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중간지도자 역할 제시

        한상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전문 체육을 경험한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체육특기자로 대학 입학 후 학생운동선수로서 중도 탈락하게 된 원인과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중간지도자의 역할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의의가 있다. 스포츠에서의 지도자의 역할로는 스포츠에서 지도자는 선수가 운동에 참가하는데 있어 관련된 지식이나 체력, 철학, 전술 및 전략, 기술, 태도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지도자가 해야 할 총체적인 행위를 말한다(강상조, 1994). 또한 스포츠 팀에서 리더란 주장(Captain)이라는 직책을 맡은 선수를 말하며 사전적 정의로는 개인 또는 단체 종목에서 팀을 대표하는 선수로 목표달성을 위해 긍정적이고 화목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팀 응집력과 사기를 높이는 기능과 경기장 안에서 작전지시나 팀을 대변하는 자로 설명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에서의 지도자와 주장을 중간지도자로 정의하고자 한다. 중도탈락 한 학생운동선수 50명을 대상으로 중도탈락의 원인과 중도탈락 후 가장 힘들었던 점,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중간지도자의 역할을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하위범주를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상위범주를 추출하여 면담지표를 작성하였고, 현재 현역선수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문체육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시기, 학생운동선수의 부상예방을 위한 코치의 역할, 학생운동선수가 운동 외에 다른 것들을 경험하기 위해서 코치가 할 수 있는 역할, 학생운동선수의 부상예방을 위한 주장의 역할, 학생운동선수가 다른 것들을 경험하기 위해서 주장이 할 수 있는 역할로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들의 전문체육을 시작한 시기는 초등학교 2학년, 초등학교 3학년,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때 본격적으로 선수생활을 시작하였고, 평균적으로 10년-13년 정도의 선수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문체육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운동에 흥미를 느껴서 자발적으로 시작한 경우와 사회적 주관자인 부모님, 지도자 등에 의한 권유, 기타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특기자로 대학을 진학하는 대부분의 선수들은 우수한 경기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망주로 촉망받았던 선수들 혹은 성장가능성이 큰 선수들이었다. 둘째,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들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코치의 역할로는 체계적인 재활시스템, 지도자와 선수들 간의 소통, 운동 시작 전 스트레칭, 선수충원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코치는 선수들에게 체계적인 재활시스템을 마련해야하고, 선수들과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물론 소통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트레칭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선수들에게 스트레칭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일깨워주어야 하며 운동 전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학생운동선수들이 훈련 또는 시합을 출전하기 위해 지정병원에서 부상 부위에 대해 의무적으로 메디컬 테스트를 받도록 해야 하며, 전문의의 판단 하에 시합출전 여부와 관련된 확인서를 대회 주최기관에 제출의무를 제도화 시킨다면 부상예방에 도움이 될뿐더러 중도탈락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가 운동 외에 다른 것들을 경험하기 위해서 코치가 할 수 있는 역할로는 스포츠 관련 자격증 권유, 다양한 진로제시, 운동 외 시간에 여가활동 여건 개선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코치는 선수들에게 스포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권유해야하며 진로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은 물론 자신의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들을 선수들과 공유해야한다. 또한 선수들이 운동 외 시간에 여가생활을 할 수 있도록 여가시간을 확대해준다면 중도탈락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한 주장의 역할로는 지도자와 선수사이에서의 중간역할, 통제 및 안전관리, 선수들과의 원활한 소통, 자신감 및 부상방지를 위한 기술 피드백 제공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주장은 지도자와 선수사이에서의 중간역할로 선수들의 몸 상태나 컨디션을 파악하여 지도자에게 대변할 수 있어야하며,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선수들이 안전에 대해 의식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피드백을 제공함과 동시에 일정한 공간 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선수들을 관리 및 통제해야한다. 또한 선수들과의 원활한 소통은 선수자체에 힘이 실릴뿐더러 스스로 몸 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며, 훈련을 수행함에 있어 기술적인 측면에 대해 직접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선수들의 불확실성과 불안감을 가지지 않도록 자신감을 북돋아 준다면 부상을 예방함을 물론 중도탈락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대학 내 학생운동선수가 운동 외에 다른 것들을 경험하기 위해서 주장이 할 수 있는 역할로는 운동 외 시간의 진로교육 건의, 운동 외 시간의 여가활동 여건 개선, 진로상담자, Mentor소개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주장은 선수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도자 또는 체육부 행정실로 찾아가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자발적 또는 적극적으로 건의해야하며, 반복적인 훈련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등 선수들의 고충들을 파악하여 일방적인 생활패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선수들에게 여가시간을 제공해야한다. 또한 개인상담 또는 집단상담을 통해 선수들의 진로계획과 진로결정, 진로 변경 등의 과정에 도움을 줘야하며 일반학생 친구 또는 일반학생 선배들을 후배들에게 소개시켜 멘토링 관계를 형성시켜준다면 선수들이 현재 겪고 있는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은퇴 후에도 스스로 자신들의 진로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여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물론 중도탈락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dropout of athletes who especially major in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and the role of middle leaders who tried to prevent them from dropout. It is aimed that acquirement of basic data for research paper's goal. The role of a leader in sports refers to the overall behavior that a leader should perform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acquire the knowledge, physical