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색 화장토와 유리를 응용한 장식기법 연구

        최경애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빠르게 변하는 국가 간의 활발한 문화교류로 사람들의 생활방식이나 의식이 자유로워지면서 개성화되고 다양화되었다. 의식주뿐만 아니라 예술작품도 다양하게 변형되고 재창조하는 과정에서 디자인 요소들을 퓨전화(Fusion)시키는 작업을 통해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독특하고 아름다운 것을 추구 하고 있다. 시대의 흐름과 유행에 따라 기의 형태나 용도가 일상생활에 필요한 용기로서 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오면서 발전 하게 되었다. 기(器 )의 개념과 시대성을 문헌을 통해 역사적으로 고찰하였고 다양한 장식기법들 중 여러 가지 색 소지를 혼합하여 형태를 만들었을 때 여러 색의 소지는 다양한 무늬를 얻을 수 있는 특성으로 자연스러우며 수많은 선은 운동감과 율동감 을 느끼게 해준다. 시작품 제작의 기초를 마련하기위해 백색도가 높은 소지에 안료를 이용해 색소지 실험을 하였으며 이러한 발색실험을 토대로 작품의 표면을 장식하여 문양의 미적 효과를 얻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기존의 도자작업에서 벗어난 점토와 다른 소재인 유리와 접목시킴으로 현대도자에 어울리는 표현을 시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예로부터 사랑받았던 도자기의 기능적이며 예술적 특성을 표현한 병(Bottle), 주전자(Teapot), 꽃병(Vase), 컵(Cup) 등 기(器)를 실용성뿐만 아니라 조형적인면도 부각시켜 장소를 불문하고 어디서나 사용하고 장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한 다른 소재와의 접목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창의적인 가능성으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Thanks to the fast and active cultural communications among nations, the life style and thoughts of people have changed to be more free, personal, and diverse. The art works as well as the life style have changed a lot. Through the fusing process of various design elements, the art is recreating the new and peculiar beauty that is not confined in the conventional frame. In this trend, ki(器, tableware) also has developed diversely in its form and utility, maintaining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aily life as the necessary vessel. In this paper, the concept and chronology of ki were studied in its history. Of various decoration methods, the formation of figures with mixture of color grounds reveals the natural and beautiful rhythmic movement thanks to its abundant lines. A color-ground experiment was made with pigments on the ground of white chromaticity to provide the base of trial product. On the basis of this chromogenic experiment, the surface of the work was decorated to acquire the artistic effect of design pattern. Furthermore, a special trial was made tha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way of pottery. That is, the glass was grafted with the clay to express the modern feeling. In this study, I tried to emphasize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pottery as well as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Ki can be used as the bottle, teapot, vase, and cup. When wearing the modern sensitivity and artistic beauty with practical usability, it can be loved as an ornament in all parts of life. And I also tried to express the creative possibility of ki in the future through grafting with the new materials that escape the conventional fixed conception.

      •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이 부모 자녀 관계와 어머니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경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에 자신의 가치감을 수반시키는 경향(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부정적인 부모 자녀 관계, 그리고 어머니의 우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척도,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척도, 우울(CES-D) 척도 순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우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 모형 검증 결과, 어머니의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어머니의 심리적인 적응을 저해하는 직접경로보다 자녀의 성취에 어머니 자신의 가치를 수반하면서 발생하는 역기능적인 부모 자녀 관계가 어머니의 심리적인 적응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교육 경쟁이 과열된 한국 사회에서 자녀의 성취를 중시하고 이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는 한국 어머니들의 심리적인 특성이 부모 자녀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 장면과 부모 교육 장면에서의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of the mother's tendency to base her self-worth on the child's achievement(child-based self-worth), negative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depression. For this purpose, 400 Korean mothers with children in middle and high school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Child-based Self-worth Scale,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 Scale, and CES-D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and de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depression. This implied dysfunctional parent-child interaction occurring due to the mother's seeking her self-worth on her child's achievement hindered the mother's psychological adjustment more than the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tself did. The findings showed the mother's psychological tendency to value the child's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onfirm her self-worth in the performance-driven Korean society affected parental relationship and the mother's depress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or counseling and parent education settings were discussed.

