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正4角斷面 덕트內의 亂流 脈動流의 流動特性에 關한 硏究

        최용기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low patterns of turbulent pulsating flow in a squar duct of aspect ratio= l were investigated analytically and experimentally by hot-wire anemometer, pressure tranducer, and oscillograph system.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instantaneous friction factor λ_(u·t) appeared high frequency turbulent flow in turbulent region was good agreed with the turbulent quasi-steady friction factor λ_(q·t). 2) Four characteristic parameters (Φ_(t·1),Φ_(z·1),α_(t·1),α_(z·1)) regulating the flow-pattern of the turbulent pulsating in a square duct were good agreed with the turbulent quasi-steady equation of calculated characteristic number in Eq. (26-28) within this experimental ranges. 3) It was √((ω^('))/(R_(e)),t_(a)^(1-b_(1)) of 0.3 to present in this experimental ranges because the turbulent quasi-steady equation can be proposed by dimensionless number of (ω^('))/(R_(e)),t_(a)^(1-b_(1), and it is showed that the turbulent quasi-steady state are accomplished in these ranges. 4) In the turbulent regions, inlet length of the pressure was approximately 50 D_(h) without effect of the dimennsionless frequency(ω^(')), time averaged Reynolds number (Re, t_(a)) and velocity amplitude ratio (A_(1)).

      • Laser 에너지와 Epidermal growth factor에 대한 배양연골세포의 반응

        최용기 전남대학교 1993 국내박사

        RANK : 247631

        관절연골의 손상후 재생능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의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의 적절한 치유를 위해 연골세포의 이식술이 도입되었는데 이식의 조건이나 이식된 연골세포의 특성 등에 따라 재생능의 차이가 있어서 연골세포의 증식능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인자로서 laser 에너지와 epidermal growth factor(EGF)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이 연골세포에 미치는 효과나 기전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는 관절 연골세포의 laser 에너지와 EGF에 대한 반응 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가토의 슬관절 연골세포를 분리 배양시켜 laser 에너지와 EGP에 노출시킨후 colorimetric MTT assay, 유세포분석 그리고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시행하며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배양연골세포내 사립체의 탈수소 효소의 활동성은 laser 에너지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억제되었으나 EGF를 첨가한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2) 배양연골세포의 DNA 함량은 laser 에너지와 EGF에 의하여 변화되었다. 특히 aneuploidy cell line이 관찰되었으며 S기나 G₂/M기의 분획이 증가되었다. 3) Laser 에너지와 EGF 투여에 대하여 배양연골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식되었으며 배양연골세포의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상에 있어서도 2형 교원질과 proteoglycan에 대한 양성반응에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이상의 성적은 laser 에너지와 EGF가 연골세포의 증식능을 증가시키며 연골세포의 DNA함량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examine the potential biological effect of Nd:YAG laser energy and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articular chondrocyte, colorimetric MTT assay using ELISA processor, analysis of DNA content by flow cytometry, and immunocytochemical staining using monoclonal antibodies such as anti-collagen II and antiproteoglycans were performed after exposure of the cells to laser energy and EGP. 1) The activity of mitochondrial dehydrogenase of in vitro articular chondrocyte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laser energy and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EGF. 2) The DNA contents of in vitro articular chondrocytes were changed by label energy and EGF. They produced a new aneuploidy celt line and increased S and G₂/M phase of it. 3) The immunocytochemical stain for collagen II and proteoglycan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stain densities of each cell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cell numbers in both EGF and laser groups.

