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TPB에 입각한 복합리조트 방문고객의 의사결정 연구

        한정훈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sumption value of the visitor to the complex resort reflecting the latest resort trends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ETPB). Therefore, a survey was conducted for visitors who check-in and check-out at 6 complex resort lobbies from August 5 to August 31 (27 days) in 2019.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by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assistant directly to the survey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were collected. A total of 3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the survey period (27 days), of which 30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 total of 30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accurat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Windows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functional, emotional and convenience values, which are sub-variables of complex resort visitor consumption values, on attitudes,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expanded theory of planning behavior, showed that functional values and attitudes were 0.50.5 (p <.001). , Emotional value and attitude = 0.151 (p <.001), and convenience value and attitude = 0.260 (p <.001). Second, th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norms,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functional behavior, emotional values, and convenience values,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consumption value of the visitor using complex resorts, were functional values and subjective norms = 0.273 (p <.001). In addition, emotional values and subjective norms were 0.456 (p <.001), whi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Third, the influence 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ich is a sub-variable of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hich is a sub-variable of the value of the visitor's consumption value of the complex resort, was functional valu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261 (p <.001) and emotional valu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0.381 (p <.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Fourth, the influence on prior knowledge, which is a sub-variable of functional behavior, emotional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value of the visitor's consumption value of complex resorts, was functional value and prior knowledge = 0.116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value and prior knowledge = 0.289 (p <.001) and convenience value and prior knowledge = -0.195 (p <.001). Fifth, the influence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rior knowledge on revisit inten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of the complex resort visitor, were attitude and revisit intention = 0.541 (p <.001), subjective norms and return visit intent = 0.357 (p <.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return visit intention = 0.358p <.001), prior knowledge and return visit intention = 0.104 (p <. 05)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Sixth, the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prior knowledge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hich is a sub-variant of the behavioral intention, are the attitud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0.150 (p <.001), subjective norms and referral intentions = 0.227 (p <.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referral intentions = 0.288 (p <.001), prior knowledg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 0.252 (p <.001)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Seventh, the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visitor's consumption value of the complex resort, were examined on the re-visit inten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functional value and re-visit intention was 0.854 (p <.001). ), Emotional value and return visit intention = 0.259 (p <.001), and convenience value and return visit intention = 0.095 (p <.001). Eighth, the effect of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convenience value,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value of the visitor's consumption on complex resorts,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behavioral intention, emotional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0.651 (p <.001). ), Convenience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significant (+). In this regard, complex resort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visiting customers and establish strategies to meet consumer needs. In addition, marketing and advertising should be carried out to maintain the brand image of the complex resort, and the best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facilities and services that are satisfactory to custome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visiting customers accessing the complex resort through the homepage, SNS, online, and smart phones is increasing. Efforts will need to be made to images and promotions that influence beliefs and attitudes in order to increase visitor behavioral intentions. In addition, not only training of complex resort employees, but also overall service training that leads to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impression of customers are needed. 본 연구는 최신 리조트 트렌드를 반영하는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의 소비가치가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통하여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이에 복합리조트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2019년 08월 5일부터 8월 31일(27일간)에 걸쳐 6개의 복합리조트 로비에서 체크인, 체크아웃을 하는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직접 조사 대상자에게 배포한 후 설문이 완료된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조사기간(27일간)동안 총 330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였는데 이중 총 305부가 최종적인 분석에 활용되었다. 