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라마누잔 항등식에 관련된 대수적인 정수 : Algebraic Numbers for Ramanujan's Identities : 최영미 저
국문요약 라마누잔 항등식에 관련된 대수적인 정수 최 영 미 라마누잔은 라는 일반적인 쎄타 함수를 정의 하였다. 특히, 라마누잔의 용어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한다. , , . 가 복소수이면서, 계수가 정수인 다항식이 존재하여 그 방정식의 근이 될 때, 그 근 를 대수적인 수라 부른다. 복소수이면서, 대수적인 정수가 아닌 수를 우리는 초월수라 부른다. 대수적인 수 중에서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이 되는 방정식의 근이 될 때, 그 근 를 대수적인 정수라 부른다. 대수적인 정수이면 대수적인 수가 되는 것은 자명하고, 대수적인 정수는 환을 이루고 있으며, 대수적인 수는 체를 형성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2장에서는 쎄타 함수와 무한승적의 대수적인 수를 생각하여 보았다. Berndt 교수는 참고문헌 [1]에 많은 일반적인 라마누잔 함수에 대한 성질들을 많이 찾아 놓았다. 우리는 그의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정리 4.1인 대수적인 정수를 찾았다. 한편, 에서 (a,n,t)라는 다음 조건이 주어지면 이 무한승적 값은 대수적인 정수가 된다. 그리고 1950년경, Slater는 그녀의 박사학위 논문에 130개의 로저스-라마누잔 항등식을 찾았고, 그것을 이용하여 2003년에 Sills 은 그의 논문에 중복 무한승적의 항등식을 찾았는데, 우리는 이 항등식의 대수적인 수를 발견하였다.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를 이용한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의 부분환원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metal (Li, Na, K) t-butoxy를 DIBALH에 반응시켜 합성한 새로운 4가 알루미늄 환원제인 lithium diisobutyl-t-butoxy aluminumhydride (LDBBA), sodium diisobutyl-t-butoxyaluminum hydride (SDBBA), 그리고 potassium diisobutyl-t-butoxyaluminium hydride (PDBBA)를 다양한 카르본산 유도체에 적용하여 부분환원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의 부분환원에 대해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고, 이에 새로운 환원제인 lithium diisobutyl- methoxyaluminum hydride (LDBMA), lithium diiso butylethoxyaluminum hydride (LDBEA)와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를 3차 아마이드와 나이트릴에 대한 부분환원에 적용해 본 결과, 이 중 LDBIPA가 3차 아마이드와 방향족 나이트릴을 대부분 90% 이상의 우수한 수율로 알데하이드로 환원시키는 우수한 부분환원 특성을 가지는 환원제임을 확인하였다. Recently, we have reported that a new class of reducing agents, metal diisobutyl-t-butoxyaluminum hydride such as lithium diisobutyl-t- butoxyaluminum hydride (LDBBA), sodium diisobutyl-t-butoxy- aluminum hydride (SDBBA) and potassium diisobutyl-t-butoxyaluminium hydride (PDBBA), t-butoxy derivatives of DIBALH, are new effective partial reducing agent which can reduce various carboxylic acid derivative to aldehydes in very good yields. However, in the case of partial reduction for tertiary amide and nitriles, we were not satisfied with yield. Accordingly, we decided to apply new reducing agents such as lithium diisobutylmethoxyaluminum hydride (LDBMA), lithium diisobutylethoxyaluminum hydride (LDBEA) and lithium diisobutylisopropoxyaluminum hydride (LDBIPA) to the partial reduction of tertiary amides and nitriles because partial reduction of tertiary amides and nitriles is an important in organic synthesis. Of these hydrides examined, we found that the LDBIPA was best effective partial reducing agent for synthesizing aldehydes from tertiary amides and aromatic nitriles in almost higher than 90% yield.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의 웩슬러지능검사를 통한 인지특성 비교
본 연구는 실제 임상장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기능 수준과 유사한 언어적 특성을 보이는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들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들이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프로파일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의 전체 지능,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 소검사 환산점수에 따른 세부 인지 기능 및 분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광주지역 소아정신과에서 정신과 전문의와 임상심리학자에 의해 고기능 자폐장애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전체 지능이 70이상인 만 5세에서 12세의 경우로 각각 27명과 22명을 선발하였다. 연구결과,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집단은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에 비해 낮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집단에 비해 언어성 지능 및 전체 지능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언어성 소검사에서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 및 숫자 과제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이 두 집단을 다시 경계선지능 집단과 평균지능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경계선 집단에서는 이해 소검사에서 자폐장애 집단이 언어장애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평균 집단에서는 상식과 숫자 소검사에서 자폐장애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두 집단의 전체 소검사 분산도 분석에서 언어장애 집단이 고기능 자폐장애 집단보다 상식과 빠진곳 찾기 소검사에서 높은 수준의 분산을 보였다. 그러나 경계선 집단에서는 두 집단간 분산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평균 집단에서는 자폐장애 집단이 상식 소검사에서 언어장애 집단보다 유의미한 분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웩슬러 지능검사를 통한 인지특성 비교에서 두 집단 간 다소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웩슬러 지능검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과 수용-표현성 언어장애 아동의 변별 내지 감별 진단이 쉽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감별 진단을 위해 지능검사의 다른 측정 방법이 사용되거나 질적인 분석의 필요성, 고기능 자폐장애 아동에 대한 세부적 진단의 필요성, 자폐장애와 수용-표현성 언어장애와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최영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A study on Korean writing teaching methods utilizing reading texts Choi, Young mi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is study’s purpose was to consider reading texts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al study. More explicitly, the study’s purpose was to allow the learner to create new text by organizing, selecting and connecting through summarization and expansion on various reading texts. First, various and detailed discussions on recent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research efforts on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Korean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is review,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detailed study for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methods was identified and as a capacity improvement method on the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writing strategy study by utilizing reading text as well as reading text applied writing teaching method have been intended to be suggested in this study. In Chapter 2, the recognition constructivism theory based writing model was