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중학생 행동의 정량적 분석 : 참여와 침묵을 중심으로

        최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교실에서의 교수학습은 교사가 조직한 수업활동에 학생들이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발화, 듣기, 쓰기, 읽기 등의 행동을 통해 수업에 참여하며, 특히 과학수업에서는 이러한 일반적인 행동들뿐만 아니라 관찰이나 측정과 같은 행동들을 통해서도 수업에 참여한다. 이와 같이 학생들이 과학수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언어적 행동(발화)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행동도 함께 나타나는데, 상당수의 교사들은 학생들이 발화를 할 때만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고 인식한다. 기존의 과학교육 연구들도 발화를 중심으로 한 학생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비언어적 행동까지 고려하여 학생의 수업참여를 살펴본 연구는 매우 적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적 행동(발화)과 비언어적 행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중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차시의 과학수업동안 학생들이 언어적 행동(발화)과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수업에 참여하는 시간은 각각 얼마나 되는가? 둘째,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은 주로 어떤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서 수업에 참여하는가? 셋째, 수업에 참여하기 위한 학생들의 행동은 교사의 강의를 들을 때와 실험을 수행할 때에 어떻게 달라지는가? 본 연구는 최준영 등(2015)이 개발한 비디오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수도권 소재 A중학교의 한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생 개개인의 행동을 비디오 분석하였다. 이 분석도구는 신체적 움직임과 시선을 바탕으로 학생의 14가지 행동(자유발화, 음독, 경청하기, 묵독, 쓰기, 주의 집중하기, 손들기, 이동, 비참여적움직임, 과제움직임, 관찰하기, 측정하기, 분류하기, 실험도구다루기)의 지속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여 학생의 수업참여 상태를 4가지(참여적 발화, 비참여적 발화, 참여적 침묵, 비참여적 침묵)로 분류해준다.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수업은 강의 중심의 ‘일반활동’과(75%) 조별 실험 중심의 ‘실험활동’(25%)으로 이루어졌으며, 4대의 카메라를 통해 행동과 시선 등이 모두 관찰 가능한 6명의 학생(A~F)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과학수업을 비디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주로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 수업에 참여했고(참여적 침묵 25~69%), 언어적 행동(발화)을 통한 참여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참여적 발화 0~3%). 둘째, 참여적 침묵 상태인 학생들은 경청하기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았다(참여적 침묵 상태 중 31~47%). 이어서 교사 혹은 미디어 자료 등을 응시하는 주의 집중하기(21~36%)와 실험행동인 관찰하기(9~24%)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비언어적 행동을 통한 수업참여가 일반활동 중(참여적 침묵 29~64%)에 비해 실험활동 중(참여적 침묵 11~85%)에 전반적으로 높아졌다. 일반활동 중에는 학생들이 주로 경청하기를 통해 수업에 참여한 반면에(40~59%) 실험활동 중에는 주로 관찰하기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였다(35~71%).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과학수업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침묵하고 있었으며(발화 0~19%, 침묵 81~100%), 주로 경청하기나 주의 집중하기와 같은 비언어적 행동을 통해서 수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험이 동반된 과학수업에 학생들이 어떤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는지를 비언어적 행동에 초점을 맞춰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과학수업 참여 활성화를 위한 후속 연구와 실천방안의 탐색을 위한 토대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기능 연구 : 강남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최준영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단체는 주민의 복지증진과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형태의 조직을 활용하고 있는데 공무원들이 직접 사업을 시행하거나, 민간에 전적으로 위탁하거나, 또는 지방공기업을 설립하여 사업을 하게 하거나, 민법에 의한 재단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등 사업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달리 운영하고 있다. 재단은 지방공기업과 법적 근거의 차이 외에도 기부나 후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재단은 종교·자선·학술·기예 등과 같이 설립목적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며, 비영리기관이자 공익적 성격의 법인으로 분류된다. 재단은 기업에서 출연하여 설립된 기업재단이 오래도록 운영되어 왔고, 최근 들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하여 재단을 설립하고 있는 데 이중 문화재단의 설립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한 문화재단을 지역문화재단이라 하는데, 지역문화재단은 또 광역단위의 문화재단과 기초단위의 문화재단으로 구분되어진다. 광역자치단체가 설립한 광역문화재단은 중앙정부 및 광역자치단체의 문예진흥기금의 운영이 중심이 되고,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기초문화재단은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역문화재단은 일반 재단과 달리 공공의 성격이 더 강한데, 이는 지역문화재단의 기본재산을 출연한 기관이 지방자치단체로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하여 재단의 이사장을 해당 자치단체의 장이 맡고 있거나, 재단의 이사 중 하나를 해당 자치단체의 공무원이 그 역할을 맡고 경영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기초단위 문화재단이자 공익법인인 강남문화재단은 종합적으로 예술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고 다양한 문화서비스 기반을 마련하고자 설립되었는데, 강남구의 지방재정이 악화되고 있어 기부, 후원과 같은 민간 재원의 적극적 확보가 절실해 지고 있다. 기초문화재단인 강남문화재단은 광역문화재단인 서울문화재단과 유기적인 연계 하에 운영되고 있다.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지원과 교육, 문화 및 창작공간 운영, 축제 및 학술홍보 등의 사업을 하고 있으며, 강남문화재단은 강남구의 대행사업과 자체사업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강남문화재단은 서울문화재단과 공연지원 사업에 있어서 상호 연계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볼 때 지역문화재단 중 광역문화재단은 지원 위주의 정책 사업을 추진하고, 기초문화재단은 주민과 밀접하게 연계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각자가 설립 취지와 목적에 맞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역문화재단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개선점이 필요한 데, 재원 마련을 통해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과 재단 고유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문제, 그리고 지역과의 연대 및 네트워크 형성이라는 주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역 및 기초단위의 지역문화재단의 역할과 과제에 따라 강남문화재단의 역할을 조망해 보고 전략적 개선점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강남문화재단에 특수하게 요구받는 역할에는 첫째, 강남이라는 특정공간에서의 지역문화진흥 전략 수립과 지역문화 선도의 역할, 둘째, 문화의 보편화 전략으로 강남이 한국의 주도적인 문화전략을 양산하는 역할, 셋째 문화접근성이 떨어지는 집단이나 계층에 대한 교육과 봉사의 역할이 있다. 강남문화재단이 이러한 설립목적과 역할에 맞게 지역의 문화예술 진흥과 문화복지의 확대를 위해서는 지역을 선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문화예술의 랜드마크를 확보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오케스트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또 한국을 주도하는 문화전략을 위해 한류스타 활용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 특성화된 거점 확대 전략 차원에서 필요하다. 또한, 강님심포니의 사회봉사 전략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사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고 문화센터를 활용하여 보편적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적으로 특화된 문화예술 교육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문화정책에 대한 연구와 담론을 생성하는 전략 등이 필요하다. 한국의 지역문화정책은 광역과 기초라는 두 개의 바퀴로 굴러가는 수레에 비유할 수 있다. 