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 신체 관용어의 은유·환유 연구 :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를 중심으로

        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고에서는 인지언어학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의 은유·환유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념적 은유 이론은, '은유'를 단순한 언어 대치 현상으로 바라보던 기존의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며, '은유'란 신체화된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된 인지적 과정의 산물이라고 규정한다. 이러한 개념적 은유 이론에서 관용어는 死隱喩로 취급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관용어는 특정 문화군에서의 언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개념적 은유·환유 과정을 거쳐 생성된 것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관용어는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이다. 기존의 은유 연구에서 신체 외부 기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일어난 것과 달리 신체 내부 기관과 관련된 논의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Ⅰ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본고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관용어 연구들을 검토하여 관용어에 대한 개념 규정과 범위를 설정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Ⅱ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은유와 환유에 대한 연구와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관용어 개념을 살펴, 본고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의 은유와 환유는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로 명명된다. 은유와 환유는 단순한 시적 수사의 한 방법이 아닌 일상의 언어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발견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낱말의 차원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개념을 형성하는 인지적 사고 과정의 기제이다. 관용어는 이러한 개념적 은유·환유 과정을 거친 언어 표현이 오랜 시간을 거쳐 관습성을 띠게 된 것이다. Ⅲ장은 신체 내부 기관 관용어의 은유·환유 양상을 밝히고 있는 부분이다. 기존의 논의들이 외형 신체어의 개념적 은유 양상을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 있다거나 신체 내부 기관 관용어를 환유로만 취급하여 소홀히 다룬 것에 문제를 제기하고 신체 내부 기관 관련 관용어의 개념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은유 양상으로 존재론적 은유와 지향적 은유, ‘주체-자아’은유, 감각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존재론적 은유에서 [추상적 실체는 몸], [감정은 불], [추상적 실체는 몸속 내용물], [추상적 실체는 사물/사물화된 몸의 상태], [추상적 실체는 동물화된 신체 내부 기관의 상태]라는 은유를, 지향적 은유에서 [화는 위], [진정함은 아래], [놀람은 아래]의 은유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주체- 자아’은유 中 [부모로서의 주체와 아동으로서의 자아] 은유와 감각은유 中 [음흉함은 검은색], [시원함은 상쾌함], [부정적인 것은 구린 냄새]라는 은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환유 양상은 ‘부분-부분’ICM의 인과관계ICM에 속하는 [감정의 생리적 반응으로 감정을 대신함] 환유와 ‘부분-전체’ICM의 [부분으로 전체를 대신함]환유로 나뉘었다. 은유 양상에 수렴되는 영상 도식으로는 그릇 도식, 수직성 도식, 부분-전체 도식, 균형 도식, 중심-주변 도식이 있었으며, 환유 양상에 수렴되는 영상도식으로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전체’ 도식과 ‘연결 도식’, ‘균형 도식’이 있었다. Ⅳ장은 결론으로서 위의 논의를 종합하고 요약하였다. In this study, an aspect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as clarified precisely based on the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of the cognitive philology. With throwing a doubt on the established theory considering a "metaphor" as a simple "language substitutes", it is provided in the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that a "metaphor" is a result of the conceptional cognitive process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In this conceptional metaphor theory, idioms are not treated as a "dead metaphor". Judging from this meaning, idioms are formed through the conceptional metaphor and metonymy proces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in a certain culture. Idiom as an object of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ex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However, studies on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are very limited. That is reason to select that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chapter I, a subject, objectives, and a method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respectively. Moreover, I set up the conceptional prescriptions and boundary