review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Through this review, a need for research on a learning strategy that segmented the "planning" stage was identified due to the important function of idea formulation during the writing recognition procedure's "planning" stage for writing high-quality compositions. Chapter 3 investigated mutual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writing procedure's "planning" stage idea formulation's method of meaning symbolization. Subsequently, by presuming the learner's identification of the writing frame structure and naturally identifying writing subject by reading text utilized genre analysis, a reading text utilizing writing strategy model was suggested. Writing strategies during the "writing subject identification" and "planning" stages among writ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in detail with reading text selection among published teaching materials where reading text selection principle and basis has been suggested. In chapter 4, a writing education method was devised with reading text utilized writing strategies. A test was conducted by taking the abovementioned as test tools where the test result provided cohesive writing composition by the learners from writing strategy taught test group with confirmed writing capacity improvement. Subsequently, the hypothesis on effective writing activity by undertaking the writing subject through strategic writing after understanding the writing's frame and identifying the writing's compositional factors or method of organization was proven. In Chapter 5, reading a text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study was suggested. 「서강 한국어 4B」- 6“무릎 꿇은 나무”, 「한국어 4」- 2“단군이 조선을 세웠어요”, 「말이 트이는 한국어 Ⅲ」- 7“서울” This study’s purpose was to research a writing teaching method that would allow the learner to self generate text through text comprehension leading work stages by having a basic concept that in order to develop writing capacity, a learner must start from the text. Therefore, reading a text utilizing writing teaching methods through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study was suggested. More explicitly, a writing strategy with expanded activity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to allow the learner to create new text by organizing, selecting and connecting through summarization and expansion of various reading texts.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that it established"writing subject identification" and "planning" stages as pre-writing activities to assist with "idea generation," which learners often identify as the most difficult part of writ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is writing teaching method could anticipate the learner's writing capacity development by teaching various writing strategies through text-utilized summary and expansion. The current practice of teaching writing education is generalized with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s procedure-focused writing lessons through conversational level writing activities where strategy-centered writing lessons are administered. Such practice can give prominence to procedure-focused writ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refore, teaching of writing strategies is required to let the learner formulate a cohesive writing composition in order to improve writing capacity through such activities. However, research on detailed activity methods is still greatly insufficient and therefore,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e fact that it suggested detailed writing teaching methods by establishing detailed writing strategies. Lastly,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investigating reading texts utilizing writing strategy's learner writing capacity development influence through actual writing composition data obtained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educational sites and then suggesting writing teaching methods based on subsequent research results.
다(多)감각자극을 고려한 치매시설의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It is said that the recognition of people with dementia becomes gradually depending more on the level of senses than on the level of intelligence. It means that they unconsciously respond to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nsists the healing environment for dementia should reflect the sensory stimulation. The healing value on residents with dementia in 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was convinc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on nursing science and psychiatry, so this study could be possible. The prominent difference of this study from prior studies is the approach. While prior studies were performed in a limited sensory room,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range of the analysis of sensory stimulation to residents' daily living and the whole residential environment of facilities.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o grasp the relation between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factors,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of existing dementia facilities.