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판 치위생(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채성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한국어판 치위생(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Dental hygein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Handicapped Scale: DSATHS)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해 번안 과정을 거쳐 한글 번역판을 완성하였다. 번안된 DSATHS를 바탕으로 국내 상황에 맞게 문항을 추가 또는 수정하였다. 번역 및 전문가 검토 결과로 번안된 도구는 47문항이었다. 설문도구의 내용 타당도 확인을 위해 치위생학과 교수 4인이 검토하였고, 장애인 진료 경험이 있는 치과위생사 6명이 내용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내용 타당도 확인 시 47문항 모두 CVI 0.83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 분석 결과, 총 47문항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검증되었다. 내용 타당도 검증을 거친 DSATHS를 치위생학과 4학년 학생 39명에게 사전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47문항의 도구를 확정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장애인 대상자 구강위생관리 및 교육’, ‘장애인 관련 실습’, ‘장애인에 대한 교수의 인식’,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장애인 관련 교육 경험’의 5개의 요인으로 총 문항수는 38문항으로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RMR .050, GFI .702, AGFI .732, CFI .774, RMSEA .089로 측정되었다. 8개교의 치위생(학)과 3, 4학년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내적일치도(chronbach α)는 .723~.952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631~.698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p<.01). 이를 통해, DSATHS는 신뢰성이 있는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장애인에 대한 치위생(학)과 학생의 태도(DSATHS)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증되고,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는 도구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DSATHS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ranslate 'Dental hygien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handicapped scale(DSATHS)' and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 DSATHS, through an adaptation process, a Korean version was completed. Based on the adapted DSATHS, questionnaires were added or modified for the domestic situations. The adapted tool as a result of translation and professional review was composed of 47 questionnaires. In order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urvey tool, four professors of dental hygiene school reviewed it, and six dental hygienists who had an experience of treatment of the disabled tested its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all 47 questionnaires were measured at 0.83 CVI or higher. With the DSATHS that went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on 39 senior students in dental hygiene school, and finally, a tool with 47 questionnaires was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five factors, ‘dental hygiene care and instruction for the disabled’, ‘practical training related to the disabled’, ‘professor’s perception of the disabled’, ‘interaction with the disabled’ and ‘educational experience related to the disabled’ a total of 38 questionnaire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MR was measured at .050; GFI at .702; AGFI at .732; CFI at .774; and RMSEA at .089.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with 319 juniors and seniors in the eight Dental hygiene schools, and as a resul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was .723-.952,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631-.698, which was high reliability (p<.01).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the DSATHS was a reliable tool. Conclusions: The validity of the DSATHS was verified, and it was found to be a tool with high reliability. Based on this study, the DSATHS can measure dental hygien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n a program on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Key words: the disabled, dental hygiene students, reliability, validity

      • 사회복지기관의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채성현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윤리경영의 수준을 파악하여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사회복지 기관의 윤리경영과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36개소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총 346명의 사회복지사에게 우편과 방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결과 30개 사회복지관으로부터 29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276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기관에서 실행되고 있는 윤리경영 수준에 있어 전체 윤리경영 수행 정도는 3.24점으로 보통수준보다 높았으며 그 가운데 기관장의 윤리경영 의지가 3.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이해관계자 동참이 높게 나타났으며, 윤리경영시스템 구축과 윤리경영 평가 및 개선, 윤리교육 및 훈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이 인식하는 조직몰입 수준에 있어서는 전체 조직몰입이 3.47점으로 대체로 높았으며 그 가운데 정서적 몰입이 3.7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경영 선도기관 육성사업에 참여한 기관과 비참여 기관의 윤리경영 수준과 조직몰입 수준을 비교한 결과 참여기관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윤리경영 수준이 참여하지 않은 기관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수준보다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윤리경영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윤리경영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기관장의 윤리경영 의지와 윤리경영 평가 및 개선, 이해관계자 동참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이상에서 윤리경영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향후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하여 신분보장, 처우개선과 함께 사회복지 기관의 윤리경영 도입과 정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및 사회복지 기관에 적합한 윤리경영 모델의 지속적인 개발과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y and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urvey research, 346 social workers from 36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eyongGi were selected.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questionnaires by visitation and mail, and then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 agencies. Among them, 2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 program of SPSS 13.0.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welfare agencies' ethical management was 3.24(of 5.00) in average, which is fairly high. Among the sub-dimensions, 'the strong willingness of Director(CEO) to adopt ethical management' was the highest at the level of 3.75(of 5.00), and 'participation of interested group to ethical management', 'establishment of ethics management system' and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were followed in regular sequence. Second, the to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relatively high at the level of 3.47(of 5.00) among the cognition results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results, 'affective commitment' was the highest at 3.71(of 5.00). The cognition levels of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were followed. Third, the level of the ethical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high at the social workers of participation agencies in the upbringing project for the guidance agency of ethical management against those of no participation agencies. The participated agencies' social workers had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ethical man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of not participated. Finally,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ethical management of welfare agency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at the higher level of the ethical management might bring th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tail, 'the strong willingness of Director(CEO) to adopt ethical management',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thical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of interested group to ethical management' may lead the positive effect of significant dimen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found that the ethical management was important dimension to improv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urt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ocial workers, the systematic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induction and settlement of th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agencies. And it is regarded that the continuo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ideal model for the ethical management is also important in company with a guarantee of status and better treatment for the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