이 수레를 이끄는 주체는 중앙정부의 관계부처인 문화관광부라 할 수 있고, 수레의 뒤에서 밀고 있는 것은 문화예술위원회와 예술경영지원센터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각 기관의 관계와 역할이 잘 정립된다면, 한국의 문화예술 진흥정책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향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provide various administrative services and promote the welfare of the residents, the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romoting various businesses. These projects are carried forward in various forms of organization such as officials directly conducting the business, the full commitment of the private sector, establishing business with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or the application of civil law by the Foundation which is established to operate business, but would depend on the type and purpose of the operation. Foundation, in addition to differences in the local public, they have a legal basis advantage for getting donations or sponsors. Foundation is a charitable, religious, academic and arts, and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purpose and nature of public interest non-profit institution and is classified as a corporation. Foundation, has been operating for a long time in companies as an established enterprise foundation, and has recently appeared i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s of a dual cultural foundation to accommodate to a trend that is increasing. Donated by the local government as the Foundation for Local Cultural Foundation.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of wide-area Cultural Foundation and small-area unit of the Cultural Foundation in character. Wide-area Cultural Foundation, established by Wide-area local governments, is based on the literary fund's operations which foundations establi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wide-area local government promotion. Small-area Cultural Foundation is based on the cultural facilities operating. The Local Foundation of the General Foundation's are strong, unlike the more public nature, because the Local Foundation's basic assets as a regional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e Cultural Arts Foundation's chairman and is the head of its' municipalities responsibility, or because one of the Foundation's director is a government officials who is involved in a management role. Ga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which is also Small-area cultural foundation and Public corporation, supports comprehensive arts and diverse cultural service system and needs was established to provide a foundation. With Gangnam-gu's province financial donations worsening, the need for sponsorships and private sources, need to be secured. Ga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e Small-area Cultural Foundation, and Wide-area Cultural Foundation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re all connected and have been operating under each other.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upports the arts and education, cultural and creative space operations, festivals, public relations business and academic. The Ga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upports Gangnam business and the agency is pursuing its own business combination. Gangnam Foundation and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upports projects and performances to make progressions according to each of their needs. When viewed in relation to such areas of the Wide-area Cultural Foundation, the Small-area Foundation supports projects to promote policy-orientation, based on the residents and closely aligned Foundation Doing business founded by their own purpose and can act for the purposes. Local Cutural Foundation needs to make a few improvements in their role such as, the secure independence and funding as a Foundation-specific expertise, and the main challenge is with the local community solidarity and the formation of networks. The basic unit of regional and local culture, according to the foundation's role and challenges, the Ga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have tried to derive a strategic look for improvements as follows: Ga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needs to receive a special role, first in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e in a specific space of Gangnam strategy and needs to have a leading role of the local culture. Second, a common strategy to move forward the culture of South Korea's leading role into a mass culture. Third, make a strategy that is culture accessible and less about the group or layer and has the role of education and service. Gangnam Culture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al arts and cultural welfare of the region, and the expansion of a strategy is needed. To secure a landmark of cultural and artistic strategies and orchestra should be actively used. The cultural strategy also led South Korea to take advantage of ‘Hallyu’ stars and in terms of specialized base for regional expansion strategy is needed. In addition, the Gangnam Symphony's community service strategy should be activated in a company-wide effort and the Cultural Center should provide services by taking advantage of the universal culture, and specializing in specific cultural and arts education is necessary. Finally, research on cultural policy and strategy is needed to generate a discourse. South Korea's regional cultural policy can be compared to a rolling wagon with two wheels such as Local Cultural Foundation, one is Wide-area Cultural Foundation and the other Small-area Culture Foundation. The wagon represents the central government'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lationship, and the Arts Council and Arts Management Service can be seen as the force that is pushing the wagon. These relationships and roles of each agency, if well established, ca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irect South Korea's culture and arts promotion policy in the right direction.

