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교성향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영적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최금순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종교성향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인 25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지는 220부가 회수 되었으며, 이중 응답율이 떨어진 9부를 제외하고 총 211명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19세-29세이면서 대학을 졸업하고, 신앙 년 수의 경우 모태 신앙이면서, 주부 및 학생으로, 형제순위의 경우 첫째, 가족의 월평균 수입이 300-400만원 미만의 비율이 높은 대상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둘째, 대상자들은 주로 기혼 비율이 높았으며, 대부분 핵가족이었으며, 결혼 전 교제기간이 1년 이상-2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20년 이상-30년 미만의 결혼 지속 년 수가 높은 대상자들이었다. 또한 대부분 연애결혼이 비율이 높았고, 자녀수가 2명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대상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종교성향은 외재적 보다는 내재적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적 안녕감의 경우는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용서의 경우는 전체 4점 만점에 2.8점으로 3점에 가까운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용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교육정도, 신앙년 수, 형제순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업에 따라서 용서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관련 특성에 따른 용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족의 월평균 수입, 가족형태, 결혼 지속 년 수, 자녀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결혼전 교제기간, 결혼유형에 따라서는 용서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종교성향과 용서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외재적 종교성향은 용서에 전체 영적 안녕감과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을 통하여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재적 종교성향은 영적안녕감과 함께 투입 되었을 때에 용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으나, 영적 안녕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먼저 외재적 종교성향은 전체 영적 안녕감과 종교 및 실존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다시 이 영적 안녕감은 용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교인들이 가지는 종교성향이 현대로 올수록 외재적 종교성향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기독교 상담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를 제시하는 결과이다. 많은 종교 기관들이 지역사회를 선도하고 앞서가는 역할을 감당하였지만 요즘은 종교기관들이 사회로부터 도리어 지탄을 받고 있는 것들이 많은데, 이는 아마도 종교 활동을 단순히 수단화하는 종교인들의 수가 증가한 이유이기도 하다. 기독교 상담학적인 측면에서도 종교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개입이 심리치료를 위한 장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상담자들이 알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내재적 종교성향과 용서 관계에서 전체 영적 안녕감,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종교성향은 용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지만 전체 영적 안녕감과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재적 종교성향은 종교의 본질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성향을 말하는데, 이러한 종교성향이 영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내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영적 안녕감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또한 영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용서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재적 종교 성향만을 용서에 투입하였을 때 내재적 종교성향은 영향력이 나타나지만 영적 안녕감과 투입하였을 때 내재적 종교성향의 용서에 미치는 영향력이 사라짐을 알 수 있다. 즉 내재적 종교성향은 영적 안녕감과 상호작용하여 직접적으로는 용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영적 안녕감을 통하여, 매개하여 용서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재적 종교성향은 이처럼 종교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감안한 기독교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독교 상담사들은 내담자의 종교생활에 대한 깊이 있는 상담과 함께 내재적 종교성향을 가질 수 있는 기독교 상담이 내담자의 심리치료 영역까지 확대되어 도움을 줄 수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상 현장의 상담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성향은 전체적으로 직접적으로 용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영적 안녕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용서 상담시 영적 안녕감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용서는 가족간에 갈등과 부부갈등, 그리고 일상적인 갈등으로 인한 상처를 극복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치료 기제이다. 그러므로 용서 상담을 하는 기독교 상담사는 용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적 안녕감에 관심을 가지고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인들의 종교적 성향을 고려하여 상담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재적 종교 성향은 수직적, 실존적 안녕감을 매개하여 용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상담에 임하여야 한다. 특별히 외재적 종교 성향은 영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다시 영적 안녕감은 용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역동을 이해하고 상담에 임할 필요가 있다. 특별히 외재적 종교 성향을 가진 종교인들의 경우 영적 안녕감이 낮게 되고, 이러한 경향이 용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상담할 필요가 있다. 종교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종교적 동기에 의하여 신앙생활을 하지만, 기독교 상담사가 가족문제를 상담하거나 부부문제 및 부모 자녀간 상담을 할 때 영적 안녕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건전한 종교성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종교생활에 대한 지도와 교육을 함과 동시에 영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내재적 종교성향을 높이기 위한 집단상담 및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내재적 종교 성향은 수직적 및 실존적 영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리고 다시 영적 안녕감은 용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함 교육 및 집단, 개별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종교 활동 자체가 내담자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내재적인 종교 활동을 할 때에 영적 안녕감이나 용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토대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재적 종교성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내재적 종교성향을 키우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현재 기독교 상담학적 측면에서 교회 활동들이 친교나 회합의 목적이 아니라 본질적인 가치를 수용하고 삶에 적용하는 활동을 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지도하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직접적인 개인상담이나 집단상담을 통하여 개입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교육적인 측면에서 가치를 내면화하고 삶에 실현하도록 하는 활동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용서 상담에 대한 교회 안에서의 적극적 활용이 필요하다. 교인이라고 누구나가 용서를 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종교의 가르침에 따른 내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용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적용한 상담이 요구된다. 용서에 대한 심리치료 기제의 활용 측면에서 종교인들의 종교 성향기제를 파악하고 성향에 따른 용서 상담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영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신앙적이면서 인문학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영적 안녕감의 경우 종교적 및 실존적 안녕감이 같이 영향을 미치므로, 교회안에서 종교적 가르침과 함께 인간과 삶에 대한 인문학적인 소양을 키우기 위한 문화적인 활동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지 않는 교회에서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는데, 교인들에게 종교 및 다양한 인문학적인 소양을 키우도록 독서의 폭넓은 지원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영적 안녕감의 매개효과가 연령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령별로 충분한 표본을 추출하여 연령간의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종교적 성향과 영적 안녕감, 그리고 용서의 경우는 삶의 경험의 차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각 변인들이 나이를 먹으면서 어떻게 변화하여 가고,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면서 변화하여 가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각 변인들의 상관성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여 가는지 아는 것은 매우 흥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종교적 성향과 용서 간에 상관성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종교적 성향과 영적 안녕감을 정도에 따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여 보고, 용서 수준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주는지 알아보는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용서 프로그램의 경우 전문화된 경향 때문에 종교적인 가치를 배제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는데, 용서를 위하여 본질적 종교 가치를 더욱 더 부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한다면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실증적 연구에서 종교적 성향을 함양하고 영적 안녕감을 고취하여 용서 수준에 이르도록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입하고 효과를 검증하여 보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대부분 종교분포가 기독교에 편중되어 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교를 고루 표집 하여 종교간 영향력의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종교의 년 수와 종교의 형태, 종교의 활동 정도 등의 다양한 종교 변수를 넣어서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용서는 비단 영적 안녕감과 종교성향에만 영향을 받은 변수가 아닌, 수많은 요인들과 변인들에게 영향을 받는 변인이므로 순수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통제하고 순수한 변인간의 영향력을 알아보는 연구가 향후 연구될 필요가 있다.

