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지 첨가에 따른 국수의 제면 특성 변화

        최현민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활용도가 낮은 식 자원의 부가가치 부여라는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0, 2, 4, 6 및 8%로 비지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국수의 수분 결합력, 색도, 국수의 표면 구조 및 물성실험을 진행하여 비지 첨가 국수의 제면 특성을 확인하였다. 수분 결합력은 비지 분말의 첨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국수의 명도(L)는 비지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감소패턴을 보였으며,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표면의 미세구조를 확인한 결과 비지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공극의 특이적인 변화는 확인할 수 없었다. 조리 전 생면의 물성을 확인한 결과, 경도, 부착성, 탄력성, 점착성 및 씹힘성은 비지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면의 경우, 경도, 탄력성 및 부착성은 비지분말 첨가에 따른 상승경향을 나타낸 반면,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착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제면 특성을 종합 판단하여 국수의 제조 시 비지분말의 첨가는 4%가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A Study on Roll to Roll Imprint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Functional Films

        최현민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학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 필름, 발수 필름, 플렉서블 필름 등 기존의 필름과 다른 특수한 성질을 지닌 필름들을 아울러 기능성 필름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기능성 필름들은 전자소재로 쓰이기도 하면서, 디스플레이 업계에서 핵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능성 필름을 미세 패터닝으로 제작하는 방법이 떠오르고 있으며, 특히 UV(Ultraviolet-ray) 경화 기술을 이용한 공정들이 연구되고 있다. UV 경화 기술은 페인트, 잉크, 접착제, 광 디스크, 일렉트로닉스 등에 이용되는 기술로써 첨단 산업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술이다. UV 경화는 열 경화와 비교하여 경화시간의 대폭 단축으로 인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소비가 가능하며, 이 기술을 활용한 UV Nano Imprint 공정에 대해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Roll to Roll(R2R) 임프린트 공정으로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2R 임프린트 공정 변수 및 특성을 연구하여 기능성 film을 연속으로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였다. R2R Imprint 공정 시스템 적용을 위해서는 roll mold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서 유연한 재질인 pet 필름을 이용하여 tiling method와 step & repeat method를 이용하여 대면적의 roll mold를 제작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면처리가 균일하게 이루어진 tiling mold가 R2R Imprint 공정에 적합하였다. 이후 UV Nano Imprint 공정을 통해 제작하였던 소수성 패턴과 색변환 패턴 중 보다 더 미세한 패턴인 색변환 패턴을 R2R 임프린트 공정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3 가지의 resin을 통해 높은 전사도를 갖는 resin을 확인하였으며, 장비의 웹 이송속도와 인압 조절을 통해 잔류막 두께 조절이 가능함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의 조절효과