      • Risk assessment of chemical ingredient in household and personal care products

        최준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dividual persons are exposed daily to chemicals from household and personal care products (HCPs and PCPs) such as shampoo, rinse, body cleanser, toothpaste, and more. Moreover, exposure to chemicals from HCPs and PCPs has increased, and consumers’ concern regarding chemical exposure is increasing. To cope with these concern, the collective regulation of hazardous chemicals in personal care chemical products is becoming more stringent. In this study, low levels of chemical ingredients that were included in personal care products were assessed to aggregate exposure. The assessed chemical ingredients are considered exceeding the acceptable exposure level (AEL) when assessed with reported toxicity values. Furthermore, because some chemical ingredients included in products could be estrogenic or anti-androgenic, we measured endocrine-disrupting activities of the examined products using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est guidelines 455 and 458 in parallel. Some products displayed estrogenic or anti-androgenic activities independent of the presence of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evaluate individual chemicals as well as their complex mixtures, within a product, including an assessment of toxicity as well as any potential endocrine-disrupting activity.

      • 하악지 시상분할 절단술 후 감각 변화에 관한 연구

        최준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is preferred method of surgical correction for mandibular prognathism, retrognathism and asymmetry. This technique performed from primarily an intraoral incision to avoid a scar. After forward movement of the distal segment of the mandible, healing of bone by primary or secondary intention is easily accomplished through large areas of cancellous bony overlap. When rigid fixation is used for the BSSRO, it is possible to open the mouth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because it promotes the healing process. Although this surgical procedure has been well-documented,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trigeminal neurosensory disorder in the region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nd the mental nerve remains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 However, evaluation of objective methods for sensory recovery patterns is insufficient although most patients find their sensory return. Neurometer electrodiagnostic device performs automated neuroselective sensory nerve conduction threshold evaluation by determining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CPT) m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nsory recovery patterns of inferior alveolar and mental nerve over time. Nerve examination with a neurometer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undergoing the BSSRO at pre-operative, post-operative 1-, 2-, 4- week, and 2-, 3-, 4-, 5-, 6- month follow-up visits after the osteotom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nerve injury and recovery patterns after the BSSRO with or without genioplasty and sensory recovery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kind of nerve fiber.

