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南部地域에서 찰,과성 보리의 播種期 移動 및 播種量이 生育과 數量에 미치는 影響

        최해식 順天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Effects of Seeding Dates and Rates on Growth and Yield of Waxy, Naked Barley in Southern Region By Hae Sik Choi, MS Advisor : Prof. Jong Un Chu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00 ABSTRACT In order to establish better cultural practices of new bred 2-rowed, waxy, naked barley Duwonchapssalbori in the southern region, 2 varieties (Duwonchapssalbori, Saessalbori), 3 seeding dates (Oct. 20, Oct. 28, Nov. 5), 4 seeding rates (100, 120, 140, 16kg/ha) were designed with 2 replications. The heading dates of Duwonchapssalbori were April 11~12 in the plot of Oct. 20 seeding, April 15~16 in the plot of Oct. 28 seeding, April 26~27 in the plot of Nov. 5 seeding, and earlier with 2~5 days than Saessalbori. The maturing dates of Duwonchapssalbori were earlier with 4 days compared with Saessalbori. The calm length of Duwonchapssalbori was from 60 to 66cm with strong lodging resistance. The grain yield in both varieties were 4.28~4.33 ton/ha in the plot of Oct. 20 seeding, 4.11~4.18 ton in the plot of Oct. 28, and 3.71~3.89 ton in the Nov. 5, respectively. The grain yield with different seeding rates fitted with polynomial equations (secondary) highly significantly in the plots of Oct. 20 and Oct. 28 seedings (R²=0.84~0.85), showing the greatest yield production with seeding rate of 140kg per ha. However, the grain yield with various seeding rates in the plot of Nov. 5 showed simple linear regression (R²=0.71) highly significantly, showing the seeding rate over 160kg in the case of later seeding. The number of spikes per ㎡ contributed to the grain yield with the greatest significance, and fitted with simple linear regression (R²=0.881~0.891), suggesting that plenty of early stands should be established at early seedling stage for greater grain yield. The seed rate over a sieve size 2.2mm was 92%, and dimension was 54㎣ in Duwonchapssalbori with long grain size. The elongation of young spike vs. time was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both varieties. The young spike of Duwonchapssalbori in the plot of Oct. 20 seeding elongated with linear increments from Feb. 10 (6.7mm), and showed rapid increment from March 7 (15.1mm). The elongation of young spike began with slower rates in the plot of Oct. 28 seeding compared with Oct. 20. However, the young spike of Saessalbori elongation began from March 15 with slow increments. The development stage of ear primordium in Duwonchapssalbori was faster with about 7 days than in Saessalbori. Duwonchapssalbori reached IV~VI stages before overwintering, but Saessalbori did II~V stage at the same time. Also, X stage of ear primordium in Duwonchapssalbori was faster over 7 days than Saessalbori, showing early heading of 2~5 days compared with Saessalbori. The polished and split polished grains in Duwonchapssalbori had better quality in the whiteness (2.8~3.1), 1,000 grain weight (2.4~8.0g), water absorption rate (40~72%), expansibility (32~74%), gelatinization temperature (5℃), and amylose content than in Saessalbori, showing that Duwonchapssalbori has best quality for producing split polished grain among Korean bred varieties. Duwonchapssalbori and Chapssalbori showed the greatest water absorption rates after water absorption of 320 minutes (water absorption rate 86%), and 340 minutes (94%), respectively. From those studies, the seeding date, and seeding rate in Duwonchapssalbori were Oct. 20~28 and 140kg per ha for greater grain yield in the southern region.

