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브제 탐색을 통한 조형학습 방법의 연구

        한영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물질문명의 발달은 현대 미술에 있어서 소재의 선택과 활용, 표현방법에 빠른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젠 학교 미술교육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여 다양한 표현방법과 재료,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교육과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재료에 대한 충분한 탐색과 체험이 없이는 창의적이며 개성적인 조형 표현을 할 수 없으며 아동들 또한 표현에 대한만족감을 갖지 못한다. 오브제는 창의적인 작업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오브제의 사용이나 제작과정이 창의적인 작업으로부터 결코 분리될 수 없다. 다양한 오브제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조형에 대한 흥미와 인식의 변화를 꾀하고 여러 오브제 체험을 통해 아동 자신의 표현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오브제를 활용한 조형 표현을 어떻게 다양하게 구상하며 표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오브제 활용의 다양화를 통하여 해결점을 찾아보았다. 기존의 사실적인 표현 위주와 타율적인 수업 방식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아동들에게 다양한 오브제의 탐색을 통한 조형표현을 통해 미술에 흥미를 느끼고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표현 오브제의 자유로운 선택과 발견을 통해 아동의 조형에 대한 흥미와 인식의 변화를 꾀하고 미의식이 신장될 것이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이 연구 하였다. 첫째, 현대 미술에 있어서의 오브제의 개념과 생성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재료적 측면에서의 오브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초등 미술에서의 오브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현대미술 작품 감상을 통해 오브제별 조형 표현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셋째, 오브제의 조형표현 방법을 제시하고, 오브제를 활용한 단계별 수업의 방안제시와 그에 따른 수업을 적용하였다. 넷째, 수업적용에 따른 아동작품과 아동의 감상 내용을 분석한다. 그 결과 오브제를 미술 수업에 실질적인 표현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다 원화되고 복잡한 현대 미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오브제 체험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이 직접 오브제를 몸으로 느끼고 물성 탐색을 함으로써 오브제와 좀더 친밀해질 수 있었고 오브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조형표현을 할 수 있었다. 오브제를 활용한 수업은 어떤 틀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미적이고 조형적인 면에서 지도되어 아동들에게 새로운 표현에 호기심을 유발하고 즐겁고 흥미있게 조형표현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특정한 오브제를 발견하고, 선택하고 수집하는 일이 작품의 중요한 성격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아동들이 주위에 산재해 있는 다양한 오브제들 속에서 작품으로 재현되고 그 속에서 조형의 의미를 찾게 할 수 있었다.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material civilization causes the rapid change of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material and the expression in the contemporary arts. In these days, it requires to accept this change and to have the educational program that uses divers materials, spaces and expressions. We can have the creative and original expression of the plastic arts by searching and experiencing the material. Without that kind of search and experience, the children are never satisfied with their expression. There is the object that is necessary for the creative expression and indispensable to improve the creativity by using and processing of this object. By selecting and using divers object, the children can have an interest in the plastic arts and have divers points of view. Also, by using the experience of divers objects, we can make the children express themselves creatively and efficiently. By this study, we can solve the problem that how can design and show the expression of the plastic arts with the object. The children have no interest in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program that is other-directed and imitative. For these children, we can show the method that gives an interest in the arts and improves the creativity by searching the object. This study aims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the improvement of the interest in arts and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consciousness for the children by divers selections and the discovery of the objects for the expression. For these aims, we have studied the next points: First, we have studied the concept and the progress the object and the role of the object as the material. Second, we have studie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object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pression of the plastic arts by the appreciation of the contemporary arts. Third, we have shown divers expressions of the plastic arts, the educational program by using divers objects and the teaching program with this method. Finally, we have analyzed the reaction, the impressions and the works of the children who have taken this lessons. By using this method, we have achieved the effect that the children have understood easily the contemporary arts that is more complex and complicated. The children can be familiar with the object by the experience of divers objects and they understand widely and feel directly by searching the property of the object. This teaching program is not conventional, so it gives an interest in the expression of the plastic arts for the children and it causes the curiosity to make the new expression for them. We can conclud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s work is decided by discovering, selecting and collecting the specific object. With this educational program, we can make the children express the plastic arts by using the object around and feel deeply the real sense of the plastic arts.

      •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 (완주군 삼례후정 동학지구 중심으로)

        한영천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은 급격한 성장을 위해서 빠른 교통수단에 의존해왔고 원활한 교통을 명분으로 보행공간이 잠식되었으며, 보행환경에 대해서는 보행인들의 안전과 편리를 무시하는 공공정책을 펼쳐왔다. 보행권이나 사람 중심의 녹색교통에 대한 인식은 자동차로부터 사람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한 조화와 균형의 모색에서 시작되었다. 1993년 보행권을 주창하는 시민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한 이래 보행권 확보와 녹색교통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펼쳐졌다. 이에 따라 보행자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기본계획의 방향과 목표를 제시·설정하고,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개선사업 수행을 위한 기본 틀을 마련하여 보행환경개선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법률제정 및 사업들을 추진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 완주군 일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행환경 개선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활용 가능한 계획을 제시하고 열악한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물리적 제도적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인 삼례읍(후정·동학지구)의 가로 분석을 위하여 내용적 측면으로는 보행관련 법·제도·정책 및 보행환경 평가지표와 가로의 물리적 구성요소 중 보행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성, 쾌적성, 편리성, 그리고 물리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분석의 대상지와 기준을 선정한 다음, 대상지에 대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방안의 도출을 위하여 보행공간의 특성과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법·제도 및 정책에 대한 사례를 연구 및 분석하였으며, 법·제도 및 정책이 보행안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교통공단 내부자료 및 완주군청 내부자료, 문헌 및 현장조사 자료 등의 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보행의 자유, 쾌적한 보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보행환경 정비, 교통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등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자의 권리로 규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에는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법적 제도가 보완되어야 하는 내용을 제시토록 하였다. 또한,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보행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하여 쾌적한 보행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선행조건으로 보행권 확립을 저해하는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정책적 측면으로는 정책방향의 기본 틀을 설정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활성화 전략을 수립·추진하는 등의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