      • 국방산업 비전에 맞춘 방위산업 발전방안

        최용기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방산업은 국가안보에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무기체계 및 장비의 연구개발, 생산, 유지 보수를 포함하여 국방부문을 1차적 수요자로하는 일반물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조합을 말한다. 미국은 국방비의 감소에 따른 방위산업기반축소를 위해 정부 지원하에 구조조정을 실시하고, 1단계(90년대 초)로 정부에 의한 M&A를 유도하여 동종업체간 중심으로 통합작업을 추진하였고, 2단계(90년대 말~)는 시장논리에 의한 M&A를 추구하였다. 유럽 내 업체 간 전략적 연합형태의 M&A를 추진하여 지금까지 21개의 대기업이 4개로 조정되었다. 이와 같이 미국 및 유럽의 대형방산업체들은 국경을 넘는 M&A를 통해 방위산업의 경제적 효율성 추구 작업을 지속할 것이다. 특히, 인력 및 노동력 감축, 국제공동개발 및 공동생산 확대, 국경을 넘는 M&A를 통한 업체의 대형화, 다각화, 집중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1월 1일 전문화, 계열화 제도의 공식적으로 폐지됨에 따라서 국내 국방산업은 획득사업 수주를 둘러싼 경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방위산업기반체제는 무기체계 및 복합무기체계의 관점에서 선 기술개발, 후 체계개발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대부분 체계개발 위주의 연구개발 및 생산구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국가 경쟁력을 위한 군사기술파급효과 및 민군겸용기술 활성화를 통해 민수, 국방산업의 동시발전을 추구하는 것을 소홀히 하고 있고 오직 군사전략적, 정치적 목적측면에서 자급자족형 국방산업기반체제 유지에 지속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에서 국방선진화를 위한 ‘국방산업 비전과 추진전략 제시’를 하면서 2020년까지 방산수출 40억 달러, 방산 일자리 5만개를 달성하는 것으로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방산업 추진전략을 위한 국방 R&D 패러다임의 변화와 수출 산업화, 민간자원 활용, 무기 수입 및 수출을 위한 절충교역으로 국방선진화를 기대하고자 한다. 정부의 방위산업의 新성장동력화 방안에 따른 국방예산 증가와 방위산업 글로벌화 추세에 맞는 국내외 차원의 방산 합작투자 및 M&A가 일어날 것으로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민간자원 활용에서는 산학연의 기술개발 결과에 따른 신개념기술시범을 통해서 민간자원 활용의 효율적 추진 방안을 연구하고 국내외 민간자원 활용을 통해 국내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단순 노무수준이 아닌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경영전문가, 분석전문가, 제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Control Tower 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 민군 파트너십 방안으로 민간경영 기법을 벤치마케팅하여 내부 수행을 개선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절충교역을 활성화를 위해 기술 도입자 입장에서 정보획득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진 핵심기술과 해외업체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제도를 확립하여야 한다. 둘째, 기술 제공자와의 기술격차를 줄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기술적인 면을 고려하여 기술의 유용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서 절충교역 기술 획득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협상방안을 확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절충교역을 리드하기 위하여 협상력을 강화하고 상호신뢰 관계를 구축하여야 하며 정책적인 면에서 절충교역과 연계되니 무기체계 획득 기본사업의 일정을 조정하여 고의적으로 지연할 개연성이 높은 부분을 사전에 차단하여야 한다. 범 정부차원에서 정부의 방위산업 육성 정책 의지에 대한 신뢰제고, 방위산업육성에 대한 범정부적인 인식의 공유 및 정책적 협력, 정부와 방산업체는 첨단군사력 건설과 국가 경제발전의 동반자이므로 정부와 방산업체간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다.

