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중ㆍ고등학생의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차상운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y in the five day a week schoolwork schedule in secondary education Sang-Un Cha Major of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Youth culture depends on the teenagers’ diverse cultural activities. In our country, most teenagers go to school(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eir cultur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chool life. And their school life is extremely simple because it is carried on around college entrance exam for college-bound high school and around technology education for specialized-program high school. Currently, the content of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and present condition of their effect show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n positive aspect,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contribute to facilitate any activity for nurturing a sound character such as by developing their potential, cultivating insufficient learning ability, engaging in hobby or sports, etc. However, on its negative aspect, increased time for leisure, when not properly used, is leading to affect teenagers unfavorably with many kinds of juvenile crime of delinquency. What matters here is that teenagers attending school should be led to use given leisure time for building adaptability to cultivate character as well as independent schoolwork through stable emotional life and to become the right member of a future society. From March, 2012, 5-days-a-week school is going to be enforced giving teenagers two successive days of leisure time each week, on Saturdays and Sundays. This leisure time can be used in a desirable and healthy manner, while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it can expand the negative side such as juvenile crime or delinquency. This thesis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leisure activities allowed by the 5-days-a-week school enforcement with an aim to find problems and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urvey of teenagers’ leisure activities by 5-days-a-week school system showed a big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with a very poor reality in need for opening diverse Saturday programs. Second, a considerable dissention was found on understanding the current leisure activities by opening for 5-days-a-week school system among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esented: First, pay more attention to the opposing opinions among students and teachers and among students’ parents on 5-days-a-week school system. Shed daringly the structure of subject-oriented school class against the problem of increasing number of required class hours and decreasing time of vacations. Second, education authoritie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strengthen publicity on teenagers’ leisure program and spare no support for expanding facilities as well as providing sites so that diverse leisure activity programs may be developed to allow teenagers free activities with the minimum of their economic burden. Third, it is essential to look at all matters from the teenagers’ place, expand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facilities suited for teenagers, and dispose professional guides at schools, facilities and sites who can help teenagers to solve their problems on their own. 청소년문화는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 활동에 좌우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중ㆍ고등학생들인 청소년층의 대부분은 학교를 다니기 때문에 그들의 청소년문화는 학교생활의 영향이 크다. 그리고 중ㆍ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은 인문계고의 경우 입시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성화고의 경우에는 기술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매우 단조롭다. 현재 청소년 여가활동의 내용과 그 영향의 실태를 보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청소년의 여가활동은 자신의 잠재력 개발, 부족한 학습능력의 배양, 취미활동이나 스포츠활동 등 건전한 전인격의 함양에 기여하는 제반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는 측면을 말한다. 그러나, 부정적인 측면에서 늘어난 여가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오히려 청소년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청소년 범죄나 청소년 비행 등이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청소년기를 중ㆍ고등학교 청소년들은 주어진 여가시간을 안정된 정서생활을 통해 학습활동은 물론 인격 수양을 함으로 올바른 사회로 갈 수 있는 적응력을 키워야 한다. 2012년 3월 부터 주5일제 수업이 시행됨으로 인해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을 연속하여 청소년들에게 여가시간이 주어진다. 이 여가시간이 바람직하고 건전한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는 측면도 있지만, 청소년 범죄나 비행 등 부정적인 방향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중ㆍ고등학생인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주5일 수업제 시행으로 인한 여가활동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수업제로 인한 초ㆍ중ㆍ고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에 지역별로 큰 차이가 있었고 다양한 토요 프로그램 개설이 요구되는 매우 열악한 현실에 처해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주5일 수업제의 실시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 학생들과 선생님들, 그리고 학부모님들 간에 현재의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상당한 의견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몇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수업제에 대해 학생들, 선생님들, 그리고 학부모들 상호간에 상반되는 입장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주5일 수업제로 인한 수업시수 연장문제와 방학이 줄어드는 문제에 대해 교과중심의 학교수업의 구조를 과감하게 탈피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들이 즐겁고 유익한 휴무일을 맞이할 수 있도록 여가 프로그램 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나 지역사회에서 장소제공은 물론 시설확충에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셋째, 모든 사안에 대해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청소년층에 맞는 건전 여가활동과 질 높은 시설확충은 물론 청소년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학교나 시설이나 장소에 대한 전문지도자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