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behavioral reaction and sensory stimulation, and to find out what healing environment factors are. The third is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an architectural planning regarding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care environment and to suggest alternatives of the healing environment considering multi-sensory stimulation, this paper were conducted with following methods. First, existing theories on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and the methodology of the spatial assessment by the sensory stimulation were extensively reviewed. In the main subject,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examined by assessing exist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ensory stimulation, verifying the result,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stimulations and spatial behaviors. In the conclusion, the guideline for an architectural planning considering sensory stimulation is suggested. The brief outline focusing 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The order of priority of sensory reactions is answered ‘vision’, ‘hearing’, ‘touch’ and ‘smell’ in the dementia car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in the assessmen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s of existing facilities, the order of priority of sensory reactions is presented ‘vision’, ‘smell’, ‘touch’ and ‘hearing'. It disproves that ‘hearing’, the second important sense, has not been met in exist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dementia and sensory stimulation factors, here are some suggestions of the sensory stimulation a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caring dementia. ① To improve the orientation, good visual environments such as suitable light and view, a characteristic and pleasant corridor, visual access to the destination, and private sphere should be considered. Also calm environment, tasty smell or natural fragrance, and a wooden handrail for residents’ good touching are examined as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orientation. ② To reduce negative behaviors, view of nature, comfortable light, and homelikeness are presented as desirable factors. At the same time, auditory environment where residents could control noise, and listen to the music and natural sounds is analyzed to reduce negative behaviors. Ventilation, tasty smell and natural fragrance were significant as olfactory environment, and social contact and access to the nature were also important as a tactile environment for the healing environment. ③ To control ‘wandering’, the arrangement of characteristic factors and chairs on wandering path, contacts with nature, the space with proper rate of light and shadow, and visual access to the destination are important. Furthermore, a soundproof facility, tasty smell, well-ventilation, contact with family and nature are supposed as the healing environmental factors for caring wandering. ④ To socialize residents with dementia, comfort light, view of nature, homelikeness, and accessible garden are needed as a visual environment. Auditory environment that residents can control noise to talk each other quietly or listen to music, olfactory environment that they can access to the good smell of foods or nature without any intellectual efforts, and also tactile environment that they could be possible to contact with society or nature is analyzed sensory stimulations to socialize residents. (2) Architectural planning suggestion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sensory stimulation and behaviors, this study analyzed the higher the score of sensory stimulation is, the more positive behaviors are caused. This study shows that sensory stimulation factors have deep relation to the healing in the care environment. Here are some guidelines for healing environment factors identified by behaviors. ①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light and the residents’ behavior, the higher the rate of natural light is in a public space, the higher the sensory stimulation score is and the more positive residents’ behavior is. However comparative cases show even though all the conditions of light, view and ventilation are similar, the results can be different. It mean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space should also be reckoned among important factors. ②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 between the density of a space and residents’ behavior, the bigger the social space is, the higher the sensory stimulation score presented, and the more positive the behavioral reaction of residents is. The lower the density of facility is, the more often residents use a social space, and also the more positive the behavioral reaction is. This study stresses that planning the low density of resident units with noise control is needed. ③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 between accessibility and residents’ behavior, the better visual access is, the more positive the sensory stimulation assessment and the residents’ behavioral reaction are. Residents’ using behavior in a public space shows that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is, the higher the occupancy rate is, and the worse the accessibility is, the lower the occupancy rate is. Therefore good accessibility is thought as a positive factor of the healing environment for resident with cognitive impairment. ④ As a result of analyzing relation between touch with nature and residents’ behavior, if residents have more chances to touch with nature, they react more positively, and expand their sphere of activity to outside. A public space near a garden has relatively high occupancy rate and produces active atmosphere for social interaction. To provide residents with the varieties of sensory experience, it is desirable that planning care environments reflect the importance of an accessible nature.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healing environment identified by behaviors show that interactions among factors are needed, not an individual factor for desirable healing value. For example, one factor, such as light or density, doesn't decide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but the interaction of sensory stimulation factors including light, views, homelike and flexible space, accessibility, noise control, ventilation and therapeutic touch with nature is considered to affect much more on the quality of the environmental stimulation. Since there has been not enough discussion on whether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therapeutic, and systematic studies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lays a cornerstone for further studies.