      • 참굴, Crassostrea gigas의 해양오염물질 노출에 따른 분자 생리학적 변화 : Molecular and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Waterborne Pollutants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최용기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xperiment 2 Superoxide dismutases (SODs) are metalloenzym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mollusk immune defense systems by eliminating oxidative stress to reactive oxygen species. Physiological changes were investigated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caused by exposure to pollutants (cadmium and tributyltin). mRNA expression of manganeses-SOD (Mn-SOD) were analyzed in gills using a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nd measured th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hydrogen peroxide (H₂O₂) levels in hemolymph based on time- and dose-related effects of pollutants and acute water temperature treatments. C. gigas Mn-SOD full-length cDNA (965 nucleotides) were cloned that included an open reading frame of 675 nucleotides that was predicted to encode proteins of 225 amino acids. BLAST analysis of other species indicated that residues essential to the enzymatic functions of Mn-SOD proteins are highly conserved. Levels of Mn-SOD mRNA expression, GOT and GOT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subsequently decreas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On the other hand, H₂O₂ levels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exposure peri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n-S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hysiological changes related to metabolism and cell protection that occur in C. gigas when exposed to oxidative stress by pollutants. 카드뮴은 급속한 산업 발달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수서 환경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카드뮴은 그 양이 소량일지라도 수서생물의 체내에 축적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도 악영향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카드뮴이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참굴을 카드뮴 (0.01, 0.05, 0.1 ppm)에 노출시킨 후, heat shock protein 90 (HSP90), metallothionein (MT) 및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Mn-SOD) mRNA의 발현과 헤모림프(hemolymph)내의 hydrogen peroxide (H₂O₂) 농도와 glutamate oxaloacetate trasaminase (GOT) 및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참굴 아가미 조직으로부터 전장의 HSP90 cDNA (GenBank accession no. EF687776)와 Mn-SOD cDNA (EU420128)를 분리하였다. 참굴 HSP90 및 Mn-SOD cDNA는 현재 보고된 패류 종과 각각 84%, 62%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단백질의 특이적인 요소와 잘 보존된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참굴 HSP90과 MT 및 Mn-SOD mRNA 발현은 카드뮴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RNA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참굴 체내에서 카드뮴이 독성 스트레스로 작용하였고 이에 세포보호 및 항상성 유지를 위해 HSP90, MT 및 Mn-SOD mRNA의 발현이 유도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실험에서 0.05 ppm과 0.1 ppm 농도에서는 HSP90과 Mn-SOD mRNA 발현이 7일째까지 발현의 증가하다가 이후 11일째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카드뮴의 강한 독성에 의해 생체 대사능력의 감소로, 지속적으로 축적된 카드뮴이 과도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발생시켜, 이로 인한 강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생체대사능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생체 방어를 위한 HSP90 및 Mn-SOD mRNA의 발현량도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MT mRNA 발현은 카드뮴의 농도와 노출시간에 따라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MT는 카드뮴의 생체내 축적 정도를 나타내는 biomarker로, 중금속 농도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T mRNA의 발현변화는 노출시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참굴 체내에 카드뮴이 축적되었음을 뒷받침 해준다. 참굴의 헤모림프 내의 Hydrogen peroxide (H₂O₂) 농도의 변화 분석한 결과, 카드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체내 카드뮴의 축적에 의해 산화작용이 유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ROS가 생성되었음 알 수 있다. 참굴 헤모림프 내의 효소성분인 GOT 및 GPT의 농도는 0.1 ppm 7일째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카드뮴에 의한 조직손상에 의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GOT, GPT 활성이 7일째 유의한 증가는 HSP90과 Mn-SOD mRNA의 발현이 감소하는 시점과 일치하여,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손상의 결과로 추측되어진다. 또한 참굴의 tributyltin (TBT) 노출 실험에서도, Mn-SOD 및 헤모림프 내의 H₂O₂농도와 GOT, GPT 활성이 카드뮴의 노출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BT는 주석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화합물로 해양부착생물방지제 속에 포함되는 강한 독성을 가진 환경오염물질로서 카드뮴과 같이 체내에 독성물질로 작용하여, ROS 생성 및 mRNA 발현 유도에 유사한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카드뮴의 노출에 의하여 체내에 ROS가 발생하여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하였고, 이에 스트레스 및 독성 제거와 항상성 유지를 위해 HSP90, MT, Mn-SOD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카드뮴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생체는 활성을 잃게 되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방어능력의 감소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HSP90, MT 및 Mn-SOD가 카드뮴 독성으로부터의 세포보호와 항상성유지를 위하여 발현됨을 시사하며, mRNA발현 및 헤모림프 내의 H₂O₂농도와 GOT, GPT 활성은 참굴의 스트레스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생리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 굴진면 보강에 의한 토사터널의 종방향 아칭 효과

        최용기 建國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문초록:Pre-reinforcement ahead of a tunnel face using long steel or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pipes in NATM(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known as an RPUM(Reinforced Protective Umbrella Method) or UAM(Umbrella Arch Method), is the promising method to sustain the stability of a shallow tunnel face and reduce the ground settlements. In addition, horizontal reinforcing of the face is recently emphasiz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face. However, the behavior of longitudinal arching around the fac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quantitatively with the RPUM(crown-reinforcing) and the face horizontal reinforcing. The behavior of cohesionless soil around the shallow tunnel supported by the RPUM and/or horizontal reinforcing of the face is investigated through two series of model tests in this study ; two-dimensional laboratory test and three dimensional field test. This thesis aims at a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the longitudinal arching effects around the face for the RPUM and the face-reinforcing. A number of studies on the reinforcing effects of RPUM have been perform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inite element(or difference) method and/or the model tests. In the meanwhile, few models or field tests are available in case of reinforcing effect with an advance of tun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or various lengths and angles of the reinforcing members, a series of laboratory and field model tests are carried out for three conditions such as non-reinforced, crown-reinforced, and crown and face-reinforced case. It is revealed that the necessity of crown-reinforcing(RPUM) on the face is confirmed from the laboratory test results. From the point of design, an efficient longitudinal angle of the reinforcing pipes is preferred to be 10■and the minimum length of the pipe for crown and face-reinforcing is also presented from the laboratory test results. The extent of longitudinal arching effects in terms of vertical stress increment under surcharge pressure on the surface is about up to the maximum values at 1.0D distance (where D is Dia. of a tunnel) and converged at 2.0D distance ahead of the face. In rear of the face, the stress is converged behind 0.5D distance from the field test results. These results support the minimum length of the pipe for crown as 1.5D ~ 2.0D. As results of monitoring axial and bending moment in the FRP pipes, it is also shown that the minimum overlap length of the pipes is required to be 0.5D for the crown and 0.25D for the face. For crown-reinforcing case under surcharge pressure on the surface, the increment rate of vertical stress at crown is decreased faster than non-reinforced case but vertical stresses tend to be increased at side wall of tunnel. It is found that the stress is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of the face due to the crown-reinforcing in the form of umbrell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invert when the ground condition in the invert is weak. In case of the crown and face-reinforcing, it is found that the side wall can be reinforced by stiffening the core at the face. In conclusion, by controlling the susceptibility to deformation of the ground ahead of the face by using appropriate stabilization techniques such as RPUM and/or face horizontal reinforcing, it is demonstrated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formation response of face and core, convergence behind the tunnel face by stiffening the core at the face. Keywords : pre-reinforced, GFRP, RPUM, UAM, shallow tunnel, longitudinal arching effect, reinforcing effect, vertical stress, surcharge pressure, vertical & face displacement, non-reinforcing, crown and face-reinforcing, FRP, load transfer

