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 연구 : 간접 화행을 중심으로

        최한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살펴보고 베트남인 학습자가 부정 의문문에 나타난 간접 화행 기능을 얼마나 잘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국어학과 한국어교육학에서의 부정 의문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후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화행 이론과 한국어 부정 의문문을 살펴본 다음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 또한 함께 살펴보았다. 실제 담화 상황과 교육 현장에서의 부정 의문문 사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학 교재와 준구어 말뭉치로서의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 의문문의 11가지 유형과 12가지 기능에 따라 자주 쓰이는 문법 표지나 화자의 태도 등을 볼 수 있었는데 부정 의문문의 기능은 크게 화자의 위압적인 태도, 청자에 대한 기대, 화자의 인지 여부, 염려의 네 부류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베트남인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을 알아보았다.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실제 대화 자료를 이용하여 표현 양상을 살펴본 결과 베트남인 학습자는 부정 의문문을 자주 사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하더라도 대부분 직접 화행으로만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박찬희(2019)에서 개발한 조사지와 상황 인지도 검사(SAQ)를 활용한 테스트를 통하여 베트남인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분석해 보았는데 베트남인 학습자는 권유, 요청, 허락 기능을 직접 화행으로 이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다른 언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는 연구되지 않은 부정 의문문 사용 양상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공통된 부류로 나누고 이제 따른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연구자는 본 연구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부정 의문문 교수의 밑거름이 되어 베트남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의 의사소통 오류를 최소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Korean negative questions from a pragmatic viewpoint, and find out how well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use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found in negative questions. Firstly, we explain the aim and the need of the research, and examine the existing studies on negative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we look into the speech act theory, which forms the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look into Korean negative questions, and then also look into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ques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age of negative questions both in real-life discourse and classroom environment, we extract negative questions from integrated university textbooks and TV drama scripts which form semi-spoken language corpora. This shows us the frequently used grammatical markers, the attitude of the speakers, etc. according to 11 types and 12 functions of negative questions. We can find four kinds of functions of negative questions, which are mainly high-handed attitude of the speaker, expectations about the listener, perception of the speaker, and worry. On this basis, we look into the usage of negative questions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xpressions found in the Korean learners’ corpus and real-life dialogue materials prove that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not only use negative questions infrequently, but also use most of them only in direct speech acts. Furthermore, we do a test utilising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2019) and Situational Awareness Questionnaire (SAQ) to analyse the understanding of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ich shows that the learners understand the functions of recommendation, request, and demand as direct speech acts. While oth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ifferent language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researching the usage of negative questions by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which has not been studies before, and sorting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questions into common categories in order to propose the need of their edu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teaching negative questions to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help minimize communication errors between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 리스트의 패러프레이즈 기법 연구 : <리골레토 패러프레이즈>, S. 434를 중심으로

        최한솔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Franz Liszt’s paraphrase techniqu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Paraphrase de concert sur Rigoletto, S. 434. As opera became a popular genre in nineteenth century, the technique of arranging opera pieces into piano music was widely developed. Unlike “transcription,” which translates the original song into piano music, “paraphrase” refers to an arrangement technique that adds a splendid glamor that can best be expressed on the instrument. When Liszt first attempted paraphrase, he merely presented a collection of melodies taken out of opera. His paraphrase technique gradually developed over time, with brilliant gorgeousness. In particular, Paraphrase de concert sur Rigoletto, S. 434, based on the quartet “Bella figlia dell'amore” from the opera Rigoletto by the nineteenth-century composer Verdi, captures the essence of Liszt’s paraphrase techniques. A detailed analysis of Liszt’s paraphrase with Verdi’s opera will be followed by brief commentaries on two pieces, each written before and after Paraphrase de concert sur Rigoletto: Reminiscences of Norma, S. 394 and Reminiscences de Simon Boccanegra, S. 438, respectively. It will be shown that in Reminiscences of Norma, Liszt made novel attempts, such as paraphrasing the melody from the entire opera and transposing to a key that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e paraphrase technique of Reminiscences de Simon Boccanegra, on the other hand, seems to suggest a simplicity rather than brilliance and virtuosity. 