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부모 자조모임 참여실행연구를 통한 발달장애학생의 성인전환기 준비

        최민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발달장애학생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특수교육, 특수교육관련 서비스, 진로 및 직업교육 등의 구체적인 교육지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인전환기 어려움은 계속해서 가중되고 있다. 발달장애학생의 성인전환기 어려움은 국가정책, 사회적 인식, 사회복지 체계의 부족 등 당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발달장애는 의료·교육·복지·법규범과 국가에 따라 정의적 차이가 있음에도 생애주기에 따른 항구적인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자녀의 생애를 양육하는 동안 그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발달장애학생의 부모는 자기결정, 독립생활, 직업생활, 전환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탐색과 촉진, 학교와의 긴밀한 협력, 자존감 향상 등 성인전환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발달장애학생의 부모는 신체적·심리적·경제적 양육부담과 사회적 지원망으로부터의 소외 등으로 인하여 자녀의 성인전환기를 체계적으로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안정적인 성인전환기 준비와 진로·직업교육과정에서의 학부모 참여에 관한 변화요구의 정책적 기조아래, 특수학교 내 학부모 자조모임을 구성하여 다양한 관점과 변화를 탐색하고,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그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천적 참여를 강조하는 참여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특수학교 고등학교 3학년 및 전공과 발달장애 학부모 17명이 학부모 자조모임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문제의 진단과 주제의 범위 설정 이후 나선형의 자기반성적 실행연구 모형(계획→실행→관찰→반성)에 따라 총 2사이클이 진행되었다. 참여실행연구의 전 과정에서 일지, 관찰, 면담, 문서자료를 수집하였고 상호작용론의 관점과 지속적 비교방법에 기반한 분류분석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 자조모임은 성인전환기 준비에 어려움이 있는 발달장애학생의 부모에게 부모의 역할과 진로인식, 실제적인 정보습득, 구체적인 진로계획과 미래설계, 발달장애인 권리옹호 등을 통하여 성인전환기 진로 준비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학부모 자조모임에 참여한 부모는 개인의 반성적 행동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하여 조력자로서의 삶을 기대하는 개인 임파워먼트, 부모 상호간의 상호협력과 지지를 바탕으로 심리적 치료를 경험하는 집단 임파워먼트, 나아가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삶이 개선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하는 지역사회 임파워먼트를 경험하였다. 셋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성인전환기 학부모 자조모임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의 자발적 참여, 학교의 협력, 전체 및 소그룹, 리더(운영진), 사전교육을 바탕으로 자조모임을 구성하고 운영해야 한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부모 자조모임은 성인전환기 준비에 어려움이 많은 학부모들에게 상호협력이라는 자조의 가치와 기능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설계를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또한 개인과 집단 임파워먼트를 통해 성장한 학부모들은 학교와 함께 성장할 수 있고, 나아가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삶이 개선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서 계속적인 임파워먼트 성장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Sinc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rved under special education, there are growing difficulties in transition to adulthood despite receiving specific education support such as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related services, career and vocational services. While difficulties in transitioning students to adulthood may be attributable to national policy, social awareness, and lack of social welfare syst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permanent suppo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out the life span although they differ in definition from medical, education, welfare and legal norms. Notably,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know the child’s characteristics better than anyone else when nurturing their children’s lives, play a key role in the transition period, including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dependent life, career life, community resource exploration for transition, close cooperations with schools and improved self-esteem. However,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not been able to systematically prepare for the transition period of their children due to the caregiving burden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conomic and isolation from the social support network. Therefore, in this study, a group of parents in a special school was organized to explore various perspectives and change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a special education, under the policy keynote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eparing for a stable adult transition period and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ours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emphasize practical participation, and 17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high school senior and vocational training course participated in the parent’s self-help group.