of idioms through the review of established studies on idiom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this study were prepared by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metaphor", "metonymy", and "idiom"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ognitive philolog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metaphor" and "metonymy" can be called the "conceptual metaphor" and " conceptual metonymy", respectively. The metaphor and metonymy are not simple poetic rhetorical methods. On the contrary, they have been using lively as everyday words in practical verbal lives. This means that the metaphor and metonymy are mechanism of the cognitive thought process forming Korean people’s way of thinking and sociocultural features over the matter on simple word levels. Among the metaphors formed through this process of conceptional metaphor and metonymy, a certain metaphor became idiom due to the accepted usage. In chapter III, the aspects of the metaphor and metonymy for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ere investigated. The existing studies were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conceptional metaphor of the idiomatic ex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and dealt lightly with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ith the aspect of the metonymy only. Accordingly, I studied on the conceptional aspects of the metaphor and metonymy of the idiomatic internal parts of the body terms with putting the established studies in question. The aspects of the metaphors such as the ontological metaphor, ‘orientational’ metaphor, ‘the subject-ego’ metaphor, the sensual metaphor were identified. For example, the metaphors of [ABSTRACT ENTITY IS BODY], [EMOTION IS A FIRE], [ABSTRACT ENTITY IS INTERNAL BODY’S CONTENTS], [ABSTRACT ENTITY IS AN INANIMATE OBJECT], [ABSTRACT ENTITY IS ANIMALIZED INTERNAL BODY] for the ontological metaphor, the metaphors of [ANGRY IS UP], [SEDATION IS DOWN], [ASTONISHMENT IS DOWN] for orientional metaphor were identified. Also, the metaphor of [THE SUBJECT AS PARENTS AND THE SELF AS KID] for ‘the subject-ego’ metaphor, the metaphors of [WICKEDNESS IS BLACK], [COOL IS REFRESHMENT], [NEGATIVE THING IS A BAD SMELL] for the sensual metaphor were identified. The aspects of the metonymy were classified in the metonymy of [THE PHYSIOLOGICAL REACTIONS OF AN EMOTION FOR THE EMOTION] for a causal relationship ICM of ‘Part - Part ICM’ and the metonymy of [PART STANDS FOR WHOLE] for ‘Part - Whole’ ICM. The image diagrams converged on the aspect of the metaphor were classified into Container schema, Orientational schema, Part-whole schema, Balance schema and Center-periphery schema. On the other hands, the image diagrams converged on the aspect of the metonymy were basically classified into Part-whole schema, Link schema and Balance schema.

      • 냉이 추출물이 인체전립선암 세포주에 미치는 영향

        진정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험 결과 농도 300μg/ml 과 600μg/ml의 냉이 메탄올 추출물에서 암 표적인자 iNOS 발현량이 놀랍게도 95%나 억제되었고, 또 다른 암 표적인자인 COX-2 발현량은 냉이 메탄올 추출물 600μg/ml 과 900 μg/ml의 농도에서 95%나 억제되었다. 또한 열수 추출물에서는 농도 900㎍/㎖에서 암 표적인자 iNOS 발현량이 50% 억제되었다. 세포생존율 억제는 600μg/ml 과 900μg/ml 농도의 냉이 메탄올 추출물에서 50%의 억제능을 보였다. 송이버섯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900 ㎍/㎖) 암 표적인자 iNOS 발현량을 놀랍게도 80%나 억제시켰고, COX-2 발현량도 40% 감소시켰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48시간 만에 농도 900 ㎍/㎖에서 암 세포 생존율을 65%나 억제시켰다. Methanol extracts of Capsella bursa-pastoris reduced significantly 50% cell viability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s at 600 and 900μg/ml concentration and 80% expression of COX-2 in 600 and 900μg/ml and dramatically 95% expression of iNOS at 300 and 600μg/ml concentration. Hot water extracts of Capsella bursa-pastoris reduced 50% expression of iNOS at 900 μg/ml concentration.