      •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천과의 관계

        최경애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간호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노인간호 실무교육지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인천, 경기도, 서울지역 소재의 노인전문병원 6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2년 4월 24일부터 2012년 5월 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대상자들의 직접 작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정리한 75문항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구하고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었으나 노인관련 특성에서는 근무경력, 교육경험, 교육전담자 유무, 노인과의 동거경험, 동거기간, 동거경험에 대한 느낌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차이를 검증한 결과 최종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관련 특성에서는 교육전담자 유무, 노인과 거주경험이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간호실천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과 직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관련 특성에서는 교육경험여부, 교육전담자여부와 거주경험에 대한 느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천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와 간호실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즉 노인에 대한 지식이 많아질수록 태도가 긍정적일 수록 간호실천을 잘하고 있었으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많아지면서 노인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질적인 노인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 할 수 있도록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을 교육하여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the nurses toward the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analysis. techniqu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ho worked in 6 geriatric hospitals in the area of In-cheon, Kyeong-gi, and Seoul,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4 April 2012 to 5 May 2012. The research tool included the 75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by using SPSS 19. 0 program and utilizing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verifying knowledge difference about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lderly related attributes depending on working experience, education experience, education trainer presence,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cohabitation period, and feelings about living experience. 2) The result of verifying the attitude difference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ast school,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how education trainer presence and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affected to attitudes in elderly related attributes. 3) The result of verifying about nursing practice difference towar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nd posi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presence, education trainer presence, and feeling about living experience in elderly related attributes. 4)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of subjects for the elder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conclusion, the mor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the more positive attitude make nursing practice better. However, the more knowledge for the elderly is increased, the more negative aspects can be seen i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refore, the education that can focus on positive aspects more than negative aspects for the elderly should be cultivated in order to perform qualified aged care and positive attitude.

      • 한국의 이미지를 응용한 파티션 직물 연구

        최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주거공간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급격하게 서구화되었다. 서구식 아파트 생활이 보편화된 현대 도시인들의 주거공간이 자칫 잘못하면 획일적이고 차가운 느낌을 줄 수도 있는데 이는 현대화, 세계화라는 목적으로 서양문화를 무조건적으로 수입하고 수용하고 있는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미에 대한 비중이 점점 엷어져가고, 정보화의 물결 속에서 서구화를 현대화라고 여겨왔던 우리는 세계화라는 명제아래 우리의 문화적, 미적 정체성을 확인해야할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동양적인 좁게는 한국적인 인테리어가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우리의 서구화된 주거공간을 전통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느낄 수 있는 개성적이고 인간미 있는 공간으로의 창조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이미지에 의한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 우리의 고유 이미지를 응용한 파티션 직물 개발을 시도하였다. 파티션이란 실내공간을 구획하여 막아대는 벽을 말한다. 우리의 생활공간이 점차적으로 원룸의 형태를 띤 복합공간으로 변해 가는 지금 공간의 경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러한 파티션이라는 가변의 벽을 놓을 경우 확고부동한 벽에 의지하지 않고도 정신적, 심리적인 경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벽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파티션은 실내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하고 공간을 차단하는 칸막이 등의 기능적인 요소와 실내의 이미지를 색다르게 변화시킬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를 함께 지니고 있어 그 가치가 높아져 가고 있다. 파티션에 쓰이는 소재는 목재, 종이, 금속, 유리, 직물, 석고보드 등이 있다. 