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부대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중심으로

        최승호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부대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중심으로)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군사학과 최승호 연구자는 드론 전력화 전, 軍내 조종 인력 구축을 위한 조종자 양성 과정의 교관 임무를 수행하고 현재는 고정익 무인기 운용 관련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교관 임무 수행 간 접하게 된 Army TIGER 4.0 체계 및 유무인 전투체계의 개념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투 실험용 드론의 수락 검사 및 전투실험 결과를 직·간접 경험하면서 드론의 성능 기준이 세밀하게 정립되지 않은 현실을 보며 ‘효율적인 드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드론의 성능 기준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느끼고 좀 더 체계적인 軍 작전용 드론의 도입을 위한 방안 제시를 통해 소부대 드론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 기술이 무기체계에 미치는 영향 및 한반도 지형과 기후의 특성, 인구 구조변화 등 우리가 당면한 드론 운용 환경에 대한 분석과 드론의 특성 및 군사 작전에서 드론 운용, 그리고 국내외 드론의 군사 목적 활용 사례 분석을 통해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특히 소부대의 효율적인 드론 활용을 위한 軍 작전용 드론의 성능 기준 정립 방안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소부대의 드론 운용 범위에 대한 재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Army TIGER 4.0 체계의 워리어 플랫폼 적용과 편성의 변화 등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기간 내 진행될 우리 소부대의 변화를 분석하고 적 소부대의 편성과 편제 화기의 유효사거리 등을 고려하여 변화될 우리 소부대와 적 소부대의 교전 방식(전투 절차)을 고려하였으며, 유사시 다양한 가용 자산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운용 제대 및 임무 유형별 드론에 대한 고도 및 공간 분할 개념을 적용하여 소부대의 드론 운용 범위를 제시하였다. 둘째,‘드론의 전술적 운용을 위해 필요한 기본 요구 사양의 성능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일반 상용 드론과 달리 軍 작전용 드론은 목적의 특수성을 고려, 자연환경의 외적 요인을 극복하며 운용되어야 한다. 특히, 우천과 바람, 고온 및 저온의 기온을 극복할 수 있는 방수, 내풍, 방한, 방열 성능이 충족되는 드론이 전력화되어야 한다. 현장에서 지휘관이 자산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에 대한 결심 전에 기상 등 기본적인 요인으로 운용 자체가 제한된다는 보고를 받아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軍 작전용 드론의 기본 요구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 정립과 함께 모든 드론에 공통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유형별 임무 수행에 적합한 작전 성능 사양의 성능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 향후 다양한 임무 유형의 드론이 대량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군수지원 체계 등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운용 제대 및 임무 목적에 따른 ‘드론의 등급 구분과 표준화를 통한 모듈화 개념의 전력화가 추진’되어야 하며 그와 함께 ‘임무 유형별 임무 장비의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이 정립’되어야 한다. 軍에서 운용될 드론은 송수신(운용) 거리보다는 임무 장비의 성능이 중요하다. 例를 들어 대대급 감시정찰용 드론이 야간 임무 수행 간 인원에 대한 피아식별 및 무장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거리가 100m도 안 된다면 활용 효과면에서 비효율적인 운용이 될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임무 유형별 목적에 적합한 임무 장비의 작전 성능 사양에 대한 성능 기준의 정립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로 정립된 성능 기준에 충족된 드론이 소부대에 전력화되면 소부대의 전투 역량은 상당히 강해질 것이다. 또한 현재 기술 수준을 고려한 성능 기준 정립으로 핵심 기술의 획득 및 적용이 단기간에 가능하여 조기 전력화된 드론을 통한 운용 경험 축적으로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과 효율적인 드론 운용을 위한 세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이러한 노력은 지속해서 변해가는 전장 환경 속에서 드론이 전투 요원의 생존확률을 높이고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향후 무인 전투체계가 완벽하게 구현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search on Drone Utilization in Small Unit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 Choi, Seung-Ho Advisor : Prof. park, Gap Lyong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Graduate School of Human Industry, Songwon University Before utilizing drones as military power, the researcher has completed the duty as an instructor in the pilot training process to establish pilot manpower, and is currently on a miss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fixed-wing unmanned drones. During the instructor mission, he had experienced the system of Army Tiger 4.0 and the concept of manned and unmanned combat system. He also experienced the acceptance test and results of combat experiment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which he faced the reality where the performance standards for drones were not established in detail. Therefore, he felt that in order to study the efficient drone utilization method, the research on the performance standards should be preceded.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uggest a systematic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drones for military operation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of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the weapon system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nvironment of drone operation including geography, climate, and population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drones and operations for military purposes, and studies cases of military drone u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particular, the study presents plans to establish performance standards for military tactical drones for the efficient use of drones in small units from three aspects. First, the range of drone operation in small units must be modified. To this end, changes that small units will experience in the near future, rather in the far future such as the application and organizing of the warrior platform of Army Tiger 4.0 system, were considered. In addition, the method of battle (combat procedure) with the enemy was considered since it varies depending on the formation of enemies and the effective range of common firearms. By applying altitude and space division based on the operation and mission type, the range of drone use in small units was set to maximize available assets in emergencies. Second, basic requirement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actical operation were established. Unlike general commercial drones, military tactical drone must be able to overcome external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for its specific purpose. In particular, drones that fulfill the requirements of waterproofing, wind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which allows them to overcome rain, wind, high and low temparatures should be used as military power. In order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 of the commander getting noticed that the operation itself is restricted due to basic factors as weather even before he decides how to manage the assets in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pply basic requirments for all military tactical drones. Third,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 for specific mission types must be established. Given that drones of various mission types will inevitably be used in large quantities in the future, the concept of utilizing drones as military power with classification and modularization based on operating battalion must be promoted, as well as the standards for specific performances of the mission equipment. For the drones that are to be used in the army, the performance level of mission equip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distanc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xample, if the surveillance drones in the night mission can only identify the number of people and whether they are armed in less than 100 meters, it is an inefficient operation in terms of utilization effe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s to establish and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factors for mission equipment that can successfully complete the specific type of mission. If a drone that fulfills the performance standards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is utilized in a small unit, the battle capability will significantly increase. Furthermore, acquirement of key technology through establishing performance standards based on the current technology level and consistent scrutinization on the alternatives for problems derived from accumulated operational experience through early utilized drones and efficient operation of drones will increase the survival probability of combat agents and higher the battle capability to succesfully complete the mission in the battlefield environment; and it will provid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completely unmanned combat systems in the future.