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two cycles according to the spiral self-reflection study model(planning→execution→observation→reflection) after diagnosis of the problem and setting the scope of the subject. In the course of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 daily note, observation, interview and document data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a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action theory and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self-help group helped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difficulties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period through their parent’s role and career recognition, practical information acquisition, specific career plans and future design, and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parent’s self-help group experienced individual empowerment that expected life as a supporter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dividual's self-reflec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group empowerment that experiences psychological treatment based on mutual cooperation and support between parents, and, moreover, community empowerment that gives more attention to ways in which the adult life of the disabled can improve. Third, in order to operate a self-help group for parent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at a special educational site, a self-help group should be organized and operated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by parents, supports from schools, overall and small groups, leaders(operatives), and prior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the parent self-help group not only helps parents who have difficulty preparing for the transition period overcome difficulties through the values and functions of self-help,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prepare for future planning. Also, parents who have grown up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empowerment will experience continuous power growth by paying more attention to ways to improve adult lif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차량 내 가상 음향에 대한 검증 및 선호도 평가

        최민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용자 중심의 차량 내 시스템은 다변화 중이다. 완전 자율주행에 대한 기대는 운전자의 과업을 새로이 해석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고, 정보적 과업과 더불어 오락적 과업을 아우르는 인포테인먼트 개념이 대두되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에서 음악 감상은 주요 오락적 과업으로, 다채로운 청각 경험을 위한 차량 내 가상 음향 시스템은 산업의 화두이다. 그럼에도, 차량 내 가상 음향에 대한 사용자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연주회장 음향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있지만 차량만의 특이점을 온전히 대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주회장 음향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차량 내 가상 음향의 설계의도 구현에 대한 검증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한다. 선행 연구의 평가 방식과 지표를 참고하여 검증과 선호도 평가 모두에 적합한 음악인을 대상으로 차량 내 청각 실험을 진행하고 사용자 중심의 가상 음향 필터 설계 방향성을 논한다. 실험의 결과로, 참여자는 가상 음향 필터의 설계 방향에 맞게 음향을 인지하면서도 구별하지 못하는 물리적 구간이 있었고, 그 정도는 지표에 따라 달라져 각 지표의 구체성과 지표 간의 관계를 가늠케 했다. 또한, 지표 전반에서 홀 컨셉 필터 중심의 선호를 보였지만, 명확한 상위 선호 그룹,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그룹, 하위 선호 그룹으로 나뉘어 구체적인 선호 양상을 드러냈다. 더 나아가, 두 가지 맥락에서의 전반적 만족도를 높이는 변수 구성과 각 변수의 설명력을 밝혔고, 앞서 유추한 지표 간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살펴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논의와 결론은 검증과 선호도 평가를 바탕으로 차량 내 가상 음향 필터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한 것과 음향 연구 및 청각 실험에 대한 몇 가지 근본적인 토의에서 종합적인 의의를 가진다. User-centered in-vehicle systems are diversifying. The expectation of fully automatic driving became a trigger for broadening driver’s activities, and the concept of infotainment, which encompasses both informational and entertainment tasks, emerged. Music appreciation is one of the core tasks in vehicle infotainment, and in-vehicle virtual sound systems for multifarious auditory experiences are a major concern in the automobile industry. Nevertheless, no user research on in-vehicle virtual sound has been conducted. Some explorations of the concert hall acoustics were accomplished, but it is hardly to reflect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vehicl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validation and the preference test of in-vehicle virtual sou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concert hall acoustics. By referring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icators of previous studies, an in-vehicle auditory experiment is conducted targeting musicians suitable for both validation and preference test to discuss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virtual sound filter design.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ould generally recognize the acoustic features according to the design direction, but there were physical gaps in which participants could not distinguish some of the individual filters. The extent of the gaps varied depending on each indicator, and this implied the relative concreteness and mutual relations of the indicators. Also, although the preference was centered on the hall concept filters in all indicators, specific patterns were revealed by being divided into an upper preference group, a group depending on contexts, and a lower preference group. Lastly, the compositions of factors that increase overall satisfactions in two contexts and the explanatory powers of each variable were found,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icators inferred above. This study has overall significance in discovering insights for designing in-vehicle virtual sound based on the validation and preference test, and in some fundamental discussions on acoustic research and auditory experiments.

