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궁중책가도(宮中冊架圖)에 나타난 도자기물(陶瓷器物) 연구

        차예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궁중책가도에 나타나는 다종다양한 도자기물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각 기물들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책가도는 조선후기 왕실에서부터 민간까지 폭넓게 애호되었던 장식화로, 궁중책가도는 궁중화원에 의해 제작되어 소용된 책가도를 말한다. 기존 책가도 연구는 회화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향이 있고, 공예사적 관점에서는 책가도 속 일부 기물들을 실물과 비교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물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여 도자기물을 중심으로 회화 자료, 기록 자료, 실물 자료를 함께 살펴보며 다층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현재 인장이 발견된 책가도, 즉 장한종과 이형록이 제작한 11점의 궁중책가도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궁중책가도가 제작되어 성행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서 조선후기의 사회문화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에 접어들며 명말 문인문화가 국내로 유입되고, 관련된 청완품들이 문인들을 중심으로 애호되기에 이른다. 동시에 청대 자기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조선으로 수입되어 향유되었다. 조선후기 문인들은 각종 문방청완품을 수집하고 진열하는 한편 향문화, 차문화, 화훼문화 등 취미를 즐겼다. 이때 수집과 향유의 대상이 되었던 청완품들의 종류는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기물들과도 일맥상통한다. 명·청대 중국에서는 문인문화와 고동취미가 부상하면서 박고청완품의 이미지 또한 널리 확산되기에 이른다. 청 황실에서는 황실 소장품들이 그려진 회화가 제작되었고, 청완품들을 향유하는 인물들을 그린 회화도 그려졌다. 박고청완품들은 그 자체로 이미지화 되어 박고제재 연화나 공예품, 도자에도 그려져 활발하게 유통되었다. 이러한 박고 이미지들은 궁중책가도 속 기물 이미지들과도 일부 연관성이 추측되어 참고할 필요가 있다. 조선후기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듯 정조대 자비대령화원의 녹취재에는 ‘문방’ 항목이 새롭게 추가된다. 장한종과 이형록은 문방 그림에 두각을 나타내었으며 책가도를 제작하였다. 두 화원들의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기물과 형식은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이형록이 말년 개명한 이름인 이택균 은인의 책가도에서는 폭 수와 기물의 수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파악된다. 궁중책가도에 나타나는 도자기물은 전 작품들에 걸쳐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수량적으로도 그 비중이 크다는 점에서 연구 대상으로서 중요성을 가진다. 대부분 청대 자기들로 추정되며, 본고에서는 우선 전반적인 도자기물들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제작 기법과 문양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제작 기법은 단색유 자기, 가요 자기, 유상채 자기로 수렴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단색유 자기는 색이 있는 도자기에 대한 조선후기의 새로운 수요와 애호를 보여주는 이미지로서, 화려함과 다채로움을 상징하는 자기로 그려졌다. 가요 자기는 복고적 아취와 고풍스러움, 문인적인 고아함을 표출할 수 있는 기물로 애호되어 궁중책가도에 주요한 도자기물로 등장하였다. 유상채 자기는 가장 화려하게 표현된 도자기물로 법랑 자기 또는 분채 자기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한편 문양은 이룡문, 화훼절지문, 화문이 빈번하게 시문되었다. 이룡문은 중국에서 황실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양으로 조선에서 또한 상류층을 상대로 제작된 고급 기물들에 나타난다. 화훼절지문은 청대 자기들에서 유사한 문양이 다수 발견되며 화병 이미지에 자주 시문되었다. 화문은 꽃잎이 강조된 형태로, 저병과 자주 조합되었다. 다음으로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도자기물들의 기종과 기형을 분류하여 분석해보았다. 궁중책가도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대표적인 도자기물들은 총 일곱 가지범주로 정리할 수 있다. 병, 잔·완·발, 반, 호, 문방기물, 저병, 의흥 자사호로 기물의 종류가 구별되며, 각 기물 안에서 유형이 세분된다. 마지막으로 궁중책가도 속 도자기물 이미지에 대한 파악과 분석을 바탕으로 기물들의 특징과 의미를 도출하였다. 도자기물에 반영된 특징은 총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조선후기의 화훼문화, 둘째 골동 및 문방청완문화, 셋째 차와 향문화, 넷째 조선후기 백자와의 관계이다. 화훼문화와 관련된 기물로 화병과 수선화 수반을, 골동·문방청완문화를 반영하는 기물로 고식병과 자기제 문방기물들을, 차와 향문화가 나타난 도자기물로 의흥 자사호와 저병을 살펴보았다. 복숭아형 연적과 화문 백자들을 통해서는 조선후기 백자와의 관계를 유추하였다. 먼저 화훼문화와 관련된 기물인 화병은 명말 병화문화 및 화훼취미와 연관된 기물이다. 이미지 가운데 품등이 높은 화병에 속하는 가요 화병과 고동 화병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화훼의 품종 또한 중국과 조선에서 선호되던 종류로 나타났다. 조선후기 문인들 사이에서 성행했던 화훼취미와 병화론이 화병의 이미지로 나타났다고 본다. 한편 ‘수선화+수반’ 이미지의 결합은 궁중책가도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도상이다. 수선화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조선후기의 유행과 이를 수경재배하기 위한 자기제 수반이 궁중책가도의 이미지로도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골동 및 문방청완문화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기물로는 고식병과 자기제 문방기물들을 살펴보았다. 고식병은 고동기인 고(觚)의 외형을 방제한 병으로 붉은 산호 가지, 공작 깃털과 전형적으로 결합되어 문인적인 상징성과 길상성 모두 표출할 수 있는 도상이었다. 한편 자기제 문방기물은 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조선후기 대표적인 청완품으로서, 궁중책가도에서는 수승·가요 필통·복숭아형 연적으로 나타났다. 모두 조선후기 자기제 문방기물의 활발한 향유와 문인들의 애호도를 짐작할 수 있는 품목들이며 화면에서는 문방기물들끼리 조합되어 그려졌다. 조선후기 차문화와 향문화를 반영하는 궁중책가도 속 도자기물은 의흥 자사호와 저병이 있었다. 