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of all, this study expands the scopes of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from a limited sensory room where prior studies usually performed to the whol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econd, this study proves that behavioral reaction can be used to measure a healing environment. And the last, this study gives the most important meaning to the fact that it examines and suggests multi-sensory stimulation environment as an alternative to non-stimulating heal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with dementia who are suffering from sensory deficits. Growing demands for the dementia care environment and studies throughout the world result in further studies on multi-sensory environment as a fundamental and active alternative. It is recognized that studies on the healing environment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to provide them not with allopathic treatment but with the general and resonable effects. 국내 고령자의 수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요구를 배려한 건축, 도시 환경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고령자 중에서도 특히 치매노인들은 환경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그들이 이성적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고 감각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으로, 이들을 위한 건축 환경을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는 국내 건축가의 새로운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치매노인을 위한 건축 환경적인 모색이 필요한 상황에서, 치매로 인하여 손상된 신체 및 정신적인 능력을 보완해 주거나 대체해 줄 수 있는 환경 요소에 대하여 시급히 연구되어야 할 시점이다. 치매노인들은 이성이 점점 상실되어 가고 오감이라는 감각적인 능력으로 세상을 경험하는 특별한 계층이기 때문에, 이들이 어떤 환경 조건에 어떻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건축 환경이 주는 감각자극요인과 이에 대한 치매노인의 반응이라는 관점에서 기존 시설을 평가해 보고,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치유환경요인에 대한 건축계획적인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감각자극과 관련된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로 치매시설 내에 감각치료실을 설치하고 이 실에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었다면,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환경과 관련된 감각반응 문제를 다루기 위해 치매시설 전체 환경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의 특성과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어떤 감각자극(시각, 청각, 후각, 촉각)과 관련이 되는 지를 분석한다. 둘째, 기존의 치매시설을 감각자극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시설 내에서의 거주자 행태반응을 조사하여 치유환경요인을 규명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을 고려한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건축계획적인 지침을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매와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축 환경에 있어서 치매 노인에게 중요한 감각자극의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감각자극의 중요 순위 및 중요한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치매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요 문제가 감각자극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치매시설을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서, 치매시설에 근무하는 직원(간호사, 사회복지사)을 대상으로 하여 감각자극 사례에 대한 그림을 예시하고 이를 통해 기존 시설의 감각자극 평가점수를 도출하였다. 또한 치매노인의 공간이용행태를 직접 조사하여 각각의 공간에서 그들의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행태지도를 그려, 공간 유형별 치매노인의 점유방식, 감각자극요인과 행태와의 관계 및 치유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직원을 통해 평가한 시설의 감각자극 점수와 치매노인의 행태를 통해 작성한 행태지도를 비교하여 어느 공간 유형에서 치매노인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행태가 나타나는지를 고찰해 봄으로써, 감각자극요인과 행태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치유환경을 위한 건축계획적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총 6장으로, 제 1장은 연구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방법, 그리고 평가 및 분석의 틀로 구성되었다. 제 2장은 이론적인 배경으로 구성 되었다. 제 3장에서는 치매와 감각자극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감각자극요인을 도출하였다. 제 4장에서는 기존 치매시설의 다(多)감각자극환경 정도를 평가 하고 그 결과를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3장과 제 4장에서 도출된 감각자극을 공간이용행태를 통해 치유환경요인으로 규명함으로써, 제 6장에서 감각자극을 고려한 치유환경의 건축적 지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기존에 이미 감각치료실을 통한 치매노인의 감각자극환경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치매시설의 전체적인 환경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감각자극은 일반적으로 오감을 통해서 전달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각을 제외한 시각, 청각, 후각, 촉각의 범위 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미각 요소가 건축 환경 조건과 큰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경에서 치매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감각 순위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기존 시설을 감각자극의 관점에서 평가한 결과 청각적인 측면에 대한 평가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청각의 관점에서 어떻게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인 감각자극을 줄 것인가에 대한 건축적인 배려가 모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2) 치매노인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감각자극요인은 다음과 같다. - 시각자극 요인 : 빛, 자연 조망, 가정과 같은 특징(homelikeness), 공용공간과의 시각적인 접근성 등 - 청각자극 요인 : 소음에 대한 대비, 자연의 소리(물소리, 새소리 등), 음악 등 - 후각자극 요인 : 맛있는 음식냄새, 통기, 자연의 향기 등 - 촉각자극 요인 : 가족과의 접촉, 자연과의 접촉, 친숙한 질감 등 3) 조사 대상 시설의 감각자극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들은 긍정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는 감각자극이 치매노인의 치유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4) 공용공간(복도, 거실 등)의 자연채광 비율이 높을수록 감각자극의 점수가 높고, 창호개방율이 높을수록 행태반응도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빛, 조망, 통기 요인이 특히 사회적 공간행위를 감각적으로 자극하여 치유적인 영향을 발휘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빛, 조망 및 통기 조건이 유사한 사례의 비교에서, 그 외의 다른 자극이 행태에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했는데, 비교 대상의 특징적인 차이가 거주단위의 규모라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창호개방의 조건과 함께 거주공간의 규모도 동시에 고려해야 할 치유환경요인이라고 판단된다. 5) 사회적 공간의 규모가 클수록, 감각자극의 평가가 높으며, 거주자들의 행태반응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공간의 밀도가 치유환경 요인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극 수준의 규모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저밀도의 시설일수록 사회적 공간의 이용이 높고 행태반응이 긍정적이라고 분석됨에 따라, 시각적 혼잡과 청각적 소음 조절을 위한 저밀도의 거주단위계획(클러스터)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6) 공용공간의 시각적 접근성과 물리적 접근성은 인지능력과 신체적 기능이 저하된 치매시설 거주자에게 시각과 청각자극을 통해 사회적 