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개발사업추진예정구역 토지등 소유자의 지역주택조합사업 인식에 관한 연구

        최은성 동의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real estate market in 2020 and 2021 was a disaster.The government's various policies have been put forward to stabilize the chaotic real estate market, but the real estate market has gon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 are several factors affecting real estate prices, including supply, liquidity, economy and interest rate. The U.S. government and federal reserve printed record-high dollars as the economy slumped due to Covid-19, and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vitalize the economy increased liquidity in the market. With the interest rate maintained at zero, real estate prices have soared and interest in the redevelopment market and planned redevelopment areas has also increased. With the revitalization of transactions in planned redevelopment areas, different concepts of regional housing un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simultaneously due to unexpected side effects, resulting various frictions and conflicts. In such phenomenon,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perception of regional housing union project by land and buildings owners in planned redevelopment areas, what they thought about the project, why they decided to do so, and why people are in favor of the project.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findings. First, a survey of the type, area, and number of real estate owned in the redevelopment project found that multi-family houses (including apartments) accounted for 51.7 percent (172 people) and detached house accounted for 27.9 percent (93people) of the respondents, together reaching nearly 80% of all respondents. Next, 55.6 percent and 30.3 percent (101people) of the real estate owned by 1-60 square meters and 61-120 square meters respectively. Finally, most of the people in the real estate renovation section were distributed in one and two, with 77.5 percent (258 people) and 10.5 percent (35 peopl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ho plan to planned redevelopment areas t have the largest number of multi-family houses (villas or apartments), the smallest area and number of apartments, and the largest number is 1-60 square meters. On the other hand, 0 people opposed the regional housing project in the area among people who own real estate with an area of 201-300㎡ and more than 300㎡, and 0 people also opposed the project among the multi-housing owners who have more than 4~5 real estates. And all the people who own a large area in the area, various parcels, and several real estates were found to be in favor of th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project. Secon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o find out the interest in the area to be re-developed and the reason for the interest, 36% (120 people) said they are "very interested" and 30.6% (102 people) said they are "interested", so 66.6%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interest. The survey asking why they became interested that 30.3% (101 people) of the total reason for “high market profit can be realized by project progress section” and 22.5% (75 people) of the total reason for “investment can be made at a significantly lower amount than that of redevelopment project”. As mentioned in Section 3 in Chapter 4, Summary of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y could invest in multi-family houses (vilas or apartments) with low area because they could invest in a lower amount than investment of redevelopment. In addition, as the results of the interest analysis of the area to be promoted for redevelopment projects (Table 4-7), Unlike redevelopment projects, there is a risk that the area may not be designated but most of the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area to be promoted for redevelopment project due to the above reasons because they can expect profit margin whenever the