이중에서 직물류는 다른 소재에 비해 색상이나 조직, 질감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더러워지거나 파손됐을 경우 손쉽게 새로운 직물로 교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물이라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차갑게 느껴질 수 있는 공간을 부드러우면서도 친근하고 고급스러운 공간으로 재창조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파티션 직물은 그 재료나 색상, 디자인이 지극히 단순한 형태로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한국의 이미지를 적극 응용하여 직조로 제작함으로써 실내공간에서의 파티션의 활용가치를 높여보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한국의 조형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적인 미를 현대적으로 활용한 예를 찾아봄으로써 파티션 직물에의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둘째, 파티션의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그 기능성과 장식성을 분석하였으며 직물 파티션의 장점과 발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한 작품제작은 우리 옛 조상들의 전통적인 놀이용품인 방패연의 형상을 본 따서 디자인한 후 구름 문양의 조직을 제직하고 색상을 강하게 대비시켜 새로운 느낌의 파티션을 제작하였으며, 여인네의 용품인 참빗을 크게 확대하여 파티션 디자인으로 응용하고 조직의 변화로 그 형상을 표현함으로써 작고 보잘것없는 소품이 가치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 고유의 장신구인 노리개를 조형화 시켜 디자인하였는데 조직과 색상의 다양한 변화로 입체감을 주고, 늘어지는 술의 형태를 파티션의 형태로 옮겨와서 제작하여 새로운 파티션의 형상으로 재창조하였다. 그리고 문살의 모양을 실의 굵기와 질감과 밀도를 달리하여 부분적으로 반투명성을 주었으며, 전통 문양을 프린트하여 다양하게 한국의 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한국의 이미지를 응용한 직물을 제작함에 있어 옛 조상들의 형태감각을 이어받아 현대의 디자인으로 발전시키는데는 그럴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파티션 직물로 개발함에 있어 우리가 제대로 알지 못했던 우리민족의 미를 충분히 활용하여, 우리의 서구화된 공간에서 조금이나마 전통의 미를 느낄 수 있는 조형적인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파티션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회가 되었다. 그러나 제작상의 여건상 사각의 틀에 맞추어야 한다는 한계 때문에 좀더 다양한 한국의 미를 개발하지 못하였고, 수직기로 여러 조직을 넣어 제직함에 있어 텐션과 질감의 다양한 변화 등이 어렵다는 아쉬움이 남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직물 파티션은 무궁 무진한 디자인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저 반복적인 패턴의 직물을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파티션 직물에 있어서도 한국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제작한다면 좀더 개성있는 공간을 창조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옛것 그대로의 모방이 아닌 새롭게 재해석하고 창조되어진 직물 파티션을 제시함으로써 조형적인 완성을 기대하고, 현대적 감각으로도 뒤떨어지지 않는 디자인을 개발하여 국제적으로도 고부가가치를 지닌 직물 파티션을 제작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Our living place has been abruptly westernized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level. Westernized life style in an apartment can give a unified and cold image, but it is a transitional phenomena that unconditionally imports and accepts western culture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As the gravity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becomes lower in the wave of information society, we get to realize the necessity of finding cultural identity. Also, Oriental, more specifically Korean, interior design is being newly appreciated, we should create more unique and humanistic space that displays traditional Korean image. Hereby,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partition textile that applies Korean traditional image as an effective way of making up an interior space. Partition means a wall that divides an interior space. As our living space becomes complex with a one-room style, we get to think of the boundary of the present space. This partition makes mental and psychological boundary possible. It also has the function of screening and decorating, and its value is becoming high. Materials used for partition are wood, paper, metal, glass, textile and plaster board. Among these, textiles have a variety of colors and texture, and they can be easily changed when dirty or damaged. Also, you can create a soft and familiar place with textiles. However, partition textiles so far has been very simple in color and design, To solve this problem, I'd like to elevate the value of partition in interior space by applying Korean image to textil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clude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ling and the examples of using it in a modern w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partition with the analysis of its function and decorative elements and third the advantage of textile partition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Creation of work based on this is a partition of a new feeling with the design of shield shaped kite and the contrast of color in a cloud-shaped texture. An enlarged version of a comb for women is applied to a partition, and it suggest a small thing can be a valuable tool of design. Also, various changes of texture and color gives a cubic sense and they are re-created as a new form of partition. As a result, I found that it is worthwhile to applying our traditional sense to modern design. Also, it is a chanc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artition as the item that makes us feel our traditional beauty in a modern space. However, the limits of following a square frame prevented me from developing more various Korean beauty, and it was difficult to make various change of tension and texture in creating various textures with a handloom. Presently released textile partition merely uses the textile of repeating patterns despite infinit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refore, using Korea traditional image in making a partition will help create more individualistic space. This study expects the completion of modeling by suggesting newly translated and created textile partition, and it is intended to give help with the creation of high value-added textile partition by developing advanced modern design.