      • 돌연변이를 이용한 보리 알파-아밀라제 동질효소의 대장균 내 발현 증가 및 효소특성 변화

        최승호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rley (Hordeum vulgare) malt contains two alpha-amylase isozymes, AMY1 and AMY2, readily distinguished by their isoelectric points of AMY1 (low pI) and AMY2 (high pI). Although barley AMYs share up to 80 %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and almost identi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ir enzymatic properties differ remarkably. Therefore,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se isozymes may be one of the good candidate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e and function of proteins. To date, however, both AMY genes have been poorly expressed in recombinant E. coli systems, which has been a major barrier in enzyme engineering approaches for barley AMYs. Interestingly, it was revealed that its expression can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induction temperature. The induction of AMYs at 15℃ remarkably increased their expression level in E. coli, while extremely low productivity at 37℃. As a result, high amount of recombinant AMYs with C-terminal six-histidines were successfully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inducible T7 RNA polymerase promoter in pET-21a. Even though their expression levels highly increased in E. coli, the productivity of AMY2 still remains much lower than that of AMY1. According to the previous report, the 42nd alanine residue located within the (β-α) loop2 of the catalytic (β/α)8-barrel domain may be important in the secretion of AMY in S. cerevisiae. In the present study, expression levels of AMY2 mutant A42P and wild-type AMY2 at 15℃ were compared under the control of IPTG-inducible T7 RNA polymerase promoter. As a result, about 2-times higher amount of recombinant AMY2 A42P was obtained and simply purified via Ni-NTA chromatography. Finally, Calcium-dependency and hydrolysis patterns on various starch-derivatives of AMY1, AMY2, and AMY2-A42P mutant were comparatively examined with each other. Enzymatic characteristics are very similar to those from barley or yeasts. 보리 맥아로부터 두 종류의 알파-아밀라제 동질효소인 AMY1과 AMY2가 발견되었고, 이들 효소는 서로 다른 등전점(등전점이 낮은 AMY1과 등전점이 높은 AMY2)에 의해 쉽게 구별된다. AMY1과 AMY2 효소는 80%의 높은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과 매우 유사한 3차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그 효소적 특성은 매우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AMY1과 AMY2 효소에 대한 비교연구는 단백질 구조와 기능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좋은 모델시스템으로서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들 효소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도는 극히 낮으며, 이러한 문제가 보리 아밀라제를 이용한 단백질공학적 연구에 큰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흥미롭게도 유도발현의 온도가 이들 효소의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37도의 배양온도에서 대장균 내 보리 아밀라제 발현도가 매우 낮은 것에 반하여, 15도의 낮은 온도에서 유도발현을 한 경우에는 그 발현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pET21-a 벡터의 T7 RAN 중합효소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C-말단에 6개의 histidine 잔기가 융합된 아밀라제를 성공적으로 발현하였다. 비록 대장균에서의 아밀라제 효소의 발현도가 매우 향상되었지만, 특히 AMY2의 발현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효소 활성부위의 (β-α) loop2 내에 위치하는 42번째 alanine 잔기를 치환할 경우, S. cerevisiae에서의 세포외 분비가 증가한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돌연변이를 실시하고, AMY2와 AMY2-A42P 효소의 발현도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A42P의 경우 약 2배의 발현도 향상이 확인되었고, Ni-NTA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쉽게 정제되었다. 최종적으로 AMY1, AMY2, AMY2- A42P의 칼슘의존성과 다양한 전분기질에 대한 가수분해 양상 등을 상호 비교분석하였으며, 각 효소의 특성은 보리나 효모에서 생산된 경우와 매우 유사하였다.