area is designated and the next project stage is progressed. Third, as a result of A Pro and Anti-Voting Questionnaire on the progress of th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project within the redevelopment planned area, The ratio of opposition and approval was 78.4% and 21.6%, respectively, with higher percentage of opposition. The response, which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261 people who voted against it, was "It adversely affected by re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has a higher property value in the future." And the response, which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of 72 people who expressed their approval for the progress of the regional housing project in the relevant area, was "the low initial sale price of regional housing" and "buy at a higher unit price than that of redevelopment." Th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s buy real estate at high flat prices by recognizing both the value of wide flats and the value of several real estates from land and buildings owners who have a large number of real estates (houses or apartments) or large land and buildings in the planned area, On the other hand, when redevelopment progresses, the appraisal price varies depending on the area and number of real estate, but the most important “right of residence" is difficult to receive more than one per household and the other appraisal amount will be liquidated in cash. This amount of cash liquid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arket price, so there is no reason to planned redevelopment areas from the owners who have a lot of real estates. The perception of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projects by land and buildings owners in the planned development areas promotion is hostile for the above reasons, and owners of land and buildings, etc who favor th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project also seemed to have to proceed with the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against the redevelopment promo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the real estate. Those who need to resolve the conflict in the area should not be divided into redevelopment promotion committee or regional housing association project promotion committee, and there seems to be an urgent need for co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d and buildings owners, local governments,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rom business entities. For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continuous supply of Busan, it is necessary to make constant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business entities as soon as possible. 2020년, 2021년 대한민국 부동산시장은 그야말로 다사다난하고 혼란스러운 시장이었다. 혼란스러운 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키려 정부의 여러 가지 정책이 나왔지만 부동산시장은 정책의 의도와는 정 반대의 방향으로 흘러갔었던 한해였다.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영향이 높은 요인은 공급, 유동성, 경기 그리고 금리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침체되고 경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많은 자금을 시장에 풀어 유동성이 풍부해졌고, 미국연방정부와 중앙은행에서 기록적인 수준으로 달러를 찍어냈다. 제로 금리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은 폭등으로 이어졌고 재개발 시장과 재개발추진예정구역에 대한 관심도 함께 상승하기 시작했다. 재개발추진예정구역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예기치 못한 부작용으로 해당 구역 내 지역주택조합사업이라는 다른 개념의 사업이 동시에 진행되었고 그로인해 크고 작은 마찰과 갈등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 같은 현상 속에서 재개발추진예정구역 내 토지등 소유자들은 지역주택조합사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과 그 결정에 대한 이유, 반대로 지역주택조합사업을 찬성하는 인원들은 어떤 이유로 찬성을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알아봤으며 이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개발사업추진예정구역 내 소유한 부동산의 종류, 면적, 개수를 파악하는 설문에 대한 결과 그 종류는 다세대주택(빌라, 아파트 포함)과 단독주택이 각각 51.7%(172명), 27.9%(93명)로 가장 많았으며 전체 응답자의 80%에 가까운 수치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보유부동산의 면적 부분에서는 1~60㎡, 61~120㎡ 두 면적이 각각 55.6%(185명), 30.3%(101명)을 차지하며 응답자 중 대다수의 인원들이 해당 두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동산의 개수 부분에서 또한 1개와 2개에 대다수의 인원이 분포되었으며 그 수치는 각각 77.5%(258명), 10.5%(35명)이었다. 