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내 10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재묵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역할수행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점을 탐색하여 평생교육원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과 문헌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고 있는 16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합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도 내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김진화 외 3인(2010)에 의해 제시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학력보완교육, 성인기초ㆍ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고르게 개설되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개설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설문결과와 프로그램 개설 상황에 대한 자료의 처리는 실태조사 차원에서 빈도수와 백분율 그리고 순위를 확인하는 수준의 기술통계로만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논의할 수 있다. 첫째, 대학부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이 개설 프로그램에 대해 내린 평가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주된 목적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는 것이라는 반응과 함께 프로그램 참여자 10명 중 7명 정도가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연계시켜 볼 때에 특정영역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평생학습자들은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경기도 내 소재 10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에서 개설하고 있는 368강좌를 분류한 결과 ‘직업능력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이 151개(41.0%)로 가장 많은 반면, 가장 적게 개설되는 영역은 ‘시민참여교육’(1개-0.3%)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제역할 수행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의 편중된 개설 부문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는 반면, 평생학습 참여자들에게는 만족감을 주고 있어서 제기능을 다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은 전문성과 함께 더욱 개방된 열린 교육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지역 주민들과 어울려 평생학습사회를 선도하는 교육기관이 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the role of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from the result probe the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so that we can find out the ways to activate running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esearch method used are questionnaire and bibliography. Fir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62 student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ollect the opinions about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Second, the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mpared to find out whether the establishment ranges evenly in 6 educational aspects: scholarly attainments, adults' basic and literacy comprehension, job-related improvement, humane studies, culture and art, and civil participation. All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and the situation in the program establishment are used only for fact-finding and as technological statistics to identify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ranking. The research result can be discussed in two aspects. First, the evaluation about those established programs is relatively positive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ey respond that the main purpose of taking part in those programs is to be equipped with the qualifications for social activities. In fact, 7 out of 10 show the response of satisfaction. Second, relating to 6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the programs established by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are disproportionate to some specific aspects, but the participating learners are highly satisfied. Out of 368 programs established by 10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yung-gi province, 151(41.0%) programs are related to ‘job-related improvement’ while only 1(0.3%) program is about ‘civil participa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e of diverse roles in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ough it is somewhat negative in that the programs are disproportionate to specific aspects, the conclusion is reached to be positive since the programs provide participants with satisfaction.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the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learning society, with the involvement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image of open educational institution charged with professionalism.

      • Topical applic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skin reaction

        최재묵 충남대학교 신약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실험은 황금의 국소처리에 의한 Allergy성 접촉피부염의 면역과민반응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기 위해서 다양한 Allergy model을 이용하여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에 대한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국소처리제의 개발을 위한 안전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피부자극성 및 피부감작성 등의 국소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황금은 anti-DNP IgE에 의해 수동적으로 유도된 전신 및 피부 아나필락시 반응을 억제하였으며, 시험관내 실험에서 anti-DNP IgE에 의해 유도된 비만세포(RBL-2H3세포주)의 탈과립을 억제하였다. BALB/C계 생쥐를 DNCB 처리군과 DNCB 처리 후 황금추출액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도포한 황금추출물투여군으로 나누어 2,4-dinitrochlorobenzene(DNCB)를 도포하여 Allergy성 접촉피부염을 유발한 뒤, 시간의 경과에 따라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피부의 일반적인 구조, 림프구를 비롯한 염증세포, 비만세포, IgE, TNF-alpha, IFN-gamma, IL-4 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조직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GSH, NO, TBARS, SOD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토끼를 이용한 피부자극시험 및 햄스터를 이용한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어떠한 피부자극성은 물론 피부감작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황금추출물 피부적용은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을 완화시키며, 피부자극성 및 피부감작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황금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적용제의 개발을 위한 제형 연구와 비임상 안전성 평가 및 임상시험 등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