        최현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적으로 사회복지사는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에 찾아가 지원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에 대한 처우개선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업무는 단지 직업적 소명의식과 봉사정신으로만 여겨왔다. 사회복지사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에는 관심이 없었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는 이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인 감정노동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진행되었으며,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감정의 효율적 관리와 소진의 완화 및 예방을 위한 산업복지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이 조절변수로서 완충효과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독립변수인 감정노동의 중요한 개념인 표면행위와 내면행위로 나누었으며, 소진 또한 3개의 하위차원인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성취감 결여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10년 미만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서울시 18개(종합사회복지관 11개, 노인복지관 3개, 장애인복지관 4개), 경기 19개(종합사회복지관 13개, 노인복지관 3개, 장애인복지관 3개), 인천 4개(종합사회복지관 2개, 노인복지관 1개, 장애인복지관 1개)기관에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400명의 사회복지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 중 주요 변수에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35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표면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의 각 하위차원인 정서적 탈진,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성취감 결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면행위는 정서적 탈진과는 관계가 없었으나,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와 성취감 결여의 관계에서 부적영향을 보였다. 두 번째로 연구모형의 검증결과, 자기효능감은 소진의 각 하위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보였는데, 자기효능감은 표면행위와 성취감 결여의 정적 관계를 완충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내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슈퍼비전 또한 소진의 각 하위차원에 따라 부분적으로만 조절효과를 보였다. 표면행위와 소진의 관계에서는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행위와 소진의 하위차원 중 성취감 결여의 관계에서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결과는 기존의 내면행위와 성취감 결여의 부적관계를 저하시켜 정적관계로 바꾸는 조절효과를 보인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이용자를 대면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감정노동을 완화하기 위한 감정 관리와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보호 장치와 슈퍼비전 체계의 개선,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감정적·심리적 안정을 위한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근로자지원프로그램) 도입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사회적 인식과 처우개선을 제시함으로써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deep acting) of social workers who work at Social Welfare Center, Seniors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ffects their burnout(emotion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reduced accomplishment) and to discover how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has moderating effects to buffer the relation within those two variables. Also, it is the object to suggest practical solutions for alleviating and preventing th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social workers through the conclus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how the rate of emotional labor of social workers from Social Welfare Center, Seniors Welfare Center,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influences on their burnout, I used the responses of 350 social workers by distributing a survey to 41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nd SPSS 24.0 was used as an analysis method to verify moderating effect by carrying ou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for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has an effect on emotion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of social workers. Deep acting has an effect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but was not significant with emotional exhaustion. It means that when the social workers perform surface acting the more, burnout increases, and the social workers perform deep acting the more,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had been decreased. Second,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t was partially adopted. The self-efficacy only has moderating effect within surface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It came out that lesser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surface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Last,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it was also partially adopted. The supervision only has moderating effect within deep acting and reduced accomplishment. It came out that decreasing the positive effect of deep acting on reduced accomplishment. Therefore, I suggest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irst, it requires management of social workers’ emotion to prevent the burnout. Second, it requires the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the supervision system. Third, it requires the enhancement of the network with other social workers in region. Fourth, it requires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which is consult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it requires improvement of work condition of social worker.

      • 예레미야서 30,18-22에서 드러나는 회복에 대한 고찰

        최현민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 세계적 확산은 오늘날 사회의 민낯을 드러냈다. 더 이상 지속할 수 없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직시하게 한 것이다. 모든 세대에 하느님께로의 회복이 필요했지만, 극심한 생태 위기에 직면해있는 오늘날, 그 회복은 더욱 절실하다. 지구를 위협하는 생태 위기는, 자본주의로 급속화된 인간의 무분별한 발전과, 세계 사회 전체를 좀먹고 있는 이기주의의 산물이다. 한편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주식 투기와, 무분별한 암호 화폐 거래는 수많은 이에게 일상이 되었다. 급변하는 숫자와 그래프 앞에 많은 이가 목숨을 버리는 현상은, 돈만 있으면 모든 것이 가능할 것처럼 보이는 오늘날 사회를 여실히 드러낸다. 더불어 끊임없이 소비를 조장하고, 더 많이 소비하는 사람이 더 귀한 사람이 되는 오늘날, 인간 존엄성은 끊임없이 추락하고 있다. 이렇게 환경, 경제, 일상 모두 하느님께로의 회복이 절실히 요구된다. 예레미야를 비롯한 구약의 예언자들은, 하느님의 말씀을 따르기를 거부하는 시대에서, 당시의 문제점을 신랄히 꾸짖으며 목숨을 걸고 하느님의 말씀을 담대히 전했다. 오늘날 역시 많은 예언자들이 열성을 다해 하느님께로의 회복을 외치고 있지만, 그 말씀을 듣고 따르는 이들은 매우 적은 것처럼 보인다. “뽑고 허물고 없애고 부수며 세우고 심으려는 것이다”(예레 1,10). 예레미야는 멸망으로 향하는 고통의 시간을 살아내며 하느님의 말씀을 세상에 선포하였다. 거짓 예언자들의 헛된 희망에 맞서 멸망을 선포해야만 했던 그의 예언은 대부분 ‘뽑고 허물고 없애고 부수는’ 심판과 파멸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세우고 심는’ 소명도 동시에 받았던 예레미야는 파멸의 시대가 끝나고 하느님께서 다시 돌려주시는 회복에 대해 선포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회복이 매우 구체적이고 상징적으로 묘사된 예레 30,18-22을 살피며, 하느님께서 주도권을 가지고 이루어주시는 회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위로의 책’(예레 30-31장)에서 가장 특징적인 히브리어 동사 bwv를 분석하여 회복의 의미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하였다. 회복에 대한 예레미야의 예언은, 일상의 구체적인 순간에서 우리를 당신께로 돌이키시는 하느님의 초대를 발견하도록 우리를 이끌어 줄 것이다. 나아가 하느님께서 이루어주시는 회복 앞에서 지녀야 할 우리의 맞갖은 자세를 숙고하게 할 것이다.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초등부 공과에 나타난 선교교육 분석 연구 : 전통주의를 중심으로