총 308부가 최종적인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정확한 분석을 하기 위해서 통계 프로그램인 Windows SPSS 22.0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태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기능적 가치와 태도는 =0.566(p<.001), 정서적 가치와 태도 =0.151(p<.001), 편의적 가치와 태도 =0.260(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주관적 규범에 대한 영향은 기능적 가치와 주관적 규범 =0.273(p<.001), 정서적 가치와 주관적 규범 =0.456(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지각된 행동통제에 대한 영향은 기능적 가치와 지각된 행동통제 =0.261(p<.001), 정서적 가치와 지각된 행동통제 =0.381(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넷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사전지식에 대한 영향은 기능적 가치와 사전지식 =0.116(p<.05), 정서적 가치와 사전지식 =0.289(p<.001), 편의적 가치와 사전지식 =-0.195(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다섯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사전지식이 행동의도의 하위변인인 재방문의도에 대한 영향은 태도와 재방문의도 =0.541(p<.001), 주관적 규범과 재방문의도 =0.357(p<.001), 지각된 행동통제와 재방문의도 =0.358p<.001), 사전지식과 재방문의도 =0.104(p<.05)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여섯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하위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사전지식이 행동의도의 하위변인인 추천의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태도와 추천의도 =0.150(p<.001), 주관적 규범과 추천의도 =0.227(p<.001), 지각된 행동통제와 추천의도 =0.288(p<.001), 사전지식과 추천의도 =0.252(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일곱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행동의도의 하위변인인 재방문의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기능적 가치와 재방문의도 =0.854(p<.001), 정서적 가치와 재방문의도 =0.259(p<.001), 편의적 가치와 재방문의도 =0.095(p<.001)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여덟째, 복합리조트 이용 방문고객 소비가치의 하위변인인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편의적 가치가 행동의도의 하위변인인 추천의도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적 가치와 추천의도 =0.651(p<.001), 편의적 가치와 추천의도 =-0.086(p<.05)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이에 복합리조트 측에서는 방문 고객들을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의 기초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보다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복합리조트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는 마케팅과 광고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고객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홈페이지, SNS, 온라인, 스마트폰 등을 통해 복합리조트에 접근하는 방문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각 경로에 대한 사항을 파악하고 미리 준비하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방문객의 행동의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신념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와 홍보에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복합리조트 종사원들의 단순히 교육이 아닌 조직의 이익과 고객의 감동으로 이어지는 총체적인 서비스교육이 필요하다.

      • 중소기업을 위한 소비자분쟁처리시스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정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are in relatively poor position in the brand and corporate reputation compare to large companies. SMEs have trouble with limited funds to response customers or solve legal problems with customers. There are totally 42,781 case about consumer damages relief received by Korea Consumer Agency from 2008 to 2009. Among these cases SMEs care accounted for 62.9% of the total cases. Therefore, the effective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ystem of Application Service Provider(ASP) for the relief and prevention of consumer damage must be used to protect the small business and promote company's comsumer-friendly management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was based on questionnaires filled in by 206 members who worked in charge of consumer complaints in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effects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ystem on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S Success Model on the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accuracy, convenience and flexibility of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hows that reliability of the system not found effect on both of mediating variabl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f conducting research targeting consumer dispute resolution system for small and business enterprises in the situation where the market is not built yet to present a plan to raise the real applicability.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브랜드 및 기업 인지도 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위치에 있으며, 자금의 한계로 회사 고객 상담실 및 법무팀 등 소비자대응을 위한 자본 투자를 기대하기 어려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소비자원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접수된 총 소비자피해구제 접수건수는 42,781건이며, 이 가운데 중소기업 관련 소비자피해구제 건은 26,903건으로 전체의 62.9%를 차지했다. 중소기업 관련 피해금액비중으로는 40.5%로 건수비중에 비해 금액비중은 낮은 소액다발의 특성을 보였다. 이에 따른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에 의한 소비자 피해의 신속한 구제와 사전 예방을 위해서는 전국의 소비자피해처리 채널과 정보제공 서비스를 통합한 종합적인 지원시스템 마련이 시급하고 블랙컨슈머에 대한 신속한 응대시스템 지원으로 제품 사고에 대한 투명한 처리방식이 요구된다. 따라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소비자 피해 구제 및 사전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시스템을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방식의 효율적인 소비자분쟁처리시스템 사용으로 중소기업을 보호함과 동시에 기업의 소비자 친화경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소상공인업체에서 소비자불만 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 대상하여 총 206부의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기술수용모델, 혁신확산이론, IS 성공모형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분쟁처리시스템의 정보품질, 시스템 품질, 환경적 요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소비자분쟁처리시스템의 정확성, 편리성, 유연성은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뢰성의 경우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사용용이성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분쟁처리 시스템 시장이 아직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소비자분쟁처리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실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 사과 묘목 생산에 있어서 거접(field grafting)과 양접(bench grafting)간의 효율성 비교

        한정훈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ee different methods for producing of 'Fuji'/M.9 nursery apple trees, were studied.; 1)ㅁ direct grafting 'Fuji' on M.9 after rootstock planting on March 15, 2) planting plants on March 15n after bench grafting 'Fuji' on M.9 on February 11, 3) grafting 'Fuji' on M.9 after planting rootsotcks on April 1. Grafting work for bench grafting took 33% shorter than time for field grafting. The production ratio of feathered trees was higher in the treatment of planting materials after bench grating than two other methods. Stem diameter, tree height and feather number of nursery trees were almost same among three treatments, but trees produced by bench grating had many short branches than trees produced by other methods. In cloclusion, producing apple trees by bench grafting might be a good alternative methods because it took shorter grafting time and could use idle labor in February.

