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의미/음운 오류 특성

        채시화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Reading Fluency(RF) should be preceded to reach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the final goal of reading. RF is an integrated ability of linguistic knowledge including decoding ability and linguistic comprehension ability. The automatism of decoding is important to reach RF, and it should use both the meaning route and the phonological route described in the dual-route model for the decoding proces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ild's RF performance in detail, including errors. As grades 3rd and 4th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an important time for the development of R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F ability of children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LLD), and grasped in detail the meaning/phon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subjects of this study was 34 including 17 LLD and 17 children with typically developing(TD) in the 3rd and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city. K-CTONI-2, LSSC, and KOLRA were used to select LLD and TD, and a RF test was performed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task was two stories, which consisted of difficulty levels suitable for reading in the elementary third and four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F of the two groups by classifying it into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yllables correctly read per minute and reading accuracy by LL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D, and that they seemed to read slowly. Second,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errors. LLD with lower performance in the accurac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he total, and the meaning/phonological number of errors than TD. Third, when comparing the total error types of the two groups, it was found that TD were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that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self-correction, and addition.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rrors divided by meaning/phonological errors, in terms of meaning errors, T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self-correction, repetition, omission, and addit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repetition, omission, addition, self-correction. Regarding phonological errors, TD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addition, and omission, and LLD appeared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self-correction, omission, and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LLD have difficulty in reading accuracy and reading speed,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o RF. Also, when examining the types of meaning errors in qualitative analysis, in both groups, the two types of error were higher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and repetition. in both groups, there were many errors in different reading and reading errors repeatedly during reading fluency. Therefore, evaluation and support for automatic reading of characters in text is needed. However, the two groups differed in their self-correction, and the children with LLD had difficulty in monitoring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nderstand the text semantically. The phonological errors were in the order of repetition, substitution, and self-correction in both groups. Both groups showed difficulty in automatic and decoding, and they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spelling and phonemes. However, LLD were more likely to have self-correcting than phonological errors than meaning errors. We could see that we were able to monitor our errors in phonological units rather than in meaning uni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F characteristics of LLD of 3rd and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ied errors by dividing them into meaning/phonological errors. Therefore, when setting up the intervention plan, taking into account the meaning/phonological ability of LLD will be a positive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ir RF. 읽기의 최종목표인 읽기이해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읽기유창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읽기유창성은 해독 능력과 언어이해 능력이 포함된 언어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능력이다. 읽기유창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해독의 자동성이 중요하며 이는 해독과정에 대한 이중 경로모형에서 설명하는 의미경로와 음운경로 모두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류를 포함하여 아동의 읽기유창성 수행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초등 3∼4학년 시기는 읽기유창성이 발달하는 데 중요한 시기이므로 본 연구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유창성 능력을 살펴보고 언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음운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소재의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 17명, 일반 아동 17명으로 전체 34명이었다. K-CTONI-2, LSSC, KOLRA를통하여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선별하고 각 집단에 대하여 읽기유창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는 두 개의 이야기글로 초등 3∼4학년이 읽기에 적합한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읽기유창성을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 수, 읽기 정확률, 읽기 속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언어학습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분 당 정확하게 읽은 음절수와 읽기 정확률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글을 느리게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특성을 전체,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각각 살펴보았다. 정확률에서 낮은 수행력을 보인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전체, 의미/음운 오류 수 모두 유의미하게 많았다. 셋째, 두 집단의 전체오류 유형을 비교하였을 때, 일반 아동은 대치, 반복,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자기수정,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의미오류에서 일반 아동은 대치, 자기수정, 반복,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대치, 반복, 생략, 첨가,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음운오류는 일반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첨가, 생략 순으로 나타났고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반복, 대치, 자기수정, 생략,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읽기 정확률과 읽기 속도에 어려움을 보이므로 유창하게 글을 읽기 위한 중재 및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분석에서 의미오류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 모두 대치, 반복 순으로 두 개의 오류유형이 높았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읽기유창성 시기에도 글자를 다르게 읽는 오류와 되풀이하여 읽는 오류가 많았으므로 텍스트에서 글자의 자동적 읽기를 위한 평가 및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두 집단은 자기수정에서 차이가 났으며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적으로 글을 이해하면서 모니터링 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보였다. 음운오류 유형은 두 집단 모두 반복, 대치, 자기수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 모두 자동성과 해독의 어려움을 보였으며 철자와 음운의 대응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언어학습장애 아동은 의미오류보다 음운오류에서 자기수정이 더 높았다. 이는 의미적 단위보다 음운적 단위에서 자신의 오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3∼4학년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유창성 특성을 살펴보고 오류를 의미/음운 오류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재 계획을 설정할 때 언어학습장애 아동의 의미/음운 능력 특성을 고려한다면 읽기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