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and Interaction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s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진지성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정보 기술과 인공 지능의 광범한 사용으로 인해 인류는 정보 시대에 진입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켰다. 원격 교육, 온라인 학습 플랫폼 및 특색 있는 교육 도구는 전통적인 교육 방식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학습자들의 온라인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가 점차 원격 교육 분야의 연구 중심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준비와 상호작용이 학습 플랫폼의 지속적 사용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편의 추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표본은 중국의 강서성(江西省)과 안후이성(安徽省)에 위치한 세 개의 사범대학에서 수집되었다. 유효표본은 1,523명이며 모두 온라인 학습경험이 있는 사범대학교의 학생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 도구는 온라인 학습 준비 척도, 온라인 학습 플랫폼 사용 만족도 척도, 온라인 학습 플랫폼 지속 사용 의도 및 상호 작용 행동 척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온라인 학습 준비도, 온라인 사용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위 변수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 학습자-교사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의 유효 표본만을 코딩 작업을 진행하여 SPSS 23.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유의수준(α)을 0.05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사범대학교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준비는 온라인 학습플랫폼의 지속적 사용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사범대학교 학생의 온라인 학습 준비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의 사용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국사범대학생 온라인 학습플랫폼 사용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국사범대학교 학생의 온라인 학습플랫폼 사용 만족도는 온라인 학습 준비가 온라인 학습플랫폼의 지속적 사용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분적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은 온라인 학습 준비, 온라인 학습 플랫폼 사용 만족도 및 지속적인 사용 의도 간의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여섯째, 학습자-교사 상호작용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온라인 학습 준비, 온라인 학습 플랫폼 사용 만족도 및 지속적인 사용 의도 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는 온라인 학습의 준비, 상호 작용, 사용 만족도와 지속적인 사용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제시하였다. 온라인 학습 환경 중에서 중국 사범대학교 학생의 온라인 학습의 지속적 의지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 준비 (학습 태도, 정보 기술 소양, 행동 습관 등)를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은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 과정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얻고, 온라인 학습의 지속 의지를 향상하게 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온라인 학습 과정 중 학생과 온라인 학습 환경의 상호 작용을 중시하여,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만족도와 지속 의지를 한층 더 향상하게 시켜야 할 것이다.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ushered humanity into the Information Age, bringing significant transformations to the field of education. Innovations such as distance education, online learning platforms, and specialized teaching tools have disrupt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his trend,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learners for online learning has gradually become a focal point in the research of the field of distanc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and interaction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using online learning platforms. Based on relevant existing studies applicable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employed a survey questionnaire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Samples were conveniently selected from three normal universities in Jiangxi and Anhui provinces in China, resulting in a valid sample of 1,523 normal university students with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The survey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 Online Learning Readiness Scale,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Usage Satisfaction Scale, and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continuance intention and Interaction Scale. By analyzing the survey data,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usage satisfaction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usage satisfaction. It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variables by learner-content interaction,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with respect to their Moderating role. In addit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coding was conducted only on the collected valid sample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3.0 and AMOS 26.0 programs, with a significance level (α) set at 0.05.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Online learning readiness of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ontinuance intention online learning platforms; (2) There is a direct positive effect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on usage satisfaction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3) Usage satisfaction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by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hem; (4) Usage satisfaction of online learning platforms by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partially mediates the positive effect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online learning platforms; (5) Learner-content interaction moderat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online learning readiness, usage satisfaction of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and continuance intention; (6)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online learning readiness, usage satisfaction of the online learning platform,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summarize, this study reveal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nline learning readiness, interaction, usag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which provides insights for enhanc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online learn among Chinese normal university students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cludes that cultivating students' good online learning readiness (including learning attitudes,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nd behavioral habits) can help students achieve higher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process and can improve their continuance intention in online learn. During the online learning process, it is also essential to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onlin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