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상 공정성 지각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 인센티브 개인차등폭 확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방문판매 기업을 중심으로

        최지욱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과중심 보상구조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분야, 다양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기업 인력구조와 판매방식에 있어서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 방문판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전무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문판매 기업에 있어서의 성과중심 보상제도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상구조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세일즈 인력의 직무몰입과 이직의도, 그리고 인센티브 개인차등폭 확대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방문판매기업인 A사의 판매관리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58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564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 버전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가설 및 검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공정성 지각은 직무몰입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배공정성 지각과 절차공정성 지각은 이직의도에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배공정성 지각과 절차공정성 지각은 평가 인센티브의 개인차등폭 확대 선호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배공정성 지각과 절차공정성 지각은 성과 인센티브의 개인차등폭 확대 선호도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CNN을 이용한 객체인식 및 드론의 자동 랜딩 알고리즘

        최지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비전 센서를 이용한 드론의 객체인식 및 자동 랜딩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기존의 드론은 조종기와의 통신 또는 기체의 배터리가 불안정할 때 이륙 지점으로 돌아와 자동으로 착륙하는 Return To Home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 방법은 GPS를 사용하여 랜딩을 수행한다. 하지만 GPS는 오차가 적게는 2M 많게는 5M 까지 차이가 나서 정확한 착륙을 수행하지 못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전 센서를 사용하여 랜딩 지점의 객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랜딩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객체 인식 방법에는 스테레오 환경에서 특징점을 매칭하여 객체 인식하는 알고리즘인 Sift 알고리즘이나, Surf 알고리즘이 존재하지만, 드론의 랜딩 상황에서는 실 시간성이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연산이 많은 기존의 알고리즘으로는 드론의 랜딩 제어가 적합하지 않았다. 때문에 최근 객체 인식 알고리즘으로 주목받는 CNN을 기반으로 한 YOLOv2 알고리즘을 통하여 객체 인식을 진행하고, 이를 통하여 자동 랜딩을 수행한다. 실험은 기존의 GPS 방식의 자동 랜딩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실측 거리 값을 측정하여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증명한다.

      • 통화정책이 소득불균형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통화정책 및 가계소득을 중심으로

        최지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을 포함한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융 및 실물경기 회복을 위해 통화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비전통적 통화정책은 실질이자율 변화에 따른 자산가격의 변화뿐만 아니라, 예상하지 못한 인플레이션과 소득분위 간 소득 차이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부의 재분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준금리를 통한 한국의 통화정책이 저소득층 및 고소득층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가계소득과 기준금리 간 관계를 분위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통계청에서 매월 조사하고 매 분기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통화정책을 통한 이자율충격 발생 시 분위별 가계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서 이자율충격은 실질소득 및 물가의 변화를 통제한 상태에서, 순수한 이자율의 상승 및 하락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으로 정의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는 통화정책에 따른 양(+)의 이자율충격 발생 시, 상위소득에 비해 하위소득에서 음(-)의 충격효과가 큰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양(+)의 이자율충격 발생 시 소득불평등이 악화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양(+)의 이자율충격 발생 시 근로소득은 하위소득분위에서 음(-)의 충격효과를, 사업소득은 상위소득분위에서 음(-)의 충격효과를 주는 것을 유의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 소득의 일부만을 차지하는 재산소득은 소득불평등에 별 다른 영향을 주지 못 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들로부터, 소득·물가 등 실물경기 부분을 통제한 이자율충격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화정책이‘평균적인’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서 나아가, 소득분위별로 통화정책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며, 이를 통해 소득재분배까지 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회를 최초로 시작한 1999년 이래 가장 낮은 기준금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내외적인 충격 등으로 기준금리를 상승할 경우, 경제성장 및 물가 등의 경제변수들에 더해 소득불평등의 흐름 또한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기여를 찾을 수 있다.

