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국 도시재생사업 실행주체로서 주도적 디벨로퍼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슬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영국 도시재생사업의 다양한 주체 중 핵심적인 역할을 한 디벨로퍼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도적 디벨로퍼의 역할을 도출함으로써 한국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사업을 주도적으로 실행할 민간 비즈니스 참여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된 이 후 현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도시개발방식의 틀을 깨는 도시재생사업 정책을 쏟아지고 있으며 이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지원 하에 주민조직에 의해 사업이 추진되어 지역 커뮤니티의 회복과 같은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반면에 정부와 주민조직 주도의 도시재생사업의 사업의 한계점과 민간 비즈니스 참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재생사업에서 민간 비즈니스는 사업의 기획 및 수립 단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제도적 한계가 있으며, 그 결과 재생사업이 공공재원에 의존하고 민간 비즈니스의 전문성이 재생사업에 적용되기 힘든 실정이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에 민간 비즈니스가 참여하는 첫 시도인 청주시와 천안시가 시도하는 도시재생선도지역 내 민간투자사업의 수립 시 지방정부 주도로 사업 전략과 사업 방식을 구체적으로 수립한 후 민간 비즈니스를 공모전 형태로 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민간비즈니스 참여 시스템은 민간 비즈니스의 역할을 재정적 관점의 민간 자본 유치 및 리스크 분담 역할로 한정시키며, 민간 비즈니스의 전문성에 기반한 사업 과정의 혁신 및 지속가능성을 기대하지 못한다. 이에 반해 영국에서는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변화과정에서 재생사업의 주체가 공공 주도에서 파트너쉽으로 전환되었고 1990년대 이 후 민간 비즈니스가 도시재생사업의 기획단계부터 참여하여 사업의 창의성과 사업성을 높이고 민간 자본 유치를 도왔다. 1990년대 등장한 영국의 디벨로퍼 주도형 도시재생사업과 이를 이끈 주도적 디벨로퍼 어반 스플래시와 캐세드럴 그룹에 대한 사례 조사 결과 이들은 사업의 기획단계에서는 재생 사업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창의적 재생전략을 수립하는 기획자 역할을 수행하였고, 사업의 추진단계에서 주도적 디벨로퍼는 재생 사업에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는 투자자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재생사업의 운영단계에서 주도적 디벨로퍼는 재생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는 관리자 역할을 하였다. 이들의 참여는 결과적으로 특수한 상황의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을 도와 재생사업의 가능 지역 자체를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궁극적으로 디벨로퍼의 참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재생전략의 창의성 증대, 공공재원의 감축, 지속가능성 증대를 가져왔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실행되지 못하는 재생사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시재생 가능지역을 확대시켰다. This study aims to deduct an implication on necessity to participation of developer in Korea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drawing on the role and positive effects of the leading develope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various entities of the developers play a key role in Britis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fter deciding on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in 2013, lots of innovative urban policies like Urban Regeneration Leading Region Policy has been announced. These kind of projects have good effect lik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in Korea. However, Because of dependance on public subsidy, it is brought up the necessity to participate private busines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rivate business in Korea has a institutional limitation to participat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planning phase. This Study attempt to analyze literature and case study on the movement of developer-led regeneration and leading developers in the UK. leading developer group, Urban Splash and Cathedral Group, have their own features of the project methods. They found the new business models in the urban problems and implemented private capital without public support. They also suggest the new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for making or implementing the regeneration plan during proceeding public-private projects. The developer generally participate the project in the planning phase and played the role of planners to plan creative strategies for realizing the goal of regeneration project. Also, In the implement phase of the project, developers played the role of investor who attract the private capital to regeneration project. Finally, In the management phase of the project, developers played the role of manager to promote the sustainability of regeneration projects. As a result, their participation has contributed to broadening the area which is possible to implem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Business Process, Organizational Structure, Corporate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한슬기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greatly increases the efficiency of business operations. For that reason, many related studies are conducted. Most studies, however, address onl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tructure, culture, and power. The relationships among business proc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researched thoroughly.