위 결과로 파악할 수 있는 결론은 재개발사업추진예정의 해당 응답자들의 대다수 인원들이 다세대주택(빌라 또는 아파트)의 소유자가 가장 많았으며 면적과 개수는 가장 작은 1~60㎡, 1개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201~300 ㎡, 300㎡이상 면적의 부동산을 소유한 인원은 해당 구역 내 지주택사업을 반대 한 인원이 0명, 4개 이하 5개 이상 부동산을 보유한 다 물건 보유자 역시 반대 0명, 해당구역 내 면적이 넓거나 여러 필지, 여래 채의 부동산을 소유한 인원은 모두가 지역주택조합사업에 찬성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재개발사업추진예정구역에 대한 관심파악과 그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알아보는 실증분석의 결과로 “매우 관심 있다.” 36%(120명)와 “관심 있다.”30.6%(102명)로 66.6%의 인원이 관심을 표했다.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묻는 설문에서는 “사업진행 구간별로 높은 시세차익을 실현 할 수 있다.”는 이유가 전체의 30.3%(101명), “재개발에 비해 현저히 낮은 금액으로 투자 할 수 있다.”라는 이유가 전체의 22.5%(75명)로 나타났다. 제4장에 3절 실증분석결과 요약 셋째에서 언급 되다시피 재개발에 비하여 낮은 금액으로 투자 할 수 있어 면적이 낮은 다세대주택(빌라 또는 아파트)등에 투자를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재개발사업추진 예정구역 관심도분석 결과(표 4-7) 재개발사업과 달리 구역지정이 안될 수도 있다는 위험이 있지만 구역지정이 되고 그 다음 사업단계로 진행 될 때 마다 시세차익을 기대 할 수 있어서 대다수의 인원들이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재개발사업추진예정구역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셋째, 재개발추진예정구역 내에서 지역주택조합사업 진행에 대해 찬·반 투표 설문 결과로는 반대와 찬성의 비율이 각각 78.4%와 21.6%로 반대가 높은 비율 이었다. 반대를 투표한 261명의 인원들의 이유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한 응답은 “재개발 추진에 악영향을 끼친다.”와 “재개발이 향후 재산적 가치다 더 높다.”였으며 해당구역 내 지주택사업 진행에 찬성을 표한 인원 72명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한 응답의 내용은 “지주택의 저렴한 최초분양가격”과 “재개발 보다 높은 평단가로 매입” 으로 나타났다. 예정구역 내 다수의 물건을 보유하였거나, 면적이 넓은 토지 및 건물을 보유한 토지등 소유자들은 지역주택조합사업에서는 평단가로 넓은 평수의 가치와 여러 개의 부동산의 가치를 모두 인정하여 높은 평 단가로 부동산을 매입해준다. 반면에 재개발이 진행되면 부동산의 면적과 개수에 따라 감정가는 차이나지만 가장 중요한 “입주권”은 세대 당 1개 이상 받기가 힘들고 그 외의 감정평가 금액은 현금청산을 받게 된다. 현금청산을 받는 이 금액마저 시세와 현저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다 물건 보유자들의 입장에서 재개발에 동의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재개발추진예정구역 내 토지등 소유자들의 지역주택조합사업에 대한 인식은 위와 같은 이유로 적대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지역주택조합사업을 찬성하는 토지등 소유자들 역시 보유부동산현황에 따른 입장차이로 인해서 재개발추진에 반하여 지역주택조합을 진행 할 수밖에 없어보였다. 이처럼 해당구역 내 갈등을 해결해 나가야 할 사람들은 재개발추진위원회, 지역주택조합사업추진위원회로 나눌 것이 아니라 토지등 소유자와 해당 지자체 협조와 이해, 그리고 사업주체들의 적절한 보상이 절실히 필요해 보인다. 부산의 지역경제 발전과 지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두 사업주체의 갈등이 하루빨리 해결 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관심도 노력이 필요하다.

      • 芒硝가 염증 유발한 인간기관지상피세포 (A549 cell)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유전자 발현 분석

        최은성 慶熙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determine the anti-inflammation mechanisms of Natrii sulfas (NS) on TNF-α induced activation on A549 (Human typeⅡ-like epithelial cells) cell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S on gene expression profiles in activated A549 cells using microarray. A549 cells were first cultured in 100 mm dish (1x106/ml) for 24h, and pretreated with 1 ㎍/㎖ NS or cotreated with 25 ng/㎖ TNF-α, 40 ng/㎖ IL-4, and 10 ng/㎖ IL-1β, or nontreated (control). Results: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for the A549 cells varied depending on the NS. The cDNA microarray analysis revealed that cell adhesion molecule genes such as ITGB3, ITGB2, ITGA4, ITGB7, ITGB8, ITGB4, LAMA2, LAMA3, LAMA4, and FCER1G and inflammation-related genes such as Mmp15, IL1RAPL1, CMTM6, CSF1, CXCL13, CCL18, CXCL14, CCR4, CCBP2, TRAP1, MPEG1, and MSR1 and growth factor-related genes such as PDGFB, IGF2, FRS2, FGF5, and FGF7 genes were down-regulated in NS-treated A549 cells. We also observe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related genes such as ECM2, COL3A1, COL1A2, COL14A1, COL12A1, COL10A1, and OMD and signal transduction-related genes such as VIPR1, TIMP2, and VIPR2 genes were up-regulated in NS-treated A549 cells. Conclusions: NS can affect cell adhesion, inflammation, growth factor, and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in NS-treated A549 cells. A microarray-based genomic survey is a high-throughput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gene expression in cell lines treated with NS.

