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흡연자의 치주상태 및 전문가치주관리 효과

        한경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흡연자의 치주상태와 전문가치주관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 10월 1일부터 2007년 3월 30일까지 만30세 이상부터 59세까지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임상치주지수 및 방사선사진을 통한 1차 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체대상자에게 스켈링과 Watanabe method를 이용한 전문가치주처치를 실시한 3개월 후 2차 검사를 시행하여 전문가치주처치 전과 후에 대한 비교ㆍ분석을 하였다. 치주상태 검사는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하였고, 치주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과정은 로지스틱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전문가치주관리 후 치주상태 변화는 쌍대 t-검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주상태 검사 결과 치주낭보유분악수에서 흡연군(3.34)과 금연군(3.38)이 비흡연군(2.72)에 비해 높았고, 치간골소실량에서 흡연군(67.23mm)과 금연군(81.97mm)이 비흡연군(48.22mm)에 비해 현저히 높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흡연자의 치간골소실량에 있어서 흡연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현재 흡연량 20개비 이하 군(56.24mm)과 21개비 이상 군(97.45mm) 사이, 음주 중 흡연량 10개비 이하 군(49.44mm)과 11개비 이상 군(87.56mm)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로지스틱다중회귀분석 결과 전체대상자의 치주낭보유분악수에서 스켈링 경험과 흡연, 치간골소실량에서 흡연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흡연군은 치주낭보유분악수에서 스켈링 경험과 최초 흡연시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전문가치주관리 후 치주상태 변화에서 흡연여부에 관계없이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염지수, 치주낭보유분악수 모두에서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치주낭보유분악수에서 흡연군은 금연군과 비흡연군에 비해 개선효과가 낮았다. 치과병의원 방문 횟수와 스켈링에 대한 경험이 적을수록, 주관적 구취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주상태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흡연은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염지수, 상실치아수와는 연관성이 없었으나 치주낭보유분악수와 치간골소실량은 물론 치주상태 개선효과에도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전체대상자와 흡연군을 각각 로지스틱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흡연관련 특성보다 스켈링 경험이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전문가치주관리는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발생된 치주질환을 개선하며 재발을 방지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계속관리방법을 적용하여 전문가치주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개개인 스스로도 생활 속에서 적극적으로 치면세균막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전문가치주관리와 연계한 금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치과환자와의 만남에서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151 adults aged 30 to 59 from Oct. 1, 2006 to Mar. 30, 2007 and the 1st examination through a clinical periodontal index and a radiograph to analyze the periodontal status in smokers and the effects of professional periodontal care. For the entire subject of this survey, it performed professional periodontal treatment using scaling and Watanabe method and gave education for dental hygiene. then, it executed the 2nd examination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 and post-status: 3 months follow up. For the inspection of periodontal statu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and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iodontal status was done by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the change of periodontal status after professional periodontal care was done by using a paired t-test. Th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the groups of smokers(3.34) and temporary non-smokers(3.38) were higher than the non-smoker group(2.72) and the amount of loss for inter-dental alveolar crest was noticeably more abundant in the groups of smokers(67.23mm) and temporary non-smokers(81.97mm) than in the non-smoker group(49.44m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smoking between the group who smoked less than 20 cigarettes(56.24mm) and that smoked more than 21 cigarettes(97.45mm). Aft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zing the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scaling and smoking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for the entire participants and the smoking affected the amount of loss for inter-dental alveolar crest. Experience of scaling and the initial period of smoking was a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 on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in the smoking group. After the professional periodontal care,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was improved regardless of smoking in the change of periodontal status; however, the group of smokers had fewer effects in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than the groups of temporary non-smokers and non-smokers. Meanwhile, the fewer the number of visiting dental clinics and scaling treatment and the higher the subjective level of oral odor people had, the better their periodontal status became significantly. From the said results, smoking is not related to O'Leary Plaque Index, Lo"e & Silness index and number of missing teeth;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impact of smoking was conspicuous in the improvement effects of periodontal status as well as the number of quadrants possessing periodontal pocket, amount of loss for inter-dental alveolar crest.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from the entire groups and the group of smokers, it has been shown that the experience of scaling was more influential than smoking-related features from all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se elements, it could be assumed that professional periodontal care would be an effective method in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s, improving existing periodontal diseases and stopping them from reoccurring.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continuous and active periodontal care systematically in daily life and to let dentists care tartar periodically.