      • 드론 사진측량 방법에 의한 도서(島嶼)지역 수치지형도 제작의 효용성 연구

        최민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의 수치지형도 제작은 유인 항공사진측량 방법으로 대규모지역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도서지역이나 비행금지구역 등 항공사진촬영이 어려운 지역에 드론을 활용한 무인사진측량 방법으로 수치지형도를 신규 제작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드론을 활용한 수치지형도 제작의 효용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가설을 수립하여 검증을 통해 드론 사진측량 방법에 의한 1/1000 수치지형도를 제작해서 기존 항공사진측량방법으로 제작한 1/1000 수치지형도와 정확도, 경제성, 해상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드론 사진측량 방식이 기존 항공사진측량 방식보다 정확도가 높다.’즉, 기존 항공사진측량 방법과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한 수치지형도의 정확도를 검증했을 때 드론 방식이 더 정확할 것이라 하는 가정이다. 이를 실험을 통해 정확도를 증명하고자 한다. 둘째, ‘드론 사진측량 방식이 기존 항공사진측량 방식보다 경제적이다.’라는 가설이다. 실험을 통해 경제성 평가를 해보고자 한다. 셋째, ‘드론 사진측량 방식이 기존 항공사진측량 방식보다 해상도가 높다.’는 가설이다. 지상표본거리(GSD)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는 해상도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도이다. 1/1000 수치지형도 1도엽(약 0.24㎢)을 실험을 통해 신규 제작하였다. 인천시 도서지역은 대부분 1/5000수치지형도를 보유하지만 영흥도는 유일하게1/1000수치지형도가 일부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기존의 성과와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7. 5.15 ~ 6. 20.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최근 공간정보 분야에 있어서 새로운 공간정보 DB구축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드론을 활용한 사진측량 방법을 통한 정사영상과 DSM을 취득하여 도서지역의 1/1000 수치지형도 1도엽(0.24㎢)을 신규 제작하는 실험을 하였다. 드론을 활용한 항공영상 촬영 및 후처리 과정을 수행 하였으며, 정사영상 및 DSM을 생성하여 성과를 분석하고 취득한 자료를 기반으로 지리조사를 수행 후 1/1000 수치지형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드론방식이 더 정확하다. 드론 사진측량 방법으로 제작한 수치지형도의 정확도를 지상측량 방법으로 검증한 결과, 평면 오차와 표고오차가 정확도 검증 범위 내에 들어왔으므로 향후 1/1000 수치지형도의 제작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드론방식이 더 경제적이다. 실험 결과 드론을 활용하여 수치지형도를 제작하면 그 비용이 기존 항공 사진측량으로 수치지형도를 제작하는 것에 비해 최대 21%수준으로 1/1000 수치지형도가 제작 가능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드론방식이 더 해상도가 높다. 측량용 카메라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저가의 센서를 사용하더라도 저공촬영과 높은 중복도로 항공사진측량보다 해상도가 좋은 정사영상이 만들어져 1/1000 수치지형도의 제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책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드론 사진측량 방법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서해안 지역의 적조현상 또는 해상 기름유출 사고 피해규모에 대한 분석, 해안가 도로 등의 건설공사 설계를 위한 공간정보 제작에 드론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4차 산업의 선두주자인 드론의 공간정보 구축 활성화 지원을 위한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치단체별 무인비행장치 관련 조례 규칙 등을 제, 개정하여 산업기반 조성 지원은 물론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대한 내용을 명문화 하는 드론 활성화 지원 정책이 중요하다. 셋째, 국가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공공측량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나 현재 드론 관련 정책에서 인천시는 미비한 점이 많다. 청라 국제도시 북측지역에 드론전용 비행구역만이 있고 그 밖에 드론자격실기시험장, 드론 교육연구기관, 드론 시험비행 공간 등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하루 빨리 만들어져야 하겠다.