      • 상악골 이동 확인을 위한 악교정 수술에서의 3차원 위치 추적 시스템

        최지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악교정 수술에서 상악골의 미세한 위치 변화는 얼굴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수술 중 상악골의 이동은 중간 장치(intermediate wafer)를 기준으로 시행하고, 구강 내, 구강 외 계측 방법으로 확인한다. 그러나 개인 차가 큰 하악골의 움직임(회전 중심, 악관절 상태 등)과 중심위(central relation) 를 재현하여 3차원적인 상악골 이동을 추적,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현재는 이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외과의의 느낌 등이 계측치 측정과 함께 이용되어 주관적 요소가 비교적 강하게 작용한다. 수술 중 상악골의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확인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광학식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MicronTracker, Claron Technology)을 악교정 수술에 적용하였다. 수술 전 후 상악골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추적하여 수술계획과 일치하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악교정 수술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확인하고 악골 모형을 이용한 실험 후 악교정 수술에의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치 추적을 위하여 사전에 카메라 보정 및 추적기의 디자인 변경을 시행하고, 추적 대상과 카메라의 거리를 1000mm 이내로 위치시켜 연속 측정값의 평균값을 이용하면 추적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조명이 밝을 경우, 반사에 의해 시스템 마커(marker)의 인식율이 약 10%정도 감소한다. 조명이 어두울 경우 게인(gain) 값의 증가로 인하여 지터(jitter)가 증가할 수 있으나, 수술실 조명 조건에서 지터의 증가는 미미하다. 3. 악골 모형의 단순 위치 변경 실험에서 시스템으로 기록 후 정합하여 위치 추적하였을 때, 기준점에서 평균 0.28mm, 추적점에서 0.64mm 의 오차를 보였다. 또 악골 모형의 상악골을 모의 수술하며 추적하였을 때 레이저 스캔 결과와 비교하면 평균 0.69mm 의 오차를 보였다. 4. 악교정 수술에 적용한 결과 기준점 정합 시 평균 1.66 mm, 상악골의 추적점 정합 시 평균 4.24 mm 의 오차를 보였다. 이 오차는 적절한 환자 머리 고정 방법과 변경된 디자인의 추적기를 사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앞으로 삼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과의 결합이나 검증,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통하여 악교정 수술에 영상 안내 수술(image-guided surgery)를 도입하는 방향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도시형 중저가 호텔 입지에 따른이용자 의식 연구

