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적공사비 제도를 활용한 견적산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室內建築을 中心으로

        최현범 (崔賢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troduction and Justifica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media, there have been significant applications of them in the interior architecture field also. Not only the technical supporting systems for the interior construction but also the interior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s for the public are the examples where considerable improvements are made. Especially, cur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enable the client to obtain the reference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easily for instance the bill of material. However, eve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to facilitate to gathering the information for the cost estimation of construction, current practices still stay in the preliminary stage for example still most of companies do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by using the cost per a square feet. In general, the exact estimation of the construction cost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re are too many factors un-expectable but affecting the real cost while in the construction like changes of design or materials. So, there have been needs for the new estimation systems which use the information technologies to have more accurate and more objective estimation. The new estimation system based on the information technologies can improve the clarity of the estimation by showing the all details in the real time and the clarity of the estimation contribute to reduce the possible claims between a client and a construction company. For these reasons, the new estimation system for interior constructionwas researched and implemented in this paper.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implementation are followed; This study purpose estimation system considered a demand between customer and company during expectant estimation by the interior architecture online system, build processing of estimation method and effective data collection. Limit data area in an apartment house Methods For those purpose, this research consists of four parts; 1) Investigate market analysis and feasibility for the interior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 by using present analysis to the interior architecture information system. 2) Study a theory for estimation system using theory analysis and real construction cost to various estimate method by reference. 3) Collect an apartment house and a square feet information, investigate applicable parts and processing factor based on an apartment house and a square feet information 4) Classify collected an apartment house and a square feet information, select a variable affecting construction cost of an apartment house, study operation equilibrium data. 5) Improve real cost estimation system for the interior architecture online system, design and build database. 6) Improve factor of user interface and operation based on constructed system. Impacts Important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1) Provide a new system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 of the cost estimating method at Interior architecture 2) Build open estimation system for user 3) Manage sustainable data by an apartment house and a square feet information 4) Estimate interior cost based on real time online 오늘날 인터넷과 다양한 정보 매체가 발전하면서 실내건축분야에 있어서 많은 응용 분야가 개발되고 있다. 실내건축의 공사업무를 지원하는 기술 지원시스템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을 위한 실내건축 정보 시스템도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발주자가 세부 공사 선정시 참고하기 위한 자재 및 가격 정보의 수집이나 접근이 매우 용이 해졌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실내건축분야의 견적산출에 있어서 평당 단위개념의 개괄적인 견적산출이 지속 되고 있으며 견적산출의 객관화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공사의 내용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의존하여 실내건축 공사비를 사전에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현재 온라인실내건축 정보 시스템을 통해서 개별적인 변수를 적용한 신뢰할만한 견적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이다. 신뢰 할 수 있는 견적시스템은 합리적인 공사비와 공사내역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주자와 현행업체 간의 분쟁의 소지를 상당부분 해결 할 수 있다.또한 업체 입장에서도 상호 신뢰 할 수 있는 견적산출을 통해 궁극적으로 경영상의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객관적인 견적산출방식이 필요하며 견적산출방식을 바탕으로 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져야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견적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발주자와 업체간의 예상 견적 산출시 상호 요구사항이 반영된 견적 산출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며 이러한 견적 시스템 구축을 위한 견적방식과 유효한 데이터 수집의 절차 및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구축범위를 공동주택으로 한정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건축온라인 정보시스템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실내 건축분야의 견적 시스템구축을 위한 시장분석 및 타당성을 검토한다. 둘째 관련 문헌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적산기법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실적공사비를 활용한 견적산출을 위한 이론을 고찰한다. 셋째 공동주택 단지 및 평형정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공동주택단지 및 평형 데이터를 근거로 적용분야 와 공종 구축요인을 조사한다. 넷째 수집된 공동주택단지 및 평형데이터를 분류하여 공동주택의 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고 평형데이터 운영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다섯째 실내건축 온라인 시스템에 맞게 실적공사비 적산기법을 개선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한다. 