      • 폴 리쾨르의 자기해석학관점에서의 ‘자기정체성’ 에 관한 연구 : 심신환원주의에 대한 비판과 대안

        최민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리쾨르가 통합적 심신이원론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심신환원주의의 ‘인격적 정체성’이론을 비판하고, ‘자기 정체성’ 이론을 구축한 내용을 다룬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나는 누구인가 발견을 통한 주체 확립과 그 주체의 행동 책임성에 관한 자각을 고양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데카르트 이래로 영혼과 본유관념은 중차대한 철학적 논쟁의 대상이었고, 그에 대한 인정 여부는 유신론 철학과 무신론 철학이 갈라서는 분기점이었다. 기독교 유신론 철학을 대변하는 리쾨르의 기독교 철학은 바로 이 분기점에서 심신환원주의와 논쟁을 벌인다. 그러나 리쾨르의 목적은 논쟁 자체에 있지 않고 자기 정체성 이론을 정립해 심신환원주의의 오류를 바로잡는 데 있다. 리쾨르의 자기 정체성 이론은 먼저 ‘자기’를 동일성과 자기성으로 분화된 새로운 개념의 자기를 제시했다. 왜냐하면 심신환원주의는 자기를 동일성과 자기성을 겹쳐놓음으로써 자기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쾨르는 ‘자기’의 두 측면, 곧 ‘동일성(sameness)’ 측면과 ‘자기성(selfhood)’ 측면을 구분함으로써 자기인식과 대상인식을 통합하는 틀을 마련한다. 동일성은 유아기로부터 노인이 되기까지 겉모습이 계속 달라져도 그 사람을 동일한 사람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자기성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모든 면모를 하나의 인격으로 통합시키는 틀을 제공한다. 리쾨르는 동일성의 예로 ‘성격’과 ‘획득된 습관’을 들고, 자기성의 예로는 ‘약속 지키기’를 든다. 심신환원주의는 동일성과 자기성을 구분하지 않고서 동일성의 틀 안에 자기성을 겹쳐놓고, 자기성을 동일성으로 환원한다. 그리하여 동일성은 자기성에서 유래하는 고유한 인격을 은폐시키며, 변화하는 것을 불변하는 것으로 오해한다. 심신환원주의는 기억 자체를 불변하는 것으로 전제하고는, 두 신체에 동일한 기억이 깃들어 있을 경우 두 신체의 주인은 동일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리쾨르의 연구에 의하면 시간과 장소가 달라지면 의식과 기억도 달라진다. 그러므로 설령 일정 시점에 동일한 신체와 동일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심신환원주의의 주장처럼 두 신체의 주인은 동일인이라는 논리는 성립할 수 없다. 리쾨르는 특히 파핏의 심신환원주의가 불러올 심각한 폐해에도 주목한다. 파핏은 개인의 신체의 고유성을 부정하고, 각자가 자기 몸을 소중히 여기는 것을 자기이익에 몰두하는 이기주의로 몰아간다. 그리하여 파핏은 자기이익 파기 이론을 제시하면서 그것은 마치 인간의 이기심을 극복할 수 있고 도처에 만인평등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리쾨르는 파핏의 주장이 인격을 말살하고, 전체주의를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면서 그의 심신환원주의를 경계한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자기 정체성 이론의 진정한 목적은 심신환원주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야기 정체성’과 ‘소윤리’ 역시 그런 목적을 가진 논변으로, 이 두 주제는 자기성이 함유하고 있는 윤리성을 ‘약속 지키기’처럼 일관성 있는 ‘자기유지’로 구체화한다. 변화무쌍한 삶 속에서 개인은 타자와 맺은 약속의 이행을 통해 ‘시간 속의 영속성’을 보증받는 형태로 자기유지를 한다. 자기유지가 이야기 정체성 안에서 나타날 때 이야기는 줄거리와 시간의 변증법으로 전개된다. 사건의 형태 안에 있던 물리적 시간은 이야기의 전개과정에 시작과 끝이 나타나면서 의미의 시간으로 전환된다. 이야기의 시작과 끝 사이에서 전개되는 줄거리가 우여곡절을 거치는 동안 독자는 자신과 이야기 속의 인물을 동일시하면서 인칭교환을 경험하게 된다. 리쾨르는 ‘자기유지’의 윤리성을 ‘소윤리’를 통해 보다 더 구체화한다. 소윤리의 핵심 내용은 개별적이고 상호적인 윤리를 보편적 윤리로 격상시키는 것인데, 그 작업을 완수하려면 중간단계에서 반드시 도덕적 형식의 검증 잣대를 통과해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도덕적 검증 잣대는 ‘사람을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목적으로 대하라’는 칸트의 정언명령을 가리킨다 이러한 법칙에 대한 존경은 ‘자신의 준칙을 법칙이 되도록 행동하라’는 칸트의 요구에 응하게 되면서 개별적 윤리를 보편적 윤리로 전환시켜준다. 또한 보편적 윤리로 전환되자면 다양한 의견과 인격의 복수성을 수용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런 연유로 실천적 지혜의 면모를 갖춘 하버마스의 ‘담론윤리’가 빛을 발한다. 리쾨르는 자기 정체성 이론을 정립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해석학을 채택한다. 리쾨르의 해석학은 현상을 해석하는 학문이며, 해석은 반성을 통해 가능하다. 리쾨르의 반성과 해석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하나님을 ‘증언’하는 것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구약 선지자의 목소리는 하나님의 진리를 증언하고, 이야기 정체성은 성경의 이야기를 증언하고, 자기 정체성은 하나님의 이름을 증언한다. 리쾨르의 논리에 따르면, 이 세상의 모든 철학은 하나님을 우회적으로 증언하는 것이다. 무신론 철학자나 파핏류의 심신환원주의자는 현상적으로 나타내는 철학사상 이면에 있는 하나님의 목소리에 귀를 막는 것일 뿐이다. 이에 연구자가 리쾨르의 논리에 힘입어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사람의 삶은 하나님을 증언하는 삶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을 증언하며 사람은 하나님의 삶을 사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upport Ricoeur’s thesis that has been maintaining the position of integrated mind-body dualism, has criticized the personal identity theory of mind-body reductionism, and established self-identity philosophy.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establishing subjectivity through the discovery of who I am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subject's responsibility. Since Descartes, the acknowledgment of the essence of soul and it has been objects of crucial philosophical controversy and the innate ideas has been a turning point of the separation of theistic and atheistic philosophy and . Ricoeur's Christian theist philosophy is at the forefront of controversy with mind-body reductionism. Ricoeur 's purpose, however, is not to debate with mind-body reductionism but to correct its errors by establishing the self-identity theory. Ricoeur 's self-identity theory established the new concept of the Self which differentiates into sameness and selfhood because mind-body reductionism misunderstood the the concept of the Self by ovelapping the two. Ricoeur suggest new framework integrating self-awareness and object-recognition by distinguishing two aspects of self, the sameness and the selfhood. While sameness provides a basis for recognizing the same person even when the appearance changes from