        최지욱 동의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otel industry, which had been growing continuously, is coming back to life after experiencing a severe downturn due to the coronavirus. However, Corona brought many changes to people's lifestyles, which also affected hotel usage patterns. Amid these changes, city mid-price hotels, which were hit hardest during the COVID-19 period, must adapt to the changes and develop. To do so, city mid-price hotels must identify user needs appropriate for their location type and establish hotel facility and service strategies accordingly. In this study, city mid-price hotels refer to 1-3 star tourist hotels located in the city. City mid-price hotels are hotels that pursue a reasonable price policy, focus on guest rooms, and have minimal facilities to help with room sales. They pursue simple design without flashy decorations and are characterized by being operated with a minimum number of people. In addition, the location types of city mid-price hotel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commercial center type, transportation center type, business center type, and tourism center typ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ity mid-price hotel users include price, facilities, services, location, brand image, and customer reviews.After selection, customers show consiousness such as satisfaction, intention to reuse, and intention to recommend. Based on the hotel operation status of the Korea Hotel Industry Association as of the end of 2022, we looked at the operation status of city mid-price hotels in Seoul and Busan.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location status of each gu. In the case of Seoul, there are many hotels in Gangnam-gu, Jung-gu, and Jongno-gu. In Busan, you can see that hotels are concentrated in Haeundae-gu, Suyeong-gu, Busanjin-gu, Jung-gu, and Dong-gu.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mid-price hotel according to its location type through examples of city mid-price hotels in Seoul and Busan. Based on this survey and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on users' consiousnes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ity mid-price hotel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information of the survey respondents, the most common responses were male, in the 40s, office worker/manager/civil servant, 4th college graduate, household annual income over 80 million won, married, and 2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use of city mid-price hotels, the most frequent use of city mid-price hotels was once a year, with an average stay of 1 night. Among the frequency of using all hotels, the frequency of using city mid-price hotels was low at 0 to 20%, and this was more noticeable in households with annual income of 60 million won or more. City mid-price hotels are mainly used alone or with family. When using them alone, the purpose is mainly for ‘work or personal business’, and when using them with family, the purpose is often ‘sightsee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ocations of city mid-price hotels, it was found that city mid-price hotels located in commercial, transportation, business, and tourism centers are used relatively evenly, and more than half of users think that location is ‘very important.’ The priorities for selection attributes of city mid-price hotels were location, price, facilities, customer reviews, service, and brand image. The use of city mid-price hotels located intransportation centers was the most common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use, and users of city mid-price hotels in transportation centers considered loc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This shows that it is important for city mid-price hotels to be located in places with convenient transportation. In addition, when using city mid-price hotels alone or with friends, they preferred locations in the transportation center, and when using them with a couple or family, they