여섯째 구축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 및 운영방법을 개선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시스템의의는 다음과 같다. (1) 사용자 위주의 개방형 견적 시스템구축 전문가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실재 사용자 중심의 견적 산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전문가 중심의 견적 시스템은 스프레드쉬트의 형태를 기반으로 정해진 함수 안에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만이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축되었지만 사용자 위주의 개방형 견적 시스템은 견적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 및 정보공유와 선택이 가능하여 신뢰 할 수 있는 견적산출 환경이 가능하게 하였다. (2)공동주택 단지 및 평형정보를 통해 지속적인 자료 구축 모든 시스템의 기반은 기초데이터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구현의 구조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단지 평면정보 데이터를 수집 및 구축하였다. 이전의 유사한 연구 사례에서는 기초 데이터 기반의 연구가 아닌 견적방법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는 사례에 주목하여 공동주택 단지및 평형 기초데이터를 구축,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3)실시간 온라인 기반의 실내공사 견적산출 가능 기초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시스템은 실시간 온라인 견적이 가능하게 하며 추가로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오프라인 연결을 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진정한 실시간 견적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초기 상담시 발생하는 인력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 한국의 세무조사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최현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글초록 :한국의 세무조사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최현이 본 연구는 민주적인 세무 행정을 뒷받침하는 기반적인 역할을 하는 세무조사제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세무조사제도의 의의와 기능 및 목적, 변천 과정, 외국의 세무조사제도를 살펴보고 국내의 세무조사실태와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과세관청의 조사와 관련된 각종 규정 및 통계자료등과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분석?검토된 내용들을 살펴보는 문헌적인 연구방법에 의하여 세무조사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정부와 전문가들이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제도상, 운영상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에서 드러난 세무조사제도 관련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세청의 인력은 정부조직의 경직성으로 인해 적기에 충원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세무조사인력의 확대와 전문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탈세자에 대한 처벌은 높은 조세형벌과 미약한 가산세의 부과로 양분되어 있었으며 그동안 벌금형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예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세무 조사 비율 제고와 제재규정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셋째, 자영업자의 소득 탈루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므로 과세자료수집 인프라 구축 및 정보화가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비리, 정권 유지의 수단으로 오?남용되는 등 그 기능과 사회적 인식이 크게 변질되어 왔으므로 세무조사의 독립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납세 성실도의 측정에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조사대상자 선정의 객관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세무조사의 민주성 제고이다. 조세정보 공개정책에서 한국은 탈세에 대한 통계정보와 개별납세자들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지만 납세순응도가 우리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은 탈세에 대한 통계정보는 물론 최고소득계층의 개별 납세 자료도 공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전반적인 해결방안의 제시에 그치고 실증연구로서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의 검증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향후에는 세무조사대상자 선정에 대한 미시적인 평가모델이나 외국법인의 국내투자에 대한 세무조사 등 보다 세부적인 분야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ax investigation system designed to support a democratic tax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implications, functions and goals of tax investigations and thereupon, examined the changes of tax investigations and foreign cases and thereby, analyzed our tax investigation system to address its problems and explore the ways to develop it.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various codes and regulations as well as statistics about tax investigations and examined the relevant theories and therewith, addressed the problems perceived by tax administrations and experts to find their solutions in terms of system and its 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current National Tax Service (NTS) manpower for tax investigations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rigidity of government organization, it is urgent to recruit more manpower and train them to be more professional. Second, the tax evaders have been subject to either stricter tax punishment or less stricter penalties so far, which means that tax evaders have seldom been severely punished. Henc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ax investigations, while amending the relevant tax codes to apply more severer punishment to tax evaders. Third, since self-owner businessmen have taken advantage of the tax code loophole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tax data collection infrastructure or database to check their tax evasions. Fourth, since tax investigations have been misused to cover various illegal practices or maintain the political power, namely, since their functions have been much distorted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them, it is quite necessary to make them independent from the politics. Fifth, since tax payers' faithful payments of their taxes have not been judged in a fair way, it is required to set some objective criteria for the suspects of investig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democracy of tax investigation. While Korea does not make public the statistics about tax evasions and individual tax payers, Japan reputed for her tax payers' higher obedience to tax make open to the public not only the statistics about tax evasions but also top tax payers.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it could only suggest some comprehensive institutional solutions to tax evasions, not testing them neither empirically nor specifically and in details.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s studies which will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to some micro-evaluation model for selection of the suspected tax evaders, tax investigations into foreign corporations in Korea and other micro-scope areas