infancy to the elderly, selfhood provides a framework that maintaining a personality by integrating all aspects that change with the flow of time into one person. Ricoeur provides character and acquires as examples of sameness, and keeping promises as selfhood. The mind-body reductionism overlaps the selfhood within the framework of sameness without distinction, and reduces the selfhood to sameness. Thus, the sameness conceals the proper personality derived from selfhood and makes to be misunderstood the variable as the invariable. The mind-body reductionism presupposes that memory itself is invariable, and if two memories have the same memory, the master of two bodies claims to be the same one. However, according to Ricoeur's study, when time and place change, consciousness and memory change. Therefore, even if we have the same memory as the same body at a certain point in time, we can not establish the logic that the master of two bodies is the same one as the mind-body reductionism claims. Ricoeur is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serious injuries that Parfit's mind-body reductionism will bring about. Parfit not only denies the uniqueness of the individual's body but also insists that each one is driven to selfishness, which is devoted to self-interest, valuing oneself. Therefore, by presenting the theories of self-interest defeating, it is as if Parfit is able to overcome human selfishness and promote all-around egalitarianism. However, Ricoeur set defence against mind-body reductionsim, warning that Parfit's allegations erase human dignity and bring about totalitarianism. As mentioned above, the purpose of Ricoeur’s self-identity theory is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mind-body reductionism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he 'narrative identity' and the 'little ethics' are also arguments for such purpose, and these two subjects embody the ethics which selfhood contains as ‘self–constancy’ as 'keeping promise'. In a life of changes, an individual maintains himself in the form of being endowed with ‘permanence in time’ through the fulfillment of promises made with others. When self-constancy appears in a narrative identity, the narrative develops into a dialectic of plot and time. While the beginning and end appear as the narrative is being developed, the physical time in the form of the event is converted into the time of meaning. As the narrative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tory goes through twists and turns, the readers experience the exchange of personages while identifying himself with character. Ricoeur materializes the ‘self-constancy’ as ‘little ethics’. The core content of little ethics is to upgrade individual and mutual ethics to universal ethics. In order to accomplish the task, it is emphasized to proceed the moral verification in the middle stage. The moral validation criteria referred to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Do not treat people as a means, but treat them for purpose.” The respect to these laws means that individuals who respond to Kant's request to "Act your rules to be the universal law.” Also, in order to be transformed personal ethics into universal ethics, it becomes necessary to accept the pluralism of various opinions and plurality of personality. That is why Habermas' ‘Discourse Ethics’ with its practical wisdom emerge and shine. Ricoeur adopts hermeneutics as a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theory. Ricoeur's hermeneutics is a study of interpreting the phenomenon, and the interpretation is only possible through reflection. Ricoeur's reflection and interpretation is ultimately in search of the testimony on God. According to Ricoeur, the voice of the Old Testament prophets testified the truth of God, the identity of narratives testifies to the narrative of the Bible, and the self-identity testifies the name of God. According to Ricoeur, the ultimate goal of every philosophy is to testify to God's existence and working. The atheistic philosophers or the Parfit’s mind and body reductionists are only blocking the ears of God's voice behind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ical thought. If the researcher can go one step further by Ricoeur's logic, I think we can say: Everyone's life must be a life of witness to God. He testifies to God and man lives the life of God. The atheistic philosophers or the Parfit's Mind-Body Reductionism are only to block the ears of God's voice behind the phenomenological philosophical thought. If the researcher can go one step further by Ricoeur's logic, I think we can say: Everyone's life must be a life of witness to God. He testifies to God and man lives the life of God.