이 논문은 19세기 최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가 자주 사용한 오페라 패러프레이즈(paraphrase) 작곡기법을 연구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19세기에는 오페라가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그에 따라 오페라 곡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하는 오페라 패러프레이즈 기법이 발전되었다. 패러프레이즈는 원곡을 그대로 피아노 악보로 옮긴 트랜스크립션(transcription)과 달리 피아노로 표현할 수 있는 기교적인 화려함을 더한 편곡기법이다. 리스트가 처음 패러프레이즈를 시도했을 때에는 단지 오페라 곡에서 사용된 멜로디를 가져오는 것뿐이었지만 점차 비르투오소적인 화려함을 갖춘 오페라 패러프레이즈로 발전한다. 19세기의 작곡가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중 4중창을 패러프레이즈한 리스트의 《리골레토 패러프레이즈》(Paraphrase de concert sur Rigoletto, S. 434)는 이러한 비르투오소적인 화려함도 갖추면서 특정 장면에서 원곡의 멜로디를 잘 살려 패러프레이즈한 곡이다. 그리고 그보다 전시대에 작곡된 벨리니의 오페라 《노르마》(Norma)를 패러프레이즈한 《노르마의 회상》(R?miniscences de Norma, S. 394)와 그 이후에 작곡된 베르디의 오페라 《시몬 보카네그라》(Simon Boccanegra)를 패러프레이즈한 《시몬 보카네그라의 회상》(R?miniscences de Boccanegra, S. 438)를 비교하여 작곡 시기별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에 따라 전시대에 작곡된 《노르마의 회상》은 오페라 곡 전체에서 멜로디를 가져와 패러프레이즈 하였고 원곡과 다른 조성을 쓰는 등의 새로운 시도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이후의 시기에 작곡된 《시몬 보카네그라의 회상》은 화려함에만 치중되어있던 것에서 좀 더 단순성이 돋보이는 패러프레이즈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 달착륙선 시험모델 및 월면차 하차 메커니즘 개발 및 검증

        최한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design of a lightweight landing gear structure using a foot damper. This structure consists of one primary strut, two secondary struts, and a foot damper. This structure performs a function as a shock absorber to absorb shock through a foot damper and stroke inside the primary strut. We selected an appropriate aluminum honeycomb for shock absorption material through a diverse compression test, and the single-leg drop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chosen aluminum honeycomb. The full-size lunar lander test model was designed using the aforementioned lightweight landing gear structure. A full-size model landing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anding device. In addition, to measure quantitative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load cells and accelerometers were installed to measure the impact load and shock acceleration on the landing gear. We developed and validated a unloading mechanism for the lunar rover demonstrator after landing on the lunar surface. The flexible solar array was used to behavior as a slope for the lunar rover demonstrator so that the lunar rover demonstrator could safely get off the lunar lander test model. An nylon wires to allow the storage and deployment of lunar rover and flexible solar array. And it is believed that additional electricity production will be possible.

      •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거버넌스를 통하여 형성된 에너지 시티즌쉽에 대한 연구

        최한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energy citizenship in the governance of energy independent community in Seongdaegol, Seoul, Korea.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citizenship from both the political and interpretative perspective.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energy citizenship refers to the construction of residents’ right as the democratic citizenship in terms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stakeholders.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the theory of participatory democracy. From the interpretative perspective, energy citizenship denotes the duty to save energy and the right to use energy. This is the outcome of policy discourses during the governan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mmunal characteristics such as stakeholders’ trusting relationship in Seongdaegol village community and analyzes policy or institution which supports the energy independent community.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nergy independent community in terms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face-to-face dialogue, trust building, commitment to the process, and shared understanding. Lastly, this article analyzes energy citizenship on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 This article first analyzes citizenship through the right and role of residents in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stakeholders such as residents, bureaucrats, and NGOs. Second, this article analyzes actors’ discourses about citizens’ duty to save energy and the right to use energ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eongdaegol energy saving movement. Third, this article analyzes institutional discourses with regard to the duty to save energy and the right to use energy in making community standards for energy saving. The conclusion highlights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citizenship.

