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콘트라팍타(Contrafacta)의 교회선교음악으로서의 가능성 : 마틴 루터(Martin Luther)의 교회음악신학을 중심으로

        최기천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콘트라팍타의 선교적 기능 및 필요성을 생각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논문은 교회음악을 교회 안 예배음악과 교회 밖 선교음악을 포함하는 광의적 의미로 사용한다. 교회음악에 대한 이해는 그 목적과 용도에 관한 기능적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런 관점에서, 콘트라팍타는 예배음악의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종교음악(Religious Music)에 속한다. 현재 예배전쟁이라고 불리는 찬송 시대와 복음송 시대의 세대 간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제3의 길로서 콘트라팍타가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현재의 찬송과 복음송은 교회 안의 음악이다. 따라서, 교회 밖 세상을 향한 음악이 필요하다. 여기에 대한 해결책으로 콘트라팍타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선교적 교회음악의 관점에서 콘트라팍타의 재해석이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콘트라팍타에 대한 마틴 루터의 신학적 근거 및 실제적 활용에 나타난 이론적 근거들을 중심으로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의 현대교회의 선교현장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현대교회음악(복음송 포함)은 선교적(복음전도) 목적으로 발전되었다. 그리고 젊은이들을 위한 선교와 교육 목적으로 C.C.M.이 탄생되었으며 현대 교회의 예배와 선교에 영향을 주고 있기에 무시할 수 없다. 오늘날 한국교회들의 예배에서 많이 발견되는 열린예배 또는 구도자중심의 예배도 C.C.M.이나 복음송의 선교적 기능 또는 교육적 기능을 확대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교회음악의 선교학적 기능을 중요하게 여겨 개신교의 예배갱신을 시도한 마틴 루터의 예배신학과 일맥상통한다. 마틴 루터의 콘트라팍타 활용은 오늘날 예배전쟁의 중심에 있는 거룩한 음악과 세속음악을 구분하는 기준에 도전을 제시한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를 위한 선교적 교회음악으로서 콘트라팍타의 활용 가능성을 증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하고, 대중선율 및 트로트나 랩과 같은 다양한 시도들과 적용의 실례를 들면서, 그 효과를 살펴봄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Contrafacta as a new paradigm for missionary church music, considering its missionary function and need. Church music in this study includes both worship music and mission music, both in and out of church in a broad sense. Church music should be understood by its function and purpose. In that sense, Contrafacta belongs to religious music beyond a function of worship music. Contrafacta can be used as a third way to resolve the generational conflicts which are called worship wars between the older hymn generation and the younger gospel song gener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hymns and gospel songs belong to music inside the church, which raises a need for music outside the church. Contrafacta can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resolution. Therefore it needs to be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missionary church music. To the end, the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applicability of Contrafacta to the missionary field of modern churches in the post-modernism era based on Martin Luther's theological grounds and also the theoretical grounds found in its practical use. Modern church music (including gospel songs)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issions (evangelical work).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has been also created for the same purpose and to educate young people. Such influences on the worship service and mission of modern churches cannot be neglected. Today, the seekers-centered services, and praise and worship services often found in Korean churches expands the missionary or educational functions of C.C.M. or gospel songs. The phenomenon is in line with the liturgical theology of Martin Luther who emphasizes the missionary functions of church music; and thus, made an attempt at the service renewal of Protestantism. His use of Contrafacta is a challenge to the distinction between sacred music and secular music at the heart of worship war today. Therefore the study introduces a couple of specific cases to demonstrate the usability of Contrafacta as missionary church music for Korean churches, and proposes its new possibilities by giving examples of various attempts and applications including popular melodies, teuroteu, and rap, and examines their effects.

      • 천정 크레인 중대재해 분석에 의한 재해예방에 관한 연구

        최기천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천정 크레인 중대재해 분석을 통하여 크레인을 사용하는 사업장에 표준 안전대책을 제시함으로써 천정 크레인에 의한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고자 한다. 2000년부터 2018년 까지 안전보건공단 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제조업 크레인 중대재해 사례를 분석한 결과 천정 크레인 작업종류별 사망재해 현황은 크레인 정상작업(67.44%)이 크레인 정비, 점검, 검사준비 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제조업 천정 크레인 접촉부위별 사망재해를 분석한 결과 인양물과 근로자가 접촉하여 발생한 사망 재해가 23명(53.49%)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재해발생의 주요 원인을 살펴보면 운전자 안전거리 미확보, 작업반경 내 주변 근로자 접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RFID(전자태그) 안전관리시스템 적용, 안전반경을 표시하는 레이저 빔 설치, 운전자 안전반경 내 접근에 따른 경보음 발생장치 설치 등 재해원인에 따른 다양한 기술적/공학적 표준 안전대책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표준 안전대책을 적용하여 재해감소 효과를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중대재해가 약 48.8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prevent and reduce industrial disasters caused by overhead traveling cranes by presenting standard safety measures to workplaces using cranes through analysis of serious disasters of overhead traveling cran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ious disasters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cranes registered in the Kosha system from 2000 to 2018, the status of death accidents by work type of overhead traveling cranes is normal work (67.44%). It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e back.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ath disasters by the contact point of the overhead traveling cran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contact between salvage goods and workers was the highest (23.53%). Looking at the main causes of such accidents, the crane operator's safety distance was not secured, and workers in the work radius were approached.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various technical / engineering standard safety measure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isaster, such as the application of an RFID (electronic tag) safety management system, installation of a laser beam to indicate the safety radius, and installation of an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approach within the crane operator's safety radius.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effect of disaster reduction by applying the proposed standard safety measures, it was found that the serious disaster decreased by 48.8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