      • 중학교 체육 담당 교사의 역할기대에 대한 연구

        최승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체육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체육 교사의 태도에 대한 학생 반응도를 통하여 효과적인 체육 교수 학습 활동과 체육 담당 교사들의 교육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데, 경기도 H시를 중심으로 동부와 서부, 남부와 북부 지역의 각 지역에서 중학교 1개교씩 총 4개교를 대상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얻었다. 또한, 설문 결과를 중학교 학생들이 체육 담당 교사에 대한 기대를 성별, 학년별로 교차 분석하여 논의하였고, 제시된 연구 목적과 관련하여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결론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학생들은 학생에 대한 열정을 교사에게 많은 기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쾌하면서, 건강함을 체육교사에게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사는 평소와 같은 부드러운 언어로 학생들을 대해 주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롭게 활동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해 주는 체육 수업을 학생들은 기대하는 수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체육수업을 통해 즐겁게 참여하여 건강을 증진 시키고자 한다. 교사의 친근감과 열정적인 교수행동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운동의 기초기술을 자세하게 배우고자 학생들은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체육교사의 따뜻한 지도를 기대하며, 다른 교과의 교사보다 체육교사의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사의 건강문제에 대한 상담과 품행 지도에 기대가 높으며, 체벌에 대해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체육교사를 대체로 좋아하며, 인간관계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체육교사는 타 교과 교사보다 자신들은 좀 더 잘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재미있는 늘 학생과 함께하는 교사가 되어 주길 학생들은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를 종합해보면, 체육교사는 학생들에 대한 열정과 따뜻한 마음씨, 타 교과와는 다른 상호 교감 할 수 있는 존재로서 학생과 항상 함께 할 수 있는 교사가 되고자 노력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efficient learning methods of teaching operation and instruction service in physical education via examination of student’s reaction to the attitude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in 4 middle schools in each four cardinals of Hwasung, Gyeonggi province. The expectation results were cross-analyzed and discussed depends on genders and grades,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specifically in the presented purposes.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expect enthusiasm, interests, and humor of teachers. Also they wanted to be treated with gentle manner of speaking and gesture. The students considered that a class which provides opportunity of free activity is the one that they expected, and they wanted to get better health through the clas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y look to learn basic exercise skills by a teacher who has affection and passionate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anticipated kind coaching,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opularity is higher than other courses. The students expected an advice about health issues as well as behaviors, while they recognized of necessary of punishment. The students mostly like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ighly trusted human relationship. They though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and wished that the funny teachers who can always be with them. To conclude with the expectation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s role, the teachers are asked to have warm heart, passion for students, and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courses. The teachers also need to try for being with students as a person who has a sharing sense.