      • 閑中錄에 나타난 葛藤 構造

        최용기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to clarify the aspects of discords between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Prince Sado based on the conception of a restless feeling as a way of study on the Hanjoong-rok. The writer tried to find out the main cause for the discords of consciousness in the discords between affection and filial piety. The endless arguments about the death of the Prince Sado may seem to be meaningless, and it was found that who should be blamed for the cause of this tragedy would not be the important element. However, it is surprising how different are the evaluations of King Yongjo who loved learning more than any other King in the Chosen Dynasty and who laid a firm foundation for ethics and morality as king of a country and as father of a son. What made it finally possible to find out a piece of clue about the death of Prince Sado was through the Hanjoong-rok. The illness of Prince Sado was the replacement for restlessness. In order to be free from restlessness he indulged himself in amusements and at the peaks of his restlessness he found its outlet in the mental trouble. Harsh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King Yongjo was the cause of his discords, which led him to the feeling of utter despair toward his life. The main cause of Prince Sado's discords in consciousness came from the fact that the affection toward son and filial respect toward parents were not harmonized into one. King Yongjo's partiality drove the prince beyond the reach of his father's affection, which led him to the mental wanderings. Prince Sado's mental wanderings caused the King Yongjo's indignation and the disoords between affection and filial piety piled up. This piling-up of the discords finally came to be classified as a fundamental and temporary cause of the great disaster of Im-O. Besides, Yongbin Lee's (King Yongjo's seraglio) solicit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use of the disaster. In the end the two contradictory elements of obedience and resistance drove the character and destiny of the Prince into catasrophe, and made him a miserable person of the age.