      • 共同住宅工事의 單位作業 達成度와 勞務量 加重値를 利用한 進度率 測定方案 硏究

        최현하 (崔賢遐)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Construction projects involve many risks caused from man power,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etc. Therefore continuous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anagement analysis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re critical in identifying the project’s ongoing performance against its initial plan. In order to perform such rational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there is a need for performance rate evaluation technique that reflects ongoing project’s current situation. In other words, a method that reflects accurate objective workload measurement and its progress state is required to achieve accurate measurement of construction field’s achievement data.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propose a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 that is based on completed unit quantity rate and labor productivity, and also to analyze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2, the problems of performance rate evaluation have been considered based on the difficulties in work process management due to lack of productivity information. It has been identified by analyzing the overall current status of domestic apartment work process management and the corresponding problems, and cost classification scheme. In Chapter3, the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ologies proposed around the world has been compared and analyzed for developing its improvement plan, and an alternative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 using completed unit quantity rate and labor productivity is proposed. In Chapter 4,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performance rate proposed in Chapter 3 in the real world and required calculation method have been provided to propose an improved performance rate application method, and a case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dentify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real world. Construction includes many units. If we have a look at the frame construction, it includes over 30 units thus always being exposed to risks caused by factors other than internal construction procedures. It is certain that we cannot ignore the importance of cost since the current measure of payment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performance rate based on cost. However, by thinking of pure performance rate concept,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 that is less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than the method based on cost of completed quantity is essential. Man-hour is the internal construction factor that is common to every unit tasks and distinct from cost of completed quantity. Man power is essential element of construction process, the tasks require more man power involve most of the difficult construction processes or CP tasks. Thus, we have proposed a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 that uses accomplishment rate of completed quantity of unit task and Man-Hour for completing activity to compromise performance rate evaluation method based on unit price. The performance rate using unit task accomplishment rate and man-hour weighted value proposed in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properties. First of all, the WBS for performance rate evaluation is suggested to be the lowest unit task level, which is level 7. We can identify unit task’s productivity information by information collection and performance rate evaluation in this unit task level and the productivity information obtained allowed managing remaining construction process and establishing construction plans for similar projects in such unit task level. Secondly, the objective real performance rate can be identified using the unit task accomplishment rate, which is the rate of planed quantity to completed quantity of each unit task. Thirdly, man hour evaluation method using productivity data has been proposed so that construction plan can be established with information from past similar projects and performance rates can be compared and analyzed. Fourthly, by evaluating performance rate using the man hour weighted value which is the internal construction factor, the problem of performance rate measured based on cost of completed quantity can be resolved using the proposed performance rate evaluation technique that is less affected by external construction factors. Finally, the proposed performance rate evaluation technique has been applied to an actual construction site to show that the method can actually be applied to the real world construction industry. This performance rate calculation method using unit task accomplishment rate and man hour weighted value allows easy use of productivity information to achieve obj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It is also possible to flexibly handle external construction factors such as acceleration of lacking construction labor, increase in inventory price, etc. so that effective progress management and analysis could be achieved. Factors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is research like man-hour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sex, level of skills and type and performance of machines would need to be considered further in the future work, so that more accurate performance rate calculat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can be accomplished. 건설 프로젝트는 인력, 기후요소 및 환경요인 등의 다양한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공사 진행 중에 지속적인 성과측정(Performance Measurement) 및 경영분석을 통해 프로젝트가 초기 계획대로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합리적인 건설사업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사업이 직면한 상황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진도율의 산정이 요구된다 할 수 있다. 이처럼 정확한 현장 실적자료의 제공을 위해서는 작업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기준 및 진행상황이 정확히 반영된 진도율 산정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작업 달성율과 투입노무량을 이용한 진도율 산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제시되는 진도율 산정방식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2장. 국내 공동 주택 공정관리 현황 및 문제점 분석에서는, 현재 국내 공동주택 공정관리의 전반적인 실태 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생산성정보 부족으로 인한 공정관리의 어려움과 비용분류체계를 중심으로 한 진도율 산정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제 3장. 국내외 진도율 산정연구 고찰에서는, 국내외에서 제시된 진도율 산정 방안을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 하였으며, 단위작업 물량 달성도와 노무량 가중치를 이용한 진도율 산정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제 4장. 단위작업 달성도와 노무량 가중치를 이용한 진도율의 산정에서는, 앞서 제시한 개선 진도율의 실제 적용 방법과 필요한 산식의 제공을 통하여 새로운 진도율 산정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사례 적용을 통하여 진도율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건설공사는 수많은 내역항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골조공사의 경우만 보더라도 30여개의 내역항목으로 구성되어져 있어 공사외적인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져 있는 것이다. 물론 현재 국내 건설업체의 경우 기성지급의 기준이 진도율인 점을 감안하면 비용의 중요성을 치부할 수 없지만 순수 진도율의 개념에서 고찰한다면 비용(실행기성)에 의한 진도율의 산정보다는 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적게 받는 진도율 산정법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실행기성과 달리 공사 내적인 요소이며 모든 단위작업에 공통되게 소요되는 것이 노무량(Man-Hour)이다. 건설공사의 특성상 인력이 투입되지 않는 작업은 없으며, 대체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하는 작업이 공사상의 난이도가 높거나 많은 시간을 요하는 주공정(CP)상의 작업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문에 내역단가에 의한 진도율 산정방법의 보완 또는 대안으로서 단위작업의 완성물량 달성도와 투입노무량을 이용한 진도율 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단위작업 달성도와 노무량 가중치를 이용한 진도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진도율 산정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를 최하위 단위작업 수준인 Lv7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단위작업 수준에서 정보 수집 및 진도율 산정을 통해 단위작업의 생산성 정보를 파악 할 수 있으며, 분석된 생산성 정보는 잔여 공정관리 및 유사프로젝트의 계획공정 수립을 단위작업의 수준에서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각각의 단위작업의 계획물량 대비 실적물량 비인 단위작업달성도를 이용하여 진도율을 산정함으로서 객관적인 실적진도율의 파악이 가능 하도록 하였다. 셋째, 생산성데이터를 이용한 노무량의 산정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과거 유사 프로젝트의 정보를 이용한 계획 공정의 수립 및 진도율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넷째, 공사 내적인 요소인 노무량 가중치를 이용하여 진도율을 산정함으로서 비용(실행기성)진도율의 문제점인 공사외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은 진도율의 산정방법을 제안 하였다. 마지막 다섯 번째로 제안한 진도율 산정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서 제안한 진도율의 사용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단위작업 달성도와 노무량 가중치를 이용한 진도율 산정법은 급속도로 변하는 건설현장의 외부환경으로 인하여 적용하기 어려운 생산성 정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객관적인 공정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가속화되는 건설노무자의 부족현장 및 자재값의 상승 등의 공사 외적인 요인에 유연하게 작용함으로서 효과적인 진도관리 및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간과한 남녀노소 및 숙련도에 따른 노무량(Man-Hour)의 차이, 그리고 사용장비의 종류 및 성능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좀 더 정확한 진도율의 산정 및 공정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골다공증 척추에 적용가능한 개창형 골시멘트 주입용 척추경 나사못의 개발