      • 모드잠금 이터븀 첨가 광섬유 레이저 기반의 시간 영역 THz 분광기 제작 및 네마틱 액정의 THz 분광 특성 연구

        최한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erehertz (THz) wave has excellent transmittance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it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ecurity, safety, spectroscopy, imaging, communications, and so on. The photoconductive antennas (PCAs) and a femtosecond mode-locked fiber laser-based THz spectroscopy can be miniaturized, cost-effective, and high conversion efficiency. In this thesis, a THz time domain spectroscopy system based on PCAs was fabricated using a mode-locked Yb-doped fiber laser as a pump light source. In addition, for the possibility of use as a nematic liquid crystal-based THz device, an E7 nematic liquid crystal cell was fabricated, and an electric field wa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to measure the THz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 The mode-locked Yb-doped fiber laser, which is a THz pump light source, used a nonlinear polarization rotation method to implement mode-locking. The fabricated mode-locked fiber laser has been operated in the all-normal dispersion region. Since its directly output pulse has a highly chirped, the pulse was compressed using a pair of diffraction gratings outside the laser cavity. The output pulse from the fiber laser was in the form of a dissipative soliton, with a bandwidth of 17 nm and a center wavelength of 1034 nm. In addition, it was self-starting with pulses around 350 mW of pump output. The pulse repetition rate was 104 MHz, and the side mode suppression ratio was more than 52 dB. It was compressed from 3 ps to 172 fs through a pulse compressor, and the pulse energy and peak power at an average power of 20 mW were 192 pJ and 1.12 kW, respectively. Therefor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satisfy the conditions of a pulse width of around 100 fs, a pulse repetition rate of around 100 MHz, and a pulse energy of 100 pJ or more, which are the optical conditions required by PCA. A THz spectroscopy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a dipole antenna as an emitter and a bow tie antenna as a receiver based on the mode-locked Yb-doped fiber laser as a pump light source. In a free space of about 20 cm, the existing water vapor absorption spectra could be confirmed at 0.56, 0.75, 0.99, 1.10, 1.16, 1.22, 1.41, 1.60, 1.67, 1.72, 1.80, 1.87, 2.08, and 2.26 THz. A THz spectroscopy with a measurement range of about 2.2 THz or more and an SNR of about 30 dB was experimentally implemen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Hz spectroscopy, an E7 nematic liquid crystal cell with ITO as an electrode substrate was fabric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fabricated liquid crystal cell was 0.23 mm. And the THz absorption spectrum of the cell was measured by applying a voltage in the range of 0.5 to 10 Vpp to the liquid crystal cell. As a result, it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as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increases, the absorption of the THz wave of the cell decreases. In the future, if THz spectroscopy research on liquid crystal cells is further conducte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as a THz optical device.

      •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 효과에 대한 연구 : 의미연결망과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최한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growing field in which consumers experience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se experiences, leading to the conduct of related studies.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individual sub-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providing fragmented insights into consumer experiences and reporting diverse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academic discussions on consumer experiences at the level of extended reality (XR) as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concept. Furthermore,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whether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indeed have an impact on consumer responses. Based on these objectiv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First, to examine the existing discour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related to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23 was collected and selected.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analysis,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e- and post-COVID-19 periods. This analysis aimed to understand the overall structure of meanings and determine the positions and roles of keywords within the structure. Seco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validate the effects of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on consumer respons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meta-analysis were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including those using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or mixed reality(M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nsumer response such as recommendation intention, satisfaction,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 purchase. Following the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guidelines, studies that allowed for effect size calculations were selected, resulting in a total of 29 studies involving 6,768 participants. A total of 56 effect sizes for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calculated, and the effect sizes were computed based on the technology type (AR, VR), consumer response(recommendation intention, satisfaction, intention to use and intention to purchase), and application field. Additionally, an