      •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의 관계 : 중국 인터넷 쇼핑몰을 중심으로

        진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online shopp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Fiv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with regards to online shopping which are reliability, assurance, responsiveness, empathy and tangibility. First of al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ustomers’ online shopping activities and the influences that service quality hav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were set up. During the justification proces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search of the online shopping customers in China was set as the target population of sampling plan and has verified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The justification process of this study is listed below: In this study, five component factors lead to service qualities which are reliability, assurance, responsiveness, empathy and tangibility and five hypotheses were set up for the relationship of every factor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re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set as the 6 hypothesis. In order to test the viability of the hypothesi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assurance has the lowest feasibility among the five independent variables, so it was eliminated. The rest five hypotheses were analyzed as the main factor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fter the reliability level analysis and main factors analysis. The specific results of the hypotheses just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empathy and tangibility both have a beneficia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mpared with each other, empathy factor has mor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also shows that independent variables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don’t have beneficial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denies hypothesis 1-1 and 1-3. The reason is because comparing to South Korea, the online shopping market in China has just developed recently, and there is still lack of knowledge from it. Secondly, the result shows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beneficial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The relationship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s that the more satisfaction the customers get from online shopping the higher repurchases intention they would have. In other words, there is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satisfied customers and online shopping.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요인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쇼핑몰의 신뢰성, 확신성,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먼저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한 경우 고려하는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중국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를 표본으로 조사한 Data를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2009년 10월 1일~20일 사이에 중국의 인터넷조사사이트(http://www.zhijizhibi.com)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인구통계특성분석 및 신뢰성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하기 위한 통계패키지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을 5개의 구성요소(신뢰성, 확신성, 대응성, 공감성, 유형성)로 도출한 후 각 요인들과 고객만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하여 1개의 가설 등 총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타당성 분석결과 5개 독립변수중 확신성의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요인에서 제외하고 최종 5개의 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하여 신뢰도분석, 요인분석을 거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쇼핑몰의 공감성, 유형성 2가지 독립변수가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2가지 독립변수 중 공감성이 고객만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립변수 중 신뢰성과 대응성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1과 1-3은 기각되었다. 기각된 이유는 중국 인터넷 쇼핑이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되어, 인터넷 쇼핑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다. 둘째, 고객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와의 관계는 고객이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재구매의도도 증가하는 것로 나타나 만족한 소비자는 인터넷 쇼핑몰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노인 우울증 치료를 위한 연구 : 기독교 상담적인 접근

