory test for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es of the thin overlay mixture and the general mixture, the quality of the thin overlay hot mixed asphalt mixtur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ot mixed asphalt mixture. In addition, the Hamburg Wheel Tracking Test and the Laboratory Pavement Acceleration Test for commonality evaluation showed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the same conditions. The test results of March and December for the field application and commonality evaluation showed no problem. In the field survey analysis made 2 years after the public inspection, the two test sections were maintained without breakage and the noise reduction effect And the skid resistance effect. As a result, the thin overlay hot mixed asphalt mixture and pavement method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pavement and reduces the maintenance cost by thin layer pavement method without cutting. If it is commercialized in domestic and foreign pavement maintenance market, it provides better quality in various aspects You can conclude that you can.

      • TWIP 강의 바우싱거 효과와 변형경화 효과에 미치는 전변형의 영향

        한종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경량화와 성형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존 철강 제품을 경량합금, Dual phase 강, TWIP(TWinning-Induced Plasticity) 및 TRIP(TRansformation-Induced Plasticity) 강들로 대체하고 있다. 이 중 TWIP강은 높은 인장 강도와 큰 연성의 우수한 조합으로 인해서 최근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TWIP강판을 제작할 때 코일형태로 제작과 평탄화 공정으로 인해 바우싱거(Bauschinger)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바우싱거 효과는 기존의 강재가 가지고 있는 항복강도보다 낮은 항복점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TWIP강을 제품으로 성형할 시 스프링백(Spring back)을 예측하여 금형을 수정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스프링백 현상은 재료에 변형을 가했을 때 다시 원래의 방향으로 탄성변형영역만큼 돌아가는 현상이다. 또한 스프링백 현상은 후방응력(Back stress)과 관련 있으며, 이러한 후방응력은 Forward변형 시 유동응력에 저항하지만 reverse변형시 소성변형에 도움이 되며 바우싱거 효과로 인한 응력차이에 영향을 미친다. 바우싱거 효과로 인해 낮은 항복점에서 소성변형이 일어나면 스프링백의 양이 변화되어 정밀한 수치예측이 어려워 불량품이 만들어진다. 그래서 스프링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우싱거 효과까지 같이 고려를 해야 한다. TWIP강은 소성변형 시 파단까지 쌍정이 연속으로 생성된다. 쌍정은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우싱거 효과를 고려할 때 전위밀도와 함께 쌍정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장-압축-인장 시험을 통하여 다양한 전변형(인장-압축, 압축-인장, 인장-압축-인장)에 관한 바우싱거 효과와 변형경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3가지의 바우싱거 인자(Bauschinger parameter)를 사용하여 바우싱거 효과와 변형경화 효과를 정량화했다. 또한 EBS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분석을 통해 전위의 이동과 쌍정의 형성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EBSD분석을 통해 쌍정은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초기 쌍정의 형성은 바우싱거 효과의 증가에 도움을 주는 것을 3가지 Bauschinger parameter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변형이 많이 진행되었을 때 쌍정과 전위밀도 모두 많이 증가하였다. 이 때 전위들 간에 서로 엉키는 현상으로 인해 바우싱거 효과는 감소하고 변형경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쌍정은 이러한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역할로써 변형경화 효과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 코로나19로 인한 가정경제 상태변화와 청소년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한종민 상지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종바이러스인 코로나19 감염병의 발발 및 감염병 유행의 확산으로 인하여 전세계는 긴장감 속에서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지자체별로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의 방법을 통해 코로나19의 전염을 막기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정책들이 소비를 위축시켜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가정경제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제활동의 변화 이외에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일상생활의 다양한 변화들은 우울감, 무기력증 등 정신건강에도 많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성인에 비하여 정신건강에 취약함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등교제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의 전환, 친구들과의 만남 제한 등 일상생활에 가져온 변화가 우울감, 불안감, 스트레스 등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청소년 정신건강 관련 실증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제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가정의 경제 상태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비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 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건강행태 통계를 산출하여 청소년 건강정책과 건강증진 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본 연구에서 활용한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해당연도의 8월부터 11월까지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청소년 정신건강은 청소년의 우울감 경험과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적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로 3가자 범주의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별, 학년, 학업성적, 거주형태, 주관적 건강상태, 스마트폰 의존도, 스트레스 인지도, 현재 음주 상태, 현재 흡연(일반담배, 궐련형 전자담배) 상태, 아침식사 횟수를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둘째, 독립변수별로 청소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독립변수와 정신건강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청소년 총 54,948명중 남자 청소년은 51.9%(28,353명), 여자 청소년은 48.1%(26,595명)가 응답하였으며, 청소년의 주관적 가정경제 상태에 따라 경제 상태가 상 39.9%(21,339명), 중 47.5%(26,397명), 하 12.6%(7,212명)로 분석되었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의 경제적 상태가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30.0%(16,839명)로 분석되었다. 반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 변화 결과에 대한 분석결과 경제적 상태가 나빠져서 상 7.8%(4,320명), 나빠져서 중 15.0%(8,403명), 나빠져서 하 7.2%(4,116명)의 비율로 분석되었다. 