investigation was made to explor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ased on periods(pre- and post-COVID) and literature typ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rough moder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conducted during pre- and post-COVID-19 periods revealed that discussions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were important topics in both periods. A comparison between the periods revealed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academic discourse. In the post-COVID-19 period, new words such as "tourism,” "exhibition”, and "metaverse” emerged, suggesting an expansion of the discussion scope into new are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shopping-related words. Although the academic discourse on gaming applications decreased relatively after COVID-19, the CONCOR analysis revealed subtopics related to entertainment, sports, tourism, and enjoyment, as subtopics show that entertainment uses of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are still a major factor. Additionally, discussions shifted from consumer adoption and virtual reality (VR) devices before COVID-19 to detailed consumer responses after COVID-19.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responses, especially with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based on existing ones, such as the metaverse. Through a meta-analysis, the random effects model was employ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and quantify the effects of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The calculated effect sizes indicated tha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0.199 for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showed effect sizes of 0.213 and 0.185, respectively, falling within the small to medium range of effect sizes. A sub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s based on technology type, consumer response, and application dom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sizes for AR and virtual reality (VR) were 0.224 and 0.205, respectively, both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s between the two technology types.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s between the technologies can be interpreted as small. When examining the effect sizes based on consumer response, the overall result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indicated that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had the highest effect size(0.346), followed by satisfaction(0.229), intent to use, and intention to purchase(0.193), all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recommendation intention exhibited a medium effect size, while satisfaction, intent to use, and intention to purchase fell between small and medium effect sizes. The effect size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es also followed the same pattern for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or purchase.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 sizes between the consumer responses for each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s across consumer response factors were small. Furthermore, when exploring the effect size differences across application domains, virtual reality (VR) displayed variations in effect sizes, unlike other technologies. Particularly, the effect size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content, entertainment, shopping, advertising, and social behavior. This implies that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positive consumer responses within the domains of content, entertainment, and shopp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in generating positive consumer responses can be further enhanced by tailoring its applications to specific domains. Regarding the moderating variables, the effect size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ategorizing literature types (domestic vs. international) and periods(pre- vs. post-COVID-19). The results showed that domestic literature yiel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 of 0.254, while international literature resulted in an effect size of 0.209,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terature types. Moreover, the effect sizes were significant for both pre-COVID-19 (0.205) and post-COVID-19 (0.223) perio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s between the two periods. By integrating the findings from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meta-analysis regarding the impact of COVID-19,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discussions on extended reality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has evolved and expand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pandemic. However, as the meta-analysis results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s between pre- and post-COVID-19 periods for extended reality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hanges in discourse have not yet had a substantial impact on the effects on consumer respons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as individual sub-technologies. However,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by examining the overarching concept of extended reality (XR). Second,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vides insights into how the discussions on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thus far and highlights the temporal changes in academic discourse. Third, by synthesizing diverse findings from individual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empirically validates the effects of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and confirms the importance. Fourth, the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research