      • 일개 대학병원에서 경험한 요로감염을 동반한 수신증의 원인 및 임상양상 관찰연구

        최은성 계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a bacterial infection that affects the urinary tract. Complicated UTI is a urinary infection occurring in a patient with a structural or functional abnormality of the genitourinary tract. Hydronephrosis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ms of structural abnormalities of the urinary 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atie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the period from Jan. 2008 to Dec. 2010. All were inpatients or outpatients whose abdomenal CT results indicated acute pyelonephritis (APN). 505 patients participated, including 53 patients with hydronephrosis. The most common cause of APN with hydronephrosis is a urinary tract stone, followed by urinary tract malignancy. APN with hydronephrosis can also be caused by variable bacteria, the most common agent being E.coli. In the case of APN with hydronephrosis, the occurrence rate of azotemia is higher, and clinical severity may be higher than uncomplicated APN. With previous renal disease and underlying malignancy, the mortality rate was higher. Uncomplicated UTI and complicated UTI are different in treatment,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manifestation and prognosis.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two groups is important to decide on the severity of infection, the choice of antibiotics and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necessity of invasive treatment. 요로 감염은 요로계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할 수 있는 세균 감염이다. 복합 요로 감염은 비뇨기계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서 발생하는 요로감염이며, 수신증은 복합 요로 감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한 대학병원에서 복부 CT상 급성 신우신염을 보이는 외래 환자 및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505명의 급성 신우신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53명에서 수신증이 동반된 소견을 보였다. 수신증이 동반된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요로계 결석이었고, 두 번째는 요로계 악성종양이었다. 수신증이 동반된 경우에 질소혈증의 발생률과 임상적 중증도가 더 높았다. 수신증 동반 유무에 관련없이 급성 신우신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coli 였으나, 수신증이 동반된 경우에 더 다양한 균이 원인균이 될 수 있었다. 기저 신질환과 악성 종양을 가진 환자에서 사망률이 더 높았다. 단순 요로 감염과 복합 요로 감염은 치료, 임상적 및 미생물학적 특징과 그 예후에 차이가 있으므로, 감염의 중증도, 항생제 종류의 선택과 사용기간, 침습적 치료의 필요성 등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단순 요로 감염과 복합 요로 감염을 감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미국의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최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문화는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엄청난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의 국가의 대외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적용 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그러한 인력을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그렇기에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한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더 나아가 교육학자, 교육행정관, 정책입안자들의 자질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위한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과 학사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를 위한 교직과목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자격증 취득과정과 교사들을 위한 학위 과정이 따로 있었으면 한다. 둘째, 전공과 교직과목이 한 학기당 설정과목의 개설수의 부족과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 강좌 당 학생수가 많다. 설정과목을 각각 다른 시간대에 개설하고, 한 학기당 설정교과목의 개설 수를 늘리면 과목당 학생 수가 줄어들게 되고 대학원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31%, 미술관련 이론 영역 46%,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0%, 미술실기 영역 11%, 기타 영역 2%로 나타났다. 미국의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53%, 미술관련 이론영역 4%, 미술실기 영역이 5%,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6%, 실습 영역이 13%, 기타 영역이 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미술관련 이론 영역에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어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교과과정에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에 보다 비중을 둔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한국과는 반대로 미술교과 교육학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어 미술관련 이론 영역의 과목이 부족하다. 넷째, 대학원으로써의 학문적 연구 기능을 살리려면 연구 및 세미나 영역에 대한 과목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분야의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꼭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실습과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영역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더 이상 학교 안에서만 필요한 영역이 아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과 정규 학교과정 이외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교과 교육학 학문은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이 아니고 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학문자체가 교과로 그대로 통용되었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교육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학문을 그대로 전달하는 수준으로는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교과교육을 연구할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도 교육대학원에 박사과정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최근 급속히 논의 되고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미국의 학위제도와 설정 교과목을 소개함으로 우리나라에도 교육학박사 전문과정이 개발되어 좀 더 발전된 교과과정과 교과목이 개발되었으면 하고, 더 나아가 미술교과 교육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학문적 정립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is quickly changing and the world is full of various ki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Korea's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is age is dependent on how suita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e have are applied and how much manpower increased through educa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investing in education and doing research to reform it. It is by enhancing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hat we can obtain the most excellent results in educational reform. Education reform sh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current teachers, but also to educational scholars,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function,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educational