자사호는 의흥 지역의 자토로 제작되어 뛰어난 기능뿐만 아니라 문인적인 가치가 투영된 다구였다. 명·청대 명성을 얻은 자사호는 조선에서도 애호되어 차문화를 즐기던 문인들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저병은 분향기물의 일종으로서 향로 및 향합과 함께 조합되어 나타났다. 의례 등의 실용적인 목적뿐 아니라 좋은 향을 피워 흥취를 즐기려 했던 조선후기의 확장된 향취미를 반영해주는 기물이라고 생각된다. 조선후기 백자와의 연관성이 보이는 기물로 복숭아형 연적과 화문 자기들을 살펴보았다. 복숭아형 연적은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도자기물 중 거의 유일하게 조선에서 제작 및 사용된 품목에 해당한다. 조선후기에 서왕모의 복숭아 도상이 인기를 얻어 공예품의 제작에 복숭아 도상이 응용되면서 탄생한 문방기물로, 문인들 사이에서 가장 애호되던 자기제 문방구 중 하나였다. 이러한 선호도가 궁중책가도 속 도상으로서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화문은 일부 조선후기 백자들에 시문 및 장식된 문양들에서 유사한 양상이 보여 연관성이 추측되었다. 특히 향, 차, 화훼취미 등 문인문화와 연관된 고급 자기들에서 화문이 나타나 궁중책가도 속 도자기물들의 특징과도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보였다. 이상으로 궁중책가도에 나타난 도자기물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자기물들의 특징과 조건을 세 가지로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궁중책가도 속 도자기물들은 희소성을 가지고 있는 기물들이었다. 중국에서도 진귀하고 값비싸게 여겨졌던 각종 고동청완품들이 책가도 속 기물로 등장하였다. 해당 기물들을 쉽게 소유할 수 없는 현실 하에, 책가도의 주문자들은 이를 이미지로 소유하면서 자신의 안목과 식견을 표출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두 번째는 문인적인 가치가 투영된 도자기물이 등장하였다는 것이다. 각종 문방기물들과 문인에 의해 제작된 의흥 자사호가 나타난 한편, 문인의 고아한 취미로 여겨진 향·차문화와 화훼문화가 책가도 속 도자기물 이미지에 반영되었다. 책가도는 문인적인 소양을 표출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식성과 길상성이 있다. 공간을 장식하고 이상적인 서재를 꾸미는 용도로 활용된 책가도는 화면 속 다채로운 도자기들과 화훼, 과일 도상을 통해 장식적이고 길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궁중책가도에 등장하는 도자기물들을 다층적으로 살펴보는 한편 도자기물들이 투영하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변화,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향유도 논의하고자 하였다. 궁중책가도의 화면에 배치된 여러 도자기물들을 모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함께 제시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various images of ceramic objects drawn in Chaekgado, produced in royal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aims to categorize the images of the ceramic objects and discover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reflected within them. Chaekgado is a decorative genre of painting produced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ranging from the Joseon royal court to the folk society of the late Joseon. Among them,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Chaekgado paintings produced by the artists belonged to the royal court of Joseon. The study seeks to extend the discussions made in previous studies about Chaekgado, incorporating various written records, paintings, and relics of both China and Joseo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eleven pieces of Chaekgado produced by Lee Hyong-nok(李亨祿) and Jang Han-jong(張漢宗), who both were court artists of late Jose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rove the culture of the late Ming Dynasty scholars to spread among Joseon scholars' society. The material world of tea culture, incense culture, floriculture, and collecting antiquities was introduced from China to Joseon. With this flow, the upper class of Joseon, including scholars, became interested in the new tastes and tried to acquire related objects such as Chinese antiquities, bronze vessels, ceramics, and playthings, referred to as ‘Qingwan(淸玩)' objects. These objects are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mages of objects shown in the Chaekgado paintings.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the images of Qingwan objects were widely depicted in various paintings and craftworks, such as paintings of the Qing imperial court, New Year pictures(年畵), furniture, and porcelains. These object images called ‘Bogu(博古)’ share similarities with the objects depicted in Chaekgado as well. King Jeong-jo(正祖) established the Jabidaeryeonghwawon(溠備待令畵員) system, which recruited special artists through tests. The subject of ‘Munbang(文房)' was newly added to the evaluation called Nokchwijae(祿取才), reflecting King Jeong-jo's interest in scholarly objects and antiquities. Chaekgado was also one of the paintings related to the subject of Munbang. Lee Hyong-nok and Jang Han-jong are said to be outstanding in this subject. Among the object images depicted in Chaekgado, various ceramic objects appear consistently and repeatedly as typical iconographic imag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nalyzing these images is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haekgado. Most of the ceramic objects in the Chaekgado paintings of the royal court are revealed to be ceramic pieces originating from the Qing Dynasty.