finding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that address the effects of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considering technology types, consumer responses, and application fields, in order to examine which technologies are more effective for specific consumer responses and in specific domains. Fifth, by comb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meta-analysis, this study provides robust research results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macro-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the COVID-19 on the discourse of XR technology. Furthermore, it empirically demonstrates whether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consumer respons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by integrating relevant individual studie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importance and the effects of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has been confirm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meta-analysis. Therefore, companies should enhance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XR) technology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Second, when providing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offer effective technology tailored to specific application fields to optimize consumer responses. Third, give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were consistently mentioned as keywords in consumer experiences based on extended reality (X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sumer experience environment, considering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factors. Fourth, as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limited product categories such as cosmetics and clothing, companies need to develop various content and services for enhancing consumer experiences. This study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meta-analysis with a timely focus on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which are rapidly advancing and expanding.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gain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discours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unveiling the changes and potenti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positive impact of XR-based consumer experiences on consumer respons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directions. 소비자들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바탕으로 경험하는 분야가 넓어지고 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관련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 개별적인 기술 위주로 소비자 경험에 대해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인 확장현실(XR) 수준의 소비자 경험에 대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논의가 이루어져왔으며, 이러한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이 과연 소비자 반응에 효과가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현재까지 어떠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는지 살펴보기 위해 2016년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과 관련된 국내·국외 연구들을 수집 및 선별하고 코로나19 전·후로 기간을 구분하여 의미연결망 분석과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의미 구조를 파악하고 주요 단어들이 의미 구조 내에서 어떠한 위치와 역할을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실증하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의 독립변인은 확장현실(XR) 기반의 소비자 경험으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 혹은 여러 기술을 모두 활용한 경우를 포함하며, 종속변인은 이용의도, 구매의도, 추천의도, 만족도 등의 소비자 반응으로 설정하였다. PRISMA 가이드라인을 따라 효과크기 계산이 가능한 연구들을 선별하고, 최종적으로 연구 29편 6768명의 소비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크기 사례 수 56개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먼저 산출한 후 기술 유형(증강현실, 가상현실)별, 소비자 반응(추천의도, 만족도, 구매의도 및 이용의도)별, 활용 분야별로 효과크기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기간(코로나 전·후)과 문헌 유형(국내·국외 문헌)에 따라 효과크기에 차이가 있는지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시행한 결과, 기술의 기능적 특징에 대한 단어들은 코로나19 전·후로 모두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코로나19 전·후를 비교함으로써 학술적 논의의 전개가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코로나19 후에는 새롭게 ‘tourism’, ‘exhibition’, ‘metaverse’ 등의 단어가 등장하였고, 쇼핑 관련 단어들이 증가하여 새로운 분야로 논의의 범위가 확대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전에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흐름에서 코로나19 후에는 게임 관련 논의는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CONCOR분석 결과 스포츠, 관광, 즐거움 등과 같이 오락적 경험과 몰입이 하위 주제로 도출된 것을 통해, 여전히 확장현실(XR) 기술의 오락적인 경험은 주요한 요인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코로나19 전 가상현실(VR) 기기와 수용에 대해 이루어지던 논의가 코로나19 후 소비자 반응이 구체화 되는 방향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에는 메타버스와 같이 기존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함께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메타분석을 통해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실증하고자 랜덤효과모형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계산한 결과,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199, 증강현실(AR)은 0.213, 가상현실(VR)은 0.185로 모두 작은 효과크기와 중간 효과크기의 사이로 나타났다. 기술 유형별, 소비자 반응별, 활용 분야별 효과크기를 살펴보기 위해 하위 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술 유형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증강현실(AR)은 0.224, 가상현실(VR)은 0.205로 각각의 효과크기는 유의했으나 두 기술 유형간에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 간 효과크기 차이는 작다고 해석할 수 있다. 