professionals are tra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weak points and to improve a curriculum of Korean art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art education major with ones from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train art professionals in curriculum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ubjects for current teachers in service is needed and even more certificate program and degree course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programs for non-teachers. Secon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lasses and the unskilled management, many students enroll in a class, various kinds of classes should be available throughout the day so that more smaller numbers of students are enrolled in a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classes are enhanced as a result. Third, there is a shortage of art educational subjects which are 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education. In reality, because the courses of art and art practice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unbalanced in Korea, other courses are not offered. Fourth,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of doing research and seminars in a graduate school, the study of the subjects about the research field is needed. Fifth, we need to take practice courses in more diverse areas. Practice courses not only in the school to be certified as a teacher, but also in other art educational fields are required because art education is needed outside the school. Especially the practice courses of an art education in the art museum and of a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We did not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long term with general academy as it is. Student are diverse in their ages, it is very difficult to just transfer academic knowledge. That's why the systematic design of the art curriculum education is getting more crucial in these days. Also because there is no manpower to research curriculum education in the profession, the movement to set up the Ph.D. degree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recent times. Various degre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created curriculums that are not in our educational system will be introduced to assist in developing diverse degree systems and professional courses for an educational doctoral degree.

      • 균형성과관리(BSC) 운영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교육청 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최은성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lanced Scorecard, or BSC, plays a vital role in public institutions as a way to make an objective and fair performance evaluation to create a more creative and produc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quest to help boost the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efficiency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Concerning an analysis model, the validity, impartiality and practicality of BSC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lected dependent variable w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lev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job ranking, office and term of service were selected as trait variables. After an experiment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a hypothesis that a positive perception of BSC might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positive way was tested, and it's found that validity and practica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at impartiality didn't. Second, when a survey was conducted, most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vestigated felt the need for BSC, but they took a dim view of the introduction of it. It's needed to step up extensive publicity activities on BSC in order to let the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 full understanding of that without drawing a backlash from them. Third, there appeared several problems with the tryout of BSC in 2007. The multi-source evaluation put more strain on the members, and the overlapped evaluation indicators resulted in detracting from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and that evaluation stirred up undesirable competition among them, which led to mutual distrust and waning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To turn around the situation,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was required. Fourth, one of the problems with BSC was how to apply it to teachers, one of evaluates. It's quite unadvisable to evaluat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but it's needed to consider in which way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ould be applied successfully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education such as the invisibility and long term of educational effects. Fifth, the application of BSC to the compensation system would make it possible to bolster the dynamism of the organization as much as possible. That should be applied to the compensation system to fortify the feedback function of it. Sixth, the key to the success of BSC was publicity and education. Difficult jargons such as performance indicator or KPI were elusive for everybody except people in charge. Specifically, teachers who didn't take care of a lot of administration work found it more hard to deal with such jargons. To remedy this problem, it's needed to create a new system to offer a helping hand to them in terms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BSC hinges on th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who actually run and use the system, rather than on how to build it. As BSC is going to be applied to every division of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organizational members should direct their energy into understanding i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ndividual divisions and entire organization. To make it happen, sustained and profound research efforts are called for.

