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도선수의 주기별 훈련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령근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riodic judo training on immunity function of male judo athletes and general students who exercise regularly more than 5 times a week.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DH, CRP, immunoglobulin IgG, IgA, and IgM were analyzed in 12 male judo athletes and 12 general students from Y University in Gyeonggi-do. All the data obtained produc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26.0,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blood components between group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Lactate dehydrogenase (LDH)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119.17±26.46 Unit/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163±48.44 Unit/L, indicating that the judo athlete group had a significantly (p<.05) higher difference than the general student group. 2.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reactive protein (CRP)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0.13±0.09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0.16±0.17 mg/dl, which was 0.03 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G (IgG)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951.75±144.96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957.58±194.57 mg/dl, which was 5.83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A (IgA)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183.83±79.96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151.67±70.14 mg/dl, which was 32.16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Immunoglobulin M (IgM) between the general student group and the judo athlete group showed that the general student group was 73.08±20.59 mg/dl and the judo athlete group was 74.42±23.40 mg/dl, which was 1.34 mg/dl higher in the judo athle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given that the group of judo athletes who conducted regular judo traini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DH results than ordinary students, it can be said that fatigue is accumulated due to periodic judo training, but it is considered to be moderate fatigue by judo training because LDH concentration is within the normal range. On the other hand, immunoglobulin IgG, IgA, and Ig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student group, so it can be said that periodic judo training does not increase immunit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periodic judo training accompanies moderate fatigue accumulation and does not lower immunity. In the future, if follow-up studies on immunity of judo athletes in various environments are conducted along with exercise treatmen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further used as a reference for athletes and coaches in improving performance. 본 연구는 주 5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남자 유도선수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주기별 유도훈련이 면역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연구 하는데 있으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Y대학 남자 유도선수 12명, 일반학생 12명을 대상으로 LDH, CRP, 면역글로불린 IgG, IgA, IgM을 분석하였다. 얻어진 모든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 혈액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Lactate dehydrogenase(LDH)의 비교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119.17±26.46 Unit/L, 유도선수그룹 163±48.44 Unit/L로 유도선수그룹이 일반학생그룹보다 유의하게 (p<.05) 높은 차이가 있었다. 2.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C-reactive protein(CRP)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0.13±0.09 mg/dl, 유도선수그룹 0.16±0.17 mg/dl로 유도선수그룹이 0.03 mg/dl 정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3.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G(IgG)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951.75±144.96 mg/dl, 유도선수그룹 957.58±194.57 mg/dl로 유도선수그룹이 5.83mg/dl 정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A(IgA)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183.83±79.96mg/dl, 유도선수그룹 151.67±70.14 mg/dl로 일반학생그룹에서 평균적으로 32.16mg/dl 정도 높게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일반학생그룹과 유도선수그룹의 Immunoglobulin M(IgM)의 분석 결과, 일반학생그룹 73.08±20.59 mg/dl, 유도선수그룹 74.42±23.40 mg/dl으로 유도선수그룹에서 평균적으로 1.34 mg/dl 정도 높게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볼 때 주기별 유도훈련을 한 유도선수그룹이 일반학생들보다 LDH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낸 결과로 보아 주기별 유도훈련으로 인한 피로가 축적되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LDH 의 농도가 정상범위에 속하므로 유도훈련에 의한 적당한 피로축적이라고 사료된다. 한편, 면역글로불린 IgG, IgA, IgM에서는 일반학생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주기적인 유도훈련이 면역력을 높이지는 않는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주기적인 유도훈련은 적당한 피로축적을 동반하며 면역력을 떨어뜨리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운동처치와 함께 다양한 환경에서 유도선수들의 면역에 관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경기력 향상에 있어 선수 및 지도자에게 참고자료로써 더욱 활용될 것이라 생각되는 바이다.