        최현민 서울신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dge the present status of missionary education by por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in the curriculum for children i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is analysis has been based on the Traditionalist works of Henry. A.Giroux. At first, when analyzed based on Traditionalists’ views, each curriculum is required to be firmly organized. However, we found that present curriculums have been little organized. For attaining substantial improvements, I want to emphasize following five things. The first point for improvement is about language to be used in curriculum. Language should be used clearly and concretely. The second thing is about a ‘Sample Story’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Each case used as an example has to be related to the education goal presented, and be composed as a practical and concrete case. Thirdly, both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curriculum have to have concurrence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teachers. Lastly, the educational experience for attaining education goals needs to be comprised of not static and theoretical contents, but realistic and capable contents. When I analyzed curriculum for children i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e second point for improvement is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to be verified empirically by comparison with results of other studies. Thirdly, because this study has been done i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the expansion of the study range to another Christian religious body will give it further meaning. Fourthly, I would like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f missionary education in curriculum for children. Also, for proper missionary education, passionate teachers have to be trained through organized teacher education, and better program development. Finally, to raise awareness of missionary education, we need to make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recognize the necessity of children’s missionary education, and present some substantial plans to them. For instance, we can invite missionaries, give children the opportunity to hear missionaries’ confession of faith, and make them participate as a temporary missionary, so that theoretical schooling is kept at pace with substantial schooling.

      • 발기부전과 하부요로증상이 동반된 환자들에서 SS-penogram 분류에 따른 배뇨기능의 분석

        최현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기부전과 하부요로증상이 동반된 환자들에서ss-penogram 분류에 따른 배뇨기능의 분석 인구의 노령화로 남성에서 성기능 장애와 전립선비대증 및 하부요로증상은 나이와 더불어 증가되며 이러한 동반질환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이러한 두 질환의 병태 생리학적 연관성중 NO/NOS설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아래의 연구를 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발기부전과 하부요로 증세를 호소하며 2008 년 4 월 1 일부터 2009 년 2 월 20 일 까지 강남 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에 내원한 67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기능에 대한 평가는 IIEF-5 국제 발기부전 설문검사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AVS-penogram과 SS-penogram을 시행하였다. 이들 각 세부 유형에 따라 IPSS, 요류속도검사, 잔뇨, 삶의 질 지수 , 전립선 크기 등과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성적 자연 발기검사인 AVS-peno의 반응이 좋은 양상에 따라 발기지수(IIEF)가 증가되어 서로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p값=0.09) PDE-5 억제 약물에 의한 발기검사인 SS-peno에서는 오히려 반응이 없는 D군에서 발기지수가 높고 요류속도도 증가하며 배뇨지수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자연 발기가 좋은 AVS군에서는 배뇨지수들이 비례하여 좋은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자연 발기 즉 NO-cGMP가 활성화 된 군에서 배뇨기능이 좋았음을 의미한다. 반면, PDE-5i 에 의한 발기인 SS-peno 에서는 오히려 반응이 안좋은 군에서 배뇨기능이 좋은 양상을 나타났다. 이는 NO-cGMP 시스템이 비활성화 되어 있다가 약물에 의해서만 반응이 나타나는 군에서는 오히려 배뇨기능이 억제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로 평가된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발기 장애와 하부요로증세가 잘 동반되는 이유로 NO/ NOS설이 유력함을 뒷받침할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여 나이와 ED기간 등의 영향을 같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 성인 근로자의 교대근무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의 관계