      •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경순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cidence of disease and disorder due to 'aging' is on the rise in modern society, and accordingly a lot of psychological and material difficulties emerge in handling the issue. Therefore, it is urgent to provide the elderly with a variety of services in terms of living space and everyday life, which are suitable for the elderly to live in and satisfy the desires of life to some extent. Consequently, this paper investigated such problems in detail with the main theme of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with the elderly nursing homes". For investigative methods for this paper, literature review was used as qualitative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as quant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elderly nursing homes. For theoretical background, qualitative analysis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was used, an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2.0 program was appli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ypotheses along with demographic analysis. Elderly nursing homes are very different from hospitals and other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These are the facilities that receive patients suffering from elderly diseases which do not require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and continuously offer necessary services depending on their capability level of carrying out everyday life (Article 34 of the Elderly Welfare Act). The elderly people deserve such protection under the provisions of the Act. However, many problems arise because of discrepancy with actual life.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issu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our factors such as convenience, durability, professionalism and satisfaction. As for the samples in this study, the elderly using the elderly nursing homes were chosen, and five page-long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survey. The survey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May 4, 2017 to May 21, 2017. The number of surveys collected was 153 in total, the areas selected for the survey were four areas in total, namely, Bucheon City, Sonpa District in Seoul, Dangjin City in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City. Four facilities out of the areas were run by Christian foundations, one of them by a general corporation, and one of them. by a Buddhist found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nly looking at the key contents in the analysis of demographic features, it showed twice as many female respondents compared to that of males with 104 females (68.0%) and 49 males (32.0%). I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long-term care benefit level, 57 respondents (39.0%) belonged to grade 4 showing the highest population, while each 6 respondents (4.1%) belonged to grade 1 and grade 6 respectively showing the lowest population.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total period of using the elderly nursing homes, it showed relatively uniform distribution among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yearly division criteria. The results of t-test and ANOVA regarding the convenience of elderly nursing home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respondents with F value of 3.524 (p <.05) in the analysis based on age.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the convenience of elderly nursing homes in terms of gender, long-term care benefit level, education level, number of children, facility use period, and occupation (p<.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urability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durability of the elderly nursing homes (p<.05). In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e F value was 11.789 (p <.01)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 indicating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erception difference in user satisfaction, F value was 3.146 (p <.01)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occupations prior to using the facilities, thereb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respondents. In other words,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satisfaction of elderly nursing hom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ccupations prior to using the facilities, and it revealed that respondents who engaged in agriculture had most positive perception 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sphericity test, the probability of significance turned out to be 0.000, thereby it is reasonable to say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elderly nursing homes are vali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nd a dependent variable, namely, the satisfaction level of elderly nursing homes, and this means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have the same direction to move. The independent variable with the biggest correlation with use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nursing homes turned out to be durability (0.701). Finally, in terms of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individual regression coefficients are as follow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durability and professionalism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se satisfaction with elderly nursing homes, which w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variables mentioned in this study are deemed to be very important factors for elderly nursing homes. 