소비자 반응별로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전체를 대상으로 했을 때 추천의도(0.346), 만족도(0.229), 이용의도 및 구매의도(0.193) 순으로 나타났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천의도는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고, 만족도와 이용의도 및 구매의도는 작은 효과크기와 중간효과크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AR) 기술과 가상현실(VR)의 효과크기도 추천의도, 만족도, 이용의도 및 구매의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기술에서 모두 반응별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반응 요인별로 효과크기 차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 분야별로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른 기술과 다르게 가상현실(VR)은 활용 분야별로 효과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오락, 쇼핑, 광고, 친사회적 행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는데, 이는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 분야에 따라 세분화할 때 소비자 반응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절변인으로 국내·국외 문헌 유형과 기간을 코로나 전·후로 나누어 효과크기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국내 문헌의 효과크기는 0.254, 국외 문헌은 0.20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헌별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코로나19 전 효과크기는 0.205, 코로나19 후 효과크기는 0.223으로 둘 다 효과크기가 모두 유의하였고, 기간별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영향력에 대해 의미연결망 분석과 메타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19를 기점으로 학술적 논의의 전개가 변화되고 확장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메타분석 결과에서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크기 차이가 코로나19 전·후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변화가 아직 소비자 반응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들이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이라는 하위 기술 위주로 집중하여 논의하고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상위 개념인 확장현실(XR)로 확대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확장현실(XR) 소비자 경험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 기간별로 학술적인 논의의 변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셋째, 개별 실증 연구들에서 상이한 결과가 보고된 것을 종합하여 실증함으로써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를 실증하고 그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함과 동시에 기술 유형별, 소비자 반응별, 활용 분야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어떤 기술이, 어떤 소비자 반응에, 어떤 분야에서 더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섯째, 의미연결망과 메타분석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질적, 양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더 견고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여섯째, 코로나19라는 거시적인 환경의 변화가 확장현실(XR) 기술의 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 관련 개별 연구들을 종합하여 확장현실(XR) 기술의 소비자 경험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이 코로나19 전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실증하였다. 실무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연결망과 메타분석을 통해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의 중요성과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기업은 경영관리적 측면에서 소비자 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확장현실(XR)이 기반 소비자 경험을 제공할 경우 활용 분야별로 세분화하여 소비자 반응에 효과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비자들이 확장현실(XR)을 경험할 때 기술의 기능적 특징 등이 주요 단어로 지속적으로 언급되었으므로 소비자들이 확장현실(XR)을 경험하는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존에 화장품, 의류 등 한정된 품목을 대상으로 확장현실(XR) 기반 소비자 경험이 이루어져 왔으므로 기업 차원에서 소비자 경험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급속도로 발전되고 확대되는 확장현실(XR) 기반의 소비자 경험이라는 시의적절한 주제를 중심으로 의미연결망 분석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전·후의 학술적인 논의를 심도있게 파악하고 그 변화와 잠재적인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확장현실(XR) 기반의 소비자 경험이 소비자의 반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학문적인 방향과 실무적인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라이다와 이미지를 사용한 자기 조직화 지도 기반의 고밀도 깊이맵 생성 방법

        최한솔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generating high density depth maps by fusing lidar and image information based on self-organizing map. Depth maps generated using only the depth information acquired from lidar have a problem that the resolution is very low. The depth map predicted using only the information of the image may have the same high resolution as the imag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ediction error is large compared to the depth map generated by the lidar. Thus, we propose a method of generating a high resolution depth map with the same resolution as the image using the lidar depth information and the camera image information in simple way. The proposed depth map upsampling method consists of a depth prediction step and a depth filtering step for a location not acquired in LiDAR. In the depth prediction step, an initial depth value is predicted by performing stereo matching on two color images. In the depth map filtering step, in order to reduce ivthe error of the predicted initial depth value, the self-organization map is performed using the neighboring lidar depth value. When the selforganization technique is performed, the weight of the lidar pixel is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ediction pixel and surrounding lidar pixel and difference in color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pixel. Because Lidar information alone is limited in generating boundary information between real objects, the difference of color values is used together to distinguish boundary of different objects with similar depth values difference.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bilateral filter effectively used for depth map upsampling and 3-nearest neighbor for performance comparison. The proposed method has a 16% performance reduction in terms of MA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bilateral method, and a 14%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rms of RMSE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has a 3%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rms of MA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3-nearest neighbor, and a 11% performance improvement in terms of RMSE performance. 본 논문은 자기 조직화 지도 기법을 기반으로 라이다와 이미지의 정보를 융합하여 고밀도 깊이맵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이다에서 취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깊이맵은 깊이 값의 오차가 작지만 해상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미지의 정보만 이용하여 예측된 깊이맵은 이미지와 동일한 높은 해상도를 갖을 수 있지만 라이다 대비 예측 오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은 라이다 깊이 정보와 카메라 이미지의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저해상도의 깊이맵을 업샘플링하여 이미지와 동일한 고해상도의 깊이맵을 생성한다. 