교류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매우 중요한 감각자극이며 치유환경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침실과 공용공간과의 접근성 계획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7) 자연 접촉의 기회가 많을수록 긍정적인 행태반응이 더 많이 관찰되며, 거주자들의 활동범위도 외부 자연으로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정원과 인접한 공용공간의 이용이 높고 사회적 교류도 더 유발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반면, 자연 접촉의 기회가 적은 사례에서는 공용공간보다 침실의 이용행태가 많으며, 행태의 긍정적인 측면도 다소 부족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자연 접촉은 전 감각자극에 관련하여 거주자들에게 치유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조사됨에 따라, 직접적으로 자연 접촉이 가능한 치유정원의 계획은 치유환경을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치유환경요인을 규명한 결과, 치유환경의 영향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되기 위해서는 환경 요소들의 개별 작용보다는 상호 작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로 기존 시설의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감각자극요인을 분석하였으나 향후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천정, 벽, 바닥 등)나 조망 조건, 주변 환경 등 폭넓은 조건에 따라 거주자의 행태가 어떻게 나타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치매노인은 이성적인 능력이 떨어지고 감성적으로 반응하는 특별한 계층이지만, 한편으로는 우리 인간의 감각이 어떻게 환경에 반응하는지를 조사하는데 매우 적절한 연구 대상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시설 뿐 만 아니라 일반 건축물에서도 인간의 감각자극에 다른 치유환경 조성에 필요한 자료로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앞으로 다 학제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본다.
최영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7차교육과정에서 1학년 15종 교과서의 언어기능 중 읽기(reading) 부분(본문)만을 중점적으로 영미문화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를 문화 소재별, 문화 배경별, 문화 유형별 비교분석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문화 의식 및 문화교육을 위한 영어교과서로서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5종 교과서 영미 문화내용의 소재별에서는 Emotion/physical condition이 전체 19%로 제일 높게 차지하고 있었으며, School 상황에서는 9%, Social customs 6%, Food 4%, family 3%, sports 2%, 기타 영미적 문화 8%, 기타 49%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는 정서적/신체적인 요소와 학교생활에 관련된 요소가 더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소재의 반영율은 K교과서(75%), J교과서(67%), G교과서(64%), A 교과서(58%), E 교과서(58), F 교과서(58%), H 교과서(58%), N 교과서(58%), L 교과서(50%), B 교과서(42%), C 교과서(42%), D 교과서(33%), I 교과서(33%), O 교과서(33%), M 교과서(2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15종 교과서 영미 문화내용의 배경별 분석에서는 보편문화가 전체 34%로 제일 높게 차지하고, 한/영미 비교문화는 5%, 영미문화 1%, 기타 60%이었다. 대체로 15종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서 영미문화와 한/영미 비교문화보다는 보편문화적 상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과서 영미 문화의 배경별 반영율은 H교과서(67%), J·K교과서(58%), G교과서(46%), A 교과서(42%), E 교과서(42), F 교과서(42%), I 교과서(42%), L·O 교과서(42%), D·N교과서(33%), B·C 교과서(25%), M 교과서(25%)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15종 교과서 영미 문화내용의 유형별 분석에서는 행동문화가 전체 47%로 제일 높게 나타났고, 물질문화 22%, 정신문화 17%, 기타 14%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는 정신문화가 행동문화와 물질문화보다는 상당이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의 영미문화 유형별 반영률에서는 A·G·H ·M교과서 100%, J·K·L·O 교과서 92%, I·N 교과서 83%, B·E·F 교과서 75%, C·D교과서 64%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미문화 지도의 현황에서는 문화적 요소를 어느 정도 지도하고 있으며, 교과서나 지도서에 제시된 문화교육의 요소가 불충분하거나 부실한 것으로 느끼고 있다. 또한 문화 지식의 부족으로 문화지도에서 애로를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언어교육에 있어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외국문화를 접할 때 국가주체성을 상실하고 문화사대주의에 물들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영미문화가 보편적 가치를 대변하고 있지는 않으며, 저개발국의 문화에서도 배울 것이 있다는 견해를 보여서 문화 교육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음을 보였다. 여섯째, 문화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은 사회문화적 규범과 가치에 관한 지식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전적 의미만은 효과적이지 못한다. 그리고 그 문화를 가진 사람의 시각으로 보아야 하며, 외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균형잡힌 가치관 확립의 필요성이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일곱째, 문화교육의 목적과 내용·방법에 대한 인식에서는 문화교육의 목적, 문화교육의 내용, 문화교육의 방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화교육의 목적으로는 언어 표현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양상을 중심으로, 균형잡힌 문화관, 올바른 가치관, 세계를 향한 열린자세를 갗추도록 해야하며, 또한 영어를 정확하게 유창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고 여기고 있다. 문화교육의 내용으로는 소재별로서는 Social customs, Polite Expressions에 중점을 두어야 겠고, 배경별로는 보편문화와 비교문화에 큰 관심을 보여 주고 있으며, 유형별로는 도시, 명물, 유적지와 같은 물질문화와 관습적 풍습에 해당되는 행동문화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었다. 문화교육의 매체나 방법으로는 영화, 비디오, CD-Rom등과 같은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여기고 있었다. 여덟째, 영미 문화 소재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Social customs, Polite expressions, Emotion/physical conditions와 같은 소재를 교과서에 많이 반영시켜 의사소통 상황에서 가장 크게 느껴지는 문화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영미문화 배경의 비율에 따른 개선방안으로는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보편적 문화내용을 줄이고 미국 문화 중 지리(유적지, 관광지)와, 한/영미 비교문화 중 민속과 역사에 관한 내용을 대폭 늘여야 한다. 그리고 영미문화 유형의 비율에서는 정신문화적 요소를 많이 반영시켜야 하며, 물질문화 중 나라(도시, 명물, 유적지)에 관련된 것, 행동문화 중 관습적 행동(풍습)에 관련된 것을 많이 반영시켜야 한다. 또한 문화 교육 방법 및 매체에 따른 개선방안에서 문화교육 방법으로 언어표현(단어, 문장등)과 관련된 문화적 내용과두 문화간의 차이점 중심으로 하여야 하며, 문화교육 매체로는 비디오, 영화, CD-ROM을 사용하여 문화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과서에 따라 교육 매체도 함께 지원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15종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는 영미문화의 반영에 있어서 정서적/신체적 요소와 학교생활과 개인생활을 중심으로 다루었고, 영미문화적 요소보다는 보편문화적 요소를 많이 다루었으며, 정신문화보다는 행동문화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교사들의 문화의식은 매우 건전하면서도 긍정적이며 합리적인 것으로 풀이되었다. 따라서 교과서 분석과 교사설문을 바탕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영어교과서로서 개선방안으로는 소재면에서 사회적 관습과 공손한 표현을 중심으로 그리고 배경별로서 미문화 중심으로 언어표현에 관련된 문화 내용중심으로 또한 한미 문화의 비교문화 중심으로 고려한 영어교과서가 될 수 있도록 계속된 노력이 있어야 겠다.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사회적 관습, 공손한 표현과 정서적/신체적 상황의 소재를 많이 다루어야 겠고, 보편문화보다는 영미문화와 한·영미 비교문화 중심의 내용이 더 많이 요구되며, 행동문화적 요소도 증가시켜야 겠다. 교사설문 대상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비교분석에 있어서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중학교 전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사 및 학생 설문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현직 중학교 영어교사 대부분이 문화의식에 대해서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문화교육을 할 수 있는 자질은 부족하다. 