      • 지방자치단체 스포츠정책의 구성요소와 효과에 관한 연구 : - 속초시 스포츠정책을 중심으로 -

        최령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속초시 스포츠정책의 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강원도 내 주요 시군의 스포츠정책 수단을 비교하였고 벤치마킹하여 속초시 체육진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정부의 스포츠정책은 1995년 지방자치단체의 출범과 더불어 많은 변화를 거쳤다. 지방자치단체의 독립적인 결정권으로 지역주민을 위한 행정을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 및 다양성이 확대되었다. 엘리트체육 위주의 스포츠정책이 생활체육 중심으로 이동하였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각종 스포츠마케팅 도구가 활용되었다. 스포츠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체육시설, 스포츠지도자, 체육예산, 스포츠이벤트가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궁극적으로 스포츠정책의 대상자인 지역주민이 수혜를 받는다. 속초시는 민선 6기가 들어서면서 체육담당부서의 축소로 스포츠정책의 변화를 맞았다. 속초시는 2001년 90,543명의 인구에서 2016년 81,793명으로 지속적인 인구의 감소에 시달리고 있고 재정자립도는 2001년 30.8%에서 2015년 17.1%로 감소하였으나 2016년 25.19%로 상승하였다. 예산도 2001년 126,676백만원에서 2016년 259,545백만원으로 상승하였다. 태백시도 인구감소와 예산증가, 재정자립도 증가로 나타났다. 스포츠의 스포츠마케팅 예산(297백만원)은 강원도 시군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특히, 속초시는 태백시 예산(1,920백만원)과 비교해 6배 이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시의 체육시설은 총 58개소로 강원도 전체 1,931개소에 비해 3% 수준을 나타냈고 태백시의 98개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생활체육지도사는 2017년 현재 18명으로 태백시 11명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운동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속초시장애인체육회의 설립으로 장애인스포츠지도사는 총 6명으로 나타났으며, 태백시는 장애인체육회가 설립되지 않았다. 속초시 체육예산은 5,873백만원으로 전체 예산 대비 1.90%로 집계되었으며, 태백시의 3.49%에 비해 현저히 낮고 모험레포츠를 추구하는 인제군의 4.05% 보다도 낮아 지역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예산의 지원이 필요하다. 2016년도 속초시 스포츠이벤트 개최현황은 총 6개 대회로 참가규모는 9,694명, 20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가져왔고 태백시는 16개 대회로 20만명 이상이 참가하였다. 속초시의 스포츠이벤트 유치를 위한 체육예산은 2억원 수준으로 태백시의 19억원에 비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지역발전 및 경제적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스포츠정책의 직접적인 수혜자는 지역주민이다.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체육환경의 조성으로 지역주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인할 필요성이 있다. 체육예산의 증액도 필요한 부분이다. 타시도와 비교하여 열악한 체육환경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스포츠이벤트 유치가 필요하다.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지역주민의 참여가 제한된 스포츠이벤트에 적극적인 투자와 스포츠생태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sports policy in Sokcho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t is meaningful to compare the sports policy of cities in Gangwon Province and benchmark them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sports in Sokcho. The Korean government 's sports policy has undergone many changes with the launch of local governments since 1995. The possibilities and diversity of local governments with independence decision-making authority to implement administration for local residents have expanded. The elite sports policy shifted to the center of Sport for All and various sports marketing tools were used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Sports facilities, sports leaders, sports budgets, and sports events have been used to achieve the goals of sports policy, and local residents, who are ultimately the target of sports policy. Sports Policy in Sikcho is changed since new 6th mayor. In 2001, the population of 90,543 in Sokcho was reduced to 81,793 in 2016, while the level of financial independence decreased from 30.8% in 2001 to 17.1% in 2015, but increased up to 25.19% in 2016. The budget also rose from 126,676 million won in 2001 to 259,545 million won in 2016. Taebaek City also showed a decrease in population, an increase in budget, and an increase in financial independence. Sports marketing budget (297 million w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angwon Province, especially Sokcho city is 6 times less than Taebaek city budget (1,920 million won). A total of 58 sports facilities in Sokcho were 3% compared to 1,931 in Gangwon province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98 in Taebaek city. As of 2017, the number of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is 18, which is higher than that in Taebaek city. It can create a more active sports environment for local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isabled Sports Association in Sokcho, a total of 6 sports instructors with disabilities appeared, and Taebaek City did not have a disabled sports Association. The budget for sports in Sokcho is 5,873 million won, which is 1.90% of the total budget. I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3.49% of Taebaek city and it is lower than 4.05% of Inje County, which is pursuing adventure sports. In 2016, the total number of sports events in Sokcho city was 6 with 9,694 participants and 2 billion won in economic effect. In Taebaek city, more than 200,000 people participated in 16 events. The sports budget for attracting sporting events in Sokcho is 200 million won,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aebaek city at 1.9 billion won. Active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he direct beneficiaries of sports policy are local residents. There is a need to actively engage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e use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the creation of athletic environment. An increase in the sports budget is also a necessary part. It is necessary to attract active sporting events in order to improve the poor physical environment and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comparing with other cities. Efforts to aggressively invest in sports events with limite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ue to the ongoing population decline and to establish a stable sports ecosystem are ur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