제안하는 깊이맵 업샘플링 방법은 라이다에서 취득되지 않은 공간에 대한 깊이 예측 단계와 깊이 필터링 단계로 구성된다. 깊이 예측 단계에서는 두 장의 컬러 이미지에 대해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초기 깊이 값을 예측한다. 깊이맵 필터링 단계에서는 예측된 초기 깊이 값의 오차를 감소시키고자 주변 라이다 깊이 값을 이용하여 자기 조직화 지도 기법을 수행한다. 자기 조직화 기법 수행 시 예측 픽셀과 주변 라이다 픽셀의 거리와, 각 픽셀에 대응되는 컬러 값의 차이에 따라 라이다 픽셀의 가중치를 설정한다. 라이다 정보만으로는 실제 객체 간의 경계 정보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컬러 값의 차이를 함께 이용하여 깊이 값이 비슷한 서로 다른 물체의 경계 또한 구분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비교를 위하여 포인트 업샘플링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방향 필터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양방향 필터 방법 대비 MAE 성능 관점에서 약 16%의 성능 감소가 있었고 RMSE 성능 관점에서 약 14%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대비 MAE 성능 관점에서 약 3%의 성능 향상이 있었고 RMSE 성능 관점에서 약 11%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 VR을 활용한 공간 스케일 교육에 관한 연구 : 도시 광장과 가로를 중심으로

        최한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 인지 능력은 설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적정 교육 도구의 부재 등으로 인해 그동안 적절하게 교육이 진행되지 못했다. 이로 인해 도시설계를 전공하는 학생들은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간 인지 능력 중에서도 스케일 감각은 설계 능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VR을 활용하여 스케일 감각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솔로몬 4 집단 설계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도시설계와 관련이 있는 전공인 도시공학과, 건축학과 등에 재학 중인 1, 2 학년 학생 중 40명을 모집하여 스케일 교육과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설계 결과로 수집된 데이터는 평균절대비율오차(MAPE)를 통해 참여자들의 스케일 감각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한 후, t 검정을 통해 각 그룹의 평균 MAPE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VR을 활용한 교육이 참여자들의 스케일 감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은 사후 설문 조사에서 기존의 교수법 (이미지, 시뮬레이션 등)보다 스케일 감각 교육에 VR이 더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VR이 실용적인 교육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기존의 교육 도구로는 교육하기 어려운 분야에 VR 교육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Although spatial perception is essential for improving design competence, the lack of appropriate educational tools has prevented its instruction in academic contexts. Hence, students majoring in urban design and architecture struggle with identifying space characteristics. As “sense of scale”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des ign competence factors among spatial perception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R-aided sense of scale training using a Solomon four-group design approach. We recruited 40 first- and second-yea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planning and conducted street-level sense of scale training, as well as pre- and post-tests. We measured sense of scale accuracy using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MAPE)(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reported values) and compared each group’s average MAPE using a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wo training sessions can contribute to acquiring a sense of scale.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felt that VR technology is more effective for scale practic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post hoc questionnaire). As this study reveals that VR can serve as a practical educational tool, we suggest adopting VR education for subjects that are difficult to teach with the existing educational tools.

      • Li₂O 도핑이 CeO₂ 분말로 제조한 GDC의 소결과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최한솔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GDC(Ce0.9Gd0.1O1.95) powder was prepared by milling of CeO2 slurry and Gd precipitation and doped with 1.5, 3, and 5 mol% Li. The mixture of CeO2 powder and Gd precipitates was calcined at 700℃ for 4 h, milled for 2 h, and resulted in GDC powder with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44 ㎛. The powders doped with Li and calcined at 600℃ showed the particles changing into highly crystallized shapes due to the sintering of the primary particles as the dopant content increased. Sintering of undoped GDC samples showed that the relative density reached only 74.7% at 1200℃. However, the addition of Li significantly enhanced the sintering of GDC. The relative densities of the samples doped with 1.5 and 3 mol% Li were ~99%, ~98% at 900℃,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sintering temperatures. Whereas, for the samples doped with 5 mol% Li, the relative density of 97.1% slightly decreased to 96.2% with increasing temperature up to 1200℃.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Li-doped GDC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doped samples and exhibited almost the same values regardless of the dopant content. The doped samples sintered at 900℃ had a little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ies than those sintered at 1100℃, and with 3 mol% Li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of 2.22×10-2 S/cm at 600℃. CeO2 슬러리 분쇄와 Gd 침전을 이용하여 합성한 GDC(Ce0.9Gd0.1O1.95) 분말에 Li를 1.5, 3, 5 mol% 도핑하여 GDC의 소결과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eO2 분말과 Gd 침전물의 혼합물을 700℃에서 4시간 하소하고 분쇄하여 평균입경 0.44 ㎛의 GDC 분말을 얻었다. GDC 분말 입자는 Li 도핑 양이 5 mol%까지 증가되면 600℃의 하소에서 일차입자들이 소결되어 결정성이 잘 발달된 입자 형상으로 변하였다. 순수한 GDC 시편을 800℃~1200℃에서 4시간 소결한 결과, 치밀화는 100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작되었으나 밀도는 1200℃에서 74.7%에 불과하였다. Li를 첨가하면 GDC의 소결이 크게 촉진되어 Li가 1.5, 3 mol% 첨가된 시편은 밀도가 900℃에서 각각 ~99%, ~98%에 도달하였고, 소결온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Li를 5 mol% 도핑하면 900℃에서 97.1%인 밀도는 소결온도가 1200℃로 높아지면 96.2%가 되어 약간 감소하였다. Li를 도핑하고 900℃와 1100℃에서 소결한 GDC 시편의 전기전도도는 순수한 GDC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도핑 양에 무관하게 거의 비슷하였다. 소결온도가 1100℃ 보다 900℃인 시편이 전기전도도가 약간 높았으며, 600℃에서의 전기전도도는 3 mol% 도핑한 시편이 2.22×10-2 S/cm로 가장 높았다.