      • 노인요양시설 적응 측정 도구 개발

        최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후, 장기요양시설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므로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Roy의 적응모형에서 4가지 적응양상을 기반으로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도구개발을 위한 초기 예비문항은 문헌 고찰과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적응에 관한 개념들을 추출한 후, Roy의 4가지 적응 양상에 따라 생리적기능, 자아개념, 역할기능, 상호의존 양상으로 118개의 문항이 분류되었다. 분류된 문항은 전문가집단의 검토과정을 거친 후 76개의 2차 예비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삼차에 걸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55개의 3차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 55개의 예비문항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32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 조사를 통해 문항의 이해도를 확인한 후, 32개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323명을 대상으로 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도구의 타당도는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로 검정되었으며, 구성타당도는 문항분석과 요인분석, 집단비교로 검정되었다. 구성된 문항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문항분석을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5가지 요인인 긍정적 태도 요인, 지지관계 요인, 심신안정 요인, 현실회피 요인 그리고 자아애착 요인으로 구성된 31개의 최종 문항이 선정되었다. 본 도구의 5개 요인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적응에 대해 53%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노인의 무료요양원 적응 척도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적응 점수가 높을수록 무료요양원 적응 척도의 점수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준거타당도도 검정되었다. 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최종 도구의 내적 일치도로 보았는데, 전체 31개 문항에 대한 Cronbach΄s α계수는 .899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인요양시설 적응 측정 도구는 우리나라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적응을 측정하는데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도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 수행 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strument that comprehensively assesses adaptation of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in Korea. The instrument development process comprised the following steps: 1. The conceptual framework was based on the Roy adaptation model. Based on the 4 adaptive modes of this model, the content domains were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and data acquired from in-dept interviews with elderly of nursing home. Those items were submitted to experts for consultation and 3th rounds of content validity evaluation, resulting in 13 factors and 76 preliminary items. A panel of experts performed 3th rounds of review on the items. Items with content validity score(CVI) greater than .8 were adopted. A total of 55 items belonging to 13 domains were generated. A 5-point Likert response scale was used to generate responses, namely, strongly agree, agree, neither disagree nor agree, disagree, strongly disagree. A total of 32 nursing home residents reviewed the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sentences used in the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m. The level of comprehension for these items was evaluated using a pilot survey, and a 55 items final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elderly residing in 32 nursing homes in Korea. This data was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3.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version 18.0 For extracting factors in the factor analysis for verifying the construct valid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Kaiser rotation was used. 4 adaptive modes, 5 factors, and 31 items were determined.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b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Items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e 31 items in five factors including 1) positive attitude, 2) supportive relationship, 3) mind and body rest, 4) escape from reality and 5) attachment to oneself, explaining 53% of the total variance of adaptat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in Korea.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assessment to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cale of Free Nursing Home Adjustment for the Elderly. 3. The Cronbach's α reliability coefficient was .899 for the overall instrument. The data indicated that the adaptation instrument of nursing home for elderly in Korea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measuring nursing home adaptation for the elderly. However, for further validity and reliability, repeated researches are needed.

      • 중국 한족의 인구이동과 소수민족사회의 변화 : 건국 초기부터 개혁·개방까지의 시기(1949-1978)를 중심으로

        최경애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건국 초기부터 개혁·개방 이전까지 한족의 소수민족지구로의 인구이동과 이로 인한 소수민족지구 내 사회변화를 고찰하는 데 있다. 건국 이후부터 개혁·개방 이전까지 소수민족지구는 한족인구의 급격한 상승을 경험하였다. 그 결과 이 지구는 사회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이에 대하여 부분적인 설명들만을 제공하여 왔다. 이에 본 논문은 신중국 성립 이후부터 개혁·개방 이전까지 소수민족지구로의 한족의 인구이동 수치와 형태, 특징을 분석하고 이로 인해 소수민족지역에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사회변화를 총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건국 이후 중국공산당은 소수민족지역에 ‘민족자치’와 ‘구역자치’가 결합된 민족구역자치제도를 수립함과 동시에 소수민족지역을 차례로 자치구로 성립시켜 나갔다. 자치구 성립 직후부터 소수민족지구로는 많은 한족의 이주가 이루어졌고 단일민족이 집중 거주하던 민족지역은 여러 민족이 잡거(雜居)하는 구조로 변화되었다. 건국 이후부터 개혁·개방 이전까지 이루어진 한족의 이주로 인해 소수민족지구에서는 한족의 인구가 소수민족을 넘어서는 지역이 많아졌다. 네이멍구자치구의 경우에는 한족이 전체인구의 80%를 차지하기도 하였다. 한족인구의 상승으로 인해 소수민족지구의 사회는 정치적·경제적·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인구비례에 따라 대표를 가질 수 있는 소수민족지구에서 한족은 소수민족보다 더 많은 대표자를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이주 한족들은 자신들만의 집거구가 있었고 한족과 소수민족의 집거구 사이에는 심각한 경제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경제적 논리에 의해 소수민족지구 내 언어와 문자의 사용, 풍속과 습관도 변화를 맞이하였다. 