      • 사회적기업 지원제도및 중간지원조직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최해식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사회적기업 지원제도 와 중간지원 조직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최 해 식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사회적기업 전공 지도교수 이 한 주 본 논문은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약 4년간에 사회적기업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제2의 사회적기업 도약을 위한 정부 지원제도와 중간 지원 조직의 발전 방향을 제시코자 하였다.2007년 제 1차로 인증된 사회적기업들은 정부 지원의 종료 단계에 이르러 이제부터는 자생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면서 사회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해야하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지난 4년간 몇 차례에 걸쳐 정부 지원 제도와 중간 지원조직의 개정을 통해 양적인 면 에서는 많은 성장을 하였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도 초기단계로 개선되고 보완되어야할 부분이 많다고 생각 된다. 특히 2011년부터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사회적기업의 생태적 환경 조성을 위해 중앙 정부 중심에서 지자체로 대폭적인 집행 권한을 이행하고 있으나 각 지방 정부들은 제도적으로나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 아직 미흡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고 본다. 이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예비)사회적기업들이 겪고 있는 경영 애로 사항 및 정부 경영 지원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중앙 정부 지자체의 기업, 언론, 대학, 시민 단체들이 이 신뢰를 바탕으로 유기적인 협력관계와 거버넌스 및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환경과 기반 조성의 방안을 제시코자 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경기지역 사회적기업의 제2 도약을 위한 전환점의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경기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34개소의 (예비)사회적기업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사회적기업들은 진입 단계에서부터 성장 단계에 이르기 까지 경영상 애로를 느끼고 있었으며 단계별 애로 사항 및 지원 요청 내용은 회사별로 조금씩 상이 하였다. 지원 요청 기관에 대해서는 진입 단계에 있는 사회적기업들은 정부에서 무료로 지원하고 있는 민간 지원과 쉽고 편하게 접근 할 수 있는 동료 및 유사 기관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성장 단계에 있는 사회적기업들은 특성별 전문 기관이나 민간 지원기관의 비중이 많았다. 지원 요청 내용면에서는 마케팅 분야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인사, 노무 관리,사업 기획, 자원 개발, 자본 조달 등 이었으며 경영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도 일부 경영지원 기관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해부족, 실효성 있는 해결방안 미제시에 대한 불만,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제도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였다. 특히 일부 사회적기업 CEO등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보다 진솔 되고 내면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중 정부의 지원제도 면에서는 정책과 재정 통합을 통한 일관성 있는 지원 제도 요청과 열악한 경영환경에 처해 있는 사회적기업들의 판로 시장 확대를 위한 우선 구매 및 시설, 운영 자금 조달 등을 위한 사회적 투자 자금에 대한 환경 및 제도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경영 지원 면에 있어서는 사회적기업을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실효성 있는 방향 제시가 가능한 경영 지원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의 사회적기업 운영에서 얻은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앞서 선진국 사례 및 국내 일부 지역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모델들의 생태 환경을 참조하여 경기지역 특성에 맞는 지원 제도 및 경영 지원 조직에 대한 새로운 대안 설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지원제도 및 중간 지원 조직의 개선 방향에 대해 마지막 장에서 밝혔듯이 제3 섹터 중심의 사회적기업 혁신 클러스터를 위한 환경 조성 과 인식제고, 현장 및 경험을 위주로 한 사회적기업가 및 지도자 양성 , 양적인 성장에서 질적인 성장으로 도약 할 수 있는 새로운 경영 지원(Elevator 식) 시스템 구축 , 장기 실업자, 장애인 등 소외 계층들에게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심화된 빈부격차, 사회 양극화의 불균형 해소와 더불어 환경문제, 지역 사회 재생 및 지역사회 통합을 구현하여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열악한 사회적기업 경영 환경 극복 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사회적기업 육성 지원 제도의 내실화 및 사회적기업 투명성등 자구적인 노력을 병행하여 영리 기업 과 비영리 단체의 상반된 문화 와 두 섹터 간 핵심가치인 사회성 과 경제성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국민적 합의 와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사회 혁신 운동이 전개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핵심어: 사회적기업, 중간 지원 조직, 거버넌스, 혁신 클러스터