현대 사회는 ‘고령화’로 인한 질병 장애 발생률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보호에 어려움이 심리적, 물질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그로 인해 사회 측면에서 노인들이 생활하기에 적합하고 삶의 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킬 수 있는 주거 공간 및 일상생활과 관련한 다양한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로 주제로 잡아 그러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 하였다. 본 연구 방법으로는 노인 요양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는 연구로 문헌고찰인 질적 연구와 통계분석인 양적연구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주로 문헌고찰인 질적 연구로 조사했으며, 통계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가설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조하했다. 노인요양시설은 병원이나 다른 특수 의료기관과는 매우 다르다. 병원과 같이 치료를 위한 설비들을 필요하지 않는 노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받아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지원해주는 시설이다(노인복지법 제34조). 이러한 법 조항에 따라 노인들은 그러한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해 많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편의성, 지속성, 전문성과 만족도 4가지를 변수로 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에 대한 선정은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하였으며 총5쪽짜리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 기간은 2017년 5월 4일부터 2017년 5월 21까지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 부수는 총 153부였으며, 설문지역은 경기도 부천시, 서울 송파구, 충남 당진시, 대전시 이렇게 4개 지역이며, 총 6개 시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중 4개 시설은 기독교 재단에서 운영하는 시설이었고, 1개는 일반 법인에서 운영하고 있고, 1개 시설은 불교재단에서 운영하는 기관이었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에서 핵심적인 내용만 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이 49명(32.0%), 여성이 104명(68.0%)으로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의 약 2배 정도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기요양 급여등급에 따른 분류에서는 4등급인 응답자가 57명(39.0%)로 가장 많고, 1등급과 6등급 응답자가 각각 6명(4.1%)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한편 노인요양시설을 이용한 총 기간에 대해서는 1년 단위의 구분 기준에 따라 응답자 간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노인요양시설의 편의성에 대한 t-test와 ANOVA 결과는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 F값이 3.524(p<.05)로 응답자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 성별, 장기요양 급여등급, 학력, 자녀수, 시설 이용기간, 직업에 따른 분류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편의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지속성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의 지속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전문성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에서는 시설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도 F값이 11.789(p<.01)로 나타나 응답자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용만족도에 대한 인식차이 분석을 보면, 시설 이용전 직업에 따른 분석에서는 F값이 3.146(p<.01)으로 나타나 응답자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응답자들은 시설 이용전 직업에 따라 노인요양시설의 만족도에 대해서 다르게 인식하고 있으며, 농업에 종사했던 응답자들이 만족도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구형성 검정결과 유의확률이 0.000으로 나타나고 있어 노인요양시설의 영향요인에 대한 요인분석의 결과는 타당하다고 말할 수 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상관관계 분석결과 3개의 모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이용만족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이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요양시설의 이용만족도와 상관관계가 가장 큰 독립변수는 지속성(0.701)로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개별 회귀계수들에 대한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들 중에서 지속성과 전문성은 종속변수인 노인요양시설의 이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노인요양시설은 본 연구에서 언급한 변수들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 婚,喪,祭禮意識에 關한 硏究 : 20세 이상의 男子를 中心으로

        한경순 全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the effect of region, age, religion and birth order, changing elements of social popul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ceremonies of marriage, mourning and sacrificial rite of man, and to grasp the modernized trends of the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family ceremory of korea, and so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ciousness and behavior to meet a rapidly-changing modern society. As an inquiry materials, question sheet was used, and in each of items of marriage, mourning and sacrificial rite, for sub items were divided and, 4 study questions and 12 hypertheses were established Frequency percentage x² was obtained to test and analyze the signification according to region, age, religion and birth order,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 Ceremonies of marriage and sacrificial rites, as shown in hypertheses 1-4 and hyperthese 8-11 respectively,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ion and age. 2. Ceremony of mourning, as shown in hypertheses 5-7,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order of region, age, religion and birthorder. 3. The consciousness of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family ceremony was revealed to be highest in christians and farmers, and a method of the restoration through mass communication was firstly responded. The problems caused from above results are wanted to be suggested as follows; 1. According to behaviors, a presentation of concrete model of study is needed because an agrement between behavior and consciousness is not sure in spite of the modernization of consciousness. 2.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rocedure of traditional cerenony is low and the modernization of consciousness proceeds, but a restoration of traditional family cermony is wanted. Therefore, a positive study of these is needed.