한어사용이 증가하고 더 나아가 소수민족의 전통적인 사회조직이 한화(漢化)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정치적·경제적·문화적 변화로 인해 소수민족사회에서는 상대적 박탈감과 반한(反漢)감정이 악화되어 민족 간 갈등의 형태로 표출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한족의 유입 이후 소수민족지구는 정치, 경제,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심각한 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개혁·개방 이후, 특히 시장경제체제의 도입 이후 시장의 논리에 의해 더 강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최경애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육시설이 영아 보육에 적절한 환경과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는지는 영아 보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영아 보육 관련 전문가들은 양적 확산에 급급했던 보육서비스의 질을 우려하며 다양한 해결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인증제의 도입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영아 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영아 보육의 질적 특성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영아의 발달 및 영아 보육시설의 특성과 사회적 요구에 적절한 평가기준 개발, 타당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우리나라의 영아 보육시설 평가에 적합한 평가기준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1-1. 영아 보육시설의 생태적 특성은 어떠한가? 1-2. 질 높은 영아보육을 위한 평가기준구성요소는 무엇인가? 2.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신뢰도 및 타당도는 어떠한가? 2-1.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신뢰도는 어떠한가? 2-2.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요인타당도는 어떠한가? 2-3.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준거타당도는 어떠한가? 2-4.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문항변별도는 어떠한가? 3. 영아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방법과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우리나라의 영아 보육시설 평가에 적합한 평가기준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영아 보육시설의 생태적 특성에 적합한 평가기준 개발하기 위하여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초안)을 이용하여 2단계의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본 연구를 거쳐 이를 수정하였다, 예비연구로 서울시 영아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 프로그램 평가 및 평가기준 대한 필요성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영아 보육시설을 참여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조사연구로 이루어졌다. 예비연구 과정을 거쳐 선정한 9개 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종사자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영아 보육시설의 생태적 특성을 제시하고 평가기준 수정하였으며, 학부모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수정안)의 평가지표에 대한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문제별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아 보육시설의 생태적 특성은 보육시설의 질을 저하시키는 장애 요인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보육실의 협소함, 영아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와 교수전략의 부족, 지나친 집단화의 문제, 성인의 비위생적인 태도, 실외놀이터와 대근육 활동 시설의 부족, 교직원의 열악한 근무 조건, 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종사자나 학부모의 폐쇄적인 태도, 영아에 대한 무리한 학습활동 등이 지적되었다. 영세한 보육시설의 현실적 조건과 이상적 기준과의 격차, 평가기준 문화적 적절성, 평가기준 지표에 대한 핵심관련 집단의 관심과 입장의 차이 등으로 인해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선정시 야기되는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2. 위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영아 보육을 위한 평가기준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영아기의 발달적 적합성, 영아 보육현장에의 적용 가능성,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문화적 맥락 등을 고려하여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건강관리, 운영관리, 지원체계의 5개 영역 구분하였으며, 19개의 하위영역, 60개의 평가기준 185개의 평가지표를 개념적으로 구성, 개발하였다. 평가기준 지표는 기본지표와 일반지표로 구분하였다. 연구문제 2: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신뢰도 및 타당도는 어떠한가? 개념적으로 개발된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타당화하기 위하여 신뢰도, 요인타당도, 공인타당도, 문항변별도를 산출하였다. 1.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평가기준 내적 합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96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영역별로 일관된 내용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2.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요인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구성한 60개의 평가기준 주요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기준 총 5개의 요인이 유의하였으나 5요인의 경우 포함된 문항이 소수이며 다른 요인에 포함시킬 수 있는 기준이었으므로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건강관리, 운영관리 및 지원체계의 4개 요인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3.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공인타당도틀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의 준거 척도(「APECP 평가척도」) ,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제」)를 이용한 공인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PECP 평가척도」와는 r=.59(p<.01)의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제」와는 r=.74(p<.01)로 보다 높은 상관을 보여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공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4.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각 문항들이 영아 보육시설을 평가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 총점의 상위 1/3집단과 하위1/3집단의 응답 자료를 순위합검정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60개의 문항 모두 검정값이 .05보다 작아 문항 변별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아 보육시설 평가기준 안)의 문항들은 영아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고 변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문제 3: 영아 보육시절의 질적 수준을 어떠한가? 영아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자체 평가기준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은 3.68로 기본지표를 겨우 충족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물리적 환경이 가장 열악하였으며, 건강관리 영역의 평균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변인별 질적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영아 전담 여부나 설립 유형과 같은 시설유형 보다는 학급수, 원아수, 주교사 대 아동비율 등의 시설 및 학급 규모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 보육의 과정적 질과 규정적 질의 중요성, 평가기준 상대적·문화적 가치와 발달적 적절성, 핵심관련 집단의 개방적 평가 풍토의 필요성, 질적 개선을 돕는 지원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Whether a nursery provides adequate environment and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care is the key factor in the quality of infant and toddler care. Experts in this area have suggested diverse solutions to improve quality of infant and toddler care service, and one of them is to adopt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program in comprehensive ways.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present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infant and toddler care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rend and precedent research on accreditation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and to develop evaluation standards that fi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ur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care center and social need, and set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fits with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1-1. How ar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1-2. What are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standards of high quality infant and toddler programs? 