        진정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현대사회는 고도의 과학 기술력과 의학의 발전, 산업화로 인해 노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OECD의 다른 선진국보다 훨씬 빠른 고령사회로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노인에게 흔히 나타나는 우울증에 관한 연구이다. 노인 우울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정신의학적으로 보면 유전, 신체 내 화학전달물질의 불균형, 질병에 의한 신체기관의 분열, 내분비 기능의 조절이상을 고려해볼 수 있고 심리적으로는 낮은 자아존중감, 죽음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지지의 결여, 상실감 등이 있다. 다른 연령층보다 보편적으로 쉽게 나타나는 노인 우울은 예방이 되지 않거나 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자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이제는 노인 우울증에 대해서 개인은 물론이고, 사회와 국가적으로도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때이다. 우울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노인들을 돕기 위한 심리학적 이론과 치유 방안들이 효과적이고 탁월하다 하더라도 영적 존재인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 하나님이 창조하신 창조물로서의 인간에 대한 궁극적인 이해가 빠져있을 때 진정한 치유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상담적인 접근법에 의거하여 구체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치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이 우울증을 극복하여 노년기를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입각해서 이해하고 하나님께서 함께 하셨던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며 종말론적 삶을 통한 부활의 소망, 영원한 나라에 대한 믿음과 소망을 가지고 남은 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울증 치료에 대한 정신분석적 치료, 인지치료, 대인관계 치료, 의미요법 외에 기독교적인 치료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노년의 삶을 통합하여 노년기에 찾아오는 우울감정을 소망으로 바꾸어, 하나님의 창조 섭리대로 수용하는 가운데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기독교 상담적 치료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 소개한 대로 노인 우울증 환자에 대한 인격적 관심, 상담자와 내담자의 치료적 관계 형성 및 평등한 인격적 만남을 통해 전인적인 건강을 회복하고 성경적 사고로 전환할 때 노인들의 우울증은 많이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 『적도』와 『만세전』의 시공간(時空間) 비교 연구 독서 과정에 의한 주제 구현 방식

        진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생의 도정에서 어떤 것은 '처음부터' 체험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인생이 아름다운 이유는 체험할 수 없는 것들이 발하는 빛의 파장 때문인지도 모른다. 소설은 독자에게 그 빛의 의미와 가치를 되묻게도 하고, 미지의 세계에 대한 끝없는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도록 해준다. 현진건의 [적도]와 염상섭의 [만세전]도 독자에게 '살아보지 않은 세계'에 대한 체험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본고는 '소설 읽기란 무엇인가'라는 관심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제1장 서론에서는 1920년대에 생산된 [적도]와 [만세전]의 비교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비교의 기준은 '시공간(時空間)' 개념이다. 시공간은 독서 과정에 의한 주제 구현 방식으로 분석된다. 독자와 텍스트의 관계를 '진실'을 알고자 하는 '연인의 춤'에 비유한 후, 시공간 안에 '주제'가 어떻게 얽혀 들어 있는가를 주목한다. 〈표제〉〈플롯〉〈인칭〉〈인물〉〈장소〉〈사건〉은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비교 층위이다. 비교 충위를 통해서 분석된 의미들은 '해명(解明, clarification/eidos)'단계에서 하나의 주제가 된다. 각각의 작품론은 상이점과 유사점을 통해서 의미가 심화된다. 특히 1920년대 식민지 시공간은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근대성의 관점에서 역사, 알레고리, 환상의 독법을 유도한다. 제2장은 [적도]의 시공간을 독서 과정에 의한 주제 구현 방식으로 분석한다. 〈표제〉의 상징 방식은 [적도]란 지구의 지형과는 무관한 김여해라는 인물의 영혼을 지칭하는 공간 은유를 말한다. 〈플롯〉의 이야기 구축 방식에서는 허구의 틀과 시공간의 의미를 감춘 추리 플롯을 살펴본다. [적도]의 서술자는 '서울의 봄은 눈 속에서 온다'로 시작하여 도시 전체를 조감한다. 〈3인칭〉마음의 소통 방식은 3인칭 인물과 서술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야기의 진실을 보여준다. 〈인물〉에 음영을 넣고 엮는 방식에서는 식민지를 살아가는 김여해의 욕망과 상처를 명화와의 대화 속에서 끄집어낸다. 〈장소〉의 역사 체현 방식은 식민지인의 이미지를 만들어 보여준다.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감옥은 타자를 읽을 수 있는 장소가 된다. 김여해는 전과자이지만, 새로운 운명이나 역사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여백을 지닌 인물로 드러난다. 장소애(topophilia)는 식민지인의 영혼 속에 있는 절망과 희망의 실체를 표상한다. 〈사건〉의 족쇄를 푸는 방식은 [적도]의 강간과 자살 읽기다. 박은주의 강간 외상 증후군(rape trauma syndrome)은 삶의 진실을 찾기 위한 시련이 되는 한편, 강간은 '국가 알레고리'로도 조명된다. 박은주가 '탈출'의 장소로 선택한 한강의 의미를 찾아보고, 파출소에서 자폭한 김여해의 삶과 죽음도 다양한 논점에서 다룬다. [적도]의 주제는 '사랑은 주는 것'이라는 열정의 시공간으로 해명된다. 제3장에서는 [만세전]의 시공간을 독서 과정에 의한 주제 구현 방식으로 분석한다. 〈표제〉의 상징 방식은 만세 전이라는 시간 환유로 어떤 특정한 사건을 지칭한다. 〈플롯〉의 이야기 구축 방식에서는 '조선에 만세가 일어나던 전 해 겨울'이라는 허구의 틀을 규명한다. 여행 플롯은 이인화가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시공간의 의미를 바꾸어 놓는다. 〈1인칭〉마음의 회상 방식에서 '나'는 만세 전의 경험자아와 만세 후의 서술자아로 구분되어 나타난다. 〈인물〉에 음영을 넣고 읽는 방식은 이인화의 방황과 갈등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본다. 〈장소〉의 역사 체현 방식은 배회자의 이미지와 근대성을 연결한다. 부산은 식민지 조선의 환유로서 이인화로 하여금 문화 정체성에 대한 물음을 던지게 한다. 식민지 조선을 '공동묘지'로 인식하기까지의 과정과 장소애(topophilia)의 환상을 보여준다. 