따라서 전 영어교사를 대상으로하여 다양한 문화를 경험해 볼 수 있는 지속적인 연수의 기회를 확대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문화교육을 위한 보조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매체로는 영화, 비디오, CD-Rom 등이 있는데, 이 매체들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하며, 또한 더 효과적인 교육 매체에 관한 보다 전문화되고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문화교육을 위한 영어교과서는 영어 학습자들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세계인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갖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타국문화뿐만 아니라 자국의 문화도 바르게 인식하고 이해하여서 문화적 상충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대하며, 또한 실문화의 학습을 통해 언어능력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나아가 경쟁력있는 개인이나 사회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앞으로 문화내용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라며, 본 논문이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다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nglish Cultural Elements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e method of this study, I analyzed the English cultural Elements introduced in the fifteen different English textbooks that have been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used the following three methods: 1) analyzing the subject matter of Lee, WonKey., & Cha, KyungWhan(1999)'s selection in the center of established items by Chastain(1976) and Finocchiaro & Bonomo(1973), 2) classifying the cultural background that is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general culture, Korea/British & American comparative culture, 3) classifying the cultural types that is material culture, behavior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And I also surveyed about Enghish cultural consciousness through Enghish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of English Textbooks analysis and Question Survey, I presented the improvement of English Textbooks for the culture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subject matter of 15 different English Textbooks, Emotion/physical condition were presented 19%, School situation was 9%, Social customs was 6%, Food was 4%, Family was 3%, sports 2%, the others English culture were 8%, and others were 49%.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subject matter were suggested more emphatically about Emotion/physical condition and School life elements. Second, in the background analysis about English cultural elements of 15 different English Textbooks, general culture was presented 34%, Korea/British & American comparative culture was 5%, English culture was 1%, and the others were 60%. On the whole English textbooks were dealt with general culture more frequently than English culture and Korea/British & American comparative culture. Third, in the cultural types about English cultural elements of 15 different English Textbooks, behavioral culture was presented very high frequency of 47%, material culture was 22%, spiritual culture was 17%, and the others were 14%.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spiritual culture were presented lower prequency than behavioral and material culture. Fourth, by Question Survey, the present condition of Enghish cultural teaching was taught somewhat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suggested Textbooks or teaching guidence showed that Enghish teachers felt insufficiently or poorly about them. Also owing to lack of cultural knoweledge, they felt difficulty when taught culture. Fifth, by Question Survey, the recognition of cultural education showed that teachers were answered fairly positive about cultural education. Sixth, by Question Survey,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showed opinions that teachers answered the necessity of correct comprehension and establishment of well-balanced values for the foreign culture. Seventh, by Question Survey, the purpose of cultural education was presented to have well-balanced culture, upright values, and open attitude toward the world with cultural aspects of language expression. And English teachers answered that laid emphasis on use exactly and fluently English.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laid emphasis on Social customs, Polite Expressions.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was answered general culture and comparative culture.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cultural types were answered material culture such as cities, special products, place of historic interests and behavioral culture such as customs. the mediums and methods of cultural education were presented to use the material of visual and auditory senses such as movies, video tape, CD-Rom. Eighth, in the improvement of English Textbooks for the culture education, the subject matter was reflected such as Social customs, Polite expressions, Emotion/physical conditions. The ratio of cultural background was reflected American culture such as place of historic interests and tourism and Korea/British & American comparative culture such as histories and folk-customs more frequently than general culture. The ratio of cultural types were reflected very frequent spiritual culture. the mediums and methods of cultural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center of cultural elements related to language expression and cross-cultural elements, and were reflected to use the material of visual and auditory senses such as movies, video tape, CD-Rom.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e study of the English Cultural Elements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as reflected in the center of Emotion/physical condition and School life, individual life, general cultural elements than English cultural elements, and behavioral culture than spiritual culture. Also the cultural consciousness of English teacters showed very positive and rational answer.