      • 기독교 공동체의 상담적 역할에 대한 연구 : 기독교 상담관계를 중심으로

        최금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the counseling resources and healing focusing o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A Christian is not an independent ‘individual’ who can have problems and solutions of counseling at the same time, but an individual as a relational being fundamentally belonging to a ‘community’ with a calling for creating a new community in Jesus Christ. The Christian community is a place of healing and growth as well as the relational essence of Christians. In addition, it is the purpose of life to achieve too. Therefore, a ‘community’ is a core factor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setting a target and explanation of rel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a counselor and a counselee.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counseling relationship’ is because the counseling relationship (or helping relationship) has been inherited from general counseling method based on personalized human experiences rather than extracted from the essence of Christian relationship so far. In the Christian community, there exist unique rel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required to its members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Where, it is not exception for a counselor who gives help as well as a counselee who needs help. Accordingly, the Christian counseling relation must be based o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community because of the essential significance of the Christian community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to members. Thanks to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must be considered. First, both counselor and counselee are members of a community. This means both are not excluded in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econd, there must be a different understanding in helping relationship. The Christian care is fundamentally mutual. There is no one who gives helps unilaterally and vice versa. The counselor can be the benefactor of the counselee too. Third, there must be a re-evaluation of the value of care. The Christian counseling is an activity to provide professional care and non-professional care in the community, which means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help just as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the gift granted by the Holy Spirit. Fourth, various participations of the Christian community members must be made. It means that the counselor is not able to fulfill every need of the counselee thanks to the characteristics of mutually complementing relation in the community and also thanks to the diversity of gift. Accordingly, structured or non-structured situation must be allowed so that resources for the counselee could be provided by other members. Fifth, the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must be specified in the counseling. Both counselor and counselee are not exceptions for the calling of developing the community. Sixth, the loosed hierarchy and use of routine counseling language must be used in the counseling relationship. Thanks to equal and fair rela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the common gifts and spiritual frui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 not hierarchical but care ‘mutually and each other.’ Besides, becaus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cluding periodic meetings and sharing normal life, it is easy to change the value system, and an education and training are provided added by the experience of ‘sharing together,’ which are other resources of counseling.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신념과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 및 학습관여 간 관계에서의 차이