        최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의학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층의 건강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골밀도가 감소한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융합술은 실패할 확률이 높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사못의 고정력 향상을 위한 어떠한 형태적, 기술적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환자의 척추에 적용가능한 개창형 골시멘트 주입용 척추경 나사못 개발을 위한 설계요소 분석과 역학적 특성분석 평가를 수행하였다. 설계요소 분석은 이식물질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구조, 나사산 종류, 삽입각도 등 다양한 설계변수를 적용하여 해부학적 임플란트 디자인 설계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제시된 임플란트 디자인 설계안을 통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제품의 역학적 특성분석평가를 실시, ASTM F1717, ASTM F543 규격 기반의 압축, 인장, 비틀림, 인발 및 피로시험으로 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역학적 성능을 확인하였다. 향후 골다공증 환자에게 적용되었을 때에도 제품의 안정성과 실질적인 유효성을 나타내는지 임상적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due to the advancement of medicine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due to aging are becoming social issue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with decreased bone density, fixed fusion using pedicle screws is more likely to fail.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formative and technical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fixation of the scr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ign factors an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dicle screws for the infusion of modified cement into the spine of osteoporotic patients. The analysis of design element was able to suggest an anatomic implant design plan by applying various design variables such as open structure, thread type, insertion angle and so on to enable implantation of implantable material. The prototype was fabricated through the proposed implant desig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were evaluated, and mechanic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ASTM F1717, ASTM F543, compression, tensile, torsion, pullout and fatigue tests. Clinical studies and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safe and effective when applied to future osteoporosis patients.