2. How ar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2-1. How's the credibil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2-2. How's the factor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2-3. How's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2-4. How's the item independence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3. How are the qualitative level of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Research findings on each questions and conclusion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are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fits with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This study executed a preliminary and main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evaluation standards that fits wit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lso, this study conducted two steps preparatory research by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draft), and complemented by main research. As a preparatory research, teachers at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s in Seoul were surveyed about the necessity of child care program evaluation and evaluation standards, and inspection and observance were conducted over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ounggi. The main research consisted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survey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spection and observance over the nine child care centers selected in the process of preparatory research and the FGI with the workers at the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s, ecological features of the Korean child care centers were suggested and the evaluation standards was revised. Parents and specialists were also surveyed about the necessity of criteria for the revised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by question: l. As obstacle factors reducing the quality of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facilities were suggested and contained crowded room, lack of instruction strategy, excessive grouping, lack of understanding on infant and toddler care program, unhealthy attitude of adults, no outdoor playground, bad working condition, negative attitude of professionals and parents toward infant and toddler care and too much learning activity. I have discussed some issues in select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occurred due to gap between present conditions of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nd ideal standards, cultural validity of evaluation standards and difference among focus group. 2. Based on above research, I, taking cultural context of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applicability at the field and validity of infant and toddler care period into consideration, divid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into 5 area-physical environment, care process, health car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and developed 19 sub-area, 60 evaluation standards and 185 evaluation criteria. Evaluation criteria can be divided into basic criteria and general criteria. Question 2. How ar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conceptually developed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I have checked credibility, factor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item independence, and analyzed qualitative level for each evaluation area. 1.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inner congruence level has been analyzed and proved with .96. 2. To verify the factor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60 standards were analyzed as key-factor and key-factor analysis shows that 5 factors come out of 60 standards as key-factor. Those factors are physical environment, child care process, health care,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3. To test the concurrent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I have analyzed concurrent validity using two reference measures(APECP evaluation measure, Early childhood education·Child care evaluation system). Result of the test has prov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evaluation criteria of child care center facilities with r=.59(p<.01) relevancy in APECP Evaluation measure and r=.74(p<.01)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are evaluation system. 4. To test distinction power of each item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infant and toddler programs, I have analyzed response data of two groups-1/3 of high ranking group and 1/3 of low ranking group. All 60 items have test value of less than .05, indicating each item has distinction power. Question 3. How are the qualitative level of our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Evaluation result by infant and toddler care center professionals themselves have marked 3.68 as average of entire group, which barely meets basic criteria. Physical environment has received worst score while health care has received best score. The examination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by variation factor showed that variation factors concerned with facilities and class size such as number of classes, number of accommodated infants and the ratio of teacher to infants showed greater differences in the qualitative level than the factors concerned with the facilities pattern such as the exclusive service provision for infants or foundation pattern. Based on research findings, I have discussed importance of process quality & regulation quality of infant and toddler care, relative and cultural value of evaluation standards, necessity of unrestrained evaluation atmosphere of focus group and necessity of support policy for quality improvement.