fitness, philosophy, strategy, skills, attitude which is related to athletes'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term "leader" is so-called a player who is in charge of certain role as a leader in a sports team. According to dictionary, player is defined someone who leads a team whether individual or group match, making a positive and harmonious atmosphere for team's achie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rm 'leader' and 'head' of the team is defined as a middle-leaders. This data was categorized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bout causes of dropout, harsh experience after it and a role of middle-leaders which were asked 50 athlete students who experience dropout. Based on this data, upper category was extract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urrent active players. throughout this research, it is concluded as five categories about motivation and period of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the role of coaches to prevent student athletes from injuries, the role that coaches and leaders should offer some opportunities them to experie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ole as a head of a team to protect athletes. First, the athletes in college have started professional sports when they were the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on average, they have more that 10years career as athletes. moreover, some of them were motivated to start professional sports for their own interests. others were driven by parents, leaders, etc. Especially, most of them are talented and have prowess to perform. also they are expected to be a promising player when they grow up. Second, it is reported that the role of coach to prevent injuries of student athletes in college is using systematic rehabilitation system,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and players, stretching before starting exercise which was required to player. Therefore, the coach should provide a systematic rehabilitation system for recovery, forming comfortable atmosphe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athletes. they shoul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In addition, players who are not aware of stretching should remind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having enough time to do before exercise, also they are required to take a medical test regularly at certain hospital for their competition. If it is institutionalized to submit the expert's judgement whether they are possible to participate or not, it would be helpful not only to prevent frequent injuries but also dropout. Third, the role of coaches who can provide some opportunities to take a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represented that recommendation for acquiring certificate of sports, suggestion about a various range of career and providing better circumstance to perform. Therefore, coaches should encourage their athletes to acquire sports related qualifications, creating an environment for career education, and sharing their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their athletes. In addition, it is certain that if the athletes have a chance to spend their leisure time, they would enjoy time outside the exercise and it will also help prevent the dropout. Fourth, the role of leaders to prevent injuries to student athletes in college is as follows: mediation role between leaders and players, controlling safety management, interacting with athletes, giving feedback for improving self-confidence. Therefore, the leaders should check out their athletes' condition and deliver their statements to the head of the team. also they should offer repetitive feedback to remind them to be aware of safety during exercise, manipulating their performance not to off course. In addition,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the athletes enable them to control their own body and provide direct feedback on the technical aspects of training and encourage them to have confidence not having uncertainty and anxiety. Fifth, athletes in college can find out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suggestion by leader of career experience, improving leisure activity condition and introduction of career counselor. Therefore, the leaders are responsible for proposing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offering spare time to relax from chronical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lso, through the counselling program, the leaders should have planned to make a decision for their athletes' careers in the future. If a mentoring is implemented between 'friends or seniors', Not only it reduces the stress level about building future plan but also helps prevent the dropout of course. it would be helpful to determine their future career by right method after retirement too.