        최현민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대근무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의 관련 요인 분석을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제5기 1차년도(2010)조사 건강조사 중 총 연구 대상자 33,809명에서 만19세 이상 성인인 25,122명중 취업자중 상용직인 2,119명을 수면시간, 신장, 체중의 순서로 31명의 결측치를 제외한 2,088명(교대근무 656명, 정상근무 1,4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근무형태를 교대근무와 정상근무로 분류하고, 혼란변수인 인구학적 요인(연령, 성별, 결혼유무), 사회·경제학적 요인(소득수준, 교육수준), 건강 행태 요인(흡연여부, 음주유무, 수면시간, 걷기운동, 스트레스, 외식 빈도, 에너지 섭취량)과 비만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성별, 수면시간, 근무형태를 보정한 Model 1, Model 1에 수면시간과 근무형태의 상호작용만 보정한 Model 2, 모든 변수를 보정한 Model 3으로 분류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고,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하여 교대근무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의 관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성별, 수면시간, 근무형태만 보정한 Model 1에서는 성별, 수면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비만할 확률이 2.5배(95% CI 2.08-3.14)높았고, 수면시간은 8시간 이상을 기준으로 6시간 미만 1.4배(95% CI 0.88-1.49)높았다. Model 1과 근무형태의 상호작용만 보정한 Model 2에서는 성별, 수면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자가 비만할 확률이 2.5배(95% CI 2.07-3.14)높았고, 수면시간 8시간 이상을 기준으로 6시간 미만 1.2배(95% CI 0.96-1.74)높았다. 모든 변수를 보정한 Model 3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수면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비만이 발생할 확률이 2.3배(95% CI 0.45-0.94)높았다. 교육수준은 중학교 졸업 이하를 기준으로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에서 각각 0.65배(95% CI 0.45-0.94), 0.66배(95% CI 0.45-0.98)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수면시간은 8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6시간 미만에서 비만이 발생할 확률은 1.5배(95% CI 1.11-2.03)이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와 수면시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결과는 Model 2, Model 3의 교대근무와 정상근무에 따른 수면시간과 비만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While workers in various social areas are doing shift works, workers who don’t adjust to them are suffering from destruction of body and life rhythms and having safety accidents and health problems arisen from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Studies on wrong eating habits and sleep disorders handled various job shift and heath problems focusing on sleeping problems related with stress, quality of life and disease and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correlations with obesity increase. So, this study intended to find several factors affecting obesity for adult workers and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sleeping time and obesity. This study took 2,088 objects with regular jobs (656 persons with shift works and 1,432 persons with normal works) in the order of sleeping time, height, and weight excluding 31 persons’ result measured values for 2,119 regular workers out of more than 19 year old 25,122 persons from 22,809 persons of total study objects at the first year (2010) health investigation of 4th and 5th National Health/Nutrition Survey. In order to classify the work pattern into the shift work and normal work and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demographic factor (gender, age and marriage) that is the confounding factor, social & economical factor (income level &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pattern factor (smoking, drinking, sleeping time, walking practice, stress, frequency of eat out & amount of energy intake), the factors that influences on the relation between sleeping time and obesity along the shift work were investigated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zing odds ration after classifying them into model #1 which corrects gender, sleeping time and work pattern only, model #2 which corrects the interaction between sleeping time and work pattern only to model #1 and model #3 which corrects all factors.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gender & sleeping time in case of model #1 which corrects gender, sleeping time and work pattern only and the probability of male of having obesity was higher than female by 2.5 times(95% CI 2.08-3.14) and sleeping time was higher by 1.4 times(95% CI 0.88-1.49) in case of less than 6 hours based on above 8 hours.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gender & sleeping time in case of model #2 which corrects the interaction of work pattern only from model #1 and the probability of male of having obesity was higher than female by 2.5 times(95% CI 2.07-3.14) and sleeping time was higher by 1.2 times(95% CI 0.96-1.74) in case of less than 6 hours based on above 8 hours.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gender, educational level & sleeping time in case of model #3 which corrects all factors and the probability of male of having obesity was higher than female by 2.3 times(95% CI 0.45-0.94) and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level was significant as it showed 0.65 times(95% CI 0.45-0.94) and 0.66 times(95% CI 0.45-0.98) each in cases of above high school graduates and university graduates based on below middle school graduates. Regarding sleeping time, the probability of having obesity was higher by 1.5 times(95% CI 1.11-2.03) in case of less than 6 hours based on above 8 hours of sleeping time. As the result of interacting between work pattern and sleeping time, the result of comparing sleeping time and obesity along shift work and normal work between model #2 and #3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