      • 군사 훈련시설에 대한 민군 갈등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육군 소총사격장 사례를 중심으로

        최민식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군은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해 훈련장을 운영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한 공공재이지만 운영에 따른 지역규제로 지역주민들은 재산상 손실이나 소음·분진· 환경오염·안전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민군갈등의 요인이 되고 있다. 훈련장 중에서 소규모의 소총사격장은 육군 훈련장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면적 면에서도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소총사격장은 대규모의 대형훈련장에 비해 민원의 강도는 약하지만 숫자면에서는 월등히 많은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육군에서는 잦은 민원이 발생하는 소총사격장보다 민원 강도가 큰 대형 훈련장 위주로만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대형 훈련장이 주민집단의 시위규모가 크고 언론이나 정치권에서 집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소총사격장은 언론이나 사회로부터 이목을 끌지 못하고 있지만 작고 다양한 유형의 민원이 발생하는 만큼 육군이 갈등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이나 피로도는 전체적으로 종합해보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육군에서는 소총사격장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전문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총사격장에 대한 갈등관리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여러 가지 개선방안이나 정책 제언을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차원에서 갈등관리 제도 몇 가지를 개선 시켜야 한다. 소총사격장 갈등담당자에 대한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지휘관의 갈등관리 전문교육과 현업적용도를 고려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격장 지원대책을 위한 법률 개정을 위한 건의, 소총사격장에 대한 지원예산 반영이다. 둘째, 야전부대에서의 갈등관리 운영개선도 절실히 필요하다. 야전부대에서는 지휘관을 중심으로 하여 부대 가용능력 범위 안에서 갈등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사격장에 대한 지원 법률도 개선되도록 해야 한다. 정부나 국방부 차원에서 지원법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법적인 보상대책에 소외되어 있는 소총사격장의 경우에는 다른 보상대책이 만들어져야 한다. 민간비행장에 적용되고 있는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처럼 군 소음시설(비행장, 사격장 등)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법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즉, 보상금이 아니더라도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피해지원 대책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The military operates training facilities all over the country to maintain combat readiness. Training fac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the essential public goods. But during the operation, training facilities have caused various problems such as property damage, noise, dus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afety issues for the local residents. So military training facilities have become a factor in the civil-military conflict. Among the training facilities, small-scale rifle ranges account more than half of the number of Army training facilities and occupy the largest area in terms of size. Even if the intensity of complaints from civilians is weaker than that of large-scale training facilities, the number of complaints is much higher to the rifle ranges. However, the Army focuses its conflict management to the large training facilities, where the scale of civilian protests is intense and the attention of media/politics focuses. Although the rifle ranges do not draw much attention from the media or society, the cost and fatigue associated with conflict management to the rifle ranges are much higher in the Army as various types of complaints arise. Therefore, the Army needs to pay attention to rifle ranges and conduct professional research and establish systematic managemen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current conflict management at rifle ranges and identified some problems. And I have suggested a number of policy recommendations. First, the Army needs to improve conflict management systems. This includes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rifle range conflict manager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that cov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recommending legislative revisions to support rifle ranges, and reflecting support budgets for rifle ranges.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conflict management operations in the field unit level. Commanders in the field unit must establish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within the capabilities of the unit. Third, the laws related to shooting ranges need to be improved.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Defense needs to review supporting laws. For rifle ranges, which are currently excluded from legal compensation plans, an alternative compensation plans should be created. A legislation, similar to the Airport Noise Prevention and Noise Reduction Law applied to private airports, can be enacted to support noise training facilities of the military, such as airfields and shooting ranges, and provide substantial support to the local residents, even if it is not monetary compensation.