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onstitute an environment where business process, a collection of structured tasks that make a value, are performed.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 among business proces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culture are analyzed. Also, the impact of each ele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explored and both a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ilot survey asking the leaders of an organization about business proces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rporate culture of their companies are performed. The most appropriate research model is created by analyzing the statistical data from the pilot survey. The results suggest that business process relates wi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Also, an additional factor that have an effect on business process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is suggested. This is the first research of analyzing relationships among business proc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findings indicate theoritical implications for mechanisms of the correlations with the uncovered factor and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among business proces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태안지역 농산어촌 중학교 중심으로

        한슬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모든 학생들에게 공교육을 통해서 학교 안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문화 소외 지역 농산어촌 학생들에게도 평등한 문화예술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발판으로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태안지역 문화예술교육 문제점 해결을 위해 개발하였다. 첫째, 태안의 문화소외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안의 대부분 도시는 읍을 제외하고는 문화 예술 공간과 지원이 부족하다. 농산어촌 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문화예술을 받기 힘든 생활적, 지리적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에 따라 프로그램 적용 지역은 충청남도 태안군 농산어촌 학교를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문화 소외 계층의 학생들이 공교육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학습 하면서 문화적 역량을 키울 것이다. 둘째, 지역특성을 기반으로 하였다. 태안지역 학생들의 지역의 애향심은 현저히 낮은 상태이다. 학생들 대부분이 도시이동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태안지역 문화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태안지역 학생들의 자신의 지역의 다양한 환경과 문화를 체험함에 있어서 감수성을 기르며, 사회적으로 소통하며, 그것을 통해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면서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시킬 수 있고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개발 하였다. 셋째,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현재 태안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대부분은 초등학교가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중학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은 중학교 학생들의 학년 수준에 맞게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수업시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미술교과와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대부분 미술 교사가 모든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이 매우 필요함을 느끼고 있지만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받는 것에 한계가 있고, 개인적으로 진행하고자 하여도 수업 여건상 허용되지 않을 때가 많다. 이에 따라 교사가 필요에 따라 수업시간 안에서도 모든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지도 하도록 교과와 연계하여 학생들에게 쉽게 문화예술교육을 지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위의 문제에 따라 지역특성 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관한 문헌 고찰 및 선행 연구 분석을 하였고 태안지역 문화예술교육 담당업무 교사, 태안지역 출강 문화예술교육 강사, 태안지역 미술교사의 태안지역 농산어촌 중학교의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과 요구도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최종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고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미술교육전문가 및 현장교사의 타당도검증을 거쳐 중학교 1학년 대상 ‘자연과 함께 힐링하기’, 중학교 2학년 대상 ‘나는야 축제 기획자’, 중학교 3학년 대상 ‘웰컴 투 태안’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최종 목표를 포함하는 세 가지 각 프로그램에 대한 세부 목표를 세우고, 다음으로는 개발된 프로그램에 적용할 교수. 학습방법을 선정하였다. 