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types of ceramic objects in Chaekgado, considering techniques, patterns, and shapes, and investigates various aspects of the images. First of all, the types of techniques in manufacturing ceramic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ingle-color glazed ware(單色油), Ge ware(哥窯), and overglaze decoration ware(油上彩). Single-color glazed ware reflects the new demand of Joseon people for colorful ceramic objects. Ge ware represents antiquity and scholarly value, making it beloved by scholars. Overglaze decoration ware indicates enamel wares or famille rose wares, which are among the most luxurious objects depicted in ceramic images. The patterns drawn on the ceramic objects are divided into the ‘hornless dragon(螭龍)' pattern, incised flower and branch(花卉折枝) pattern, and flower pattern.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represents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imperial court in China. In Joseon, this pattern was also primarily applied to high-quality craftworks made for the upper class. The incised flower and branch pattern can be easily found in Qing enamel(珐琅) wares and famille rose(粉彩) wares. Lastly, the flower pattern is often combined with images of incense vases(筯甁) in Chaekgado. Next, the types of ceramic images that appear consistently in Chaekgado can b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bottles, cups·dishes·bowls, plates, jar, scholarly stationery, incense vases, and Yixing Zisha teapots(宜兴 紫沙壺). This study focused on specific aspects of each type of image and attempted a detaile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images of ceramic objects, this study deduc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reflected on those objects in Chaekgado. Four main characteristics emerged as a result. Firstly, the ceramic objects show the floriculture of the late Joseon. Secondly, enjoying antiquity and Qingwan culture is reflected. Tea culture and incense culture are the third characteristics shown in ceramic objects. The relation between the ceramic object images and the white porcelain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last characteristic found in Chaekgado. Flower vases and narcissus flowerpots were the images that reflected a development of Joseon’s floriculture. Ge ware and ancient bronze were considered ideal materials for flower vase in late Ming culture. In Chaekgado, these two types of vases appeared most frequently among flower vases, reflecting the preference. The flowers in the vase were also popular in both China and Joseon. The image of narcissus and the flowerpot represent the fascination with narcissus shared by scholars and the upper class of the late Joseon. Additionally, ceramic flowerpots were produced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floriculture in late Joseon. The images of antiquities and scholarly objects reflect the Qingwan culture of late Ming. Among them, Gu vessel(觚式甁) images are typically combined with red coral reef and peacock feathers. The icon could imply scholarly values and good fortune simultaneously. Ceramic scholarly stationery, including small waterpots, Ge ware pencil cases, and water droppers, always appear together as a certain set of stationery in Chaekgado screens. They reflect the preference for scholarly items and the culture of enjoying, displaying, and discussing such items in late Joseon. Yixing Zisha teapots and incense vases are the images that reflect the tea culture and incense culture of the late Joseon. Zisha