      • 영토분쟁 당사국의 분쟁해결 수단 선택 요인 분석

        최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영토분쟁의 분쟁해결수단을 선택함에 있어서 분쟁당사국 양국 간의 관계가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다. 기존연구에서는 분쟁해결수단의 선택요인으로 국력의 차이, 경제적 상호의존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분쟁해결 수단을 두루 포괄하지 못하고 일부만을 비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 때문에 선택 편향(selection bias)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분쟁해결수단의 선택이 합리적인 이해득실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전제 하에 분쟁해결 수단들 간의 관계를 네 단계의 게임트리와 같은 구조로 이해하고, 선택 과정을 양국의 관계에 따라 추적하고자 했다. 국제정치학의 세력우위이론, 동맹이론, 경제의존, 그리고 민주평화론 등에서 인과관계에 대한 논리를 빌려와 연구를 설계하였다. 핵심독립변수로 분쟁당사국 간의 군사력 지출의 차이, 동맹관계의 유무, 경제적 상호의존, 그리고 민주주의 국가체제의 친밀도를 구체화하여 이에 따른 가설을 세우고, 네 단계의 분쟁해결 수단 선택 과정을 각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정량적 검정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가 제시하는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현대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영토분쟁을 해결하려고 시도하는지 여부는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경제적 상호의존의 정도가 클 수록 분쟁당사국은 분쟁을 해결하기보다 현상유지를 선호한다. 반대로 상호의존의 정도가 작은 국가 간에는 무력사용이나 평화적 분쟁해결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분쟁을 해결하려고 시도한다. 또한 양국 간에 과거 무력갈등 경험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큰 세력우위 상황에서는 분쟁 해결시도를 하지 않고, 반대로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큰 세력균형 상황에서는 분쟁 해결시도를 한다. 또한 분쟁해결 수단을 무력사용과 평화적수단 중에서 선택할 때에는 국방비 지출의 차이, 동맹관계, 그리고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두 국가 간에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큰 세력우위 상황이고, 동맹관계가 없으며 또한 경제적 상호의존 정도가 크면 평화적 분쟁해결 수단을 선택한다. 반대로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작은 세력균형 상황이며 동맹관계가 있고,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작을 경우 무력사용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 분쟁의 평화적 해결수단을 선택할 때 제3자의 개입 여부를 선택할 때에는 경제적 상호의존 정도와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친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국가 간에 경제적 상호의존 정도가 큰 경우에는 양자협상을 선호하며, 반대로 상호의존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3자 개입을 선택한다. 또한 양국 간에 무력갈등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친밀도가 높은 경우 양자협상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자 개입에 있어서 구속성 여부를 선택할 때에는 국방비 지출의 차이와 동맹관계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쟁당사국 간의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큰 세력우위 상황이며 동맹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비구속적 제3자 개입을 선호한다. 반면 국방비 지출의 차이가 작은 세력균형 상황이며 동맹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구속적 제3자 개입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영토분쟁의 해결수단 선택에 있어서 분쟁당사국 간의 국력 차이와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토분쟁의 해결수단 선택 문제가 국제정치학의 주요 연구영역인 세력균형 및 세력우위, 경제적 상호의존론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실제 영토분쟁을 해결함에 있어서 상대국과의 양자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분쟁해결 수단을 선택하는 데에 정책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