최종 개발된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태안군 안면읍에 위치한 A 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6월 3일부터 ~ 16일까지 매주 월요일 미술시간에 적용되었으며, 1,2 학년 4차시 3학년은 집중이수제로 인해 8차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프로그램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과 함께 힐링하기 프로그램’을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미술교과의 자연을 체험 하는 내용 을 연계하여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사는 지역의 주변 자연환경과 소통하는 경험을 가지며 더 나아가 자연물을 이용하여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며 최종적으로 작품을 다른 사람에게 소개하며 사회적 소통능력을 기르고 작게는 지역을 사랑하고 크게는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태도를 보였다. ‘나는야 축제 기획자’ 프로그램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축제의 내용과 창의적인 CIP디자인의 내용을 연계하여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의 지역 축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모습을 보였고 자신이 디자인한 CIP를 설명함으로써 사회적 소통능력을 기르고 더 나아가 우리지역의 축제를 직접 기획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역의 애향심과 문화예술교육을 사랑하는 태도를 보였다. ‘웰컴 투 태안’ 프로그램은 중학교 3학년 미술교과 시각문화 단원과 연계하여 지역 홍보 영상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지역홍보 영상을 제작하면서 다양한 지역의 명소, 먹거리, 문화유산 등을 소통하고 체험하였으며, 만든 영상을 상영하면서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을 개발시키고, 지역에 대한 애향심을 고취시켰다. 프로그램 후 면접 인터뷰에서는 학생들 모두가 수업에 대해 만족하고 성취감을 보인 결과, 문화예술을 사랑하는 태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특성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은 문화예술 소외지역에 있는 농산어촌 중학생들을 위한 그들이 삶과 수업을 연계하여 다양한 학교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체험 할 수 있고, 교사에게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수업과 연계하여 지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으며, 더불어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 수중과 지상에서의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슬기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전지역에 위치한 재활전문병원에 입원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수중과 지상에서 각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균형능력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93명(남 51명, 여 42명)이었으며, 무작위로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 그리고 대조군으로 각각 31명씩 구분하였다. 연구는 운동 전 측정과 12주 동안의 운동프로그램 그리고 운동 후 측정 순서로 진행되었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은 주 6회 일반적인 물리치료(NDT, 보행훈련)를 받았으며,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은 추가적인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을 주 3회(50분/회) 수중과 지상에서 각각 나누어서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추가적인 운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측정은 고유수용성 감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측각기(electrogo-niometer)를 이용하여 관절위치감각 검사(Joint Position Sense, JPS)를 실시하였고 정적균형능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기능적 서기 균형능력 검사(Functional Standing Balance Test, FSB)를 실시하였고 동적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버그균형검사(Berg Balance Score, BBS), 실행능력 지향형 운동성 검사(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각 그룹별 운동 전·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그룹 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운동 전·후의 관절위치감각 오차는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만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수중운동군이 지상운동군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지상운동군은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2. 운동 전·후의 눈뜬 상태에서 내외측 동요속도와 전후측 동요속도 그리고 동요거리는 세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동요면적은 세 그룹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수중운동군이 지상운동군과 대조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3. 운동 전·후의 눈감은 상태에서 내외측 동요속도는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만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세 그룹 간 차이는 없었고(p>.05) 전후측 동요속도와 동요거리는 수중운동군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동요면적은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만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수중운동군이 지상운동군과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지상운동군은 대조군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4. 운동 전·후의 BBS점수는 세 그룹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5), 수중운동군이 지상운동군과 대조군에 비해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5. 운동 전·후의 POMA 점수는 세 그룹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5), 그룹 간에 차이는 없었다(p>.05).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볼 때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대해 수중과 지상에서의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이 모두 효과적이나, 특히 수중에서의 운동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안현정 작곡 <산조 가야금 독주를 위한 ‘月枝秋心-달빛에서 가을을 느끼다’> 분석 연구