한편 연구대상자중 우울감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25.2%(13,840명), 자살생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10.9%(5,979명)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가정경제 상태변화별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우울감 경험과 자살생각 경험 모두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 이후 가정 경제 상태변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Model 1은 주관적 경제상태, 코로나19이후 경제 상태변화로 지정하였고 Model2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결과로 지정하여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우울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104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경우 1.309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모두 우울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정경제 상태변화가 자살 생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 경험과 비슷한 양상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Model 1에서는 주관적 경제상태가 상에 비하여 하가 1.380배 오즈비 만큼 높았으며, 코로나19이후 가정경제 상태변화 없음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가 나빠진 경우 1.242배 오즈비 만큼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Model2에서는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상에 비하여 경제적 상태변화 없이 하, 경제적 상태 나빠져서 상, 중, 하 모두 오즈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자살 생각 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태변화 결과 동일 그룹이더라도 경제상태가 변화 없는 그룹보다 경제상태가 나빠진 그룹에서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높다는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2020년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의 원시자료를 사용한 단면연구로 전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축된 자료이기 때문에 추후 해당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 대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변수의 항목을 생성할 수 없는 이차 자료의 한계점이 있으며, 청소년건강행태조사가 익명성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들의 불성실한 응답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응답을 요구하는 문항은 연구 결과의 신뢰성에 한계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에 따라 가정경제 상태가 나빠져 정신건강에 영향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우울감 경험 및 자살생각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각도의 인지기능 저하 방지 프로그램을 시행 및 그들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 이외에 가족 및 지역사회 관계, 부모의 교육수준, 부양가족의 존재등 다양한 변수를 추가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response to the outbreak and spread of the new virus named COVID-19,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n tension and they are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end COVID-19. In case of South Korea,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is taking various measures such as social distancing and mandating facial masks to prevent spread of COVID-19. However, COVID-19 prevention policies such as social distancing decreased consumption and largely influenced on overall economic recession together with home economy. Other than changes in economic activities, diverse daily changes that happened in order to prevent COVID-19 are adversely affecting on th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lethargy. Especially, in case of youth who show more vulnerable mental health compared to adults, changes in their everyday life such as school restriction, transition to online contactless class, and restriction in meeting friends are acting as factors that influence on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Meanwhile, there are only few empirical studies on mental health of youth in COVID-19 situation. In response,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he mental health of youth is related to changes in home economy caused by restriction in economic activities due to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such investigation results as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youth in preparation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This study utilized raw data from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is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youth health strategies and health promotion projects by presenting the statistical data on health behaviors of youth. The 16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0) utilized in this study conducted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on 7th graders to 12th grader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20 due to COVID-19. In this study,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n suicidal thinking of youth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economic status after COVID-19 were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olled factors including gender, grade, academic performance, type of residenc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level of dependence on smart phone, level of stress awareness, drinking status, smoking status (general tobacco, electronic cigarette), and breakfast which may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The analysis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igured out frequency and percentage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Secondly, this study conducted a cross analys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youth mental health depending on each independent variable. Third,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ntal heal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mong 54,948 subjects, 51.9% (28,353) were male subjects and 48.1% were female subjects (26,595). For the subjective home economic status, 39.9% (21,339)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high-standing while 47.5% (26,397) and 12.6% (7,212) of them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mid-standing and low-standing respectively. Also, 30.0%(16,83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 home economy got worse after COVID-19. Meanwhile, for the results from the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7.8% (4,32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high-standing