preferred locations in the tourist center. This shows that the type of customer can be predic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city mid-price hotel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 consciousness according to location factors of city mid-price hotels, overall high satisfaction, intention to reuse, and intention of recommend were shown, and they tended to regard location as the most important when reselecting. In addition, it appears that user satisfaction, intention to reu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high for city mid-price hotels located in commercial centers and transportation centers. In order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city mid-price hotels should select locations with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many commercial facilities. This study showed limitations in classifying location types, and there is a need to continue research based on a more detailed and structured classification of location type. 지속적으로 성장하던 호텔 산업이 코로나로 인해 극심한 침체기를 겪었다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호텔 이용 패턴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코로나 시기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도시형 중저가 호텔은 변화에 적응하고 발전해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 도시형 중저가 호텔은 입지 유형에 맞는 이용객 니즈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호텔 시설 및 서비스 전략을 세워야 한다. 본 연구에서 도시형 중저가 호텔이란 도시에 위치한 1~3성의 관광호텔을 의미한 다. 도시형 중저가 호텔은 합리적인 가격 정책을 지향하며 객실 위주의 영업을 하고 부대시설은 객실 영업을 돕는 최소한의 시설만으로 구성된 호텔로, 화려한 장식을 배제한 심플한 디자인을 추구하고 최소한의 인원으로 운영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 유형은 상업 중심지형, 교통 중심지형, 업무 중심지형, 관광 중심지형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도시형 중저가 호텔 이용자의 선택 속성으 로는 가격, 시설, 서비스, 입지, 브랜드 이미지, 고객 후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선택 후 고객은 만족도, 재이용 의도, 추천 의도 등의 의식을 보여준다. 2022년 말 기준 한국호텔업협회의 호텔업 운영 현황을 바탕으로 서울과 부산의 도시형 중저가 호텔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기준으로 각 구별 입지현황에 대해 살펴보니, 서울의 경우 강남구, 중구, 종로구에 많은 호텔이 몰려 있으며, 부산 의 경우 해운대구, 수영구, 부산진구, 중구, 동구에 호텔이 몰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울 및 부산의 도시형 중저가 호텔 운영 사례들을 통해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 유형에 따른 각각의 도시형 중저가 호텔별 특징들을 살펴 보았다. 이와 같은 조사와 분류를 바탕으로 한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에 따른 이용자 의 의식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분석한 결과, 남자, 40대, 사무·관리직· 공무원, 4대졸, 세대 연소득 8,000만원 이상, 기혼, 자녀 2명의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이용에 관한 분석 결과, 도시형 중저가 호텔 이용은 연 1회, 평균 투숙일수 1박이 가장 많았다. 전체 호텔을 이용하는 빈도 중 도시형 중 저가 호텔을 이용하는 빈도의 비중은 0~20%로 낮았으며, 이는 세대 연소득 6,000만 원 이상인 경우 더욱 두드러졌다. 도시형 중저가 호텔을 주로 혼자 또는 가족과 함 께 이용하며, 혼자 이용하는 경우는 주로 ‘업무 또는 개인적인 비즈니스’를 목적으로 이용하고, 가족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는 ‘관광(sightseeing)’이 목적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상업, 교통, 업무, 관광 중 심지형의 도시형 중저가 호텔을 비교적 골고루 이용하며, 이용자의 절반 이상이 입 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선택속성의 우선순위에서는 입지, 가격, 시설, 고객후기, 서비스, 브랜드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 중심지형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이용은 이용목적에 상관없이 가장 많았으며, 교통 중심지형 도시형 중저가 호텔 이용자가 입지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는 도시형 중 저가 호텔은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입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혼자 또는 친구와 도시형 중저가 호텔을 이용할 때는 교통 중심지형 입지를 선호하 고, 부부나 가족과 함께 이용할 때는 관광 중심지형 입지를 선호했다. 이는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 특성에 따라 이용 고객 유형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도시형 중저가 호텔의 입지 요인에 따른 이용자 의식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 으로 높은 만족도, 재이용 의도, 추천의도를 보였으며, 재선택시 입지를 가장 중요하 게 여기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상업 중심지형과 교통 중심지형 도시형 중저가 호텔 의 이용자의 만족도, 재이용 의도, 추천의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도시형 중저가 호텔은 교통이 편리하고 상업시설이 많은 입 지를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 유형을 분류함에 있어 한계를 보였으며 보다 세밀하고 구조화된 입지 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 나갈 필요가 있다.