      • 초등사회과 지역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 울산시 남구 옥동 목요장의 형성과 폐쇄 과정을 중심으로

        한정훈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지역은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되어지고 있다. 공간적 관점의 지역에서는 입지조건과 공간유형을, 장소적 관점의 지역에서는 장소 정체성과 장소감의 이해를, 환경적 관점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쾌적함과 안락함에서의 환경으로 지역은 설명되어지고 이해되고 가치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기 시장인 요일장 중에서 울산에서 가장 크게 번성했고 또한 남구청에 의해 행정 대집행으로 폐쇄가 된 옥동 목요장의 형성과 폐쇄 과정에 초점을 맞춰 지역학습으로 구성해 보았다. 먼저, Ⅱ장 시장조사 교재화 가능성의 시장의 생성에서는 Stein의 정기시장의 형성 이론과 Hay와 Bromley의 이론을 제시한다. 시장의 소멸에서는 시장의 형태 중 가장 쇠퇴의 기로에 선 상설시장을 통해 그들의 역할이 이동시장으로 이어졌음을 밝힌다. 즉 남구 옥동 목요장은 생성적 차원에서 볼 때, Hay의 이론에서 고정적인 지출비용과 수요와의 관계에 비추어 영세 상인들은 지대와 건물 점포세, 각종 세금을 낼 필요 없이 손쉽게 좌판, 천막 또는 트럭으로 영업을 할 수 있으며 거기에 맞춰 소비자들의 구매수요가 발생했기 때문에 번창하였다. 소멸적 차원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정기시장은 대형할인점과 재래시장의 틈새시장을 공략해서 나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재래시장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덧붙여 연구 지역인 울산의 대략적인 개관으로 연혁, 기후, 산업, 역사 등을 알아본다. 지역학습 교재로서 시장조사에서는 3학년 1학기의 시장단원을 제시하고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줄 수 있는 유의미한 학습 경험의 장점을 알아본다. Ⅲ장 옥동 목요장의 형성과 폐쇄의 공간적 관점에서는 요일장의 형성 요인을 밝혀본다. 또한 그 중에서도 옥동 목요장이 가장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를 알아본다. 폐쇄의 과정에서는 폐쇄의 요인과 폐쇄 과정에 대해 일련의 과정을 살핀다. 다음으로 다른 요일장에 판매되는 상품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미 폐쇄되어 없어진 옥동 목요장에서 판매되었던 품목을 유추해 본다. 장소적 관점에서는 장소애착의 유형인 장소정체성, 장소의존성, 장소착근성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해보고, 장소감에서는 Ralph의 장소경험의 7가지 유형인 부수적 외부성, 실존적 외부성, 객관적 외부성, 대리적 내부성, 행동적 내부성, 감정이입적 내부성, 실존적 내부성을 제시하고 부연 설명한다. 그리고 진정한 장소감을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진정성의 요소를 Buber의 인간주의 철학에서의 대화적 관계의 요소에서 그 의미를 찾아본다. 상호성에서는 장소에 대한 의미부여와 장소에 대한 예의와 정성을 다하는 마음을, 직접성에서는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며 이용과 수단이 아닌 지속가능한 발전의 대상으로 보는 것, 시간적 현재성에서는 장소와의 사이에서 받게 되는 현재의 자신의 만족되는 삶 즉 그 장소로 인해 안정된 마음을 가지는 것, 강렬성에서는 장소에 대한 노력, 표현불가능성에서는 장소에 대한 감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진정성의 요소를 옥동 목요장을 둘러싼 세 주체인 노점상인, 상가상인, 지역주민의 관점에서 그들의 진정성에 대해 풀어본다. 옥동 목요장은 옥동에 펼쳐진 경관이지만 그 입장이 서로 각기 달라 그 둘을 떼어 놓고 진정성을 살피기로 한다. 이와 같은 진정성을 밝혀주는 것은 학습자들에게 역지사지의 자세를 보여줘 다른 사람들에게 비춰지는 옥동이 남다르게 다가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환경적 관점에서는 정치생태학적 관점에서 비판과 대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도시 공동체적인 성격으로 아파트 주민 운동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쾌적한 환경 조성으로의 요일장과의 관계를 밝혀본다. 이후 요일장에 대한 찬성과 반대 의견에 대한 대안으로써의 미래를 제시해본다. 또한 다른 지역에서 벌어지는 노점상 해결사례를 살펴보며 옥동에서의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공간, 장소, 환경 관점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학습 수업지도안을 예시하는데 공간학습에서는 개념탐구중심 학습을, 장소학습에서는 문제해결중심 학습을, 환경학습에서는 의사결정중심 학습으로 수업을 계획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옥동 목요장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대해 파악하는 과정은 '시장형성의 입지조건' 과 관련된 학습의 소재가 되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과 현재 부각되고 있는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무엇보다 학습자들의 주변에서 낯익은 경관을 중심으로 낯설게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학습의 동기유발과 학습 내용에 대한 관심을 흥미로 더할 수 있고, 교사들에게 지역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한 내용을 지역학습의 교재로서 변환할 수 있는 실천적인 사례를 제시하여 지역학습에 디딤돌을 놓을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Nowadays, a region is recognized in various points of view. The region is explained, understood and allowed to be value-judged with location conditions in a space point of view, understanding of location identity and feeling in a locational point of view,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fortability in an environmental point of view. Formation and closure processes of the Thursday market of Ok-dong that prospered mostly among day markets as a new type of periodical markets and was closed by administrative execution of a district office in Ulsan were focused in this study as a local study subject. First of all, a formation theory of a periodical market by Stein and a theory by Hay and Bromley are suggested in market formation of teaching material possibility of a market study of Chapter 2. It will be shown in market disappearance that a role of a permanent market that is located in a crossway of decline among market types has been transformed to a moving market. In other words, when relationship between fixed expenses and demand is considered in a formation aspect by the