while 15.0%(8,403) and 7.2%(4,116)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ir home economy declined to mid-standing and low-standing each due to influence of COVID-19. Also, 25.2% (13,840)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depression while 10.9% (5,979) of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ve thought about suicide. In the analysis on whether the subjects show the difference on mental health for changes in each home economy status,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depending on subjective home economy status,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nd results from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To analyze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this study designated Model 1 as subjective economy status and changes in home economy after COVID-19 while Model 2 was designated as the result of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due to COVID-19. After that,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Model 1 and Model 2. The result for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depression was as follows. In regard to subjective economy status, low-standing was higher than high-standing by 1.104 times odds ratio in Model 1.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depression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309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is in low-standing without experiencing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high-standing subjects and where subjects think their home economy is to be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Also, both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depression. The analysis on how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influence on the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demonstrated that both experi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show similar patterns. The analysis result was as follows. In Model 1, subjects who subjectively think that their home economy status is in low-standing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high-standing subjects by 1.380 times odds ratio. When the home economy status of subjects worsened after COVID-19, the subjects showed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higher than subjects who didn’t go through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fter COVID-19 by 1.242 times odds ratio. In Model 2, odds ratio was analyzed to be high for both cases where subjects are in low-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compared to subjects who are in high-standing without changes in home economy status and where subjects to be in high, mid, or low-standing due to worsening of home economy status. Also, all these cas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xperience of suicidal thinking. The results implied that even if the subjects belonged to the same standing after COVID-19, subjects who experienced the decline in home economy showed higher influence in mental health compared to the subjects that didn’t experience any change in economic status. Also, a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hat utilized the raw data from representative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the results are applicable on whole youth groups since it was designed for the youth nationwide. However, this study holds limitations in secondary materials because the variable items cannot be crea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as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conducted an anonymous online self-administered survey, the subjects may have answered unfaithfully. Also, questions that ask about the subjective thought of subjects may act as the limitation in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results. To reduce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of youth whose mental health had been influenced by the worsening home economy after COVID-19,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rograms for preventing decline of precognitive function from various sides and carry out constant monitoring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lso, further researches need to add various variables including family, community relationship, education level of parents, and dependent family member other tha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mental health of youth more clearly.

      • S보험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한종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보험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구성원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각 변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실증적인 조사도구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와 구성원 교환관계의 정도나 수준이 높을수록 구성원 혁신행동은 높아진다. 둘째, 리더와 구성원 교환관계의 정도나 수준이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이 향상된다. 셋째, 리더와 구성원 교환관계와 구성원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이 높을수록 혁신행동이 증가한다.

      • JAK-STAT signaling in breast cancer cell regulates paclitaxel sensitivity by tumor micro-environment interactions