      • 장애인복지관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유지를 위한 관리과정에 관한 연구

        최지욱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장애인복지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유지하는데 관련된 요인들을 밝히고 각 요인들에 따라 지속의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여,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봉사시간이 유지되기 위해 필요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380명의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306개이며 80%의 회수율을 보였고, 연구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활용된 분석방법은 모든 항목에 빈도분석(Frequency)을 사용하고 자원봉사활동 유지와 독립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명목변인간의 교차분석을 X2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향후 봉사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이 아직은 수동적이고 학점 등의 이기적인 활동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적 특성요인 및 활동상황 요인에서는 성별, 전공, 종교 등에 따른 지속의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라서만 6개월 이상 지속 의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복지관을 봉사활동 장소로 택한 이유는 관련학과 전공자이기 때문이 가장 많았고 장애인에 대한 관심도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참여 동기는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의 차이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기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하겠다. 봉사활동 내용요인에서는 내용결정방법의 경우 대학생들 자신의 의견이 반영되는 ‘자신의 희망대로’ 혹은 ‘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경우가 수동적으로 봉사활동 내용을 결정하는 경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결정과정에서는 대학생들의 적성과 능력, 흥미 등이 고려된 배치가 기관과의 합의 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봉사활동 내용에서는 교육적 재활과 사회적 재활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대상자와 만나는 직접적인 서비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활동영역의 만족여부에서도 매우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에서는 직원들의 무관심과 지도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나 기관 담당자는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존중하며 인간적인 교류관계를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 교육에 대한 조사에서는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만족은 지속의지와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장 받고 싶은 교육내용은 ‘현장실습 및 견학’의 비율이 높아 이론적인 부분보다는 경험 및 실습 위주의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자원봉사활동 지도감독의 경우 지지적인 내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희망하는 지도감독 내용은 ‘봉사활동시 필요한 지식 기술 및 설명’으로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차선경(2002)의 연구와는 상반된 것으로 차선경의 연구에서는 정서적인 지원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생들은 실천적인 부분에서 지도감독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정과 보상의 경우 보상 유형에 따라 지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가장 많이 받는 보상유형으로는 담당자의 칭찬과 격려 외에 식사 제공으로 나타났다. 받고 싶은 보상 유형에서는 봉사활동에 대한 의견 반영과, 자원봉사활동 분야 선택, 식사 제공으로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평가의 경우 평가를 실시할수록 지속의지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평가의 만족정도와 평가형태, 평가내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이 실시되는 평가 형태는 ‘개인별 평가’였으며 평가내용으로는 자원봉사에 대한 의견교환 및 토론으로 정기적으로 지도자 중심의 소규모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사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경우 각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 흥미와 연령 및 그에 따른 발달단계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생들은 현재 직접 서비스 대상자를 접해보고 개인이나 지역사회문제해결 등에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기관 담당자들만으로는 인력수급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소그룹을 형성하거나 대학생들간의 모임, 세미나 등을 통하여 이들의 만남을 주선하고 이를 계기로 봉사활동 프로그램 영역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생들의 폭넓은 참여와 봉사활동 지속을 유도하기 위하여 봉사활동의 기획·조정은 물론 조직적으로 지원하는 전담기구 설치와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대학에서는 대학생들의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전담 부서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해야 하며 그에 따른 지원과 관리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연계를 통한 교류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decision on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test how the volunteers' decision is affected by those factor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management methodology tha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average hours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This research paper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by 380 volunteers who were college students. The 30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o show 80% of collection rat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on individual questions, and X2 test was used for verifying the cross-sectional analysis between nominal factors in order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First,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Stop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student volunteers attitude on volunteer activity initially from passive and only for credit to voluntary and positive by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y. Second, among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activity situation factor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was found by sex, major, or religion. Only School year factor caus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for more than 6 months. The major and the high interest of volunteers were the two main reasons for volunteer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in welfare centers for disabled. Participation due to altruistic motive and egoistic motive showed serious degree of differenc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olunteer activity that can balance the motives. In case of choosing volunteer activity, deciding by oneself or discussing with institution showed higher frequency than passively accepting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in the process of choosing volunteer activity,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consider preference, ability, and interest of a volunteer and to make an agreement with the volunteer on choosing volunteer activity. Edu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volunteer activity contents, which indicates that face-to-face activities occur frequently. The satisfaction on face-to-face activities was also very high. In case of selecting not satisfied with volunteer activity, the two most frequent reasons were unconcern of staffs in charge and the absence of guid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institutions staffs should consider and respect volunteers opinions, and promote personal relationship with volunteer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of volunteer activity education,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 and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in spite of existence of education program. The most attractive education program was practical training and field trip, which indicates that practical and real-world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oretical education. Forth, knowledge suppo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volunteer activity supervision part, and the content that mostly wanted was explanation of knowledge and technique required for volunteer activity. The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prefer the supervision in practical parts, which is not in compliance with the research result of Sunkyung Cha (2002) in which emotional suppor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ifth, som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s on volunteer activity caused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The most frequent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 was praise of a staff in charge, and the second was free meal offers. The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s that volunteers preferred were reflection of opinion on volunteer activity, right to choose the volunteer activity, and free meal. The result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offer more various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ethod. Sixth, when evaluation is performed on volunteer activity, more college student volunteers showed the attitude to continuing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y and meaningful differences were caused by degree of satisfac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ntents of evaluation. As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method and items were individual evaluation and opinion and discussion on volunteer activity,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perform small group evaluation on periodical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volunteer program based on the college students ability, characteristics, interest, age, and volunteer experience. College students also need the opportunity to meet the disabled directly and to participate in solving the local society problems. Because the supply of current manpower in institutions may not meet the needs of the disabled in welfare centers, in order to fulfill these needs, the volunteer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organize small volunteer groups, periodic meeting of college students, and seminars. Second, in order to induce wid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in volunteer activity, it is required to found an responsible organization that takes whole responsibility of planning and management of volunteer activity and to induce specialized experts who actively involve in the organization. Third, the authorities in colleges should strengthen the capacity of division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and support college students volunteer activity so that the interaction with local society can be more consolidated.

      • 하모닉 코더를 위한 하모닌 스펙트럼의 직선과 이산코사인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이용한 하모닉 크기값(Magnitude) 양자화 기법

        최지욱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of quantization to extract quantization parameters using the straight-line and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for two split frequency bands. As the number of harmonics is various frame to frame, harmonics in low frequency band is oversampled to fix the dimension and straight-lines present a spectral envelope, then the discontinuous points of straight-lines in low frequency are sent to quantizer. Thus, extraction of quantization parameters using the straight-line provides a fixed dimension. Harmonics in high frequency use variable DCT to obtain quantization parameters and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quantization combining the straight-line with DCT. The measurement of proposed method of quantization uses spectral distortion(SD) for spectral magnitudes.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of quantization improved 0.3 dB in term of SD better than HVX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