      • 방과후 보육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경순 全州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동안 양적 증가추세에 있던 방과후 보육시설이 90년대 후반부터 프로그램의 질적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단순한 보호차원을 넘어서 사회복지적 접근과 개입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아동, 부모, 가정,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보육프로그램 서비스가 제공돼야 할 시점에 이른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보육서비스에 요구되는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이와 같은 내용의 접근에 타당성을 밝혀 보고자 했다.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고찰한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최근에 개발된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이 유아뿐 아니라 방과후 보육에서 아동들에게 적용이 가능한지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킴으로써 아동의 사회성 및 정서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측정방법은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을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구성원 전체의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응답된 설문지는 사회과학 통계분석 패키지인 SPSS 1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로 활용된 분석기법은 기술통계와 t-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을 기초로 구성된 본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p<.001)의 경우, 사후조사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즉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의 경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사회성에 있어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사회성의 경우, 아동의 수용성 발달에 효과가 있었으며, 사교성 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세째,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정서성의 경우, 또래 정서성과 가족 정서성으로 구분되는데, 또래 정서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가족 정서성(p<.001)의 경우,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정서성에 대한 효과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못했고 1개기관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의 한계를 들 수 있겠다. 또한 가족정서성보다 또래 정서성이 낮았고, 의사소통이나 사회성에 비해 정서성의 효과가 낮은 원인을 찾고, 보다 다양한 지역, 다양한 기관, 다양한 대상을 중심으로 보다 세부적인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 해 본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겠다. 1) 부모-자녀 의사소통향상 프로그램이 미진한 현 상황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를 얻은 것이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 전무한 상황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 향상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됨으로써 방과후 보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과 적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그동안 유아에게만 적용되어 왔던 '마주이야기' 교육방법을 보다 다양한 대상과 공간, 특히 방과후 보육에서 아동에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3) 가정과 기관이 연계한 아동에 대한 공동양육기능의 가능성이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가정과의 연계성이 미진하였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부모가 함께 참여하여야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써 가족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기회를 자연스럽게 증진시킴으로써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통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4)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가정, 부모, 아동을 포괄하는 보육프로그램으로서 사회복지적 의의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아동의 포괄적 발달을 지지하거나 최근에 요구되는 아동의 총제척 문제접근과 전문적 원조라는 교육 및 사회복지적 관점의 방과후 보육서비스를 충족시킬수 있을 것으로 보아진다. The after-school child educare facilities have increased in number around the country. Their key role was to look after children instead of their working or absent parents. But from the late '90s there have been a strong requirement that they should help serve the child welfare and develop their positive personality. So through this study, I will present the so called "The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which can be used to do the same in thos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this program can promote the mutual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children, and to verify that this program can have a positive and effective influence on their psycho-social development.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will be considered, but "Maju Iyagi education method"--The Face-to-face Story Telling or Listening to a Child--will be mainly applied in my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That method was developed for preschoolers by Park Moon hee who is Aram kindergarten general ledger. The key is to listen to a child and to be moved by their expressing themselves. To measure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my program, I used an organized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program. And I analyzed the change of the children's reactions using SPSS 10.0, which is a social science statistics analysis package. The chief analysis technique is t-test and Pearson's inte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case of sociality, the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meaningful enhancement in being receptive than in being sociable. But roughly we can conclude that this program helps develop children's sociality. Third, in the case of emotionality,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peer emotionality. But in family emotional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gram enhanced it just a little bit in the experiment groups. I should say that I had the limit to apply this program. I couldn't experiment this program in much more facilities, and I couldn't examine the effect of it in various regions and to a variety of objects. I cannot find out yet why this program can't promot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ity. I think more factors and circumstances should be examined in detail. Nevertheless I could concl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will be summed up as follows 1.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we could get empirical data to supplement and enhance the after-school child care activities. 2. It is possible that we expand the objects and range of the Parents-Children Understanding Enhancement program. The face-to-face story telling method can apply to the after-school child care, not to only the preschool children. 3.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facilities can cooperate with the family in bringing up the child. This program requires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ey can naturally becom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 and understand them. 4.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this program has the significance. Because this program is a child educare program into which the family, parents, local community and children participates together, it can satisfy the child educare service, approach the whole problem-solving of the children comprehensively and support their desirable development.

