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간의 몸을 통한 존재로서의 자아 표현

        한경아 이화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인간은 사회 속에서 태어나고 죽는다. 사회화의 과정을 거쳐서 자아가 형성되고 그러한 관계 속에서 언어나 문화, 생활방식 등과 상호작용하며 존재한다. 현대사회는 고도의 성장을 거쳐 인간에게 사회, 경제, 정치, 제도의 변화와 고도 문명의 이기를 안겨 주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문명의 발전은 인간을 기계의 한 부속품으로 전락시키고 획일화된 삶과 부조리한 인간성, 인간 소외에까지 이르게 하였다. 현대의 기계적이고 물질적인 사회 속에서 존재로서의 진정한 자아의 모습을 상실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제를 자아의 내면적 문제와 연결시켜 예술의 수행적 과정을 통해 자아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예술의 수행적 과정은 인체를 사용한 작업 전반으로 현대사회의 자아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아의 내면적 성찰과 감상자와의 외적인 소통을 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I장 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방법을 밝히고 II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현대사회와 인간, 인간의 몸을 통한 존재로서의 자아의 의미를 고찰하며 현대 조각에 있어서의 인체 개념의 변화에 따른 앤터니 곰리와 마크 퀸의 작업을 살펴보았다. III장에서는 가장 근원적이고 유일한 정체성의 영역인 인간의 신체를 대상으로 현대사회의 자아의 모습을 표현한다. 여러 가지 복합재 료를 사용해 본 연구자의 신체를 캐스팅하는 등 모든 작업 과정이 예술의 수행적 과정으로 드러난다. 신체를 직접 캐스팅한다는 것은 예술의 표현적 기능만이 아닌 자기 수행적이고 고행적인 작업과정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고 현대사회의 자아의 정체성 상실을 사회의 부정적 세력에 의한 복합성에 기인하지 않고 자아의 인간성 내부, 즉 인간 자체에 대한 심리적인 문제로서 접근하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몸, 신체를 표현하는 것이고 무기력한 현대사회의 소멸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역설적인 존재로서의 자아의 의미와 자아극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IV장은 이러한 연구배경 하에 작품 7점을 제시하고 표현내용 및 재료,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은 결론으로서 V장에서는 현대사회의 자아를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신체를 캐스팅하고 작업과정을 체험함으로써 주체 내부의 정신활동에 의해 스스로 존재의 의미를 찾고 내적 통합을 이루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석고붕대나 왁스, 실리콘, 라텍스 등의 결과가 아닌 과정의 재료로서 신체를 캐스팅하여 불안정한 현대사회의 자아의 모습을 표현하고 상징적인 존재의 소멸을 의도하지만 캐스팅을 통한 온 작업과정을 통해 존재로서의 자아의 모습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게 한다. 또한 돌이나 흙, 끊임없이 불에 타서 흘러내리는 초로 이루어진 인간의 형상을 통하여 또 한 번 존재로서의 자아의 모습과 극복의 의지를 담아내고 있다. Human beings are born and die in society.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their self is formed and it exists interacting with language, culture and lifestyle in this relationship. Modern society brought human change of society, economy, politics and system as well as convenience of civilization through fast growth. However,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s civilization degraded human to a part, and led them to absurd humanity and human alienation. They are losing true themselves in mechanical and materialistic society. This study is aimed at expressing the way of overcoming self through the ascetic process of art linking social issues to the internal problems of self. The ascetic process of art is for external communication with viewer and internal self-examination of self by showing the feature of self in modern society. In the introduction and chapter I, I manifested the purpose, method 50 and contents of this study. In Chapter II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 examined the meaning of self as being through human being, and also looked at Antony Gormley's and Marc Quinn's work following change of concept of human body in modern sculpture. Chapter III expresses the feature of modern society's self with human body, which is the most original and the only one in the scope of identity. Using various kinds of material, I put my body into a cast, and all this process of work is revealed as that of ascetic practice. Chapter IV suggests 7 pieces of work based on this background, and analyzed expression contents, material and metho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chapter V stresses that I try to find the meaning of being to overcome self in modern society by casting the body and experiencing the process of this work, and finally it comes to internal integration. Casting body with materials such as wax, silicon, latex is aimed at expressing the feature of insecure modern society, but the whole process of casting makes newly recognize the gesture of self. Also, through human image made of a candle continuously burning and melting includes the feature of self and will of overcoming.