      • 3D 레이저 가공기의 통합시스템 구현을 위한 VCM 자동초점장치의 광기계적 설계에 관한 연구

        한상훈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요 약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의 소형화를 추구하면서 이러한 제품을 생산 및 가공할 수 있는 초정밀 가공 장비의 사용이 확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만족할 수 있는 가공장비를 개발하는 것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다. 정밀한 가공을 위해서 레이저 가공 시스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 3D 레이저 스캐너(갈바노미러)를 적용한 장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갈바노미러를 적용한 레이저 스캐너 시스템은 다양한 작업을 쉽게 운용할 수 있으며 레이저 빔을 반사시켜 2차원 평면으로 위치시키는 2개의 미러와 함께, 초점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Z-축의 초점길이를 조절하는 자동초점장치로 구성되어 3차원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3D 스캐너 시스템은 성능은 우수하지만 스캐너 시스템과 장비의 축이 분리되어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분리는 시스템 구동 중에 오차를 발생시키거나 제어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하나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스캐너와 장비를 함께 운용해서 보다 효율적인 가공을 가능 하도록 하는 통합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레이저 스캐너용 자동초점장치를 제안 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자동초점조절장치는 코일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Voice Coil Motor(VCM)가 사용되었다. VCM은 스텝모터(step motor)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빠른 응답성과 정밀한 분해능을 갖는다. 또한 중공형 VCM을 이용하면 레이저 빔과 VCM의 중심이 같은 축 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구동력의 중심과 운동방향의 중심이 일치하여 제어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VCM의 형태 중에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감도가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코일 이동형 방식 VCM을 사용하였다.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 가공 장치는 f-theta 렌즈 이후의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가 100 mm 이상이 되고, Z축의 변화(Working Volume)가 4 mm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된 초점장치는 3D 레이저 가공기 통합시스템의 사양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구동 렌즈의 행정거리를 ±2 mm로 설정하였고 다구찌 기법 (Taguci method)으로 최적화 하였다. 전자기장 해석을 위해서는 Ansoft Maxwell 2D & 3D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설계를 모델링 하였다. 설계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가우스미터(Gauss Meter)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하였고, 제어 실험으로 모터 구동을 파악하고 설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종 설계 완료 후, VCM 자동초점장치를 제작 하였으며 제어기(Power PMAC),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 (LDV, Laser Doppler Vibrometer), Beam profiler 실험을 통해 성능 검증을 실시하였다. 레이저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자동제어기를 이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폐루프 제어를 실시하였으며, 오차를 보상하여 명령하는 위치에 렌즈가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목표한 렌즈 이송 거리와 속도를 실험결과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Beam profiler 실험을 통해 자동초점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전 구간에서 레이저 중심의 위치변화를 측정하였다. 성능 검증 결과 ±2 mm 행정거리, 2 μm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 수치는 목표하는 수치를 만족하는 사양이며 레이저 가공이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레이저 초점 깊이를 만족시키므로 레이저 스캐너 가공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성능 검증 실험 및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레이저 스캐너용 자동초점장치에 VCM을 적용한 시스템이 넓은 범위에서 고속 가공이 필요한 레이저 스캐너 시스템에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변성전분을 이용한 소맥분의 제빵적성 개선에 관한 연구

        한상훈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제빵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변성 전분의 첨가량을 3, 5, 7, 10%로 달리하여 소맥분 반죽에 첨가한 후 이를 이용한 반죽 및 제품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변성 전분 첨가한 빵 제조에서 변성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색도측정을 하고, Falling number, RVA, Alveograph와 Farinograph, Rheofermentometer를 이용하여 점도, 신장성, 수분 흡수력, 그리고 내구성과 반죽의 특성, 가스보유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식빵 제조 후 Rheometer를 사용하여 저장중의 hardness, springness 및 노화 정도를 평가하였고, 또한 관능검사표에 의하여 식빵의 외관 및 내부 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Falling number는, 변성 전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침강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RVA, Alveograph 측정 결과, 호화 개시 온도는 변성 전분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반면, 최고 점도에 도달하는 시간도느린 편이였다. 신장성(L값)은 control 보다 변성 전분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빵의 부피도 변성 전분 첨가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변성 전분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부피는 감소하였다. 3. Rheofermentometer 측정 결과, T1(최대 팽창 높이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소맥분보다 변성 전분이 높게 나타났으며, 변성 전분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높이도 증가하였다. 4. Crumb softness 측정 결과, 제빵후 hardness, spiringness는 control보다 변성 전분 첨가한 빵이 낮게 나타났으며, 변성 전분 첨가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5. 수분활성도는 control보다 변성 전분 첨가한 빵이 높았으며, hardness 와 springness에서 보인 제빵 특성과 같은 현상을 보였다. 6. 식빵의 Crumb 색도는 L값(명도)이 control보다 변성 전분 첨가 빵이 조금 낮았으며, 변성 전분 빵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관능검사 결과, control에 비해 변성 전분 첨가한 빵이 대체로 유사한 수준의 평가를 받았고, 또한 변성 전분의 첨가 3, 5, 7, 10%의 빵은 서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3, 5%보다 7, 10%가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 8. 