theory of Hay, Ok-dong Thursday market at Nam district prospered because small sellers could easily do business with a stall, a tent and a truck without paying land rent fee, store rent fee and various taxes, as well as buying demand of customers was generated. In an extinctive aspect, a new type of the periodical market took its region by utilizing a niche market between a large discount store and a traditional market, and grew to the extent capable of replacing function and a role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addition to this discussion, history, weather and industry of Ulsan as a studied region are reviewed roughly. A market section in a first semester of third school year is suggested as regional study materials in a market survey, and advantages of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capable of giving learners are searched through this study. Formation factors of day markets will be found in a space aspect of formation and closure of the Ok-dong Thursday market of Chapter 3.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closure factors and processes will be viewed in the closure processes. Location identity, location dependence and location rooting ability as types of location affection in a locational aspect are suggested and their meanings will be analyzed. Seven types of accessary outness, existing outness, objective outness, acting innerness, behavioral innerness, empathy innerness and existing innerness of location experience by Ralph are suggested and explained in a aspect of location feeling. Also, meaning of elements of reality that can feel real location feeling will be found in the element of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in humanism philosophy of Buber. We can mind with meaning assignment, courtesy, sincerity about location in an aspect of mutuality, seeing directly without prejudice as well as seeing an obj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not use and means in an aspect of directness, satisfactory present life received from location, that is, having stable mind due to the location in an aspect of time presentness, efforts about the location in an aspect of intensity and feeling about the location in an aspect of expression unability. Elements of reality are viewed in aspects of a stall trader, a merchant of a shopping center and local residents as three main bodies surrounding the Ok-dong Thursday market. Although the Ok-dong Thursday market is a scene spread in Ok-dong, the reality will be viewed after separating the two aspects because the two aspec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larifying the reality shows learners posture like what it's like when the shoe is on the other foot, so it provides an opportunity that OK-dong looks like different to other people. An opinion about criticism and alternative in political and ecological aspects are suggested in an environmental aspect. A direction of apartment resident movement as city community characteristics will be searched, and a relat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region and the day market formed in comfortable environment will be clarified. Afterwards, the future will be suggested as alternative about approving and opposing opinions for the day market. Also, solving examples of a stall trader occurred in other region will be viewed and a solving method in Ok-dong will be suggested. A teaching guideline of local learning is illustrated on the base of the study content in the space, locati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the teaching is planed to be concept search learning in space learning, problem settlement learning in a location learning and decision-making learning in environmental learning. A process understanding how the Ok-dong Thursday market becoming as social issues was formed is learning materials related with 'location conditions of market formation', and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a forwarding direction and a current problem-solving method. Learners can have more interest about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learning contents because they can see the familiar view around them and feel unfamiliar, and teachers can play a role to put a stepping stone in local learning by suggesting practical examples capable of converting contents criticall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region to local learning materials.