      • 척수손상 미혼남성의 성(性)

        한경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에게 식욕과 성욕은 생존과 생활 그 자체를 위해서 빼놓을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다.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성에 의한, 성을 위한, 성의 존재이다. 인간이 혼자 산다면 성이란 별 소용이 없는 것이다. 오로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안에서 성은 비로소 그 의미가 생겨난다. 다시 말해, 성은 상호 관계 안에서만 그 존재 의의를 드러낸다. 사회 속의 성은 그 자체가 이미 성 관계인 것이다. 그러므로 척수 손상을 받은 미혼 남성들이 더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현재 이미 척수 손상을 체험한 후 극복하는 과정에 있는 미혼 남성의 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척수 손상을 받은 미혼 남성의 성에 대한 살아있는 체험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확인, 기술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 주제의 특성에 따라 실제로 수집한 경험적 자료에 근거한 의미단위를 파악하여 전형된 의미 단위와 통합된 의미 단위를 밝히는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1999년 11월부터 2000년 8월까지로 연구대상자는 척수 손상 후 재활병원에 입원했었거나 입원하고 있는 척수손상환자 중 흉수 이하 손상을 진단 받은 20-30대의 미혼으로 손상 후 6개월이상 경과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사고나 판단의 흐름이 명료하여 일관성이 있으며,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를 허락한 6명이었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Giorgi(1985)가 제시한 연구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주로 개인별 심층 면접과 관찰이었다. 자료 수집에 활용한 도구는 휴대용 녹음기와 현장 메모 기록장이었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통합된 의미단위를 나타냈다. 즉 척수 손상을 받은 미혼 남성의 성(性)은 충격적인 상황에서의 혼란, 과거 성경험에 대한 회상, 억제하기 힘든 충동적 성 욕구, 성 욕구 억압으로 인한 심리적 갈등, 성 욕구의 해소 방안 모색, 변화된 성 기능 인지, 자신의 변화에 대한 수용으로 나타났다. 충격적인 상황에서의 혼란은 사고 초기, 척수 손상이라는 신체적 손상에 시달리면서, 성에 대해 미쳐 생각할 겨를조차 가지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 성경험에 대한 회상은 사고 초기에 충격으로 다가왔던 신체적 손상에서 서서히 벗어나면서 돌이켜 본 과거의 자신의 성에 대해 의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억제하기 힘든 충동적 성 욕구는 점차 신체 회복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성적 욕구를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끊임없이 솟아오르는 욕구를 표현하고 싶고, 심지어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돌봄자를 통해 이성을 느끼고 싶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 욕구 억압으로 인한 심리적 갈등은 욕구 해소에 대한 끝없는 방황과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성 기능 저하로 인해 대상자는 답답함과 실망감, 막막함 등등의 심리적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성 기능장애로 인해 남성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상실감과 현실 속에서 자신만이 버려졌다는 소외감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 욕구의 해소 방안 모색은 손상 후 끊임없이 솟구치는 욕구 해소를 위해 자신에게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해소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변화된 성기능 인지는 변화된 신체적인 성적 기능은 사고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심신(心身)이 다르게 나타나는 욕구, 감각적 반응변화 및 발기 지속성 저하 등의 신체적 반응 변화로 나타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다. 자신의 변화에 수용은 삶과 그 속에서 성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면서 점차 정상적인 성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자신의 미래를 재 설계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폭발적인 젊음을 발산하는 시기에 몰아친 사고는 비관을 앞세우기 전에 좌절의 늪 속으로 빠지게 하였다. 그토록 가리고 싶었던, 버리고도 싶었던 성(sexuality)은 심연 속에서 그들을 그대로 두지 않았다. 제한된 환경 속에서 뼈져리게 느껴야만 했던 그들의 젊음과 성은 거울 속 비춰진 자신을 보면서 더욱 좌절하게 만들었고, 벗어나기 위해 허공을 허우적거리던 손끝에 느껴지는 돌봄자의 채취에서 절실했던 이성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발목을 붙잡고 놔주지 않던 성 욕구는 남성성 상실감을 느끼게 하였고, 그들의 성 정체감마저 불신하기에 이르게 하였다. 그러나 내면(心)에서 끓어 오르는 젊음은 그들로 하여금 성 욕구를 해소하고자 하는 의욕을 부추겼고, 사고 직후 외관상으로는 육체적 장애에만 매달리는 것처럼 보였던 그들이 변화된 성에 대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였다. 자신의 변화된 성에 적응을 하면서 점차 자신을 추스리기 시작했다. 기능 회복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미래의 희망을 느낄 수 있었고, 자신도 정상인과 같은 성생활을 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을 가지면서 점차 사회 속으로 돌아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척수 장애인의 성 재활 교육은 척수 손상을 받은 후 성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는 시기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고정은, 2000), 가장 성적 욕구가 강한 시기인 20-30대의 미혼 남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척수손상을 받은 후 성적 관심이 나타나는 시기에 시작함이 바람직하다. 