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English Textbooks for the culture education based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Question Survey of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continually in the center of Social customs and Polite expressions, American culture, cultural elements related to language expression, and Korea/British & American comparative culture.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분석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세계화 되면서 다문화 가정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다문화 가정이 다수 밀집 되어있고 다문화 특구로 지정되어 있는 안산지역을 중심으로 교사의 다문화 교육 관련 배경 변인과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상황에서 교사가 경험 하는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알아보고 보육교사들이 보육현실에 알맞은 다문화 가정 유아들을 지도함에 있어 다문화 가정 유아 교육과정 계획 수립 및 나아갈 방향의 기초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보육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어려움 중 교수학습 상황, 유아 및 상호작용,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관련된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관련된 경력별 비교에서 5년 이상 경력자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경력과 유아 및 상호작용과 관련한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차이와 유아 및 상호작용과 관련한 연령별 비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관련한 연령별 비교와 교수학습, 유아 및 상호작용,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관련한 학력별 비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경험별 교수학습 상황과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유아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에서 교육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이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지도경험별 교수학습 상황과 유아 및 상호작용의 어려움의 어려움에서 지도경험이 없는 집단이 지도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과 관련한 어려움에서 지도경험이 있는 집단이 지도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어려움을 더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경력별로 살펴 본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하는 교사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년 이하의 교사집단은 지자체나 지원센터의 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경력 2-3년 교사집단은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경력 3-5년 집단은 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각각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는 지자체나 지원 센터 등 지역 사회 기관과 협력, 30대는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40대는 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사의 학력별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고졸은 다문화반 담임수당 등 보조교사 지원, 전문대와 4년제 졸업자는 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에 더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다문화 교육경험 유무별로는 다문화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집단이 상대적으로 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 다문화 반 담임수당 등 보조교사 지원,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강조하였다. 이에 반해, 다문화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집단은 지자체나 지원센터 등 지역사회기관과의 협력, 활동중심의 한국어 교육방법 소개 등을 상대적으로 더 강조하였다. 다문화 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현장에 적합한 다문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지자체나 지원센터 등 지역사회기관과의 협력에 대한 의존성이 높거나 유아기를 지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를 통한 간접 교육방법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 Spencer와 Spencer(1993), Lucia와 Lepsinger(1999)가 제시한 역량개발 방법을 상호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고성과자 교감 7명을 대상으로 한 행동사건인터뷰와 교감의 업무수행을 근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직무관련인 6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각 6명으로 구성된 두 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직무역량모델 잠정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초등학교 교감의 최종 직무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교감의 7개 직무영역, 그리고 이에 따른 21개 직무역량과 91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역량 중 중요한 것은 ‘다각적으로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이다. 학교공동체는 다양한 구성원들이 존재하며, 학교 안과 밖의 사회적 상황들은 새롭고 빠르게 바뀌고 있다. 교감에게는 학교구성원들을 독려하면서 이러한 상황들에 현명하게 대처하며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인 역량이 필요하다. ‘학생지향성’, ‘학교구성원 이해·관심’ 및 ‘학교구성원 간 갈등관리’, ‘학부모·지역사회 관계 형성’ 역량 등이 그것이다. 둘째, 교감이 업무 추진 및 문제 해결의 방향설정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교장에게 전달하거나 조언을 하는 것은 학교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학교관리자로서의 ‘윤리적 리더십’과 ‘자기관리’, ‘학교비전 설정·공유’ 및 ‘위기대응’의 역량은 ‘교장 보좌’라는 법적인 교감의 주요 역할 수행을 위해서 필요하다. 셋째, 학교조직의 특성상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갖고 있으므로 모든 역량이 초등학교 교감에게 필요한 미래 직무역량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미래교육의 성과를 위해 교감이 갖추어야 할 주요한 역량을 추출한다면 ‘위기대응’과 ‘교육혁신’, ‘사회패러다임 변화 대응’, ‘다문화 지향성’, ‘타인 육성’, ‘학습생태계 조성·관리’ 역량 등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감의 직무역량모델은 중간관리자로서 교감이 갖추어야 하는 직무역량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job competence model for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In this study, the competency development methods suggested by Spencer and Spencer(1993) and Lucia and Lepsinger (1999) were used complementarily to develop a job competence model for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Through behavioral event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3 field experts, a draft job competence model of the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 was drawn, and a focus group interview of two teams consisting of six was conducted to derive a provisional competence model. In addition, by conducting a content validity survey of 30 expert panels, the final competency model was confirmed by securing CVR values, convergence, agreement, and stability. Through this, 21 job competencies and 91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7 job areas of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t job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solve problems in various ways. The school community has various members, and the social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are new and rapidly changing. The vice principal needs the practical ability to cope with these