      • InP 반도체로 구성된 태양 전지의 제작과 특성에 관한 연구

        최준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n+-p InP 동종접합 태양전지는 p-InP기판((100), LEC grown Zn doped, p = 2.3×10^(16)cm^(-3))에 Sulfur을 열확산하여 제작하였고,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ulfur 확산은 온도 550℃, 600℃, 650℃, 700℃에서 4시간 동안 봉입된 석영관(체적 : 1.5ml)에 5mg의 In_(2)S_(3)와 1mg의 붉은 인을 첨가하여 실시하였는데, 이때 붉은 인은 높은 온도에서 InP의 열적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였다. 확산층의 농도와 접합 깊이는 Electrochemical C-V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확산층의 뒷면을 제거한 후, P면의 후면전극(back contact)은 Au-Zn(2%)를 진공 증착하였고, Ar 분위기에서 450℃로 5분 동안 소결하였다. 전면전극(front contact)은 Au-Ge(12%)를 진공 증착하여 Ar 분위기에서 500℃로 3분 동안 소결하였으며 태양전지에 반사방지막으로 SiO를 진공 증착하였다. 60 mW/㎠의 광조사하에서 가장 우수한 동종접합 태양전지의 광기전력 특성은 개방회로전압이 0.653V, 단락회로전류밀도 15.27 mA/㎠, 곡선인자 0.6327, 효율 10.51%였다. 제작된 태양전지의 분광감도 특성을 측정한 결과 최적 응답 특성 영역은 6000Å에서 8000Å 영역이었다. n-CdS/n+-InP/p-InP 이종접합 태양전지는 n+-p InP 동종접합 위에 CdS를 진공증착하여 제작하였다. CdS의 진공증착은 기판 온도 150℃와 200℃에서 수행하였고, CdS 박막의 광투과도와 X-선 회절을 측정하였다. 100 mW/㎠의 광조사하에서 가장 우수한 이종접합 태양전지의 광기전력 특성은 개방회로전압이 0.749V, 단락회로전류밀도 20.67 mA/㎠, 곡선인자 0.6420, 효율 9.95%였다. n+-p InP homojunction solar cells were fabricated by thermal diffusing Sulfur into p-type InP substrates((100), LEC grown Zn doped, p = 2.3×10^(16)cm^(-3)) and their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Sulfur diffusion was carried out at 550℃, 600℃, 650℃, 700℃ for 4 hours in a sealed quartz ampoule(volume : 1.5ml) containing 5mg of In_(2)S_(3) and 1mg of red phosphorus. Adding a small lump of red phosphorus(1mg) into the quartz ampoule was to prevent thermal decomposition of InP at an elevated temperature. Carrier concentration and junction depth in diffused layers were measured with electrochemical C-V method. After the removal of diffused layer on the rear surface of a wafer, the back ohmic contacts to the p-side were made with a vacuum evaporation of Au-Zn(2%) followed by an annealing process at 450℃ for 5 minutes in Ar gas ambient. The front contacts were made with a vacuum evaporation of Au-Ge(12%) followed by annealing process at 500℃ for 3 minutes in Ar gas ambient. The fronts of the cell were covered with vacuum-deposited SiO as an antireflection coating. The most efficient homojunction cell had the photovoltaic characteristics of 0.653V open circuit voltage, 15.27mA/㎠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0.6327 fill factor, and 10.51% efficiency, which were under 60mW/㎠ illumination. From the spectral response measurements, the remarkable spectral response of the cells was obtained at the regions of 6000Å-8000Å. n-CdS/n+-InP/p-InP heterojunction solar cells were fabricated using vacuum evaporation of CdS on n+-p InP homojunction. The CdS vacuum evaporation was carried out at substrate temperature between 150℃ and 200℃, and then CdS thin films were measured with optical transmittance and XRD. The most efficient heterojunction cell had the photovoltaic characteristics of 0.749V open circuit voltage, 20.67mA/㎠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0.6420 fill factor and 9.95% efficiency, which were under 100 mW/㎠ illumination.