      •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이 소비자 내적반응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호텔 및 여행사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한경아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1855

        인터넷의 성장으로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호텔 및 여행상품을 검색하고 예약함에 따라 관광서비스 상품의 인터넷 매출액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인터넷의 활성화에 힘입어 호텔 및 여행사들은 인터넷 매장으로서 자사의 웹사이트를 통한 마케팅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더욱 심화되어 가는 경쟁속에서 소비자들이 오랫동안 웹사이트에 머무르며 관광서비스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웹사이트 전략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온라인 연구자들은 오프라인 매장과 마찬가지로 인터넷 웹사이트 매장에서도 환경적 요소들이 소비자 내적반응과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웹사이트 매장환경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이 인터넷에서 점차 확대되어 가는 무형의 경험재인 관광서비스 상품의 웹사이트 매장환경에 대한 국내 연구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이 소비자 내적반응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환경 심리학자들은 물리적 환경이 개인의 내적상태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내적상태가 접근 또는 회피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S-O-R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후 많은 학자들이 마케팅 연구 분야에서 쇼핑 매장의 환경과 소비자의 내적반응 및 행동의 영향관계를 밝혀내는 연구결과들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장환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터넷 웹사이트 매장에서도 환경요소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고 환경 심리학의 S-O-R 패러다임을 관광서비스 웹사이트에 적용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호텔 및 여행사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삼아 설문조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은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텍스트 정보, 시각적 상품제시, 상징적 요소, 사회적 요소, 생동감, 상호작용성으로 구성되었으며 웹사이트 환경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 내적반응은 즐거움, 각성, 지각된 위험과 원격실재감 그리고 소비자 행동은 탐색의도와 구매의도로 구성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과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이 소비자 내적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요소, 생동감, 상호작용성이 즐거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텍스트 정보, 생동감, 상호작용성은 각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정보, 사회적 요소,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위험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징적 요소와 생동감은 원격실재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소비자 내적반응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즐거움, 각성, 원격실재감은 모두 소비자 행동인 탐색의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험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내적반응이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과 소비자 행동을 매개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즐거움, 각성, 지각된 위험과 원격실재감은 모두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과 탐색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격실재감을 제외하고 즐거움, 각성과 지각된 위험은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과 구매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는 내적반응이 자극과 접근 또는 도피행동을 매개한다는 환경 심리학의 S-O-R 모델이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환경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관광서비스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온라인 마케터들이 관리해야할 웹사이트 환경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소비자의 행동을 탐색의도와 구매의도의 차원으로 나누어 실증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웹사이트 전략을 제시해주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의 탐색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생동감의 요소를 강화하여 소비자들이 높은 원격실재감을 경험하도록 해야 하지만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용한 텍스트 정보 및 빠른 시스템 반응속도를 제공하고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시켜서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서비스 웹사이트 매장에 대한 이론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무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웹사이트를 제작하고 운영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예측모형