      • 동관 공식에 관한 사례결과 분석 및 고찰

        최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관은 일반적으로 수계배관 재질로서의 뛰어난 내식성을 나타내며 부식으로 인한 누수사고의 빈도수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정체된 물을 함유하고 있는 스프링클러 배관으로 사용되는 동관의 경우, 동관의 부식환경에 따라 국부부식의 일종인 공식부식(Pitting Corrosion) 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여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관 공식부식은 단지별로 발생건수의 편차가 심했고 예측하기 어려웠지만 공식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한 단지는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동관 공식부식에 관한 다양한 연구결과를 비교 ∙ 분석하여 세대 스프링클러 동관 공식현상의 유형은 TypeⅠ 공식부식임을 확인하였으며, TypeⅠ 공식부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동관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윤활유가 잔류 ∙ 산화하여 탄소막이 형성되고 부동태 피막의 형성을 방해하여 공식이 생성된다. 두 번째, 동관 내 소화수 침전물과 용존산소에 의한 산소농담전지가 형성되어 공식을 유발한다. TypeⅠ 공식부식의 첫 번째 원인인 동관 제조 시 사용되는 잔류 윤활유가 탄소막을 형성하고 부동태 피막의 형성을 방해한다고 많은 문헌에서 기술하였으나 윤활유의 성분분석이 행해진 연구는 없었다. 기존 문헌에서 윤활유의 주요성분으로 염소가 사용되고 염소 처리된 오일은 금속표면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 증기청소가 요구된다고 하였으니, 동관 제조 시 사용되는 윤활유의 성분분석을 다시 한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동관 공식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선 시공 시 동관 내 청소가 이뤄졌는지 철저히 확인하여 시공하여야 하며, 기 설치된 동관에는 배관 내 이물질 제거를 위해 주기적인 드레인으로 수질을 개선하고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여 동관 공식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더불어 공식부식의 원인 중 하나인 배관 내 산소농도는 탈기를 통하여 낮게 유지시켜 주고 용존산소를 낮추는 약품을 투입하여 동관 공식부식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최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 지능 및 또래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학생의 정서지능, 또래관계에 있어서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또래와의 관계, 정서지능과 또래와의 관계,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정서지능간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G광역시 내에 위치한 Y초등학교 5학년 학생 172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 또래관계를 검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계수를 알아보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 가운데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과 또래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형 의사소통 방식과 또래관계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또래관계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 가운데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형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의 요인들을 예언변인으로,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를 준거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방식 가운데 아버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은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지능 가운데 정서활용 및 정서조절은 또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에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또래관계는 밀접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지능과 또래관계도 밀접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과 정서지능 또한 서로 밀접한 정적 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 가운데 아버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방식은 또래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지능 가운데 정서활용 및 정서조절은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차 성인이 되어서도 사회를 이끌어나가야 할 대인관계의 기초적인 단계를 준비하는데 있어서의 또래관계를 원만하게 형성 유지하기 위하여 부모와의 의사소통 방식은 문제형 의사소통 방식보다는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으로, 어머니는 물론 아버지와의 대화도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정서지능에 있어서는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고 감정이입과 정서사고 촉진보다는 인식한 정서를 활용하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여 타인과의 조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또래 관계를 형성에 있어서 개선자료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모상담이나 교육을 할 때에도 참고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the ways students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with elementary students in their 5th grade as subjects. With the purpose in mind, efforts were mad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ir communication methods with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Furthermor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al communication and peer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between parent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delved into. In addition, endeavors were made to investigate how parent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peer relations. 172 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ir 5th grade in G Metropolitan City were chosen to make a survey about how they perceive their communication methods with their par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by the SPSS for Window 14.0 program to find ou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were further analyz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made.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 and between open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ssue-oriente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in the matter of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pe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positive correlation, but issue-oriented communic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negative correlation. Fourth, tes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er rel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communication method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variables showed that their way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peer relations. The findings above show that there are close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following relations: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peer relatio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 and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parental communication method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were shown to affect peer relations in a negative fashion and emotion utilizing and emotion adjustment among varied emotion intelligences were shown to affect peer relations in a positive way. Therefo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elementary students who will be leading our society in the future need to have an open parental communication rather than a problematic communication; and that communication with not only mother but also father plays an important role. It is shown that perceiving and expressing emotions were necessary and that utilizing and adjusting perceived emotions rather than empathizing and facilitating emotional thinking were more needed. The study results could be utilized to improve the peer relations of students and could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when consultations with parents are conducted and education is given to children.