실험결과를 종합할 때 10% 변성 전분 첨가 식빵의 조직감, 노화방지 그리고 저장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white pan bread by adding different amount of modified starch (3, 5, 7 and 10%) to the flour. In order to study the physicoㅡchemical effects of the modified starch on bread, several tests were don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 such as composition, color test, Falling number, RVA, Alveograph, Farinograph, etc. After baking, rheometer was used to evaluate hardness, springness and degree of aging during storage.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an bread were evaluated using a sensory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alling number showed an increasing number with the addition of modified starch. 2. Results of the RVA and Alveograph showed that gelatinization temperatures with the addition of modified starch were increased than control but the time to maximum viscosity were decreased. Extensibility wa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odified starch than control. Loaf volu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creasing amounts of modified starch. 3. Rheofementometer measurements of the flour with modified starch were higher T1 value(Time to maximum expansion height) than control, and increment of the modified starch made increment of T1 value. 4. Results of rheometer showed that hardness and springness of the whit pan bread with modified starch were lower than control and increment of the modified starch had the oppressive effect of retrogradation. 5. Whit pan bread with modified starch showed higher water activity than control. 6. Colors of the white pan bread with modified starch showed that L value was lower than control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whit pan breads with different quantity of modified starch. 7. Results of the sensory test showed that whit pan bread adding 7% of modified starch was similar with control and 10% of modified starch had the best score. 8.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odified starch 10% had a positive effect, and improved texture, retrogradation and storage.

      • 비주얼 오도메트리 기반 이동로봇의 실내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

        한상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이동로봇의 실내 자율주행을 위한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 PF(Particle Filter)를 이용한 SLAM의 연구는 레이저 센서의 깊이 정보와 랜드마크를 설정하여 샘플로 불리는 입자의 무리를 구성하고 PF를 통해 이동로봇의 위치를 추정하지만, 샘플의 개수가 충분하지 않으면 좋은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레이저 센서와 영상 센서를 기반으로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동로봇의 포즈를 추정하고 생성한 특징 벡터를 입자의 무리로 구성하여 충분한 샘플의 개수를 확보하고 PF를 통해 위치를 추정한다. 그리고 ICP 알고리즘의 속도 개선 및 정확성을 위해 모델 매칭 시, 모델의 부분을 추정하여 매칭을 하게 된다. 또한, 이동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면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해줄 수 있는 방법으로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알고리즘을 적용한 SLAM을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of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autonomous indoor navigation of mobile robot. Previous SLAM algorithms have used particles which are consisted of samples from depth data and landmarks to localize mobile robots through Particle Filter. However, their performances have been limited by the number of samples. In this paper, our proposed method with a laser and a vision sensor makes use of a Particle Filter to estimates a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processing time of the Particle Filter, ICP algorithm is used before matching the estimated model. We also propose the SLAM algorithm of applying the RANSAC algorithm that can make an error correction.

      • 고압 증기처리된 소나무 칩으로부터 작물 병해 및 생장에 미치는 유효 성분의 추출 조건 최적화

        한상훈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나무 목질부에 고압 증기처리를 적용하여,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과 당의 친환경유기농자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art Ⅰ은 점무늬병 및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하여, 소나무로부터 Alternaria속 및 Botrytis속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고압증기 처리조건 및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다. Severity factor (Ro) 4.5로 고압증기 처리된 소나무 칩에서 가장 높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냈으며, 병해 방제 유효 성분 추출을 위한 최적 조건은 severity factor (Ro) 4.5의 조건으로 고압증기 처리된 소나무 칩을 에탄올 농도 79.4%, 추출 시간 127 분, 추출 액비 1/44.3 (w/v)으로 예측되었다. 점무늬병 4종 및 잿빛곰팡이 4종 균주에 적용한 결과, 잿빛곰팡이 4종 균주에서 45.5 – 72.7% 범위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포장실험 결과,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하여 500배 이상 희석 처리구에서 75.9%의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Part Ⅱ는 엽채류 생장에 효과적인 친환경유기농자재 제조를 위하여, 소나무로부터 생육 증진에 효과적인 당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는 고압증기 처리조건 및 첨가제를 선정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여, 엽채류 생장에 효과적인 친환경유기농자재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자하였다. Severity factor (Ro) 4.0으로 고압 증기 처리된 소나무 칩을 열수추출 하였을 때, 총 당 함량이 최대로 추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severity factor (Ro) 4.0으로 고압증기 처리된 소나무 칩으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에 시판 유기농자재인 아스코르브산, 황산마그네슘, 구연산, 질산칼륨, 복합아미노산, 해조추출물을 1%씩 첨가하여, 청경채에 공급 후, 생육 상태를 분석한 결과, 질산 칼륨 및 복합아미노산이 첨가된 제제에서 높은 생육 상태를 나타내어 첨가제로 선정하였다. 