      •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최용기 단국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남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정책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국어에 관한 국가 정부의 계획 또는 기본 방책'이라고 하였고 남북한의 국어 정책 기관은 공히 연구 기관과 행정 기관이 분리되어 있는데 그 위상과 역사는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남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국어 순화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 정책의 변천, 국어 정보화 정책의 변천, 한국어의 세계화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을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 로마자 표기 등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광복 후 각각 1 ~ 2 차례 정도만 바뀌었다고 하였다. 그동안 부분적인 개정이 있었지만 기본 방침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극어 순화 정책은 일제 강점기 이후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는 사업이며 한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정책이라고 하였다. 국어사전 편찬은 그동안 민간에서 추진하던 것을 지난 1999년에 국가에서 정책으로 채택하여 처음으로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하였다고 하였다. 문자 정책은 한글 전용과 국한문 혼용이 뒤바뀌면서 진행되었지만 정부의 방침은 '한글 전용 원칙과 한문 교육 병용'이라는 기본 틀은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국어과 교육 정책은 지금까지 7차례 개정이 되었는데 비교적 국어과 교육이 지향해야 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위해 발전적 노력을 해왔다고 하였다. 국어 정보화 정책은 '21세기 세종계획'이라는 중장기 계획을 발표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어의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국력 신장과 함께 날로 한국어가 세계로 뻗어간다고 하였다. 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의 변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의 변천을 맞춤법 통일안의 준용, 조선어 철자법의 공표, 조선말 규범집의 공표, 문화어 운동의 정착, 조선말 규범집의 수정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은 문화어운동과 병행하여 추진된 정책으로 의도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자 정책의 변천은 한글 전용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였지만 한문 교육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였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과 기술은 상당히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국어과 교육의 변천에서는 국어 교육이 매우 강조되어 있다고 하였다. 남북한 언어의 문제 중에 가장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은 언어에 대한 태도라고 하였다. 언어에 대한 태도가 근본적으로 다른 상황에서 남북한 언어를 통일하는 방안으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언어 규범을 통일할 수 있는 남북한 범민족 기구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 기구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을 위해 수시로 모임을 갖도록 하고 가장 합리적인 방안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하였다. 둘째, 우리말 순화 운동을 범민족적으로 벌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남한의 국어 순화 운동이나 북한의 말다듬기 운동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하였다. 북한은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문화어운동을 계기로 하여 많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우리말로 다듬었다고 하였고, 남한도 1970년대부터 정부 차원에서 순화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하였다. 셋째, 언어 통일의 지름길은 우리말 교육을 강화하는 일이라고 하였다. 북한은 우리 말을 충실하게 교육하고 발전시키는 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우리말이 발전된 언어라는 강한 자부심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남한은 영어 공용어와 초등학교 영어 조기 교육을 부르짖고 있어 이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하고 오히려 국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모국어를 충실하게 가르치는 일이야말로 남북한 언어 통일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This paper has taken a general view on the history of changes occurring in the nationl language policy carried out by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 First of all, the author has defined the concept of nationl language policy as 'a plan or a basic policy related to a national languag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 institute of both governments, who takes charge of the language policy, has two departments separated from each other: a research branch and an administrative branch. Its status and histor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hronicle of language policy of South Korea(Republic of Korea) has been review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changes of linguistic norms, those of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ose of the policy concerning Korean dictionary, those of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ose of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those of the information-oriented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linguistic norms, the author has reviewed the orthography of Hangeul, the norm oe standard Korean, the writing system of loan words, and the Romanization of Korean, respective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all have changed their frameworks one or two time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order words, the basic policy controlling them has not changed at all, even though partially changed in some areas. As for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defined its character as the project to ascertain the identity of Korean nation. It has been being carried out since the compulsory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without cessation. As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author has especilly laid an emphasis on that of 「The Standard Dictionary of Korean」which was adopted as a national project by a government institute in 1999. In fact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had been performed by civilian publishers before then. As for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e author has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on it has continued its basic framework of 'a principle of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and the simultaneous execution of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even though the above two basic trends having been performed in reverse order many times. As for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it has undergone seven revisions towards the desirable harmony of reality and ideal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for the information-oriented policy of the Korean language, it has now been being performed under the mid · long term plan of 'The 21th Century Sejong Project'. As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taken an optimistic view on it that the Korean language is now extending to the whole world with the extension of our national power day by day. The chronicle of language policy of North Korea(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been reviewed according to the same categories as those of South Korea, except the latter two. As for linguistic norms, the author has reviewed the observance of the unified plan on orthography of Hangeul, the official announcement of the orthography of Korean and a collection of Korean standard words, the settlement of a campaign of 'Cultural Words', and finally the revision of a collection of Korean standard words, respectively. As for the refinement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defined its character as an intentional policy driven together with a campaign of 'Cultural Words'. As for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the author has estimated its working methods and skills highly. As for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author has paid special attention to its relative high weight in the whole educational subjects. As for the policy of writing system, the author has concluded that they have carried out the policy of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so far, but they increasingly have strengthened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f the language policy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most disputable issue is their basically different attitudes towards language itself. Under this condition, the author has proposed several alternative plans to unify the languages of South and North Korea. First, the necessity of a pan-Korean institute to manage the unification project of linguistic norms has been proposed. Those involved in this institute should hold meetings occasionally and derive the most reasonable conclusion for the unification of linguistic norms. Second, the necessity of a pan-Korean campaign of the refinement of Korean has been proposed. From this viewpoint, a campaign of the refinement of Korean in South Korea is never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aboration of Words' in North Korea. Third and last, the author has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shortcut to the unification of language is the enforcement of the education of the mother tongue, Korean. While North Korea has accomplished lots of successions in the substantial educa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is proud of Korean, a highly advanced language, South Korea has made a false effort to settle the officialization of English and the premature education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The author wants to put a concluding remark that the substantial education of the native tongue, Korean is in itself will surely become a decisive momentum to move up the date of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