      • 국내ㆍ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비교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정훈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20세기는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과학기술의 발달로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의 산업사회가 정착되면서 오존층 파괴, 기상 이변,&nbsp;생물종 감소 등 인류는 새로운 세기와 함께 "환경위기"라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건축물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3분의 1, 자원 소비량의 40%,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50%, 폐기물 배출의 20~30%, 물 소비량의 17%, 목재 소비량의 25%를 차지하고 있어, 이로 인해 전 세계 기후변화 문제를 포함한 환경위기와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국내도 건축분야에서의 환경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1년 정부의 주도적인 역할아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마련하여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걸친 건축의 전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환경 부담을 줄이고, 친환경건축물의 확산이라는 직접적인 효과와 함께 국민들에게는 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업계 및 학계에 대해서는 환경기술발전 및 관련 연구 활동 촉진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국내 공동주택 및 주거단지들은 개발위주의 시대에 맞추어 단순한 양적 공급의 확대와 경제성의 논리를 우선시하여 개발됨에 따라 생태환경의 파괴와 교통문제가 발생하는 등 국토의 난 개발로 인한 일부 주거환경 수준의 질적 저하는 현실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국내 친환경공동주택 인증제도 기준과 국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미국의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일본의 CASBEE(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for Building Environmental Efficiency), 영국의 BREEAM(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을 대상으로 인증제도 개발배경, 목적 및 프로그램의 주요특성들을 알아 본 후, 각국의 친환경공동주택 인증제도에 포함된 평가항목들을 국내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평가항목들의 특징을 비교하고, 국내 평가항목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향을 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인증제도는 세부 평가항목 상에서 구체적 기준의 제시가 모호함이 있었으며 이는 좀 더 정확한 수치의 제시를 통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국외 인증제도와 비교 시 국내 인증제도는 건축물의 계획과 시공에서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시공이후, 시설의 운영, 관리, 교체, 철거, 재활용에 이르는 전 생애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지관리 측면의 평가항목들이 추가가 되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건축물만의 인증이 아닌 건축물을 포함한 대지 또는 단지중심의 평가방법 역시 필요할 것이다. 셋째, 평가 도구로써의 현행 기준 제시를 통한 평가방법이 아닌 구체적인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인증 신청자로 하여금 인증제도의 친밀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는 2001년 인증평가 기준을 마련한 이후, 점진적으로 발전이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기존 제도들의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안의 제시와 제도에 대한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소년의 스포츠 참여 형태와 자아지각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한정훈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sports attendance type and self-realization and self-actualization. That is to say,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relation models of adolescent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sports attendance types, self-realization and self-actualization, and was to prove the relation. This study freely selected the 3rd grade, 4th grade, 5th grade, 6th grade students in 10 of 6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An-yang, Kyung-gi Province in 2006, and sampled 800 students wit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to prove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sports attendance type and self-realization and self-actualization. It was based on the sports attendance questionnaire by Kim Sun-kwan in 1997, the Adolescent self-perception profile developed by Harterin 1986 and translated by Jung Sun-hye in 2000, the self-actualization test by Min Jin in 1986, consisted in inventories to make clear the relation.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had questionaries classified each part based on the translated one by Lee Eun-chae in 1992, and Park Jong-hyun in 2000 to scrutinize the sports attendance types - positive attendance, perceptive attendance, attendance -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sociological background such as gender, grades, pocket money, their parents' jobs. Also it used the "self-perception scale",which Lee Eun-hae in 1992 revised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by Harter in 1982, to scale the adolescent self-perceptions. Finally to scale the self-actualization it used 3basic parts with the questionaries classified with each part in the basis of the inventory developed by Min Jin in 1986 so as to examine the bureaucratic features and self-actualization. The inventories consisted in competence achievement, competence development, the aim-actualization. The materials collected after the survey courses were signified according to the coding standard, were put in computer, and were testified with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one-way AN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purposes, in Window SPSS 12.0 Version, the statistics program. And the delicate differences were testified with the past factum testimony analysis by Schef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bellows; 1.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self-realization and self-actualization according to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s. 2. There was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sports attendance type and self-perception. 3. There was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sports attendance type and self-actualization.