엽채류의 생육 증진을 위한 소나무 열수추출물, 첨가제인 질산칼륨 및 복합아미노산의 최적 formulation 도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적 formulation 조건은 소나무 추출물 43.9%, 질산칼륨 0.7%, 복합 아미노산 0.5%로 예측되었으며, 예측된 최적 생육 증진 formulation으로 제조된 제제를 청경채에 공급하여, 2주 동안 생장 후, 지상부의 생체중을 측정한 결과, 약 33.2 g/plant로 높은 생체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art Ⅰ과 Part Ⅱ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나무 목질부에 고압 증기처리를 적용하여, 전환된 페놀성 화합물과 당은 친환경 작물병해 방제제 및 작물 생육 증진진제로써 사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In agriculture, chemical pesticides are widely used to control plant pathogens, pests and weeds, and to increase crop production. However, as awareness about the residual toxic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f chemical pesticides increases, their use is transitioning into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options. Consequentl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agricultural by-products, microorganisms, and plant extracts in an attempt to find suitable replacements for chemical pesticides. Pine (Pinus densiflora) is a representative tree species found in Korea and contains various phenolic compounds; its leaves, bark, and pine cones are mostly used, but not its the stem (wood chip). The pine stem is composed of carbohydrates (cellulose and hemicellulose) and lignin which can be converted into various components through heat treatment. In this study, we heat-treated pine stems to convert them into active ingredients that effectively controlling plant pathogens and promote the growth of crops. We also optimized the extraction condition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extracts as disease control and plant-growth agents. In Part Ⅰ, we established the heat treatment conditions that effectively increased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in pine stems, and then optimized the extraction conditions to maximally extract phenolic compounds that have effective antifungal activity against Alternaria and Botrytis gener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rough a field test,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pine extract as a disease controlling agent. We modeled the severity factor (Ro) of the high-pressure steam treatment of pine wood under values of 3.0, 3.5, 4.0, 4.5, and 5.0. As a result, the recovered solid content was 80% or more; as the Ro value increased, a dark brown color was observed. We observ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in pine chips treated with high-pressure steam with an Ro value of 4.5. We predict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extracting the active disease control ingredient would be 79.8% ethanol concentration, 127.0 min extraction time, and 1/44.3 (w/v) solid/liquid ratio for pine chips treated with high-pressure steam at an Ro value of 4.5. An ethanol extract was prepared under the predicted conditions. As a result of HPLC analysis, we confirmed the main component to be vanillic acid, which exhibited an antifungal activity of 20.45%–41.7% in Alternaria spp., and 45.5–72.7% in Botrytis spp. The field test results showed a maximum control effect of 75.9% against B. cinerea on strawberries, no phytotoxicity. Therefore, we found that pine ethanol extract can be used to replace chemical pesticides against B. cinerea disease. In Part Ⅱ, we set effective heat treatment conditions to increase the total sugar content of pine stem. We appli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optimize the conditions for producing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materials that effectively promote the growth of leafy vegetables. We once again modeled the Ro value of the high-pressure steam treatment of pine stems for various Ro values of 3.0, 3.5, 4.0, 4.5, and 5.0; the extraction temperature was 60 °C, the solid/liquid ratio was 1/30 (w/v), and the extraction time was 1 h.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hot water extract obtained was highest when the Ro value was 4.0. We analyzed the effect of additives (ascorbic acid, F1; magnesium sulfate, F2; citric acid, F3; potassium nitrate, F4; amino acid, F5; and seaweed extract, F6) on the growth of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after 2 weeks. We found that the growth of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substantially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potassium nitrate and amino acids. The results of our response surface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to derive the optimal formulation of pine extract, showed that potassium nitrate and complex amino acids promoted the growth of leafy vegetables. We predicted that the optimal formulation conditions would be 43.9% pine extract, 0.7% of potassium nitrate, and 0.5% of complex amino acids. From the results of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main component of the pine hot water extract was mannose. We supplied a preparation of the predicted optimal growth-promoting formulation (pine extract 44%, potassium nitrate 0.7%, and complex amino acid 0.5%) to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for two weeks. By measuring the shoot fresh weight of the aboveground parts of the plant after growth during the study period, we confirmed a high shoot fresh weight of approximately 33.2 g/plant. Therefore, we found that the optimal formulation prepared with the hot water extract from high-pressure steam-treated pine stems, potassium nitrate, and amino acids has potential as an eco-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 that can promote the growth of leafy vegetables.