        최금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목적은 교육신념과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 및 학습관여에서, 그리고 교육신념과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 및 학습관여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및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남녀 만 5세 유아 217명의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질문지법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교육신념은 Stipek, Milburn, Clements 및 Daniels(1992)와 Sy(2002)의 척도를 기초로 한 송명숙(2006)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모의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은 박성연ㆍ이숙(1990)과 이미정(1998)의 양육행동 척도를 기초로 한 오정현(2004)의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부모의 학습관여는 송명숙(2006)의 척도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비분석과 t 검정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신념에서는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에서는 양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며, 학습지도와 학교 외 교육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신념과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 및 학습관여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경우, 지시적 교수법 신념을 가질수록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을 하였으나, 어머니의 경우, 교육신념과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 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는 지시적 교수법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지도에, 지시적 교수법과 수동적 학습신념을 가질수록 학교 외 교육에 많이 관여하였고, 어머니는 수동적 학습신념과 교육적 성취기대를 가질수록 학습지도에 많이 관여하였으며, 지시적 교수법 신념을 가질수록 학교 외 교육에 많이 관여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차이가 발견되어 어머니는 아버지에 비해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를 더 많이 보였다. 교육신념과 자녀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교육신념이 과보호ㆍ통제 양육행동과 학습관여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의 교육신념이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과 더불어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취학 직전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아버지와 어머니가 자녀양육행동 및 신념과 자녀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차이가 있음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차이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the difference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al belief,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and 2) the differences in fathers' and mothers' in the relation of parent's educational belief,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The subject were 534 parents(217 fathers and 217 mothers) of five-years-old preschool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e current study.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educational belief,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between fathers and mothers. In other words, the mother's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were higher than fath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 of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al belief,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The higher fathers' direct teaching method belief was, fathers'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were high. However, mothers' level of educational belief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lso, The higher fathers' direct teaching method belief was, fathers' involvement in education guidence was high. And the higher fathers' direct teaching method belief and passive learning were, fathers' involvement in out of school education was high. But the higher mothers' achievement expectation and passive learning belief were, mothers' involvement in education guidence was high. Also as the level of mothers' direct teaching method belief was higher, mothers' involvement in out of school education was high.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between fathers and m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of mother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fathers. In the relation of educational belief, the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fathers' educational belief had more effect on their overprotective/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and academic involvement than mothers.

      • 신간구황촬요의 음운론적 연구

        최금순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국어 연구의 출발 기점을 전광현(1967)으로 잡는다면 이제 30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 관심있는 많은 연구자들의 업적에 힘입어 근대국어의 모습이 상당 부분 드러났으며 특히 최근에 간행된 「17세기 국어사전」은 국어학의 여러 분야에서 근대국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근대국어의 연구가 좀더 정밀하고 실증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문헌자료의 발굴도 필요하겠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그 동안 연구 대상에서 소외된 문헌들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성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신간구활촬요」의 異本들 특히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던 '정문연본'에 대한 서지적 검토와 이본들의 비교를 바탕으로, 어두자음군에 대한 표기의 유형들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언어학적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신간구황촬요」는 16세기의 언어를 담고있는 「구황촬요」(이후 '촬요'라고 한다)와 17세기 후반의 언어를 반영하는 「구황보유방」(이후 '보유'라고 한다)의 합본이다 몰론 이 책에서 촬요 부분이 전적으로 16세기의 언어를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17세기에 구황보유방과 합본·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17세기에 구황보유방과 합본·간행되면서 變改가 가해졌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인데 그 변개의 가능성도 본 고의 논의 과정에서 확인될수 있을 것이다.

      • 중년기와 노년기여성의 의복행동연구

        최금순 공주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irection of old-age women's clothing habits in the future understanding interests in fashing which middle-age women recognize and the rate of interest in fashion to prefer when middle-age women the selves became the old, and analysing the rate of difference from old-age women's, based on purchanse attitude of clothing, interests in clothing, fashion, and the clothing of old women by means of demographic rariants(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the research precedent on the general characters of middle-age women and the interest in fashion, guesstionaires which on investigator makes out ere used as to the instruments for survey. Two hundred and seventy-one women in Seoulwho are aged under the ages of from forty through seventh-five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the purposive sampling. As for data analyse, frequency, percentage X_(2)-test, were applied in the survey. The conclusions obtained as a result of data analyse were follows. 1. Attitude of clothing purchase It came out that women in the middle age make plans for clothing purchase better than old-age women ; and purchase buy it, and that as for purchasing companions, of those respendents, many replied that they would go shopping by themselves, where as old-age women were accompanied by their children. Considering the place purchasing the clothes, women in middle age were much concerned about specicalized stores(boutigue) at high price where as those in old age flock to markets where they can buy at a low cost. 2. Interest in clothing As for the in terest in clothing though that of old-age women was somewhat reduced, the old-age group of future was more interested in clothing than that of present. 3. Interest in fashion Two group were very high, it tured out that middle-age women froup take into account fashion by 81.0%, the old-age women group of present by 53.6%. 4. The size of ready-made clothing As for the size of ready-made clothing middle-age women group of futrue all wanted the spare size, and middle-age group prefered the size which fits perfectly As they became older. The dissatis faction with one-piece dress, Jacket, blouse, skirt, throusers, and coat show various distribution item by item. The business world in cloothing circulation will have to produce many kinds of clothing which have diverse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