성 재활 교육에서 적응시기에 따라 급성기와 만성기 교육으로 나누어 시기에 따라 개별화된 교육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며, 특히 적극적인 급성기의 의료인의 성 상담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상담은 주기별로 일관되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담자와 대상자와의 관계 형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신체적 간호를 주로 책임지고 있는 간호사에 의한 간호 중재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don to explore and to describe,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sexual experience of Unmarried Male with spinal cord injury.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a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Six mal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data were gathered from November 1999 to August 2000. During the initial interview,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sked the subjects about their interes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After receiving verbal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an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notes were also taken. These were recorded on tape with agreement from the subjects and their expression were also described thoroughly. This method required the researcher to let the experience unfold as it exists for the subject in unbiased way.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the methodology described by Giorgi(Giorgi, 1985). The finding which emerged from this phenomenological study are as follow;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s of sexuality of unmarried male with spinal cord injury were following : "Confusion state in shocking situation", "Reflection on the past sexual experience", "Irresistible impulsive sexual desire", "Psychological conflict caused by suppression of sexual appetite", "Groping for sexual desire solution", "Recognition of changed sexual function" and "Confirmation of the changed self". Confusion state in shocking situation derived from "have no time"and "perplexity". Reflection on the past sexual experience derived from "recall", "reflection/reminiscence" and "Unforgettable". Irresistible impulsive sexual desire derived from "interested in sexuality", "sexual appetite for the caregiver", "to desire earnestly", "gush out", "long for", "desire to have an affair", "want to show" and "want to touch or feel". Psychological conflict caused by suppression of sexual appetite derived from "painful", "feel miserable / ashamed", "distressing", "feel lonely", "feel fear / in fear of", "dodge the issue" and "sense of loss". Groping for sexual desire solution derived from "imagine", "have a smell of feel body odor", "take drug(viagra, papaverine)", "talk to others", "express with writing", "watching video(a love affair)", "contact with opposite sex", "use sexual equipment", "masturbation", "read magazine" and "surfing on the internet. Recognition of changed sexual function derived from "wonder", "feel anxious about the future", "not used to be", "sensual physical change" and "change of body's response". Confirmation of the changed self derived from "fee comfortable", "search for information", "to accept change", "to convert interest", "will to rehabilitation", "care about others" and "expect of the possibility". The suggestions which present to results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o suggest a need for study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for unmarried male and female, married male and female and his(her) spouse with spinal cord injury, Second, To suggest a need for study of sexuality experience of female with spinal cord injury because more closer to women which are suitable for korean culture and emotions. Third, To suggest a need to concrete survey with spinal cord injury for activate their meeting to goverment dimension. Forth, To suggest a need for study of sexuality education program with spinal cord injury especially for health team members.