      •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의 신경생성에서 Toll-like Receptor 5 역할

        최승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oll-like receptor 5 (TLR5) is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characteristic of immune cells and crucial for inducting and immune response to pathogens. TLR5 is widely expressed in multiple tissues and organs including innate immune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and macrophages and regulates cellular growth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 roles of TLR5 in regulating neurogenesis from embryonic stem cell (ESC) and adult stem cell (ASC) have not been elucidated. He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LR5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neurogenesis from ESC and ASC. In the present study, TLR5 was gradually up-regulated in mouse ESC (mESC)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To verify role of TLR5 in neural differentiation from mESC, the transfections of TLR5 overexpression vector or TLR5 shRNA to mESC were performed. The down-regulation of TLR5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NeuroD1 (a neural marker), β-III tubulin (a neural marker)-positive cells and increased SOX2 expression (a stem cell marker), whereas overexpression of TLR5 increased expression of NeuroD1 and β-III tubulin-positive cells and decreased SOX2 expression in mESC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Down-regulation of TLR5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IκBα and expression of NeuroD1, whereas overexpression of TLR5 increased p-IκBα and expression of NeuroD1 in mESC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Inhibition of NFκB using BAY11-7082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euroD1 and β-III tubulin-positive cells, and decreased generation of embryoid body (EB) as well as interleukin-6 (IL-6) expression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C. Neutralization of IL-6 also decreased the expression of NeuroD1 and β-III tubulin-positive cells, and decreased generation of EB and neuronal outgrowth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C. In addition, translocation to nucleus of pCREB was reduced by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or neutralization of IL-6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mESC.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tudy, TLR5-positive cells were co-localized with SOX2, a stem cell marker, or DCX, a new born neuronal marker, -positive cells in hippocampal dentate gyrus (DG) of adult mouse. TLR5 knock out (KO) mice demonstrated a marked increment in the number of BrdU (a S-phase marker)-positive cells in the hippocampal DG 3 hrs after single injection compared with wild type (WT) mice, whereas administration of flagellin, a TLR5 agonist, into lateral ventricle by I.C.V injection revealed that BrdU-positive cells is reduced in hippocampal D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se in vitro studies showed that TLR5 KO mice reveals a significant increment in neurosphere formation and expression of cyclin D1, CDK4 and CDK6, positive cell cycle regulators, but a decrement in expression of p27 Waf1 and p27 Kip1, negative cell cycle regulators in ANS/PC compared with the WT mic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LR5 KO mice shows a decrease in the ratio of DCX/BrdU-double labeled cells over BrdU-positive cells or NeuN/BrdU-double labeled cells over BrdU-positive cells 7 or 28 days after BrdU injection relative to the WT mice, whereas flagellin injection group shows a increment in ratio of DCX/BrdU-double labeled cells over BrdU-positive cells or NeuN/BrdU-double labeled cells over BrdU-positive cells 7 or 28 days after BrdU inje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present in vitro studies revealed that phosphorylation of JNK (p-JNK) is decreased in neurosphere from TRL5KO mice during neuronal differentiation compared to that from WT mice but no changes in p-ERK, p-p38 and p-IκB. In addition, SP600125, a JNK inhibitor, decreased neuronal differentiation enhanced by flagellin treatment in the ANS/PC.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LR5 enhances neuronal differentiation from mESC through NFκB mediated IL-6 signaling and neurogenesis from ANS/PC through JNK activation.