      • 건강 검진 수검자에서 혈청 Irisin 수치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간의 관계 : Association between Serum Irisin Level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ealth Screen Examinees

        최은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Irisin is a recently found myokine that aids obesity control and improves glucose homeostasis by acting on white adipose tissue cells and increasing total energy consump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rum irisin level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to compare these levels with those of normal controls. Among 595 health screen examinees who had visited our institute between January 2013 to and March 2013, 355 patients (84 NAFLD patients and 271 normal controls) were enrolled depending on whether they gave written informed consents and their history of alcohol intake, blood tests,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Age; sex; laboratory test parameter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and levels of leptin, adiponectin, and irisin were assessed. Serum irisin levels (ng/m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AFLD group than in the normal controls and higher in the mild fatty liver group than in the moderate-to-severe fatty liver group. Serum iris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AFLD patients,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role of irisin in NAFLD. Irisin은 최근 새롭게 발견된 근육 호르몬 물질로, 백색 지방 조직 세포에 작용하여 비만 조절을 돕고 포도당 항상성을 향상시켜 전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에서 혈청 Irisin 수치를 평가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것이다.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본원 건강 검진 센터를 방문한 수검자 595명 중 동의서를 작성한 355명의 환자를 등록하였고 이 중 84명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271명은 건강한 대조군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혈청 검사, 인슐린 저항성, Leptin, Adiponectin, Irisin 수치들을 측정하였다. 혈청 Irisin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경도의 지방간 그룹에서 중등도 및 중증의 지방간 그룹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혈청 Irisin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더 높게 측정된 점은 이전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Irisin의 역할에 대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경기지역 20〜30대 여성의 골건강 관련 영양지식에 따른 칼슘 식행동 및 섭취에 관한 연구

        최은성 수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ne health-related nutrition knowledge on calcium-related perceived knowledge, dietary attitudes, food habits and food intake frequency of female in their 20s to 30s in some areas of Gyeonggi-do. Method :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to 347 female in their 20s and 30s in some areas of Gyeonggi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chi-squared analysis (χ²-test), and independent t-test by using SPSS 22.0 program. Result :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bone health-related knowledge: high or low-knowledge group. The high-knowledg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knowledge related to calcium intake (p=.000) and osteoporosis (p<.01), compared to low-knowledge group. The ratio of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was higher in the high-knowledge group (33.9%) than in the low-knowledge group(18.9%) (p<.01). In accordance with the higher nutrition education experience, high-knowledge group showed higher interest in nutrition education and health (p<.05). In addition, the pattern of regular meals was observed higher in the high-knowledge group than in the low-knowledge group (p<.05). In particular, the health-related nutrition knowledge significantly affects the calcium-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calcium source food intake (p<.001). Moreover, the high-knowledge group had higher ratio on the question related to milk intake such as “I have to eat it every day.” and “I have to eat for my health.”, when compared with the low-knowledge group (p<.01). Also, the preference of milk was higher in the high-knowledge group (p<.05).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egree of bone health-related nutrition knowledge is related to calcium-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the frequency of calcium source food intake of 20s and 30s’ wome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steoporosis in women, it is necessary to improve bone health-related nutrition knowledge by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 노년기의 신체활동 정도와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계

        최은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령자들의 신체활동 정도와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70대의 남?여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김정순이 개발한 사회적 활동 도구와 Neugarten 등에 의해 개발되어 LSI-A(Life Satisfaction Index-A)를 수정, 보완한 이영인의 생활 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총 364명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활동의 차이는 남성이 배우자가 있을수록, 70-74세 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와 함께 살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았다. 여성은 배우자가 있을수록, 60-64세 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와 함께 살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만족도의 차이는 남성이 70-74세 일수록, 고졸일수록, 자녀와 함께 살수록 생활 만족도도 더 높은 반면에 여성은 배우자가 없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와 함께 살수록, 월수입이 100-200만원 일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일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 특성에 따른 사회적 활동은 남ㆍ여 모두 규칙적으로 신체활동 할수록, 활동 빈도가 2-6일 일수록, 활동시간은 1회에 90분 이상 할수록, 활동기간이 1-5년인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활동도가 더 높았다. 넷째, 신체적 활동 특성에 따른 생활 만족도에서 남성은 활동 시간이 1회에 30-90분 미만인 집단만 타 집단에 비하여 높았고, 여성은 규칙적으로 신체활동 할수록, 활동 빈도가 주당 2-6일 할수록, 활동 시간은 1회에 90분 이상 할수록, 활동기간은 1-5년인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하여 생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다섯째, 사회적 활동과 전체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ㆍ여 모두 정(+)의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신체활동과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도 남ㆍ여 모두 정(+)의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여섯째, 사회적 활동과 관련된 제 변수는 남성인 경우 배우자 유무, 교육정도, 월 용돈,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활동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배우자 유무, 교육정도, 동거인, 신체활동으로 나타났다. (남성- 28.9%, 여성- 32.9%) 일곱째, 생활 만족도와 관련된 제 변수는 남성인 경우 동거인만 관련이 있었고, 여성은 교육정도, 월 용돈, 신체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 11.9%, 여성- 52.9%)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성과 여성 모두 신체활동을 잘 할수록 사회적 활동도가 높고, 사회적 활동이 높으면 생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015·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 및 내용 체계 비교 연구 : 초등분야를 중심으로