teapots gained popularity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due to their outstanding functionality and scholarly characteristics. In Joseon, Yixing Zisha teapots also spread among scholars who enjoyed tea and tea culture. Incense vases were used with incense burners and lacquered boxes, so their images were often shown together on the scr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ople started to enjoy burning incense as a hobby. The image of incense vases thus reflects the new usage of incense enjoyed by Joseon people. Peach-shaped water droppers and flower pattern ceramic objects are the images that show a connection with the white porcelain of late Joseon Dynasty. Peach-shaped water droppers can be considered as the only ceramic objects originated in Joseon, not Ming or Qing. The icon of the peach gained popularity among late Joseon people due to its meanings of longevity and fortune. Peach-shaped water droppers were made to symbolize such values and were widely loved by scholars. Flower pattern images drawn in Chaekgado are similar to patterns found in white porcelains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attern is often seen in white porcelains related to scholarly hobbies, such as tea cups and saucers, incense burners, flowerpots, and vases, indicating a relevance to Chaekgado's objects as well.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ceramic objects in Chaekgado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of all, the ceramic objects in Chaekgado are highly scarce. Antiquities and Qingwan objects, which were also considered rare and expensive in China, appeared in Chaekgado as ideal objects. People of Joseon could express their tastes, wealth and knowledge through owning Chaekgado, which included images of such rare objects. Next, the ceramic objects in Chaekgado represent an identity as a scholar. Alongside books and stationery, objects used to enjoy scholarly hobbies such as incense burners and Yixing teapots made by scholars, were always depicted in the Chaekgado screens. Lastly, the ceramic objects in Chaekgado are decorative and imply good fortune and virtue. Chaekgado was often used as interior decoration, allowing for the enhancement of the displayed space. Various ceramic items added colorful impressions to Chaekgado, and the images of fruits on ceramic plates could imply wealth, longevity, and good fortun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ages of ceramic objects appearing in the Chaekgado of royal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scussing the sociocultural changes of the time and the perception of material culture projected by the images.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images of ceramic objects on the screen of Chaekgado and build a basic database for future studies about Chaekgado.

      • 양계초(梁啓超) 교육 관련 연설문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차예림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梁启超是中国近代著名的启蒙思想家。他主张中国应该自主变革、育才强国,十分重视教育。 本文以梁启超关于教育的三篇演讲词为研究对象,从西方修辞学的角度进行了分析。通过对单词使用、句子结构或语气等语言学特征的修辞学分析,了解演讲词具有怎样的效果。把握以传达特定主张为目的的演讲词的逻辑结构,分析演讲者主张的妥当性和论据的一贯性。 这三篇演讲词分别为:1917年3月受中国教育部邀请为教育部主要人士进行的演讲—《莅教育部演词》、1922年12月27日为苏州学生联合会进行的演讲—《为学与做人》、1922年8月6日在东南大学为暑期学校学员进行的演讲—《学问之趣味》。 西方修辞学的体系大致由“联想(Inventio)”、“排列(Dispositio)”、“表现(Elocutio)”、“记忆(Memoria)”、“发表(Actio)”五个部分组成。但由于本文的研究对象没有影像资料,只存有纯文本,因此本文仅从“联想”、“排列”、“表现”三个部分进行了分析。 研究结果综述如下: 第一、在修辞学的第一阶段“联想”中,本文了解了修辞状况和演讲者梁启超以及听众的背景。梁启超的演讲向听众提及教育问题,并提出今后应具备的态度或具体实践方案,从这一点来看,他的演讲并非法庭演讲或仪式演讲,而属于政治演讲的范畴。梁启超引用中国历史上有名人士的名言警句,揭示原因和结果,利用其中的关联来主张自己的意见,增强了合理性。 第二、在“排列”部分,演讲的结构分为了四类。从各个结构中可以找到核心特征,梁启超对自己的主张进行了逻辑性的阐述,引起了听众的注意,具有说服力、可信度、合理性。 第三、在“表现”部分,分析了梁启超在演讲中主要使用词汇的出现频率和修辞手法。因为是有关教育的演讲,所以反復使用了“教育”一词。另外,从整体上看,经常使用“社会”、“儿童”、“学生”、“教育家”、“朋友”、“人类”等身边人或具有共同体特性的词汇。除此之外,还反復使用了“宇宙”、“仁者”等抽象的词汇,修辞手法大致可以找到9种。由此可以看出,梁启超很好地强调了自己想要传达的含义,并明确地表达了出来。 通过对本文中梁启超演讲词的分析,我们对梁启超的教育思想有了大致的了解。他让我们明白真正的学习是怎样的,让我们思考今后对教育应有的态度以及发展方向。进而了解对教育问题的多种视角,助力于探索教育领域现存问题的解决方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