      • 2000년 이후 엘니뇨-인도양 다이폴 간 관련성 약화에 대한 연구

        최준영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적도 동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이상 기후 현상인 El Nino-Southern Oscillation(ENSO)과 인도양에서 발생하는 Indian Ocean Dipole(IOD) mode 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이다. ENSO는 해양-대기 커플된 지구의 기상이변으로 전 지구적으로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 인접한 해양인 인도양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연구가 되어져 왔다. 이유는 전 세계 두 번째로 가장 많은 인구가 살고 있는 인도지역에 ENSO 현상은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ENSO와 관련된 연구는 중요하게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2000년대에 들어서 ENSO와 IOD와의 관련성이 급격하게 약해졌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2000년대를 기준으로 전반기(1979-1998년)와 후반기(1999-2014년)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인도양의 변동성이 가장 강한 가을철(SON) 시기의 IOD 지수와 엘니뇨가 가장 강한 겨울철(DJF) 시기의 Nino3.4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후반기는 0.21, 전반기는 0.64의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히 관련성만 비교를 하게 되면, 전반기에 비해서 후반기에 관련성이 급격하게 약해짐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ENSO와 IOD와의 관련성이 약해진 이유에 대한 정확한 역학과정의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ENSO 선형 회귀되는 해수면 온도장(sea surface temperature), 강수장 (precipitation)과 바람장(850-hPa zonal and meridional wind)의 공간 분포를 확인 하였다. 엘니뇨가 발달하는 전반기 봄철 시기부터 가을철시기의 공간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에 봄철시기에 북서태평양에서는 후반기와 달리 전반기에 강한 양의 강수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봄철 시기에 후반기에 보이지 않는 양의 강수 는 Gill-type solution에 의하면, 동인도양과 maritime continent 지역에 적도를 가로지르는 남풍을 만드는 기작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남풍에 의한 고위도지역에서 적도지역으로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덩어리를 이류하기 때문에 동인도양과 maritime continent 지역에서는 온난하고 습윤한 공기덩어리에 비해 강수로 발달하는 상승기류를 억제하기 때문에 하강기류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이 된다. 이는 엘니뇨 역학과정의 동-서 방향의 대기 순환인 워커순환에서 엘니뇨가 발달함에 따라 적도 동태평양지역에서 상승하는 기류와 동인도양과 maritime continent 지역에서의 하강운동이 전반기 봄철시기에 적도 이외의 지역인 북서태평양에서의 양의 강수가 Gill-type에 의해 더욱 하강운동을 도와주는 호조건으로 작용하는 반면에 후반기 즉, 2000년대 이후의 적도 이외의 지역의 북서태평양에서의 양의 강수 부재로 인해 엘니뇨와 인도양과의 대기 순환장의 약화를 초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인도양에서는 평균 바람장인 동풍에 하강기류에 의한 동풍이 더욱 더해져 이로 인해 바람응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표층에서는 열을 빼앗기는 증발이 일어나 표층 해수면 온도는 차가워지게 되며, 동인도양의 해수를 서인도양으로 이동하기에 서인도양의 해수면 온도는 따뜻해지고 동인도양 해수면은 차가워지는 현상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positive IOD 라고 불린다. 최근 2000년대에 들어서 전반기와 다른 엘니뇨 발달 과정의 역학적 차이에 따라 ENSO-IOD 결합시스템이 약해졌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ENSO와 IOD와의 관련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처럼 관측 자료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토대로 CMIP5 다중모형에서도 비교 분석을 하였다. 마찬가지로 CMIP5 다중모형에 대해서 ENSO-IOD와의 Coupling이 잘 되어있는 모델그룹과 ENSO-IOD Coupling이 약한 모델그룹을 나누어서 ENSO 현상과 인도양다이폴간의 관련성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되는 바람장과 meridional wind를 살펴보았다. CMIP5 다중모형에 대해서도 Coupling이 잘된 모형에서는 북서태평양에서의 양의 강수 아노말리가 나타남을 확인 되었으며, 양의 강수 아노말리로 인한 양의 meridional wind가 보임을 확인 되었다. CMIP5 다중모형을 통해서 얻는 결과는 관측의 결과와 똑같은 결과임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측으로부터 얻을 수 있었던 결론을 CMIP5 다중모형을 통해서도 뒷받침 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측과 CMIP5 다중모형의 결과를 토대로 엘니뇨가 발달하는 시기의 봄철에 적도이외의 지역인 북서태평양 지역에서의 양의 강수의 존재는 Gill-type에 의해서 maritime continent지역에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ENSO현상과 IOD현상과 관련성이 강해질 수 있는 조건이지만, 최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오히려 ENSO와 IOD의 관련성이 급격하게 줄어들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L-SNS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준영 계명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늘어나는 미디어들에 의해 더욱 더 커지는 인터넷 역기능을 미디어리터러시기반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미디어 접근능력, 비판적 이해능력, 창의적 표현능력, 참여와 소통능력을 향상 시켜 줄이고자 L-SNS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구현된 L-SNS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원활한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상대방의 생각을 이해 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하여 간접적 체험을 경험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다른 학습자들의 심도 있는 토론을 제 3자의 입장에서 보는 과정을 통하여 객관적 판단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In this thesis, we design and implement an L-SNS system to reduce ever-increasing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due to increased media, by improving media accessibility, critical understanding, creative expression,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apability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based on media literacy. The L-SNS system was used as a medium for smooth communication for learners, and to let them have indirect experience through functions of live interaction and those that enable them to understand what others think.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nvironment to make objective decisions through the process examining an in-depth discussion among other learners in the aspect of a third pa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