      • 중국 한족의 인구이동과 네이멍구 지역의 변화 : 청 후기부터 중화인민공화국까지

        최경애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hinese population movement and the regional changes and conflicts therefrom have been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the ethnic minority areas of mainland China since the Qing Dynasty, where the Chinese population began to increase rapidly. Unlike Tibet and Xinjiang, this paper studied the Han Chinese population movement and the integration of ethnic minorities in the Inner Mongolia region, where there was no conflict with the Chinese government on the issue of separation and independenc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future image of ‘One-China policy,’ which China consistently applies to Taiwan, Hong Kong, and ethnic minorities within China. The Han Chinese population migration toward Inner Mongolia increased rapidly in the late Qing Dynasty, peaking in the Republic of China. Throughout the Republic of China, the Han Chinese population has increased to six times that of Mongolian. The composition of the Han Chinese population, which is 6 times that of Mongolian, lasted unchanged until the tim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1949-1982), except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where it reached 7 times. In the time of the Qing Dynasty and the Republic of China, the Han Chinese population growth in the Inner Mongolia region was mainly due to migration. Simultaneousl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eriod, the natural increase of the Han Chinese, who migrated earlier, increased the Han Chinese popula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Qing Dynasty, the Han Chinese migrants in the Inner Mongolia were assimilated into Mongolian and absorbed into Mongolian society. In contrast, the Han Chinese who migrated after the middle of the Qing Dynasty gradually built their own migrant society independent from Mongolian society. The migrant society grew rapidly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rapidly changing the central and eastern regions of Inner Mongolia. The Han Chinese migrant societies scattered in the central and eastern regions transformed the cattle farming zone into agricultural zones through land reclamation and grew the city through commercial trade. The Han Chinese population prevailed overwhelmingly in urban and rural areas south of Inner Mongolia, and Mongolian was gradually pushed to the barren northern regions. The Han Chinese population spread throughout Inner Mongolia during the tim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Han Chinese, which was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and parts of the eastern region, spread to all regions due to urbaniz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each region. The regional spread of the Han Chinese population means the expansion of migrant society. The areas created through urbaniz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were filled with the Han Chinese, who developed these areas. In areas where the Han Chinese population was dominant, the Mainland's administration system gradually began to be introduced. The establishment of the prefecture, state, and county(府州縣), which increased rapidly in the mid-late Qing Dynasty, was reorganized into the Mainland Province System (行省) through a special administrative zone system in the Republic of China. The Mongolian lost control of the region as the league and banner(盟旗) System of Inner Mongolia, which the Mongolian ruled, was changed to a system governed by the migrant society and the Direct Province System(直 省) of Mainland. Mongolian's resistance for the restoration of dominance was expressed as a national movement demanding independence and a high degree of autonomy. In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Mongolian delegation and the Kuomintang, the national autonomy policy was embodied. The establishment of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in 1947 was attempted by the Communist Party, which inherited the National Party's national autonomy policy. A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and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was established as a local government of China, not an ethnic region, under the national, regional autonomy system and Party-Government Oneness. 중국인의 인구이동과 이로 인한 지역의 변화와 갈등은 중국인의 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한 청대 이후 중국 본토의 소수민족지역에서 줄곧 논란의 중심에 있어왔다. 본 논문은 티베트와 신장 지역과 달리 분리독립 문제에 있어 중국 정부와의 갈등이 돌출되지 않은 네이멍구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한족의 인구이동과 소수민족지역의 통합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이 타이완과 홍콩, 그리고 중국 내의 소수민족에 대해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는 ‘하나의 중국’의 미래상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네이멍구 지역을 향한 한족의 인구이동은 청대 후기 급속하게 증가하여 중화민국 시기에 정점에 달했다. 중화민국 시기를 거치면서 한족의 인구는 몽고족의 6배 규모로 증가했다. 한족의 인구가 몽고족의 6배를 이루는 인구의 구성은 7배에 달했던 문화대혁명 기간을 제외하면 중화인민공화국 시기(1949년-1982년)까지 큰 변동 없이 지속되었다. 청대와 중화민국 시기에 네이멍구 지역에서 보여지는 한족의 인구증가가 주로 이주에 의한 것이라면,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에는 이전 시기에 이주한 한족의 자연증가가 한족의 인구를 증가시킨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청대 초기에 네이멍구 지역의 한족 이주민들이 몽고족에 동화되어 몽고족 사회에 흡수되었던 것에 반해 청대 중기이후 이주한 한족들은 점차 몽고족 사회와 독립된 자신들만의 이주민 사회를 건설해 나아갔다. 이주민 사회는 중화민국 시기에 급속도로 성장하여 네이멍구 지역의 중부와 동부 지역을 급속하게 변화시켜 나갔다. 중부와 동부 지역에 산재한 한족 이주민 사회는 토지 개간을 통해 목축업 지대를 농업 지대로 바꾸고, 상업 무역을 통해 도시를 성장시켰다. 한족의 인구는 네이멍구 지역의 남부에 위치한 도시와 농촌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했고, 몽고족은 점차 척박한 북쪽 지역으로 밀려났다. 한족의 인구 분포가 네이멍구의 전체 지역으로 확산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에 들어서이다. 중부의 남부 지역과 동부의 일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한족은 각 지역에서 진행된 도시화와 지역 개발 정책으로 인해 전체 지역으로 확대되는 분포양상을 보였다. 한족인구의 지역적 확산은 이주민 사회의 확대를 의미한다. 도시화와 지역 개발을 통해 조성된 지역은 이러한 지역을 개발한 주체인 한족에 의해 채워졌다. 한족의 인구가 우세한 지역은 점차 내지식 행정체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청대 중후기에 급속하게 증가한 부주현(府州縣)의 설립은 중화민국 시기에 특별행정구 제도를 거쳐 내지식 성제(行省)로 개편되었다. 몽고족에 의해 통치되던 네이멍구 지역의 맹기(盟旗) 제도가 이주민 사회와 내지의 직성(直省)이 통치하는 행성(行省) 제도로 바뀌면서 몽고족은 지역의 지배권을 잃게 되었다. 국민당의 급격한 중국화와 지배권 회복을 위한 몽고족의 저항은 독립과 고도자치를 요구하는 민족운동으로 표출되었다. 몽고족 대표단과 국민당의 협상과정에서 민족자치정책이 구체화되었다. 1947년 네이멍구자치구의 성립은 국민당의 민족자치정책을 이어받은 공산당에 의해 시도되었다. 신중국이 건립된 이후 공산당의 민족자치정책은 민족구역자치제도로 전환되었다. 네이멍구자치구는 민족구역자치제도와 당정(黨政) 일체의 정치 구조 하에서 민족 지역이 아닌 중국의 지방정부로써 자리 잡게 되었다.