      • 학교안전사고의 법적 책임과 분쟁해결 방안 연구

        한정훈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교육은 학생의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도모하고 인류문화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학교안전사고의 피해를 입은 학생에게는 커다란 정신적, 육체적 후유증을 남기기도 하여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학교안전사고에 대하여 필연적으로 법적 책임소재가 뒤따른다. 한편, 교사는 감독자의 지위에서 사후 수습이 원만히 전개되지 않을 때 교직수행의 전념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민법, 국가공무원법, 형법 등의 실정법을 통한 법 이론과 판례 등을 통해 책임소재를 규명하였고, 그리고 기존의 학교안전사고 분쟁해결 방법, 아울러 새로이 제정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더 나아가 학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도 살펴보았다. 학교안전사고의 실태는 2003년에 있었던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특별법’ 제정방향에 관한 공청회에서 양희산교수가 발표했던 자료에 의하면 사고 발생 현장별로 체육활동 중이 43.6%, 휴식시간이 27.8%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고원인별로는 학생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발생이 77.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런 학교안전사고의 문제점은 학생 스스로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 교육과정상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시설 및 교육여건상 미흡한 점이 많아 사고가 일어날 개연성이 늘 잠재되어 있다는 점, 현실적으로 보상수준이 미달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손해배상청구소송이 늘어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법 이론과 판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사고의 법적 책임을 학교안전사고 유형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교원의 법적 책임은 친권자와 같이 책임무능력자의 전 생활에 관해서 감독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활동 및 이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생활 관계에 대해서만 감독의무를 지고, 그 행위의 시간, 장소, 양태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한 다음 학교생활에 있어서 통상 발생할 것을 예측할 수 있는 행위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 체벌로 인한 학교안전사고의 경우는 체벌의 사회상규상 객관적 타탕성이 판결기준이며, 감정적으로 체벌을 하거나 비인간적인 체벌 방법을 쓴 경우 체벌교사에게 통상 요구되는 주의의무를 다하지 못함을 들어 법적 책임을 지우고 있다. 그러므로 교원은 체벌을 다른 교육적 수단으로는 교정이 불가능하여 부득이한 경우에 오직 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해야 하며, 학생의 인격을 침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징계권의 범위와 한계를 넘지 말아야 한다. 교사의 과실로 발생한 학생안전사고에서는 교육활동 시 교원에게 통상 요구되는 주의의무 이행여부가 판결기준이 되어 대체로 교원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어 교원이 책임을 져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원은 사고위험이 있는 교과시간에 사전교육을 철저히 하여야 하며, 적절히 활용하고 있는지 수시로 점검하고 확인해야 하며, 충분한 시범과 설명 후에 실시해야 한다. 또한 수업 시간에 교사가 자리를 비우는 일이 없어야 하며, 학생의 신체적·심리적 상태를 충분히 고려한 후 교육활동을 실시해야 하며, 평소에 안전에 만전을 기하는 생활지도 교육을 해야 한다. 학생의 과실로 인한 학교안전사고의 판결기준은 사고발생 예측가능성여부로 돌발적인 학생 간 사고에 대해 대체로 교원에게 법적 책임을 지우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교원은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 등 교원의 부재 시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질서지도를 철저히 해야 하며, 청소시간에도 임장해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대리감독을 지시하는 등 감독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 시설물 하자에 의한 학교안전사고 판례는 승소판례 또한 학교시설물 설치·보존의 하자를 인정하나 피해자의 기여과실이 상대적으로 커서 교원의 법적 책임이 면책되었을 뿐으로 학교시설하자에 의한 사고에 대하여 학교측의 손해배상책임을 많이 인정하고 있어 시설물의 설치·보존의 하자와 직결된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그러므로 학교시설물의 설치·보존의 관리자는 학교시설물 설치 시 안전교육 및 일련의 조치를 취하거나 전담요원을 배치하고 틈틈이 시설의 하자 및 노후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교장은 설치된 공공시설물의 관리자로서 주의의무를 다해야 하며, 시설물의 파손위험이 있을 경우 접근 금지 시설을 하거나 철거하여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또, 시설에 흠이 있을 경우 교원은 학교장에게, 학교장은 관리주체인 지방자치단체 또는 상급관청에 보고해야 한다. 다음으로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분쟁해결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분쟁해결의 방법으로 자력구제, 학교안전공제회에 의한 보상 그리고 손해배상소송의 제기 등이 있다. 자력구제나 학교안전공제회에 의한 분쟁해결방법이 피해자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보상이 되지 않을 경우에 결국은 법적인 소송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가능성이 열려있다. 이러한 염려가 있는 가운데 기존의 학교안전공제회에 의한 보상의 한계 및 문제점을 보완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제정은 대단히 환영할 일이다. 이 법률은 부모가 마음 놓고 자녀를 학교에 보낼 수 있도록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학교안전공제회의 가입대상과 보상대상자, 보상범위를 확대하였다.