        한슬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manuscript analyzes <Solo for Sanjo Gayageum 'WEOLJICHUSHIM - Feeling Autumn Under the Moonlight>, composed by Hyeon-jeong Ahn. This composition uses impressionist music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its analysis, the composer's values and musical background are examined along with research pertaining to the work, its musical structures, and tuning systems. Moreover, each of the four movements is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melodies, beats, and techniques. This composition has a total of 169 bars. Based on its flow, each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Introduction-Ⓐ-Ⓑ-Ⓐ'-Postlude), □(Ⓐ-Ⓑ-Ⓐ'-Postlude),□(Ⓐ-Ⓑ-Ⓒ,Joint-Ⓑ'-Ⓓ,Postlude),□(Introduction-Ⓐ-Ⓑ-Postlude). Each paragraph of □,□,□,□ uses Motive melodies and the composition progresses through repetition, changes, and comparisons. The melody analysis of each paragraph focusing on the Motive is as follows. First, part □ is called Movement Moonlight Scent, and includes 38 bars (from the 1st to 38th bar). They can be divided into sections including an introduction(□-1)-Ⓐ(□-2,□-3)-Ⓑ(□-4,ㅍ-5)-Ⓐ'(□-6)-Postlude(□-7) based on the changes of the melody. The movement progresses slowly and restfully at a tempo of □= 40 however, at the 7th bar, it suddenly changes to 9/8 and the mood becomes more lively. The first movement's tuning system is Tuning I, which is a method to develop the suggested motive and progresses with multiple variations and repetitions. The use of syncopation and the appearance of rhythm partitions into the 16th note full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an impressionist song. In addition, the Sanjo Gayageum's tones expressed through traditional grace notes further emphasizes the song's mood. Second, part □ is called □Movement 2Flower Petals Dyed In Moonlight, and expresses the mysteriousness of flower petals illuminated by the moon. It consists of 43 bars (from the 39th to the 81st bar), and can be divided into Ⓐ(□-1,□-2,□-3,□-4,□-5,□-6)-Ⓑ(□-7,□-8)-Ⓐ'(□-9,□-10)-Postlude(□-11) based on the melody changes. It progresses at a tempo of ♩= 80, uses Tuning II, and is composed of repeats anddevelopment of the Motive melody. It repeatedly uses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s and impressionist music techniques, expressing the moonlight dyed onto the flower petals into dreamy acoustic colors. Third, part □ is called□Movement 3The Leaves Fall, and expresses and paints the scene of leaves falling. It consists of 54 bars (from the 82nd to the 135th bar) and can be divided into Ⓐ(□-1,□-2,□-3)-Ⓑ(□-4,□-5)-Ⓒ+connector(□-6)-Ⓑ'(□-7,□-8)-Ⓓ+Postlude(□-9)used to based on the melody changes. It uses Tuning II and shows a free segmentation of the beat in 7/8, such as 7 beats (2+4+1), 7 beats (2+3+2), 7 beats (4+3), which effectively expresses the irregularity of leaves falling. In addition, it has a tempo of ♪= 200 <ad libitum>, expressing the free-fall of the leaves while conveying a hopeful message that stands for the rebirth of new lives in the next year from the falling of the leaves. Each clause clearly shows the features of the motive and especially demonstrates the central characteristic of impressionist music by focusing on the foreshadowing and mood. Fourth, part □ is called□Movement 4Lingering Remnants of Autumn. It consists of 34 bars (from the 136th to the 169th bar) and can be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1)-Ⓐ(□-2,□-3)-Ⓑ(□-4)-Postlude(□-5). The tuning method is Tuning I and the movement is composed through a close focus on the melody in comparison to the harmonic structure.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notes, the phonetic values are placed in a harmonic series, and progress through the melody using an extension of a harmonic structure. Moreover, the movement relates to the composition's central topic using a tempo of □ = 40 and <calmato>, and repeatedly uses a mirror structure, in which the melody is symmetrical, where the clause comes together. <Solo for Sanjo Gayageum 'WEOLJICHUSHIM-Feeling Autumn Under the Moonlight>, composed by Hyeon-jeong Ahn, uses a progression of melodies characteristic of impressionist music and changes rhythms to express the motive of Lingering Remnants of Autumn in various acoustic colors. Moreover, traditional and modern playing techniques are used to an equal extent, in combination with the vocal sounds of the Sanjo Gayageum,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emphasizing the composition's motive. 본 논문은 안현정 작곡 <산조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月枝秋心- 달빛에서 가을을 느끼다.’>를 분석한 것이다. 이 곡은 인상주의 음악 기법을 사용한 곡으로 분석을 위해 작곡가의 가치관과 음악적 배경을 알아보았고 작품해설과 악곡구조, 조현법에 대해서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총4악장을 각 악장별로 세부적으로 나누어 선율과 박자, 연주법을 분석했다. 