        한경아 한양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응급 외상 및 중증질환 등에 신속한 치료와 간호를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응급실 간호사들은 주기적으로 외상사건과 분주한 업무로 인해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외상사건 경험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응급실 간호사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기도 하고 자기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강점과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긍정적인 외상 후 성장의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대다수의 연구들 에서는 외상사건, 소진, 이직의도 및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가 주된 관심 대상이었다. 이에 반해 외상 후 성장 및 이와 관련된 변수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alhoun과 Tedeschi(2006)의 외상 후 성장 모델과 Maercker와 Zoellner (2004)의 야누스 얼굴모델을 기반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가정된 모형에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 전국28개의 응급의료기관에 사전동의를 구한 후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363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가설적 모형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지수는 권장 수준을 만족하였다. 즉, 연구모형은 자료에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적절히 개략화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모형의 10개 경로 중 9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외상사건 경험은 고통지각에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사회적 지지와 고통지각은 의도적 반추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고통지각,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과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덧붙여, 고통지각과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의도적 반추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급실 간호사들의 외상사건 경험이 고통지각이라는 부정적인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고통지각을 통하여 외상사건 경험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변화의 촉진제로 의도적 반추를 예측하며 외상 후 성장과 공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접적으로 또는 의도적 반추를 더욱 적극적으로 하게하여 간접적으로 성장을 이끌고 있다. 즉, 고통지각을 부정적인 문제의 결과로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두지 않고, 문제 해결의 시발점인 동시에 긍정적인 변화의 촉진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한다. 그러므로 의도적 반추를 통하여 외상 경험 이전 그 이상의 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한 심리적 대처 프로그램과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직장 내 동료와 기관의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함을 시사 한다. 마지막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은 고통지각,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 자아탄력성에 의해 50.6% 설명되었다. 이에 응급실 간호사가 외상사건 경험 후 성장하기 위해서 의도적 반추를 적극 활용할 수 있고, 직장 내 지지체계를 통한 외상 경험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는 심리상담 지원, 동료 지원 프로그램 및 경험이야기 하기, 주기적인 마음 챙김 프로그램 참여 등의 다양한 지원과 관심으로 외상 후 성장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 평생교육강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육원의 조직건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시민행동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경아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강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육원의 조직건강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강사의 역량을 스스로 높일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평생교육강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나아가 교육의 질과 효과를 증대시키고 셀프리더십의 프로그램을 개발 통하여 강사들의 재교육 환경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평생교육강사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Statistics 22.0 통계프로그램과 SPSS 22.0의 패치프로그램인 Process Macro 3.3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육원의 조직건강이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관계 가설 검증에서 독립변수인 평생교육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건강이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생교육강사의 셀프리더십 (B=.094, p=.176)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1은 기각되었다. 반면 조직건강은 (B=200, p=.005)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2는 채택되었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육원의 조직건강이 직무만족도 인과관계 가설 검증에서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과 조직건강이 종속변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B=.335, p=.000)과 조직건강(B=.363, p=.000) 모두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H4와 가설 H5는 지지되었다. 셋째, 평생교육강사의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가설 검증에서 회귀분석에서 매개효과 검증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Baron & Kenny의 3단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단계 검증으로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은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1은 기각되었다. 반면 독립변수인 조직건강은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가설 H2는 지지되었다. 2단계 검증으로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과 조직건강이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 검증되어 가설 H4와 가설 H5는 지지되었다. 3단계 검증에서 독립변수인 셀프리더십과 조직건강,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 모두 종속변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 조직건강은(B=.295, p=.000) 2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어 조직건강의 총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변수인 조직시민행동(B=.350, p=.000)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설 1(셀프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 기각되어 가설 H6 (조직시민행동은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기각되었다. 반면 가설7( 조직시민행동은 조직건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은 지지되어 조직건강의 총 효과와 직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회귀분석의 Baron & Kenny의 3단계 방법은 간접(매개)효과를 구할 수는 있으나 그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위해 SPSS 22.0의 패치 프로그램인 Process Macro 3.3을 활용하여 간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추가로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the self-leadership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education centers determine how they affect job satisfaction,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nstructors' capabilities on their own, thereby increasing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job satisfaction and further improv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 purpose is to help provide a retraining environment for instructors by increasing self-leadership programs and developing self-leadership program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126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statistics program and Process Macro 3.3, a patch program of SPSS 22.0. First, in the hypothesis test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and organizational health of education cent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organizational health as a paramet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ypothesis H1 was rejected as instructors' self-leadership (B=.094, p=.176)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health (B=200, p=.005)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 hypothesis H2 was adop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health, independent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self-leadership (B=.335, p =.000) and organizational health (B=.363, p=.000) bot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hypotheses H4 and H5 were supported. Third, i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as analyzed using Baron & Kenny's three-step method,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in 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H1 was rejected as it was verified that self-leadership, an independent variab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 parameter, through the first-stage ver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in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health, was ver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aramet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hypothesis H2 was supported. Hypotheses H4 and H5 were supported as it was previously verifi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health,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dependent variable, through the second-stage verification. In the third stag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health, and the mediating variabl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health (B=.295, p=.000) was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as in the second stage, and the total effect of organizational health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The paramet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350, p=.000),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ependent variable, job satisfaction. However, Hypothesis 1 (self-leadership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rejected, and Hypothesis H6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as also rejected. On the other hand, hypothesis 7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health and job satisfaction) was supported, and the total and direct effects of organizational health were confirmed to be significant. Baron & Kenny's 3-step method of regression analysis can obtain an indirect (mediate) effect, but its significance is not verified.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medi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mediating) effect was additionally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3.3, a patch program of SPSS 22.0.