      •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분석

        한상훈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골프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프로 골프선수들의 뛰어난 활약에 힘입어 선수지망생들은 물론 일반 골퍼들조차 예외 없이 경기력향상을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 중에는 최적의 골프클럽의 선택이 경기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줄 것 이라는 기대가 큰 것도 사실이다. 이에 경기력의 중요 요소인 비거리와 방향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드라이버 샤프트의 성능과 역할에 대해서 선행연구자의 연구를 검토하고 실험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드라이버의 비거리와 방향성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각 약(203cpm) 중(229cpm) 강(255cpm)의 플렉스를 가진 드라이버로 10명의 아마추어 골프 선수들의 150개의 샷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동일한 드라이버 헤드와 그립을 사용하고 샤프트만 각각 강도를 달리한 3종의 드라이버를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할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샤프트 강도별로 비거리의 차이는 있었다. 강한 샤프트에서 가장 긴 비거리가 나타났으며, 이는 헤드스피드가 100mph가 넘는 남자 선수들에서 더 뚜렷이 나타났다. 2) 드라이브 샤프트의 강도가 방향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약한 샤프트에서는 -1.9040의 값으로 타겟 라인보다 볼이 왼쪽으로 편중되었으며 중간 강도 와 강한 강도의 샤프트에서는 각각 9.3560과 4.9180의 값만큼 우측으로 편중되었다. 3)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클럽패스, 페이스 앵글, 회전축 중에서 회전축이 샤프트의 강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남자선수들의 샤프트별 드라이버 비거리는 통계적 유의수준에 미치지는 못했으나 약한 샤프트부터 강한 샤프트로 갈수록 각각 240, 242, 245 야드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방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여자선수들의 샤프트별 드라이버 비거리와 방향성은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드라이버 샤프트의 강도별 비거리 및 방향성의 차이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항목이 있었으나 두 가지 경우 모두 실제 샤프트의 선택과 골프 클럽 피팅에는 도움이 되는 자료라고 사료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골퍼들이 자신의 스윙과 구질에 적절한 드라이브 샤프트를 선택한다면 경기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of Difference of Driving Distance and Direction per Driver Shaft Flex Thank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Korean golf industry and the outstanding performance of Korean professional golfers, both prospective pro golfers and amateur golfer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improve their game. There is high expectations that selecting the optimal golf club will help improve their game. Accordingly, preceding research on the performance and roles of driver shafts, which has been known to have absolute influence on driving distance and direction that are important factors of golf performance, were reviewed, and analysis was made through tests. In order to analyze how the flex of the drive shaft creates differences in the drive distance and direction of drivers, this study analyzed 150 shots by 10 amateur golfers with low (203cpm), mid (229cpm) and high (255cpm) flexes. The same driver head and grip were used in this study, and only the flex of the shaft were changed in the three types of driv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the flex of the drive shaft on driving distance was not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difference by shaft flex. The longest drive distance was with a strong shaft and this was even more prevalent in male golfers with head speeds of 100mph or higher.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ffects of drive shaft flex on direction. In weak shafts, it was at -1.9040y and the ball went to the left compared to the target line. In shafts with medium and strong flex, they tended to go to the right at 9.3560y and 4.1980y, respectively. 3)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lub face, face angle and spin axis that has an effect on the direction, the spin axis had significant difference per shaft flex.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of driver difference according to shaft types for male golfers. However, from weak to strong shafts, there was tendencies to increase by 240y, 242y and 245y. 5) For female golfe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driver distance and direction per shaft. In this study that examined the difference of driving distance and direction per driver shaft flex showed area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area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for both cases, it will help in selecting the shaft and for golf club fitting. It is expected by selecting drive shafts fitting to the individual golfer's swing and strok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ill help them greatly in improving their g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