이 곡은 총169마디로 각 악장별로 곡의 흐름에 따라 □(서주부-Ⓐ-Ⓑ-Ⓐ'-후주부), □(Ⓐ-Ⓑ-Ⓐ'-후주부), □(Ⓐ-Ⓑ-Ⓒ,연결부-Ⓑ'-Ⓓ,후주부), □(서주부-Ⓐ-Ⓑ-후주부)로 나눌 수 있었다. □,□,□,□ 각각 단락의 Motive선율이 있고, 그것의 반복과 변화 및 대비(對比)를 통해 곡이 진행 되었다. Motive를 중심으로 단락별 선율분석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분은 ‘1악장-달빛 내음’이며 제1마디부터 제38마디까지 총38마디이고 선율 변화에 따라 서주부(□-1)-Ⓐ(□-2,□-3)-Ⓑ(□-4,□-5)-Ⓐ'(□-6)-후주부(□-7)로 나눌 수 있었다. □=40 의 템포로 느리고 여유 있게 전개되었고 제7마디에서 9/8로 변박이 되며 보다 생기 있게 분위기가 전환되었다. 제1악장의 조현법은 조율Ⅰ을 사용했고, Motive의 제시된 동기를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변주와 반복을 거듭하며 진행되었다. 당김음 사용과, 16분음표로 분할되는 리듬의 등장으로 인해 인상주의 곡에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전통적 시김새를 통하여 표현되는 산조가야금에 음색으로 곡의 분위기를 강조했다. 둘째, □부분은‘2악장-꽃잎은 달빛에 물들고’이며 달빛에 비춰진 꽃잎들을 신비롭게 표현한 악장으로 제39마디부터 제81마디까지 총43마디이며 선율 변화에 따라 Ⓐ(□-1,□-2,□-3,□-4,□-5,□-6)-Ⓑ(□-7,□-8)- Ⓐ'(□-9,□-10) - 후주부(□-11)로 나눌 수 있다. 템포♩=80의 속도로 전개되며, 조현법은 조율Ⅱ를 사용하였고, Motive선율을 반복하고 발전시키는 방법으로 구성되어있다. 전통주법과 인상주의 음악 기법의 특징을 거듭 사용하여 꽃잎에 물든 달빛을 몽환적인 청각적 색채감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부분은‘제3악장-낙엽은 떨어지고’이며 낙엽이 떨어지는 모습을 자유로운 분위기를 회화적으로 표현 하였다. 제82마디부터 제135마디까지 총54마디이며 선율변화에 따라 Ⓐ(□-1,□-2,□-3) - Ⓑ(□-4,□-5) - Ⓒ+연결부(□-6)-Ⓑ'(□-7,□-8) - Ⓓ+후주부(□-9)로 나눌 수 있었다. 조현법은 조율Ⅱ를 사용하였고 7/8 박자로 7박(2+4+1), 7박(2+3+2), 7박(4+3) 등의 자유로운 박자의 분절이 나타나며 이것은 낙엽이 떨어지는 불규칙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템포 ♪=200 <자유롭게>라는 빠르기말을 가지고, 이를 통해 낙엽이 자유롭게 낙하하는 모습과 더불어 잎이 떨어짐으로 인해 다음해의 생명이 다시 태어남을 의미하는 상생에 희망적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각 악구마다 Motive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나 있었으며, 암시와 분위기에 초점을 맞춘 인상주의 음악의 가장 큰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부분은‘4악장-가을의 여운’이며 제136마디부터 제169마디까지 총34마디이고 선율 변화에 따라 서주부(□-1) - Ⓐ(□-2,□-3) - Ⓑ(□-4) - 후주부(□-5)로 나눌 수 있다. 조현법은 조율Ⅰ을 사용하였으며 화성적 구조에 비해 선율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작곡 되었고, 음의 지속에 관련하여 뒤 음가를 배음열(harmonic series)로 배치하여 화성적 구조의 연장선상에서 선율 진행을 하였다. 또한 주제와 연관 지어 후주부에서 □=40 빠르기말과 <고요하게>라는 나타냄 말을 배치하였고, 선율이 대칭되는 거울구조와 악구의 정리가 되는 종지형 리듬이 반복 사용되어 주제를 강조하고 있다. 이상 안현정 작곡 <산조 가야금을 위한 독주곡 ‘月枝秋心- 달빛에서 가을을 느끼다.’>는 인상주의 음악이 가진 선율진행과 리듬변화를 통해 ‘가을의 여운’이라는 큰 Motive를 청각적 색채감으로 표현한 인상주의적 작품이었다. 더하여 전통적 주법과 현대적 주법이 고루 사용되었고, 그것이 산조가야금의 성음과 만나 곡의 주제를 강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간호사를 위한 일의 의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로고테라피 기반으로

        한슬기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crucial for clinical nurses to find meaning for work and life in their workplaces which has a direct correlation with not only their health conditions but also work efficiency. Modern clinical work flows are becoming more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Here the amount of workloads one clinical nurse has to deal with tends to increase, which results in clinical nurses being exposed to high level of stress and being more likely to treat their work and life as being less meaningful. As such,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 to help raise the capabilities of clinical nurses to heal with work-related stresses and find some meanings in their work and life is critical for individual nurses as well as hospital as workplaces. In this thesis, I developed and implemented a group logotherapy program for clinical nurses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on meaning in life, work meaning, wellnes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variety of successful clinical applications of logotherapy has been shown, but the existing works only focus on finding meaning in life. In this study, I aim to extend this to look at higher level by analyzing more over aspects, especially by including meanings in work that has not been studied yet for clinical nurses.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At the first step, I decided to exploit Viktor Frankl’s Logotherapy as baseline via extensive and thorough literature reviews. I then, as the second step, developed a group logotherapy program for this study. Third, pilot studies were performed to 4 clinical nurses before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 and implemented. Lastly, the program was implement to the clinical nurse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gram, embedded design of qualitative data within an experiment of concurrent mixed methods study was used. In this study, I recruited 62 clinical nurses from K academic hospital in Republic of Korea. It was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half of the participants (n=31)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n=31) to the control group.