        한종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암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유방암의 발병률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삼중 음성 유방암 은 여러가지 아형 유방암 중 가장 악성이며 치료하기가 가장 어려운 유형이다. 다른 아형 유방암에서는 호르몬 요법을 통해 estrogen 수용체, progesterone 수용체, 그리고 HER2 수용체 중 하나를 표적으로 하여 치료하지만, 삼중 음성 유방암의 경우 이러한 수용체 분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려우며 보통 항암치료를 동반하게 된다. 파클리탁셀은 유방암의 치료에 대표적인 항암제 중 하나이지만, 항암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파클리탁셀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기도 하며, 이러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은 유방암의 치료에 있어 여전히 큰 문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어떠한 기작으로 파클리탁셀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7가지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유래조직 모델을 이용하여 파클리탁셀에 대한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유래조직 모델들은 대조군과 파클리탁셀 투여군으로 구성되었고, PBS 또는 파클리탁셀을 15mg/kg으로 4주간 복강 내 주사로 투여한 후 파클리탁셀에 대한 종양크기의 감소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상대적으로 파클리탁셀에 의한 반응성이 적은 4가지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유래조직 모델을 파클리탁셀 저항성 군으로 정하였고, 파클리탁셀에 의한 반응성이 큰 3가지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유래조직 모델을 파클리탁셀 반응성 군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파클리탁셀 저항성 군과 파클리탁셀의 반응성 군의 전사체와 유전체 시퀀싱 분석을 통해 어떠한 유전자들의 발현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파클리탁셀에 저항성을 가지는 군에서 JAK-STAT pathway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파클리탁셀에 반응성을 가지는 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JAK-STAT pathway의 활성에 의해 파클리탁셀에 저항성을 가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따라서 파클리탁셀 저항성을 가지는 군의 종양과 파클리탁셀 반응성을 가지는 군의 종양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JAK-STAT pathway와 관련된 단백질들의 발현량과 이들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사체 시퀀싱 분석의 결과와 유사하게 단백질 수준에서도 JAK-STAT pathway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유방암 세포에 적용시키기 위해, qPCR와 western blot을 통해 JAK-STAT pathway가 활성이 되어 있는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들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된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들에서 JAK1과 JAK2의 저해제인 룩소리티님과 파클리탁셀을 동시에 처리하여 상승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JAK2를 siRNA를 이용하여 발현을 억제하였을 때, 파클리탁셀에 의한 항암작용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JAK-STAT pathway의 활성이 파클리탁셀의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JAK-STAT pathway는 종양 이외에 종양 주변의 미세환경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의 연구결과가 많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JAK-STAT pathway가 종양 주변 미세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의 DEG를 분석하였을 때, cell cycle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량이 파클리탁셀 저항성을 가지는 군에서 증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면역염색을 통해 파클리탁셀 저항성을 가지는 종양 주변의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fibroblast와 endothelial cell에서 세포증식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JAK2가 억제된 conditioned media에서 키운 마우스의 fibroblast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JAK-STAT pathway의 활성이 종양 주변의 미세환경 구성하는 fibroblast 또는 endothelial cell과 같은 세포들의 증식을 조절함으로써 파클리탁셀에 대한 반응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파클리탁셀에 내성이 있는 삼중음성 유방암의 잠재적인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reast cancer is consistently the cancer type that makes up the highest proportion of cancers in women worldwide.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 is the most malignant and difficult to treat. Although most hormone therapies target one of three receptors in other breast cancer subtypes, TNBC does not have any targeting molecule. Therefore,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s (TNBCs) often require chemotherapy. Paclitaxel is a well-known chemotherapeutic agent for breast cancer, but patients often acquire resistance to paclitaxel during chemotherapy.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paclitaxel resistance that occurs in TNBC tumors, response to paclitaxel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seven xenograft mode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TNBC in-vivo . For each TNBC PDX model, 10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either PBS (Vehicle) or paclitaxel (15 mg/kg) for 4 weeks. Of the seven PDX models, the four that did not experience a reduction in tumor size by paclitaxel were designated as the paclitaxel-resistant group. The three PDX models whose tumor siz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paclitaxel were designated as the paclitaxel-sensitive group. Then, transcriptome sequencing data from both groups were analyzed. JAK-STAT pathway-related genes were identified among the many genes with increased expression levels in the paclitaxel-resistant group compared to the paclitaxel-sensitive group.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pregulation of the JAK-STAT pathway and paclitaxel resistance was the focus of this study. It was further observed that paclitaxel and ruxolitinib (JAK1/JAK2 inhibitor) combination treatment in five TNBC cell lines has a synergistic effect on anti-cancer activity. When JAK2 gene knockdown by JAK2 siRNA occurred in four TNBC cell lines in vitro, JAK2 inhibition TNBC cell lines were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paclitaxel. Additionally, the paclitaxel-resistant tumors upregulated the cell cycle-related gene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s. Therefore, tumor microenvironments, such as fibroblasts and endothelial cells, were found to have upregulated proliferation in the tumors of mice in the paclitaxel-resistant group. And it was confirmed that proliferation decreased in fibroblasts incubated in CM extracted from JAK2-inhibited TNBC cell 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paclitaxel resistance in TNBC is correlated with various genomic changes and the upregulation of the JAK-STAT pathway. Further studies are essential to clarify the mechanistic pathways of the JAK-STAT pathway correlated with paclitaxel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