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해 제기되 온 시·도간 보상기준 및 한도액의 불균형이 해소되고, 학교안전사고에 따른 교원의 정신적·경제적 부담도 대폭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원만하게 분쟁해결이 이루어지는데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은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 중요한 것은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한 후의 사후 수습보다는 사전에 학교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안전사고예방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Education in school develops the potential ability of students, furthermore it seeks the development of a society and a country and is the source of forming and developing human culture. However, accidents in school becomes a serious problem as it causes lots of aftereffect to the victim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For these reason, the question that who has the responsibility in law necessarily followed these accidents in school. Also teachers may have hard times in pursuing their job as a teacher when the accidents in school are not handled properly. So, in this research, the problem of whose responsibility is looked into closely through the principles and precedents of the positive laws of civil law, civil servants law, and criminal law. And prevention of school accidents is examined along with the present way of settling dispute of school accidents, and with the newly established law on prevention and compensation on school accidents. According to professor Yang who gave the data of school accident at public hearing on establishment of special law of prevention and compensation on school accidents in 2003, by the cases of accidents, physical education tops by 43.6% followed by rest time by 27.8%. By the causes, accidents from inattention of students make up for the most by 77.7%. The problem in school accident is that most accidents happen with students' inattention, the danger of accidents is included in the procedure of education, the probability of accidents always be there as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school are not that desirable and the lawsuit of compensation increases as the level of compensation practically falls short of expectancy. Followings are legal responsibilities of accidents in school by the type of accidents with an analysis of relevant laws and cases .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eachers is not like that of parents' who take the responsibility of supervising all daily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ho are incompetent in their responsibility but to supervise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and the relevant activities and the expectable activities in school life after considering time, place, and manner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In case of school accident by corporal punishment, the objective appropriateness by socially accepted stratum is the standard of judgement. When a teacher use corporal punishment with emotion or with an inhumane method, the legal responsibility goes to the teacher on the reason of insufficient fulfilling of attentiveness generally requested on teachers. Therefore, teachers have to make use of corporal punishment only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not go beyond the range and limit of disciplinary rights as a teacher also in a way of not violating human rights of students in the case of an inevitable situation that no other method has effects. For the accidents in school caused by teacher's negligence, teachers have to take the responsibility in most cases judged by not fulfilling their obligation of attentiveness generally requested on teachers in educational activities. So teachers have to educate students thoroughly before the class that has possibilities of danger and to check and confirm frequently whether they make well use of the prior education with enough modelling and explanation. Also teachers are supposed not to leave their class during the class hour, to give lessons after fully considering stud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and to guide students life especially centering on safety. The criteria of judgement for accidents in school caused by students is the matter of predictability of the accident and for unplanned accidents among student, teachers usually do not have legal responsibility. Accordingly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keep order beforehand not to incur accident in the absence of teachers in the rest time, in the meal time, and in the cleaning time. In unavoidable cases, teachers should order ...