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had eight sessions with each lasting 90 minutes. Every participant was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ix variables at baseline and twice after intervention (immediately after the eight sessions and four weeks later).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mixed model to find statistical effectivenes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the eight volunte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interviews, either focus group interviews (n=4) or individual interview (n=4) to share their experiences of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quantitative result from th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demonstrat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control counterpart according to all six variables: ‘meaning in life’ (F=13.92, p<.001), ‘work meaning’ (F=13.18, p<.001), ‘wellness’ (F=9.62, p<.001), ‘job satisfaction’ (F=10.49, p<.001), ‘job commitment’ (F=10.78, p<.001), and ‘intrinsic motivation’ (F=10.19, p<.001) across the program.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from the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they found meanings in their work and wellness among their life i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way. I suggested, though this study, the group logotherapy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the wellness of clinical nurses and their ability in finding meaning in life and work. The development of group logotherapy program is not only limited to this particular study and thus it would be further extended to implement with nurses working at other places than academic hospitals.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일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로고테라피 기반의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빅터 플랭클의 로고테라피(Logotherapy)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과 절차를 따랐다. 첫 단계로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였다. 여러 스트레스 상황에 있는 임상 간호사가 고유한 존재로서 간호사로서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하고 나아가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목표와 회기별 목표를 수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 구성 단계로 간호 관리자와 임상 간호사를 면담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 진행 전략을 수립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예비 연구 단계로 4명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하였고, 3명으로부터 전문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 단계인 프로그램 실시 및 개선 단계에서 8회기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 소재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로 모집되었으며, 최종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집단 로고테라피는 병원 내 회의실과 교육실에서 진행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개발된 8회기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 동안 제공하고 사전, 사후,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추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제공하지 않았다. 동시적 내재적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방법으로 임상간호사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그리고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으로 평가하였고, 포커스 그룹 면담과 개인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확인하였다. 수집된 양적 자료는 선형 혼합모형(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포커스 그룹 및 개인 면담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삶의 의미(F=13.92, p <.001), 일의 의미(F=13.18, p <.001), 웰니스(F=9.62, p <.001), 직무 만족도(F=10.49, p <.001), 직무 전념도(F=10.78, p <.001) 그리고 내재적 동기(F=10.19, p <.001)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되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삶의 의미, 일의 의미,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그리고 내재적 동기의 효과는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 유의하게 지속되었다. 그리고 집단 로고테라피에 참여하면서 대상자들은 의미 없다고 생각했던 일과 삶에서 스스로 의미를 찾으며 태도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그 결과 대상자들은 간호사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며 더 나은 간호사로서의 삶에 도전을 다짐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집단 로고테라피 프로그램은 임상 간호사에게 일의 의미를 높이고 웰니스, 직무 만족도, 직무 전념도, 내재적 동기, 삶의 의미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적용 가능한 중재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를 위한 효과적인 심리사회적 프로그램이 부재한 현실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가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상급종합병원의 임상 간호사 외 지역사회 간호사 등 타 분야에서 일하는 간호사에게도 확대 실시하여 그들이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그들 개인의 웰니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본다.