〈사건〉의 빗장을 여는 방식은 아내의 죽음 현상이다. [만세전]의 주제는 죽음을 앞둔 아내의 통애(痛愛)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이와 아버지의 관계도 통애로 새롭게 정립된다.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아내의 통애는 식민지와 가부장 사회의 대안이다. 나 아닌 타자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기본적인 마음 자세는 연민, 아픔, 고통이 아니고서는 불가능하다. [만세전]의 주제는 '사랑은 아파하는 것'이라는 지극한 사랑의 시공간, 통애의 시공간으로 해명된다. 제4장에서는 [적도]와 [만세전]의 작품론을 서로 비교하여 상이점과 유사점을 도출한다. 상이점으로는 '허구의 틀이 되는 시공간'을 플롯과 분위기를 통해서 알아본다. 또한 장소의 이름 짓기가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은유와 환유로 본 시간과 공간'은 표제의 차이에서 기원하며, '장소와 몸 만들기의 신화'는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바라본 차이다. 비슷한 장소의 내용을 가지고 있지만, 김여해와 이인화는 다른 결말을 맞이함으로써, 두 개의 몸을 만들어 보여준다. '사건을 재구성한 목소리'는 김여해와 이인화의 성격 차이가 사건 전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유사점으로는 '국가와 희생의 알레고리'를 통해서 개인의 경험이 민족의 운명과 긴밀히 연계됨을 찾아낸다. '현현의 시간 인자와 진실'은 이야기의 구조와 주제의 상관성을 고찰하는 것이며, '셔레이드(charade)와 반복 기법'은 소도구를 이용한 심리나 상황 표현을 통해 반복의 의미를 추적한다. 특히 '설득의 언어와 대화성'에서는 작가의 역할과 인물의 변형을 요약한다. 제5장 결론에서는 식민지의 본질을 규명하고, 탈식민주의의 대안을 모색해 본다. 주제는 독자가 이야기의 세계로 다가설 때 다양한 질문을 시학과 해석학의 측면에서 던질 수 있다. '한국 문학 주제학'이 지닌 의의를 되새겨보는 계기로 삼으면서, 시간과 공간이야말로 이야기의 형식과 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한다. 독자가 '살아 보지 않은 세계'를 언어 속에서 체험한다는 것은 늘 다가설 수 없는 공간을 남긴 채 끝나 버릴 여지가 많다. 독서 과정의 '춤'은 오독 투성이지만, 미완성은 독자로 하여금 또 다른 소설을 집어들게 충동한다. 인생에서 '체험'이 무엇인지를 안다면 소설의 의미를 아는 것이나 같다. 체험할 수 없는 많은 것들을 소설 속에서 이루는 일은 '너'를 아니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 On the way of life, there are things that we cannot experience 'from the very first beginning'. The reason why life is beautiful may be that the wavelength of the light radiated from unexperienced things. The novel allows readers to keep ask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light and to provoke endless curiosity toward the unknown world and jump over the limit of time and space. Hyun Jin-gun's The Equator and Yeum Sang-seup's Before Cheering make us enlarge the horizon of our experience toward 'a life not lived'. This thesis will proceed based on the concern about `What is reading a novel?'. The introduction of the 1st chapter suggests a specific methodology for the comparison study of The Equator and Before Cheering produced in the 1920s. The norm of its comparision is the spatio-temporal concept. The spatio-temporal concept can be analyzed by way of a thematic embodiment method through the reading process. After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reader and the text to 'the dance of dancers' who want to know the truth, I take notice of how theme is entangled in a spatio-temporal line. 〈title〉, 〈plot〉, 〈person〉, 〈character〉, 〈place〉 and 〈incident〉 are comparative levels for the study of theme. The meaning analyzed with the comparative levels become a form of theme at the clarification/eidos step. The theory of each work can be deepened through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Especially the time and space of the colony in the 1920s leads us to read by way of history, allegory and fantasy in view of post-colonialism, feminism, and modernity. The 2nd chapter analyzes the spatio-temporal concept of The Equator by way of a thematic embodiment method through the reading process. As for the symbolic method of〈title〉, The Equator is a spatial metaphor indicating Kim Yeo-hae's soul, not topographical name. As for the story-building method of 〈plot〉, I will investigate the mystery plot that lets fictional frame and spatio-temporal meaning hidden. The narrator of The Equator observe the whole city of Seoul beginning with saying 'the spring of Seoul comes from within the snow'. 