      • 외국인이 의료관광 지역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소비가치이론을 중심으로

        최민식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의료관광 활성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외국인이 의료관광지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나름대로의 요인이 있으리라는 가정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을 Sheth(1991)가 제시하는 5가지 소비가치 요인과 이선희(1997) 연구에 사용된 건강적 가치를 근거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및 외국인 유학생, 외국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소비가치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명동 및 대학가 및 부산 남포동과 미국, 중국, 캐나다, 호주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료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인터넷 정보가 가장 높고, 신문∙ TV기사 순으로 나타났으나 거의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다. 2. 여섯 가지 범주의 가치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병원선택에 영향을 주는 28개의 소비가치 요인을 추출하였다. 3. 각 6가지 범주의 소비가치 요인들이 선택한 의료국가별로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 결과 싱가포르의 경우 전반적으로 모든 가치요인에서 가장 높았으며 인도는 싱가포르와는 반대로 상황적 가치요인에서 가장 높았다. 대한민국과태국의 경우 모든 가치요인 인식에서 낮게 나타냈다. 4. 28개의 주요 소비가치 요인이 의료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첫째 대한민국은 의료서비스의 전문성1, 저소득층 생산직 집단, 비활동적인 대가족 집단, 안도감, 사회친분과 정보수렴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싱가포르는 의료서비스의 근접성, 비활동적인 대가족집단, 사회친분과 정보수렴, 주거지근접성과 사회적친분연계성, 사회적 명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국은 가치요인들 중 유의하게 나타나는 요인은 없었다. 반면 인적사항 중 교육정도를 나타내는 학력의 경우 1.5배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도에 미치는 가치요인 및 인적사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사회친분과 참신성, 인적사항 전체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친분과 참신성은 ‘아주 심각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미한 편이다’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인적사항 전체는 ‘심각한 편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났으며 ‘경미한 편이다’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중 성별 및 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차이분석에서 40대 이상의 경우 의료서비스의 만족도, 의료서비스의 근접성, 부유한 기혼자 남성 집단, 주거지근접성과 사회적친분연계성, 건강행태 및 운명적인 건강관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신뢰성 요인, 주거지근접성과 사회적 친분연계성, 상황적 가치 전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저소득층 생산직 집단, 부유한 기혼자 남성 집단 및 비활동적인 대가족 집단, 핵가족 중산층 집단, 청소년 집단, 첨단성, 전문성, 사회적 가치 전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전문성1 및 의료서비스의 근접성, 미혼여성의 직장인 집단, 사회친분과 참신성, 주거지근접성과 사회친분연계성, 건강에 대한 우선순위, 사회적∙인식의 가치 전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적에 따른 차이분석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전문성2, 핵가족 중산층 집단 및 청소년 집단, 고급성, 사회친분과 참신성, 사회적 명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의료관광국가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소비가치 주요요인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하여 대한민국의 의료관광국가로 선택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획득 및 명성, 근접성요인이 우위를 점하고 있으므로 여러 매체나 인터넷 공간을 활용하여 의료서비스 정보를 배포하여야 하겠으며, 대한민국을 선택한 주요요인에 대한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다양한 소비가치 요인을 의료관광 국가를 선택하고자 하는 외국인에게서 찾아내는데 적용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존 Sheth(1991)의 소비가치이론에 건강적 가치를 첨가하였으며 기존의 병원선택 요인이 아닌 의료관광국가 선택 요인으로 분석하는데 다른 연구에 비해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offer preliminary data for the invigoration of Korean medical tourism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factors affecting foreigners' selecting medical tourist districts. On the basis of Sheth's (1991) five factors of consumers' value and Seon-Huy Lee's (1997) value of health, this research adopts as scopes foreign tourists and students in Korea and foreigners residing abroad and aims to analyze differences of factors of consumers' value. This research conducts structured surveys of foreigners who reside both in Seoul (Myeong-dong and university towns) and Busan (Nampo-dong) of South Korea and in United States, China, Canada and Australia. The outcomes are as follows. 1. Methods of information gathering are used in the order of internet, newspaper and TV program. However, the outcomes show relatively the identical value. 2. 28 factors of consumers' value affecting their selection of hospitals are obtained from surveys on 6 categories of value factors. 3. Examined are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s in 6 categories of consumers' value between medical standards of the chosen countries. In general, all the value factors in Singapore are highest in the chosen countries'. Contrary to Singapore, India's situational value factor is highest in these countries'. The recognition of all value factors in South Korea and Thailand is lowest in the countries'. 4.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28 factors of customers' value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medical tourist districts. First, in South Korea the selection is affected by medical service expertise 1, low-income labor group, non-active large family group, feeling of relief, and social closeness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Second, in Singapore the selection is influence by proximity of medical services, non-active large family group, social closeness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proximity of residence, connectivity of social closeness, and social reputation. Third, in Thailand there is no significant value factor, but the influence of academic ability that represents the level of education on the selection is high 1.5 times. Finally, in India there is no value factor and personal data affecting the selection. 