      •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수행 간의 관계

        한경아 초당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와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서, 효율적인 간호업무수행과 정신간호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C, K, J 도 의료기관 12개의 정신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하였다. 연구도구는 셀프리더십은 Manz(1983)가 개발하고 김한성(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 직무만족은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이상금(1996)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이진숙(2010)이 재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수행은 박성애(1988)가 개발하고 김영임(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여자가 81.8%로 대부분 차지하였으며, 나이는 ‘30세 이하’가 43.1%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자가 54.1%이었다. 대상자의 54.1%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고, 최종학력은 학사가 55.2%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1~5년 미만’이 35.4%로 가장 많았고, 정신과병동 근무경력은 ‘1~5년 미만’이 44.2%으로 가장 많았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1.8%였다. 연봉은 ‘3천만원 미만’이 50.8%, 근무 동기는 본인지원이 66.3%로 나타났으며, 정신보건자격은 68.0%가 없었고, 병상 수는 ‘50병상 이상’이 65.7%였다. 2.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점수는 평균 3.51(±.76)점, 직무만족 점수는 평균 3.31(± .44)점, 간호업무수행 점수는 평균 3.80(±.44)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은 나이(F=3.310, p=.039)에서 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은 총 임상경력(F=6.476, p<.001)과 정신과병동 근무경력(F=3.804, p=.011)과 연봉(F=4.786, p=.0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업무수행은 나이(F=3.289, p=.040), 총 임상경력(F=5.002, p=.002), 정신과병동 근무경력(F=3.390, p=.019), 직위(F=8.138, p<.001), 연봉(F=6.850, p<.001), 근무동기(F=3.180, p=.04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수행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r=.496, p<.001), 간호업무수행(r=.481,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 간에도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r=.524, p<.001). 5.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셀프리더십(β=.332, t=4.971, p<.001), 직무만족(β=.317, t=4.645, p<.001), 연봉(β=.214, t=3.566, p<.001)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38.577, p<.001), 모형의 설명력은 38.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은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간호업무수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언어발달과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