      • 高等學校 學生의 藥物 誤ㆍ濫用實態 및 豫防對策에 관한 硏究

        최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The purpose of this study According to repid changes of Moderm society, without morality, in the midst of confusing one's sense of value, high school students increasingly go to the bad activities. Through this studying, examining and analyzing about the durg abuses of the youth, I would like to see the relationship of durg abuses and students' bad activities. So I'd like to indicate ways of measures ofor proper guida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B. The processes and ways of this study. 1. The object of this study. Posing questions to 400students (260 boys and 140 girls) i n 8 schools located at Go Heung Gun in chulanam Do, I analyze 385 papers except bad ones. 2. Examining materials 1) Question papers are made not only by a bibliography and former studying, but also by an academic adviser. 2) These materials are divided into 10 fields and 40 questions in order to examine activities of the drug abuse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3. Treating Materials Indicating percentage about the results of question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C. The results of this study 1. Most of the boy students have the first drug abuse experience from 16 years old to 17 ages. 2. Boys of drug abuse experience are much higher than girls. But we must pay much attention to increasing smoking and drinking alcol in the girl students. 3. The problem of the drug abuses is inclined to get again and again. Namely light things such as smoking, I and drinking alcol, etc are gradually developed into a strong inhalant, stimulant, sedative, sleeping drug, nervous sedative, and hallucinogen, and so on. So many students are indulged into doing bad things. There fore these repeative drug abuses must be cutted. 4. The drug abuses awaiting solution except a simple drinking and smoking appear a bond, pep pill, sleeping drug, and nervous sedative etc. Though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re a narcotic, hallucinogen, helobon, cocainism, in the light of a korean reality,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get them. Without the knawledge of svarious kinds of medicine, students might be confused. So we can't conclude the kinds of drug, and a experienced drug abuse 5 . For the preventive measures of controlling the drug abuses, the government must continue teaching teachers or the persons concerned about them. Also he teaches students very carefully about them.