      • 농산물 수송 트레일러의 진동분포 특성

        최해식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산물은 수확후 트레일러 운반과정에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진동으로 인한 물리적 손상은 미생물 증식이나 농산물 자체의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어 결국 품질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농산물을 적재한 트레일러에서 트레일러 수평수직가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농산물의 수송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요인을 추적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 정지상태에서 햄머로 트레일러에 진동을 가하여 발생되는 최대 수직가속도는 진동수가 4.5Hz일 때 대체로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진동수 53.5Hz이상일 경우에는 트레일러 앞부분의 값은 5.5×10^(3)㎨였고, 뒤 부분의 값은 8.0×10^(4)㎨로 나타나 주파수가 커질수록 트레일러 앞부분의 최대 가속도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2. 엔진을 시동하고 힛치를 통해 트레일러에 전달되는 최대수직가속도의 크기는 진동수 8.75Hz일 경우에는 엔진에서 가까울수록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값은 3.0×10^(-3)㎨정도였다. 그러나 102.5Hz의 고주파에서는 8.75Hz와는 반대되는 현상으로 트레일러의 뒷부분에서 최대 수직 가속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315kg의 배를 적제한 상태에서 3cm높이의 인위적인 요철의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서 트레일러에 가해지는 최대가속도의 크기는 3.75Hz에서는 트레일러의 뒷부분에서 가장 큰 가속도가 발생하여 4.7×10^(3)㎨에 달했다. 그러나, 43.75Hz와 91.25Hz에서는 트레일러의 대각선으로 최대 가속도가 발생되어 트레일러에 롤링과 피칭현상이 동시에 일어났다. 4. 엔진을 시동하여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힛치를 통하여 트레일러에 가해지는 평균가속도를 주파수 별로 측정한 값 40Hz~90Hz사이에서 최대값이 발생했다. 트레일러의 뒷부분인 40Hz정도에서 최대값에 달했다가 점차 약해저 100Hz 정도에서 거의 소멸되었다. 5. 배를 적재한 상태로 3cm의 요철이 있는 아스팔트 포장에서 주행할 때의 평균가속도를 주파수의 크기별로 측정한 값은 트레일러의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트레일러의 길이가 짧을 경우 엔진의 진동으로 인한 영향이 트레일러의 앞부분에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damaged due to the vibration of transporting trailer on the off-road.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transporting trailer by measuring the vertical acceleration according to positions on the trailer loaded with agri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t non-operating state of engine, the larger vertical acceleration was occurred at rear side compared with front side in the case of 4.5Hz of vibration frequency as 1 × 10^(8) ~ 5 × 10^(8) ㎨. But, in the case of 53.5Hz of frequency, the maximum vertical acceleration at front side of trailer was 5.5 × 10^(3) ㎨, and that at rear side was 8.0 × 10 ㎨. So, the maximum acceleration at front side of the trailer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frequency. 2. At operating state of engine, the maximum vertical acceleration delivered through the hitch from the engine was occurred at front side of the trailer as 3.0 × 10^(3) ㎨, in the case of 8.75Hz of frequency. But, in the case of 102.5Hz of high frequency, the maximum vertical acceleration was occurred at rear side of the trailer. 3. When the power tiller loaded with pear of 315kg was travelling on the artificial uneven road of 3cm height, the maximum acceleration was occurred at rear side of the trailer as 4.7 × 10^(3) ㎨ at 3.75Hz of frequency. But, that was occurred at diagonal of the trailer at 43.5Hz and 91.25Hz, which meant that there was rolling and pitching on the trailer. 4. At operating state of engine, the mean acceleration of the trailer delivered through the hitch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frequencies was showed the maximum value at range of 40-90Hz. At rear side of trailer, the maximum value was occurred at about 40Hz, and that was reduc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frequencies and diminished at about 100Hz. 5. When the power tiller loaded with pear of 315kg was travelling on the artificial uneven road of 3cm height, the mean acceleration by the increase in frequencies was showed lower level at rear side than front side of the trailer. This was opposite configuration to the Hinsch's results tested with air-conditioned truck. This means that the shorter length of the trailer, the more effect of engine vibration is transferred to the front side of trailer.

      • 한국 산초나무속의 생육·유전적 특성 및 생리활성 연구

        최해식 順天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Well-being foods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as functional agents that improve modulation or biologically active functions for human body. The Zanthoxylum genus, which belongs to the Rutaceae family, has primarily been used for seasoning and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the common cold, stomach ache, diarrhoea, and jaundice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flowering, and yield of Zanthoxylum genu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genetic traits of Zanthoxylum genus accessions, and to screen various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extracts or dry materials from Zanthoxylum genus, including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levels, antioxidant activity, anticancer activity, and serum and hepatic lipid experiments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assays. And these results would be useful for uti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wild medicinal plants as well as an aromatic plant. The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 per plant, number of leaves per branch and leaf length of 7 year-grown Zanthoxylum genus were much different depending on each accession. A total of 20 ISSR primers were used to detect the polymorphisms in the 32 accessions. Of these primers, 12 primers showed various polymorphisms. The polymorphism rates of Z. schinifolium and Z. pipperitum were 96.5% and 60.3%, respectively. Three primers; UBC 835 in the Z. pipperitum, and UBC 861, UBC 862 in the Z. schinifolium produced specific DNA fragments, respectively. The genetic similarity values among 32 accessions of Z. schinifolium and Z. pipperitum ranged from 0.116 to 0.816 with a mean of 0.417 and the intra-specific similarity values among 27 accessions of Z. schinifolium were shown with the ranges from 0.177 to 0.780 with a mean of 0.479. A dendrogram was constructed using UPGMA cluster analysis from the ISSR banding profiles. The 32 accessions of Z. schinifolium and Z. pipperitum were separated into 5 groups including 1 group in Z. pipperitum and 4 groups in Z. schinifolium at 0.491 of genetic similarity value.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showed the highest amount in leaf parts of Zanthoxylum genus and followed by pericarps and seeds.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r present in order of pericarp > seed > leaf, and the activities in the leaves and pericarps from ZANPI, and seeds from ZANSC A were much highest.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plants dose-dependently increased 1,1- 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activity of leaf extracts was highest in ZANPI, and followed by ZANSC C, ZANSC A, and ZANSC B. By means of MTT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against Calu-6 for human pulmonary carcinoma were highest in leaves and seeds of ZANPI and in pericarps of ZANSC C.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against HCT-116 for human colon carcinoma were highest in leaves of ZANPI, seeds ZANSC A, and pericarps of ZANSC C. The effects of seed oil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ZANSC) and Zanthoxylum piperitum (ZANPI) on weight gain, fecal weight, serum lipid composition in rats fed with a hyperlipidemic diet were investigated for 10 weeks and compared with high-fat diet and diet treatments added with seed oil. The treatments of ZANSC and ZANPI seed oil did show the lower weight of rats than the high-fat diet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