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에 관한 연구

        팽위성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Guided by the Constructivist Theory,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is defined as a teaching method that integrates smartphones into multimedia teaching system and aims to better realiz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the construction of students' meaning based on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thesis.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mechanism of university professors' adoption behavior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and then give some responding suggestions to promote the innovation and reform of the support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teaching in university. Based on the integr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the Behavior Planning Theory(TPB), it is presented for the model of university professors' adoption behavior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the model is composed of six variables, i.e., perceived ease of use(PEOU),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behavior intention(BI) and actual behavior(AB). Combined with the need of research and previous measurement scales, six sub questionnaires about six variables are designed to form a questionnaire about University professors' actual use of smartphone assisted instruction. The quality of survey data, questionnair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nalyzed and discussed. Data analysis shows that: (1)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ix scale designed in this study reached above 0.8.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measurement items of each variable can be well distinguished. (2)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shows that the internal quality of the model is good, the Factor Loading of each variable exceeds 0.5, the Construct Reliability is greater than 0.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ed of each variable is more than 0.5. (3) There is a good fitness betwe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data, and all fitness indicators basically meet the standard. Through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 analysis for the path of model,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10 hypotheses were accepted and 2 hypotheses were rejected for the 12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2) Perceived ease of use(PEOU) has direc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OU) has a direct nega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BI). The total effect of perceived ease of use(PEOU) on behavior intention(BI) and actual behavior(AB) was not significant. (3)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have direct positiv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BI). (4)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and behavior intention(BI) have direct positive effect on actual behavior(AB); (5) Perceived usefulness(PU), subjective norm(S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have indirect positive effect on actual behavior(AB) through Behavior Intention(BI). (6) Among all variabl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PBC) is the one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actual behavior(AB).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the innovation and reform of information technology supporting instruction in university. (1)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ity organization and management, these suggestions on "providing technical environment support", "providing technical use support" and "changing management concept" was offered. (2)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o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ovided that “professors should adhere to the belief of taking teaching tasks and students as the center” and the lifelong learning was advocated for professors.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보조수업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스마트폰 보조수업은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스마트폰의 보급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을 전제로 스마트폰에 멀티미디어 강의 시스템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사제 간 상호 작용과 학생 의미 구성을 보다 잘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수업 수단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목적은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의 영향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것이다. 나아가 대학교의 정보기술을 통한 교과 혁신 지원 방안과 개혁 촉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기술 수용 모델) 과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 계획된 행위 이론)를 통합하여 지각된 용이성(PEOU), 지각된 유용성(PU), 주관적 규범(SN), 지각된 행위 통제(PBC), 행위 의도(BI), 실제 행위(AB) 등 여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 구조 방정식 모델을 구축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척도를 수정하여 6개 요인 간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고,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행위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조사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의 타당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1) 본 연구에서 6개 요인과 관련된 조사항목의 신뢰도는 0.8 이상이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6개 요인의 측정 문항들이 각각의 요인을 잘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변인의 요인 적재값(factor loading)의 표준화 추정값이 모두 0.5를 초과하며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를 통하여 모델의 수렴타당도가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신뢰도(reliability)가 모두 0.7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설문 문항 척도의 내적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인당 평균 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를 초과하며 이를 통해서도 본 연구의 설문 문항 척도가 신뢰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본 연구에서 구축하여 제시한 구조 방정식 모델과 설문조사 데이터의 적합도에 관한 모든 평가 지수가 기준에 도달하며 이를 통해 제시한 구조방정식 모델이 잘 적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기된 12개의 가설 중 10개의 가설이 성립되었으며 2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2) 가설모형에서,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각된 용이성은 행위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효과가 있다. 지각된 용이성이 행위 의도와 실제 행위에 대한 총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3)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는 행위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4) 지각된 유용성,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 통제는 행위 의도를 통해 실제 행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5) 행위 의도, 지각된 행위 통제는 실제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를 미친다. (6) 모든 변수 중 지각된 행위 통제가 실제 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대학교 교수의 스마트폰 보조수업 채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학교 조직의 관리 관점에서 "기술 환경 지원 제공", "기술 사용 지원 제공", "관리 이념 변경"을 제안한다. 또한, 교원의 전공 발전 차원에서 "교원은 교과 업무와 학생 중심의 신념 견지"와 "평생 학습"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