      • 2011 런던폭동의 공간적 분석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국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원리 관점에서

        한슬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has studied the effectiveness of CPTED principles with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Crime Prevention T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nd crime patterns in the London riots 2011. This study analyzed crime patterns to see if the CPTED principle work in preventing crime by defining the London riots 2011 as a simple crime, and catego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ots in to spatial features focusing on Surveillance, Access Control, Territorial Enhancemen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is a basis principle of CPTED theories apllied in th UK. For research analysis, this paper utilized analysis of crime patterns, formal statistics, and Space Syntax, and analyzed whether real patterns match through regional example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London riots 2011 tended to take place in- 86 - areas of high accessibility and low territoriality, and the weakening of surveillance, accessibility and territoriality that CPTED considers vulnerable to the criminal environment has been linked to crime. However, in the absence of surveillance, criminals targeted places with high accessibility and low territoriality, and if they have low accessibility, crimes do not occur, even though they have low territoriality, and natural and artificial surveillance among CPTED principles did not work in simultaneous riots. In addition, community participation has some effects, but it has not been considered significant. 본 논문은 2011 런던폭동을 단순 범죄로 규정하고, 당시 범죄 패턴과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원리의 연관성을 분석해 2011 런던폭동에서의 CPTED원리 실효성에 대한 연구이다. CPTED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으로 대규모 범죄에서 범죄예방의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동시다발적 범죄에서 나타나는 범죄 패턴의 특성이 CPTED가 전제하는 범죄환경 요인과 일치한다면, CPTED원리의 실효성을 분석할 수 있다고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영국에서 적용하고 있는 CPTED는 기본 원리인 감시성,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와 부가원리인 지역사회 참여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2011 런던폭동의 특성을 공간적 특성으로 분류하고, 폭동의 범죄 패턴을 분석한 뒤, CPTED원리가 전제하는 범죄 발생 원인인 감시부재, 높은 접근성, 영역성의 약화, 지역사회 참여 등이 범죄 패턴과 일치하는지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범죄 패턴과 공식통계자료,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지역별 사례를 통해 실제 패턴이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성과 영역성의 약화는 2011 런던폭동 범죄 패턴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2011 런던폭동은 접근성이 높고 영역성이 낮은 곳에서 일어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다만, 접근성이 낮은 곳은 영역성이 낮더라도 범죄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에 접근성을 통제하는 것이 영역성을 강화하는 것보다 범죄예방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감시와 런던폭동 범죄 패턴 간의 상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감시부재가 폭동 범죄 가담 동기의 다수였다는 점과 접근성이 높고 영역성이 낮지만, 감시의 존재가 느껴지는 일부 지역에서는 범죄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범죄 자체와 감시성은 관련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참여는 범죄 예방에 일부 영향을 주지만 유의미하다고 보긴 어려웠다.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Pulcinella Suite> 분석 연구 : 신고전주의를 중심으로

        한슬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불안감이 급증했던 20세기 초에는 낭만주의 정신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고 그 이전의 음악관, 즉 고전주의와 바로크 시기의 음악적 특징을 현대적으로 녹여내려는 사조가 등장하였다. 1920년 경부터 1950년 경까지 지속된 이러한 흐름을 신고전주의라 하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는 이 신고전주의적 경향을 주도한 작곡가이다. 본 논문은 그의 대표적인 신고전주의 작품 중 하나인 <Pulcinella Suite>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바로크와 전고전 시기 작곡가들의 곡들을 토대로 하여 작곡된 곡으로, 스트라빈스키는 원곡의 선율과 화성 등을 충실히 재현하였으며 동시에 이를 스트라빈스키 고유의 현대적인 특징인 변박과 불규칙적인 강세, 서로 다른 음형의 갑작스러운 병치 등과 잘 결합하여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현대적인 표현 방식은 곡의 제목이기도 한 풀치넬라라는 극중 인물과 그 기반 극 장르인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성격과도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스트라빈스키는 16-18세기의 극 장르에서 가져온 과거의 특성과 현대의 음악 어법을 한 데 어우러지게 하였다.이와 같이 스트라빈스키의 <Pulcinella Suite>은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온 요소들과 스트라빈스키 특유의 현대적인 음악 어법이 결합된, 신고전주의 사조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Pulcinella Suite>을 분석함으로 신고전주의 음악의 의의와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에서 보여지는 고유한 특성이 작품의 어느 부분에서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찾고 분석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해석하고 연주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Pulcinella Suite>, trying to help understand, interpret, and play this work by revealing the significance of neoclassical music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travinsky's neoclassical music.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anxiety surged due to the rapid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there was a tendency to moderni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and Baroque periods with skepticism about the spirit of romanticism. This trend, which lasted from around 1920 to 1950, is called Neoclassicism, and Igor Stravinsky is the composer who led this neoclassical trend. His work <Pulcinella Suite> is one of the works that clear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This music was composed based on the songs of Baroque and Pre-Classical composers. Through this work, I. Stravinsky truly reproduced the melody and harmony of the original song, which are musical heritage of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he mixed these with his own modern feature such as irregular time, unexpected strengths, and sudden juxtapositions of entirely different phrases. This modern expression methods also have connectio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ulcinella, who is a character in a play, and Commedia dell’arte, which is a drama genre at 16-18th century. Through this, I. Stravinsky combined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from the former drama genre with modern musical grammar. Therefore, I. Stravinsky's <Pulcinella Suite> can be called a work that fully shows the neoclassical trend, combining elements from the tradition of the past and modern musical language. And this music reflects I. Stravinsky's personalities either, which is distinct from the other neoclassical works of other compo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