      • 에듀테인먼트를 통한 e-Learning콘텐츠의 활성화 연구

        최승호 서울산업대학교 IT 디자인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e-러닝에 관한 연구문헌과 관련 서적, 각종 연구보고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e-러닝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국내외 및 해외 e-러닝 현황을 중심으로 e-러닝의 성공적 요인 등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는 유아나 초등학생용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활발하게 제작, 연구되고 있는 반면 성인용 에듀테인먼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는 유아나 초등학생 등에 비해 성인들이 특별한 에듀테인먼트 요소가 없이도 인내력을 가지고 강의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패러다임 속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콘텐츠는 학습자의 강의 집중력과 흥미를 떨어뜨리고 학습효과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디지털이미지를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현장적용은 선별적이어야 한다. 강의의 성격에 따라 음성강의를 통해 적절히 학습 내용이 전달될 수도 있고 어떤 경우에는 동적이면서도 교수자의 몸짓이나 표현이 보다 직접적인 칠판동영상 강의가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다른 콘텐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단점 또한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콘텐츠제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우선 제작기간이 길다. 내용이 업그레이드가 빈번히 이루어져야 하는 콘텐츠의 경우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의 적용이 어렵다. 또한 초기 제작비용이 다른 콘텐츠에 비해 많이 소요됨으로 경제적인 문제가 고려되지 않으면 더욱 불가능하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강의내용의 전달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교수설계의 독창성도 부족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공동 개발하여 시간과 경비를 줄이고 콘텐츠활용도를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을 배타적으로 혼자 독점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상호 기술을 교환할 수 있는 공동의 장을 마련하여 기술 집약과 축적이 빠른 시일 내에 선행되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시간과 경비, 기술적인 면, 내용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D 기법과 Flash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는 여전히 특수한 분야에서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그것이 듣고, 말하고, 읽고, 쓰고 또한 까다로운 발음을 익혀야 하는 외국어교육에 있어서는 더더욱 그렇다. 향후 디지털이미지를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안하여 많은 분야에서 디지털이미지를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콘텐츠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In order to achieve objective of this study this author collected and carried out analysis of e-Learning data through research data, related books, research report and internet search. This author also examined factors for success in e-Learning with focus upon several cases avaliable on e-Learning at home and abroad. In our country edutainment contents for babie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are actively produced and studied. On the other hand study on edutainment for adults is almost nil. This is based upon the supposition that adults can concentrate to contents of lectures with patience even when there is no element of edutainment unlike babie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new educational paradigm centering on consumers needs contents which fail to satisfy the demands of learners interfere with concentration of attention and interest and effect of study are halved. Application of edutainment contents by means of digital media at field should be selective. Depending on nature of lecture contents of study can be conveyed properly by verbal lecture and in some cases lecture using blackboard will be more effective than teachers' gestures or expression. While edutainment contents have many advantage over other contents but its shortcoming is also numerous and su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More than anything else production period of edutainment is lengthy in comparison to others. With the contents requiring frequent upgrading application of edutainment contents is difficult. Also considerable amount of initial production cost is required in comparison with other contents therefore unless economic aspect is considered its production is difficult. Also due to lack of flexibility in study environment for the learners there is considerable difficulty in conveying contents of lecture and originality of professor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jointly to save cost and level of use of contents should be broadened. Also related skill should not be monopolized but common arena for mutual and technical exchange should be furnished thus technical concentration and accumulation should be realized within a short time. Despite of various problems in time, cost, technical and contents edutainment contents including 3D technique and Flash anim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in certain specific fields. In foreign language field where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difficult pronunciation should be mastered such fact is more true. This author expects in future to see more active researches undertaken on edutainment contents by means of digital image through remedying and supplementing problems included in edutainment contents.

      • 교회일치를 위한 세계교회협의회(WCC) 교회론 연구

        최승호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WCC의 교회일치의 방향성을 과제로 삼아 ‘코이노니아’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리스도교는 그 시초부터 다양한 종파로 나뉘어져 왔다. 이천 년의 시간동안 서로 다른 교회론과 신학을 바탕으로 자기들만의 교단을 구성해가고 있는 교회들은 끊임없이 일치점보다는 차이점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후로 교회들은 서로의 공통점을 발견하고 확인하며 화해와 일치의 길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의 명령에 따라, 성에 따라 하나의 길로 걸어가야만 한다. 이에 프로테스탄트를 중심으로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가 창설하게 되었다. 그리고 WCC는 교회 일치 운동을 펼치며 다양한 교회들의 하나됨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교회의 하나됨에 있어서 가장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은 바로 교회론에 관한 부분이다. 본 논문은 WCC의 총 10회차에 걸친 총회와 여러 중요 문서에서 발표된 일치문서를 통해 WCC의 교회론적 이해와 일치의 방법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WCC는 제1차 암스텔담 총회를 시작으로 다양한 교회론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비교교회론을, 그 다음으로 협의회적, 가시적, 그리고 코이노니아로 이어지며 끊임없이 일치의 방법론을 변경해왔다. WCC는 이 과정의 작업을 이루어 내기 위해 신앙과 직제 위원회의 계속되는 연구와 WCC 전체의 의사를 반영한 여러 성명서와 문서 등을 통해서 다양성과 통일성을 겸비한 일치를 모색해왔다. 필자는 토론토 성명서를 시작으로 2012년 교회: 공동의 비전을 향하여(이하 CUV)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회들의 다양한 이해가 기반이 된 교회론을 정리하면서 일치를 찾고자 한다. 그리고 필자는 WCC가 코이노니아를 중심으로 한 일치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코이노니아가 배제되거나 약화된 상황에서의 일치는 매우 미약하며 흔들리는 배와 같다. 코이노니아는 교회의 하나됨을 발견하도록 도우며 이 교제와 연대에서 교리적, 신학적인 논의에 심도를 기여한다. 지금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은 코이노니아를 우선으로, 최선으로 삼고서 교회들의 화해와 일치를 위해 더욱더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