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홍루몽』의 문화소 번역 방법과 전략 분석 : 주요 인물에 대한 지칭어⸱호칭어, 관용어 그리고 성어를 중심으로

        초고월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번 논문은 『홍루몽』에서 네 가지 분류를 통해 문화소 분석 양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고유명사, 문화 특수어, 사회적 특수어, 관용어로 나누었다. 이를 대표하는 종류로 역사적 인물, 지칭어와 호칭어, 비속어, 관용어로 분류하였다. 중국은 문화적 역사적으로 가까운 만큼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에 비해 많은 유사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고유 명상의 경우 주석과 삽입을 통한 방식으로 역사적 인물에 대한 TT 독자를 위해 각주를 통해 부가적인 설명을 하고 있지만 각주를 통해 설명을 제공하는 인물에 대한 선택의 기준이 불분명하며, 주요한 인물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역시 나타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통일적 기준이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역 번역에 있어 다의어의 경우에 문맥에 따라 인물 사이의 관계에 따라 번역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칭어와 호칭어에 있어 한국과 중국은 동일한 문화권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가족과 관련된 호칭어는 다양하고 혈연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높임말과 낮잡아 부르는 말이 함께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번역 과정에 있어 대응하는 어휘를 찾아 번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비속어의 용어 선택에 있어 각각의 문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娼妇’와 같은 단어는 여성을 욕하는 단어로 사용된다. 중국과 한국에서 여자에 대한 욕은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을 나타내는 단어로 표현된다. 이는 특히 중국과 한국처럼 유교 문화권에서 가장 요구되는 덕목이었다. 하지만 이런 단어 번역에 있어 ‘화냥년’과 같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것은 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관용어와 성어의 경우에 TT 독자에게 더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의미 전달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관용어와 성어 사용에 있어 가까운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국의 관용어와 성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성어와 관용어가 없을 때는 중국어 독음을 사용하고 주석을 통해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이번 논문은 『홍루몽』 역사적 인물, 지칭어와 호칭어, 비속어, 성어와 관용어에 대한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존의 분석 중에서 중국 조선족의 번역과 한국의 전문가가 번역한 내용을 비교 분석을 통해 다양한 번역 전략이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동질성이 이질성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d the aspects of cultural analysis through four categories in 『Dream of the Red Chamber』. To this end, we divided them into proper nouns, cultural specialties, social specialties, and idioms. It is classified into historical figures, terms and titles, slang, and idioms. As China is close to cultural history, we can see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compared to translating into other languages. First, in the case of intrinsic meditation, additional explanations are made through footnotes for TT readers of historical figures in a way through annotation and insertion, but the criteria for choice of those who provide explanations through footnotes are unclear, and no explanation of key figures is m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fied standard for this. Second,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polysemantic translation, the translation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ntext. In addition, Korea and China are in the same culture, and because Korean and Chinese family-related titles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high and low terms, they can find and translate corresponding vocabulary in the translation process. Third, consideration of each cultural center is needed in choosing the terminology of slang. For example, a word like ''whore' is used as a word to curse women. In China and Korea, swearing at women is expressed in terms of 'sexually promiscuous women'. This was the most necessary virtue in Confucian culture, especially in China and Korea. However, using Korean language such as 'Hwayangnyeon' in translating these words requires consideration of cultural factors. Fourth, in the case of idioms and idioms, we need to consider ways to convey a more accurate meaning to TT readers. Considering in terms of meaning transfer, it is most effective to use Korean idioms and idioms, which have close meanings in the use of idioms and idioms. However, when there are no corresponding idioms and idioms, it is a good idea to use Chinese reading and explain the meaning through annotations.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historical figures of 『Dream of the Red Chamber』,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erms, titles, slang, and idioms. Among the existing analyses,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are us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nslation of Chinese ethnic Koreans and Korean experts, and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Korea and China is higher than heterogene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