      • 스토리텔링을 통한 중요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를 중심으로 -

        최경애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재는 한민족의 역사와 사상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매개체로 현대사회 속에서도 고유한 정체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과거의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훼손되지 않은 범위에서 보존하는 것을 중점으로 보았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문화재 정책의 방향은 ‘원형보존’ 만이 아닌 다양한 ‘활용방안’ 을 통한 보존과 계승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예술장르를 창조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원형의 창의적 계승’ 을 통해 문화재를 활용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연은 뮤지컬과 연극처럼 대중화 된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대중들이 쉽게 접하거나 다가가기 어렵다. 또한 무용공연은 기획자의 사상과 감정을 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일반 대중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 공연예술 분야 중 매년 무용분야가 가장 낮은 관객 비율을 차지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 관객들과 원활한 소통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무용공연은 관람객을 확보하고자 해설이 있는 공연, 무용극, 스토리텔링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과 같은 무용 콘텐츠 개발을 통해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하여 활성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연예술에서 스토리텔링의 개념, 중요무형문화재의 개념과 문화재 활용정책 및 사업을 분석하고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인 <처용무>를 활용한 공연사례를 통해 무용공연작품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한 무용공연작품인 <무원>, <처용굿>, <아바타처용>의 사례를 보면 ‘원형보존’ 을 바탕으로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을 재구성 하여 전개하였다. 또한 현대적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식의 춤으로 대중들에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를 활용한 ‘처용哀歌’ 를 기획․제작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의 콘텐츠 활용을 통해 다양한 관객의 요구를 수용하고 문화적인 변용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다소 어렵고 무겁게 느껴지는 무용공연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 갈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호소통 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하여 순수예술공연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이 공연은 관객들에게 난해하게 느껴지는 무용공연도 충분히 대중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와 공연기획을 통해 공연예술 중 하나의 장르로만 인식되고 있는 무용이 여러 방면으로 활용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활성화 및 대중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중요무형문화재, 처용무, 스토리텔링, 문화재활용, 창의계승 Cultural properties are primary media showing the history and thought-stream of a nation. They have unique identity and value even in modern history. There was an emphasis on conservation of original form without damage in the past cultural property. But since 2010,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policy directions which preserve and undertake not only original form but also various activating plan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erformanc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difficult to be approached by mass people because it is not popularized contents like popular musical and drama. Besides, as dance performance transmits thought and feeling of the planner through medium of body of a dancer. There is a problem that mass people can not understand dance performance easily. The dance area of performance arts is responsible for the least percentage of audience in that it does not communicate with audience. But the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seeks to chang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such as storytelling, performance with narrative, a dance drama, in order to secure audie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ctivating plan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rough developing dance contents like storytelling. First, the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pplication policy business of cultural properties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to search an activating plan of dance performance work through a performance example using the cheoyoug dance music,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39. Second, The Cheoyong sad music was planned and produced through storytelling using the Cheoyong dance music,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39. Besides, this study is to draw the cultural change by accepting the various needs of audience through using content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duce the work where mass people could understand and approach tough and difficult dance performance through storytelling easily. This performance which was produced to activate the performance of pure art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that this tough dance performance can be popularized enough. Finally, through this study and performance planning, dance that is recognized as one of performance arts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must be the effort that activation and popularity of dance will be made in the future. keywor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Cheoyong dance music, storytelling, activating cultural asset, creative succ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