      •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와 Holland 직업유형 및 MBTI 성격유형간의 비교연구 :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최현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의 꿈과 적성에 대한 고민을 한 다음에 진로를 결정하기보다는 학교 성적에 맞추어 대학진학과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여 학교중도탈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중도탈락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학교생활 적응이 청소년시기를 보내는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서의 정체성 혼란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는 청소년 시기의 자아정체성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쳐 직업에 이직률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하지 못하고 학교중도탈락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문제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개입을 하므로 직업적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그림검사에서 보이는 그림특성을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The Content Scales)의 하위점수가 Holland 직업적성검사 및 MBTI 성격유형 검사와의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참여자는 안산시 B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720명 중에서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Holland 직업유형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3가지 검사도구 중에서 한 가지 검사라도 답안작성을 불성실하게 한 55명을 제외한 남학생 301명, 여학생 364명 총665명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Holland 직업유형에 따라 어떠 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Holland 직업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형(S), 탐구형(I), 예술형(A), 기업형(E), 관습형(C) 보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내용척도 부분으로는 나무의 수관에 색을 많이 사용함을 보였고, 실재형(R)이 다른 유형 보다는 옹이 의 수를 좀 더 많이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형(A)은 기타 환경물을 추가로 그려준다는 것으로 보아서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내용척도 여러 항목 중에 수관 묘사에 사용한 색의 수, 옹이 수, 기타 환경물은 Holland 직업유형을 구분해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에서 형식척도(FEATS)의 결과는 ESFJ(외향적 감정형)는 공간사용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ENTP(외향적 직관형)는 공간 사용이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났다. 그림검사의 내용척도(Content Scales)의 결과로 ESFP(외향적 감각형)는 사람의 수를 가장 많이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ENTP(외향적 직관형)는 사람의 수를 가장 적게 그린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ESFP(외향적 감각형)는 동물의 수를 가장 많이 그린 것으로 나타났고, ENTP(외향적 직관형)는 동물의 수를 가장 적게 그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ENTP(외향적 직관형)는 사람의 수, 공간 사용, 동물의 수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ESFP(외향적 감정형)는 내용척도(Content Scales)에서 사람의 수, 동물의 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통해서 Holland 직업유형과 MBTI 성격유형에서 비교 연구 결과 PPAT(사과 따는 사람)그림검사와 Holland 직업유형 및 MBTI 성격유형을 접목한 새로운 연구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심리 상담이나 진로상담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주요어 : PPAT(사과 따는 그림검사), Holland 직업적성검사, 청소년 사회적응, MBTI 성격유형검사,

      • 6주간 둔근 운동이 직장인의 정적,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lute exercises on balance ability and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s in improving balance ability in the future. Twenty employees living in Jeonju, Jeollabuk-d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ercise (n = 10) and non-exercise (n = 10) groups. Each group of employees exercised twice a week for 6 weeks. Subjects in this study understood the experiment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ests for evaluating glute strength and balance of the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6 weeks of commencing the study.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software for Mac. Pre- and post-workout data were analyzed for studying the differences in the studied factors using the paired t-test. A paired t-test was described to confirm the inversion within the group,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level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6-week glute exercise program are as follows. The statistical level in this study was II based on the 0.0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6-week glute exercis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exercise group, which comprised employees aged 35 years and young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ngth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Second, the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c balance ability. Third, the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ynamic balance ability.

      • RISS 인기논문

        통합교육의 성공요인 및 저해요인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연구

        최현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 교사에게 통합교육에 대한 성공과 장애의 요인을 설문 조사를 통해 통합 교육의 성공적인 실행 계획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의 요소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대구 광역시 북구 칠곡 지구에 있는 150명의 일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고, SPSS window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일반 교사들이 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여교사들은 남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통합교육 경험이 풍부한 교사는 훨씬 더 긍정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비경험교사들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통합교육의 전반적인 성공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대부분 성공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문항구성별 성공요인에서 ‘행․재정적 지원’ 문항 중 교사들에 대한 지원요인보다는 학교나 사회전반에 대한 지원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문항구성별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으로는‘학생수 과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장애,비장애아동 부모인식부족’ 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장애, 비장애아동 부모의 인식 부족에서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난 것은 교사들이 부모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해석한 것으로서 통합교육에 대해 부모들의 인식이 많이 변화하였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일반교사들은 ‘ 학생수 과다’ 와 ‘ 수업 및 업무의 과중’을 통합교육의 저해요인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을 저해하는 요인들을 줄이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실천방안을 모색해보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올바른 이해 및 사고의 인식이 필요하며 통합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익혀야 한다. 교사교육이나 통합교육에 대한 연수를 지원하여 교사들의 자질 함양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는 일반교사, 특수교사, 순회 교사 등의 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에는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서 교사들에게 부담을 줄여 통합교육의 효율화와 내실화를 가져와야 한다. 통합학급의 담임교사 및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특수교육보조원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교사들에게 통합교육에 필요한 학습자료 및 장애학생에 필요한 시설 확충 등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 학교에서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자원들은 통합 교육을 위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직접적인 교육의 장으로서 제공되어져야 한다. 특수 교육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사들의 통합 교육 경험, 특수 교육 전문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생의 기본 학년의 성취 수준이 도달되지 않고서는 통합교육은 달성 되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교사 교육 및 연구 경험, 세미나 등을 통해서 통합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