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숙인의 우울감소 및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최시온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transient individuals in treating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Thirty total subjects were divided evenly into three test groups A, B, and C, with group A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group B and C as comparison groups. Group A consisted of subjects from a shelter located in Seoul district G, group B from a shelter in Seoul district D, and group C from a train station located in Seoul district 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of the population being studied, the researchers formulated and handed out two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prior to the study being conducted: a demographic survey and an open-ended survey. Experimental group A had a total of 10 sessions lasting 80 minutes per session consisting of various musical interventions including singing, dancing, music literature, instrumentals, and listening. Comparison group B under the same duration had karaoke sessions, and comparison group C did not have any intervention. The researchers then quantified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Korean Depression Test (KDS) and Rosenberg Self-Esteem scale. Researchers then used the t-test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col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in all characteristics after completion of session as listed below. Pessimism (p>.000) score improved greatly post-therapy. Low self-esteem (p>.000), anxiety (p>.006), depression (p>.001), physical manifestation (p>.048), loss of motivation (p>.000)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verage value of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out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605), but the improvement nonetheless was quite considerable compared to both comparison groups (p>.05). Although the study could not confirm the benefits of music therapy regarding self-esteem, there was a clear improvement from the two comparison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ementing and expanding music therapy programs in more homeless participants throughout social services will help to resolve the ongoing homeless issue. The findings prove that music therapy effectively benefits the homeless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while providing them with a positive environment and affect.  본 연구는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숙인의 우울감소 및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총 30명의 노숙인으로 A실험집단 10명, B비교집단 10명, C비교집단 10명이다. 실험집단 A는 서울시 G구에 위치한 노숙인 쉼터, 비교집단 B는 서울시 D구에 위치한 쉼터, 비교집단 C는 서울시 D구 C역사에서 노숙을 하는 사람들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들이다. 연구자는 연구이전에 실험집단의 인구 통계학정 특성을 알기 위한 일반적 특성 설문지와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변화를 알기 위한 경험적 서면 인터뷰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 A에 대한 중재는 1회 8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음악치료의 방법은 노래 부르기, 음악과 동작, 음악과 문학, 악기연주와 감상 등이었다. 비교집단 B는 같은 회기로 노래방 기계를, 비교집단 C는 어떠한 처치도 하지 않았다. 연구자는 각 그룹에 대한 음악치료실시 이후의 우울감과 자존감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 우울증 검사지(KDS)와 자아 존중감 척도(Rosenberg)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후 t검증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실험집단과 두 비교집단의 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대상자들의 우울증 정도에 대한 하위요인들은 모두 음악치료 이전보다 개선되었다. 미래부정(p>.000)은 평균값이 크게 낮아져 실험 전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자기부정(p>.000)과 걱정초조(p>.006), 우울(p>.001), 신체 화 증상(p>.048), 의욕상실(p>.000) 요인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우울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존감의 경우 실험집단은 평균값이 다소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치는 아니었으며(p〉.605), 비교집단 B와 C는 사후 평균값이 실험집단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두 집단 모두 p〉.05). 이 같은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치료적 음악활동이 자존감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처치가 없는 집단들에 비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사회기관 및 관련기관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확장해 더 많은 노숙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노숙인들의 제반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치료적 음악 활동이 노숙인들의 우울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자존감에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을 토대로 고찰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최시온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개인의 행복실현을 통해 공공의 선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담긴 철학적 함의를 이해하고, 행복한 삶의 구현을 위해 학교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다양한 논문을 토대로 연구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행복이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행복은 탁월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다. 이는 개인의 고유한 기능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것으로 실천적 지혜와 성격적 탁월성을 통해 중용의 정신을 실천하여 올바른 선택과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의 목적을 행복을 실현할 수 있는 인간으로의 도야로 삼았으며, 음악 과목을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으로의 교육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인적 인간으로의 성장과 홍익인간의 정신을 실현하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행복실현에 목적을 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개인의 인격 성장을 통해 공동체의 행복을 구현하고자 한 행복론과 같은 방향성을 갖고 있었다. 핵심역량은 실천적 지혜와 성격적 탁월성과의 연계성이 보였다. 실천적 지혜의 의미 속에는 6가지의 핵심역량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핵심역량을 올바르게 함양하는 것은 인간의 기능을 탁월하게 수행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핵심역량은 음악 교과를 통해 더 수월하게 발휘될 수 있는데, 음악은 이러한 역량 즉 탁월성을 신장시키는데 주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2015 교육과정을 이해하여 올바른 학교 음악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개인의 진정한 행복실현을 넘어 현대사회의 공공의 선을 구현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아리스토텔레스, 행복론, 음악교육, 핵심역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chool music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happy life, based on the Aristotelian Eudemonics, which was deemed as the idea to realize public interest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happiness. For this, considerations were made as to what the Aristotelian Eudemonics refer to, based on studies on Nicomachean Ethics and various other studies. Happiness is the activity of a soul according to excellence. It refers to an individual who eminently wields his/her unique function where one’s practical wisdom and characteristic excellence are utilized to practice spirit of moderation to make right choice and action. Aristotle regarded the purpose of education as the cultivation of human to realize happiness. He viewed the education to build a holistic person capable of self-realization as possible through the education of music. Based on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core competency was considered. As a resul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ere the ultimate purpose is to realize happiness through the growth into a holistic person and the idea of humanitarianism, was in line with the Aristotelian Eudemonics, where the happiness of a community was to be realized through the character building of a person. Core competency seemed to have shown an association with the practical wisdom and characteristic excellence. Since 6 types of core competency are included inside the meanings of practical wisdom, having the correct core competency is the same as excell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human. Moreover, such core competencies can be expressed more comfortably through the musical curriculum. Therefore, through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he Aristotelian Eudemonics, understanding the 2015 curriculum and executing the right school music education will be of help in realizing the public interest in modern society beyond the genuine realization of individual happiness, as well as in resolving various problems. key words: Aristoteles, Eudemonics, Music Education, Core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