        최은성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5⸱2022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음악 교과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검토하고 비교⸱분석하여 2015⸱2022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과 차이점을 고찰하여 새롭게 개정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을 비교하여 큰 틀을 이해하였고 문서 체제,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내용을 항목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빠르게 변하는 사회에 맞게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발전되었으며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배우며 직업과 삶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를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체험 중심의 안전 교육을 관련 교과와 연계하여 운영하며 필요에 따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과목을 개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6가지 음악 교과 역량과 음악을 중심으로 한 다른 예술 영역과의 연계로 구성되어 있고 표현, 감상, 생활화의 3가지 역량을 중심으로 목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각 영역의 역량이 어떻게 함양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 부족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연주, 감상, 창작의 3가지 역량을 중심으로 각 역량이 어떻게 함양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시되어 있어 목표가 잘 드러나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인 생활화 항목을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연주, 감상, 창작 영역에 맞게 조정하여, 모든 항목에서 생활화 영역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영역을 넣어 총론의 주요 사항과 해당 영역의 학습과의 연계, 교수⸱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 등을 설명하였다. 넷째, 2022 개정 교수⸱학습은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을 활용한 디지털 음악 콘텐츠를 제시하였고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이 갑작스럽게 온라인 수업 진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디지털 교육에 맞는 수업과 평가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에게 2015 음악과 개정과 2022 음악과 개정 차이의 이해에 도움이 되어 새롭게 바뀔 개정을 적용한 실제 교육 현장에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revised between 2015 and 2022, and to analyze the development directions and differences in the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and educational curriculum. The study aim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revised 2022 curriculum, helping to achieve this goal.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document organization, nature and objectives,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as well as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aspect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a comparative manner. Firstl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that it has evolved to reflect the changing demands of a rapidly changing society. Its aim is to enable students to actively and creatively learn, cultivating a proactive attitude towards both their careers and lives. Additionally, it incorporates experiential and safety education, integrating it with relevant subjects. Furthermore, it allow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subjects as needed, even if they are not specified in the curriculum. Secondl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structured around six music competency areas and their integration with other art domains centered around music. It sets goals with a focus on three competencies: expression, appreciation, and integration into daily life. However, the lack of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each competency can be fostered led to improvemen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um now places emphasis on three competencies: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each competency can be nurtured. This enhancement helps clearly communicate the objectives. Third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djusted the criteria for integration into daily life, which was a criter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align with the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domains. This adjustment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elements related to integration into daily life in all areas. The revised curriculum also includes consider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such as the inclusion of relevant areas to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the main points of the general framework and learning in specific areas, and the focal points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Fourthl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troduces digital music content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taverse, and other digital tools. It provides guidelines for conducting digital education, including online teaching and assessment, to ensure smooth continuity of classes, especially in situations like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assist teachers i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2015 and 2022 revisions of music education. This understanding can be appli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where the revised curriculum is implemented, providing valuable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