      • Re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 Specificity of Manufacturing and Technological processes

        한경순 The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Russia 2003 해외박사

        RANK : 247615

        벽화는 현존하는 인간의 예술행위의 근원이며 회화의 원류이다. 서구를 중심으로 벽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미술사분야의 연구와 아울러 과학적 조사를 바탕으로하는 제작기술과 보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러한 연구배경에는 벽화에 관한 가치인식의 변화에서 출발되었으며 소중하다는 공감대에서 기인되었다고 할 수있다. 대부분 현존하는 벽화는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있다. 서구의 대부분의 벽화는 기독교 문화를 대변하는 회화들로 제작되어 있다. 동양의 경우도 종교벽화가 대다수이며 아시아의 경우 불교벽화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한국또한 고대의 고분벽화를 제외하면 대부분 불교의 사찰벽화이다. 이러한 사찰벽화의 인식은 매우 저조한데 이는 인식의 차이와 연구성과의 미흡함이라고 단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미술사분야의 몇몇 연구성과를 제외하고 특히, 전통적인 제작기술과 재료에 관한 연구와 이를 보존하기위한 연구는 전무한게 현실이다. 이번 논문에서는 한국 사찰벽화의 역사적배경과 분포현황을 알아보고 보존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사찰벽화의 보존을 위한 역사적 철학적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서구의 문화재 보존을 위한 철학과 이론에 대하여 정리하여 한국사찰벽화의 주는 교훈을 살펴보았다. 보존을 위한 연구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문헌적조사를 통한 역사적배경을 살펴보았다. 두번째로는 과학적 분석을 통한 재료연구와 현장의 전통장인들을 통한 현지조사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사찰벽화의 손상원인과 보존방안에 관한 현장조사와 과학적 보존처리 방안에 대한 조사로 진행되었다. 사찰벽화의 주된손상으로 주변환경에 의한 피해와 온,습도 변화에 따른 물리적 화학적 변화, 그리고 인위적인 손상원인으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습기에의한 손상이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됨을 알수있었으며 사찰건물의 구성요소인 벽화의 구조적 결함에 따른 변화도 주요 손상원인으로 판단 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한 보존방안으로는 현재 회화문화재 보존에 가장 큰 이슈인 세척과 고착처리를 중심으로 사찰벽화에 접목하여 문제점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찰벽화의 보존에 있어 현실적 한계성을 가진 화면의 고착처리의 문제점을 자세히 살펴보면서 사찰벽화의 올바른 보존을 위한 다음방안에 대하여 결론질 수 있었다. 보존을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모든 처리행위는 작품의 수명연장을 위한 최소한의 처리로 진행되어야한다. 이는 재료 선택과 기술력에 대한 현실전 한계성으로 인한 차후 재처리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가능한 모든 보존대책 수립에 앞서 우선 진행되어야 될 부분은 예방적 차원의 보호조치가 시급히 진행되어야 한다. 한번의 보존처리가 반영구적인 조치가 되어서는 안되며 필요에 따른 응급조치를 통한 체계적이고도 장기적인 보호관리가 더욱 시급하다. 보존을 통한 모든노력은 현시대의 우리가 모든 중요한 역사적 증거물의 최후의 상속자가 아닌 과도기적 관리자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역사적 문화유산의 올바른 보존을 위하여 좀 더 구체적인 연구를 통한 방향제시의 필요성이 이번 사찰벽화의 보존방안 연구를 통하여 주는 큰 교훈임을 알 수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