      • 뇌파기반으로 설계한 향의 성별간 뇌파반응특성

        한정훈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향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뇌파로 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목적을 가진 향을 조제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다양한 향에 대한 뇌파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뇌를 활성화, 각성, 진정시키는 목적의 3가지 향을 조제하고, 성별간 향에 대한 정량뇌파와 감성 반응을 평가하였다. 뇌활성화 향은 실험집단의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시키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켰다. 각성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의 비활성화와 α파와 SMR를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고, 남성은 θ파와 α파의 비활성화하고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이완 향은 여성에게는 θ파,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 비활성화, α파와 SMR는 활성화하여 이완작용을 하였다. 남성에게는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 β파, γ파, SMR, SEF 50 및 SEF 90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였다. 위의 결과에서 여성의 경우 뇌파지표에 따른 목적성을 가진 향료들의 조합이 조향설계와 일치되는 뇌 활성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뇌파지표 결과에 따른 조합향료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별 간 뇌파지표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뇌파기반 조향을 위해서는 향 적용 대상에 대한 뇌파연구에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EG according to the human response on different kinds of fragrances, and to research on prescription possibility of a certain fragrance with a specific purpose based on the analysis data. Taking the EEG research result on various fragrances as a basis, 3 distinctive kinds of fragrances are prescribed with each purpose of activating, stimulating and tranquilizing the brain. Afterwards, quantitative EEG and sensitivity response have been evaluated on fragrances per each gender. Brain-activating fragrance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stimulat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Brain-tranquilizing fragrance resulted in relaxing reaction for females, by deactivating θ wave, β wave, γ wave, SEF 50 and SEF 90, while activating α wave and SMR. For males, it deactivated θ wave and α wave, and activated β wave, γ wave, SMR, SEF 50 and SEF 90. Upon the analysis drawn above, cases of females have shown that the spice combination, with the purposes based on EEG indices, led to the brain activation results which correspond to fragrance prescription designing. Since there has been differences in EEG index activation degrees per gender, the necessity for EEG research on fragrance-applied subjects has been addressed, for the adequate EEG-based fragrance prescription.

      • 부동산 중개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한정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동산 중개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부동산법학과 한 정 훈 지 도 교 수 이 점 인 현행 부동산 중개제도는 정부가 부동산 거래질서의 확립과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할 목적으로 1983년 12월 30일 부동산중개업법을 제정하여 부동산중개업소를 개설하기 위한 요건으로 종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요건을 강화하는 한편 공인중개사자격시험제도를 신설하여 공인중개사 자격취득자만이 중개업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동법은 2005년까지 총 9차에 걸쳐 개정되어 현재는 공인중개사의 업무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어 부동산중개업무와 관련된 사항을 규율하고 있으나, 동법에 의한 공인중개사 자격자가 과다배출 되었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많은 유자격자가 배출되어 있음에도 이 법 시행 전에 이미 중개업 신고를 하였던 기존의 중개인의 기득권을 인정하여 유자격자와 동일하게 제한 없이 중개업을 할 수 있도록 인정해주고 있다. 그 후 2005년에는 부동산중개업법이 ‘공인중개사의업무및부동산거래신고에관한 법률’로 개정되면서 중개업자에게 의무적으로 부동산 실거래신고 제도를 신설하였다. 그러나 부동산중개를 규율하는 법의 제정과 개정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부동산중개업은 단순 알선ㆍ중개의 수준에서 낮은 경쟁력을 보이고 있으며, 중개업자의 업무영역 또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취약한 점 등 많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부동산중개업 제도개선의 필요성은 대외적인 환경변화에 의해서도 제기되고 있다. 즉, 최근 시장개방에 따른 외국 부동산업체의 국내진출로 인하여 다양한 부동산금융기법이 도입되는 등 부동산중개업에 있어서도 국제경쟁력 제고가 시급히 요구된다. 우리나라 부동산중개업의 환경과 제도는 선진 외국의 부동산중개업에 비하여 매우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 부동산중개제도는 산업자체의 고도화와 대 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발전방안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진 중개업제도의 도입과 정부의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부정책이 함께 요구된다. 부동산중개제도가 개선된다면 우리나라의 부동산중개업은 한 단계 더 발전될 것이며 중개업자도 전문직업인으로서 자긍심과 사명감을 갖게 되고 중개의뢰인들의 권익도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