        한경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언어발달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위와 같은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S 시 S 구에 소재한 S 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반 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영아는 월령을 평균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두 개의 집단(실험집단 13명, 비교집단 13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S구 S 어린이집은 생활환경,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 수준과 자녀에 대한 교육적 열의 수준이 매우 유사한 지역이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주 2회 한 회기 당 30분의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 활동이 2016년 10월 26일부터 2016년 12월 30일까지 10주 동안 총 20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연구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영아의 언어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태(2002)가 개발한 언어발달(SELSI)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하위요인으로 수용 언어발달과 표현 언어발달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유아의 놀이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Barnett(1990)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김영희(1995)가 수정 번안한 놀이성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놀이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6.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영아의 언어발달 및 놀이성의 증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각 연구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영아가 비교집단의 영아에 비해 언어발달의 하위요인인 수용 언어 발달보다 표현 언어 발달에서 보다 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활동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영아가 비교집단의 영아에 비해 놀이성의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그림 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놀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의 언어발달 및 놀이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말 리듬 놀이가 영아들의 일상에서 적극 활용 된다면 언어발달에 효과적이며 또한, 놀이성 증진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아를 위한 그림동화책 읽기와 관련한 활동에서 교사는 반복하여 읽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상호작용에서 벗어나 그림동화책의 줄거리를 활용해 그림동화책에 포함되어있는 어휘와 내용을 쉽게 기억하고 표현하며 영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음악적 리듬감을 내포하고 있는 말 리듬 놀이 활동을 적극 실천할 필요가 있다. 영아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영아의 언어발달 및 놀이성 향상을 위해 매우 효과적인 교육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는 그림동화책 내용을 이를 근거로 말 리듬 활동을 통하여 영아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 할수 있도록 교사들의 노력을 기대해 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on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and playfulness. For this,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on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2. 'What is the effect of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on toddler's playfulness?' Study subjects were 24 2-year old children at S Child-care Center in S-gu, S C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 group, n=12; a control group, n=12) by calculating their average monthly age. People's demographic features of the area where S Child-care Center was located, such as life environment, parent's socioeconomic level and parent's educational zeal, were quite similar.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20 sessions for 10 weeks from October 26 to December 30, 2016 (twice weekly), and a session consisted of 30 minutes and children carried out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And study was progressed by the procedure of preliminary test,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In order to measure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this study used SELSI (the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developed by Kim, Yeong Tae (2002), and the sub-variables of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consisted of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And in order to measure toddler's playfulness, this study used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 (1990) and modified/adapted by Kim, Yeong Hee (1995). And the sub-variables of toddler's playfulness consisted of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fulness and sense of humor.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16.0 Win program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e- and post-test score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and increase of playfulness, a paired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the reliability of study tool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part in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present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ch sub-variables of linguistic development as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Secon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part in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present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ch all the sub-variables of playfulness a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fulness and sense of humor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This finding seems to present the fact that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toddler's playfulness. As above study findings show,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2-year old children's linguist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layfulness. These findings seem to imply the fact that if the picture storybook-used speech rhythm play is actively used in toddler's daily life, it will very effectively develop young children's linguistic skills and improve their playfulness. In this vein, regarding picture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for toddlers,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discard stereotyp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such as repetitive reading of books, and actively practice the speech rhythm play which includes the sense of musical rhythms, using the outline of picture storybooks, thus making toddlers easily memorize the vocabularies and contents of the picture storybooks and conveniently approach it. The author hopes early childhood teachers at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by means of speech rhythm activities, actively make the most of picture storybooks which can be a very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to toddler's linguistic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layfulness of which importance has increased recently.

      • 대학무용전공자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경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심리적 웰빙에 어떠한 상관성과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무용학과 재학생 262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체형불안,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웰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무용전공자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 무용전공자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이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심리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무용전공자의 심리적인 안정과 행복을 위해서 사회적 체형불안을 감소시켜 신체개념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적극적인 무용수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physique anxiety on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danc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ing who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used purposive sampling among non probability sampling on 262 students in college in Seoul, 2017. SPSS Version 23.0 was used for performing an factorial analysis and an reliability analysis on each measurement t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refor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the social physique anxiety, physical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dancers. Second, it showed tha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of the college danc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concept. Third, it showed that the social physique anxiety of the college danc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it showed that self-concept of the college danc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Overall, if we comprehend the results, social physique anxiety from college danc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concept as well as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the research suggests that reducing the social anxiety of the body encourages positive changes and participating in active dance performances for happines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college dancers.

      • 용융 아연 도금욕 내에서 Inductor 위치 변화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경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In continuous galvanizing line(CGL), the steel strip is coated by passing it through a pot of molten zinc. During this process, the pick-up of dross occurs. The small particles of Zn-Fe or Al-Fe inter-metallics are formed in the pot stick to the strip surfaces. The dross is dependent of the molten zinc flow and heat transfer in a galvanizing bath. This paper visualized the flow structure inside the molten zinc pot and its effect on the dross movement. We modeled one half width of a real size zinc pot (4300 × 1850 × 2875mm) that included the rotating sink roll, strip in 1253mm width, stabilizing rolls and inductor of recirculation devices.After modeling the channel inductor, the current of 2000A was applied. The Lorentz force and generated heat were obtained and later supplemented as source terms to momentum and heat equations. Inductor attachment position was altered by lowering and upping 100 mm from original position. The inclined angle of inductor structure was varied by 10 degrees. Three dimensional Navier-Stokes equations were solved via coupling with heat equation adopting standard k-ε method for turbulent part.The results of numerical calculation on the flow pattern and thermal distribution show the effect of present model on local perturbation of temperature. These calculation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zinc pot design and optimum operation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