5.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physical condition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al closeness, novelty and personal data. Social closeness and novelty are highest at the answer "Extremely Severe", but they are lowest at the answer "Slight". All of personal data are highest at the answer "Severe", but they are lowest at the answer "Slight". 6.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demographic factor show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nd academic ability.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age suggests that subjects over forties recognize as important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s, proximity of medical services, married wealthy male group, proximity of residence, connectivity of social closeness, state of health, and fateful viewpoints of health. Moreover, it shows u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 of reliability, proximity of residence, connectivity of social closeness, and situational value.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income tells u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low-income labor group, married wealthy male group, non-active large family group, middle-class small family group, juvenile group, high-tech, expertise, and social value.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occupation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expertise 1, proximity of medical services, unmarried working female group, social closeness, high-tech, proximity of residence, connectivity of social closeness, order of priority on health, and value of social recognition. Finally, an analysis on differences by nationality tells u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expertise 2, middle-class small family group, juvenile group, quality, social closeness, novelty, social reputation. 7. The above outcomes prov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ain factors of customers' value according to country with many medical tourist attractions or by general characteristic.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in order for South Korea to be chosen as a country with many medical tourist attractions, we give foreigners information of medical services by using various media or internet space because we are gaining an advantage over factors such as the secure of information, reputation and proximity of residence. Further, we are required to strengthen competitive power on main factors that enabled foreigners to choose South Korea. In conclusion, it has an importance to apply various general factors of customers' value to foreigners who try to choose a country with many medical tourist attractions. Further, this research is mor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data from an angle of factors of the selection of a country with many medical tourist attractions rather than of the existing selection of a hospital, by grafting value of health onto Sheth's (1991) a theory of consumers' value.

      • 전처리가 냉장 중 생강 다대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최민식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Quality of fresh ginger deteriorates rapidly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and the storage life is rather short due to sprouting and microbial spoilag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using additives and/or steam blanching(8min, 100℃), a minced ginger product which could maintain acceptable quality over 30 days, and to investigate quality changes in the minced ginger product during the cold storage. Storage stability of minced ginger product was investiga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hibition of brown discoloration, gas formation and liquid-solid separation. After fresh ginger was peeled, it was ground in a waring blender to produce the minced ginger(control). Sodium bisulfite, L-cysteine, NaCl, sodium benzoate, modified starch and/or xanthan gum were added to control to minimize quality losses during storage and to develop an optimum formula(A) of the minced ginger. Samples were packed in Nylon/PE films and stored at 5℃, sampled at 30 day intervals and subjected to quality evaluations. Changes in pH, surface color, gas formation, liquid-solid separation, free amino acids,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of samples were determined. pH de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samples, but not sample A. L-cysteine and sodium bisulfite were effective in controlling brown discoloration of the sample. Gas formation was effectively inhibited in samples with sodium benzoate and/or NaCl. Samples with xanthan gum did not have liquid-solid separation problem. Free amino acids in samples decreased as the storage time was extended. Free sugars decreased during storage in all samples. Organic acid contents in all samples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increased in lactic acid contents was the most significant. Sensory results showed sample A maintained acceptable quality until 90 days of storage. Blanched treatment samples showed similar tren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nced ginger could be successfully produced with selected additives and blanching, and the acceptable quality could be preserved upto 90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