situations wisely and solve various problems while encouraging school members. These were the competencies of 'student orientation',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school members', 'managing conflicts among school members', and 'building parent-community relations'. Second, it is important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school that the vice principal identifie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direction of work promotion and problem-solving and delivers or gives advice to the principal. The competence of 'ethical leadership', 'self-management', 'establishment and sharing of school vision' and 'crisis response' as school managers are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main role of legal vice principal called 'coach assistant'. Third, because the school organization has a direction for the future, all competencies can be the future job competencie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However, if we extract the major capabilities that the vice principal needs to have for the performance of future education, it can be called 'crisis response', 'education innovation', 'response to changes in social paradigm', 'multicultural orientation', 'cultivation of others', and 'creation and management of learning ecosystem'. The job competence model of the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 develop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the job competence that the vice principal must have as an intermediate manager, and can provide the basis for improving the job competency of the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MMSE 검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3단계로 층화하여 일반적 특성인 인구사회학적 요인 이 치매진단의 1차적 기준이 되는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MMSE 점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D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543명으로 남자가 362명, 여자가 1,181명으로 65세에서 74세까지를 전기고령자, 75세에서 84세 까지를 중기고령자, 85세 이상을 후기고령자로 분류하여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인 연령, 성별, 교육수준, 심뇌혈관질환 유무, 사회활동 유무, 동거형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저하 비율 비교는 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령별 MMSE 소 항목 점수 비교는 t 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집단 간 비교는 Tukey를 이용하여 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MMSE 소 항목 사이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연령, 성별, 교육수준, 사회활동, 동거형태가 MMSE 점수에 유의 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연령대별로 MMSE 소 항목 점수는 전기고령자 집단에서 모든 영역의 점수가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중기고령자, 후기고령자 집단 순으로 점수가 낮아져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영역에서 남자의 점수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모든 연령 대에서 언어능력 점수(94.1)가 가장 높았고 주의집중력 점수(50.3점)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 남자, 사회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에서 인지기능 장애가 증가 하였고 학력이 0~6년 보다 7년 이상에서, 독거인 경우보다 동거인과 살고 있는 경우에 인지기능 장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대는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도래 하고 있는 고령화 사회로 국가·사회적 비용 부담을 절감하기 위한 치매예방 조기 개입 및 다각적인 측면의 노인건강 프로그램의 수립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제도적 장 치가 요구 된다. 또한 치매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올바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 여 지역사회 차원에서 치매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전략적인 실행이 요구 되며 이에 따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elderly was divided as three stages in this study and it was investig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s which are the primary criteria for screening of dementia by MMSE scores. Those surveyed were 1,543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e in D city. The elderly people were consisted of men of 362 and women of 1,181. The elderly from 65 to 74 were set as the early aging. The elderly from 75 to 84 were set as the middle aging. The elderly over 85 were set as the late aging.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level of education, the presence of cerebrovascular disease, whether work in social fields or not, and type of living. The compare of the ratio of cognitive impair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analyzed by test. T-test and ANOVA are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scores of MMSE's sub items by age. Comparisons between groups are conducted as multiple comparisons using Tukey. Correlations between sub items of MMSE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is survey, it was shown that MMSE scores were related significantly with age, gender, level of education, social activities, and type of living. Scores of MMSE's sub items by each age group were all different. Scores in all areas were high in the early aging group. The scores became much lower according to the groups' order. In other words, the older the elderly were, the lower cognitive functions were. Also, on whole areas, the scores of men were higher than women's those. In all ages, language skills got the highest score(94.1 point) and the score of attention concentration was the lowest(50.3 point). The elderly who were older, men, and did not social activities had more cognitive impairments. There were high cognitive dysfunctions of the elderly who had education period over 7 years more than less 6 years. If the elderly lived with partners, much more cognitive impairments could be founded than when they lived alone. Modern society become the age of 'homo hundred'. It is time that early intervention for preventing dementia and health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needed to reduce the national and social costs. To abolish the society's prejudices against dementia and to provide right knowledge and informations about dementia,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strategically by local governments and policy supports also n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