〈The third person〉 mind communication method shows the truth of the narrative through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person character and a narrator. The method of 〈character〉 shading/texturing derives Kim Yeo-hae's desire and pain from the dialogue with Myung-hwa. The history embodiment method of 〈place〉 shows the image of people in the colonial period. The prison can be a place that can provide us to read the other person in view of post-colonialism. Though Kim Yeo-hae is a person with some criminal record, he shows himself to be a person with some possibilities to make a new fortune and history. The topophilia represents the reality of spiritual despair and hope of people in colonial period. The method of loosening fetters of 〈incident〉 lies in rape and suicide of The Equator. While Park Eun-ju's rape trauma syndrome is a trial to find out the truth of life, rape can be viewed as a national allegory. This thesis will find out the meaning Han River that she chose as a place for escape and also deal with the life and death of Kim Yeo-hae who blew up himself at a police box in various viewpoint. The theme of The Equator can be explained to be 'Love is giving' seen in a spatio-temporal view of passion. In the 3rd chapter, I analyzes the spatio-temporal concept of Before Cheering by way of thematic embodiment method through the reading process. The symbolic method of 〈title〉 is a time metonymy, which indicates a certain event. The story-building method of 〈plot〉 investigates a fictional frame of 'winter in the year before cheering in Chosun'. The traveling plot changes the meaning of the spatio-temporal whenever Lee In-hwa goes. In the 〈the first person〉 mind retrospection method 'I' is divided into an experiencing-self before cheering and a narrating-self after cheering. For the method of 〈character〉 shading/texturing, I observed Lee In-haw's wandering and trouble in various viewpoint. The history embodiment method of 〈place〉 connects the image of wanderer with modernity. Pusanis a metonymy of colonialized Chosun and makes Lee In-hwa ask a question about cultural idendity. It also shows the process to recognize the colonial Chosun as a cemetery and the fantasy of topophilia. The method to unbar gate of 〈incident〉 is through his wife's death. The theme of Before Cheering is found to be his wife's painful affection before dea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father is newly established by her painful affection. His wife's painful affection is a alternative of colonial and patriarchal society in view of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The basic attitude to enter into the other person, not me should be sympathy, pain and affliction. The theme of Before Cheering can be explained to be 'Love is feeling painful' seen in a spatio-temporal view of supreme love and paiful affection. In the 4th chapter, I will compare The Equator with Before Cheering and deduc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r differences, I will find out 'spatio-temporal fictional frame' through its plot and atmosphere. I also note that the naming of place is very important. 'The time and space seen with metaphor and metonymy'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the title and I will find out 'the place and myth of body-building' in view of post-colonialism and feminism. Though the two texts have similar content of place, Kim Yeo-hae and Lee In-hwa draw two different conclusions and show two different bodies. 'The voice that reconstructed incidents' investigates the effect that Kim Yae-hae and Lee In-haw's personality differences have on incident development. For similarities, the two find ou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nation's destiny through 'allegory of nation and sacrifice' 'The time factor of epiphany and the truth' makes inqu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structure and theme. 'Charade and repetition technique' traces back to the meaning of repetition through psychological and situational expression using props. Especially I summarize the role of writer and character's transformation in `the language of persuasion and dialogue'. In the 5th chapter, I will examine the nature of colony and find an alternative to post-colonialism as a conclusion. For the theme, readers can ask various questions on poetics and hermeneutics when they came close to the story. In this chapter, I will hav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meaning of 'Thematics of Korean Literature' and confirm again that time and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form and content of a narrative. To experience 'a life not lived' in the language can allow some space where nobody can come nearer to be left. 'Dance' in the reading process is full of misreading, but its incompletion provokes readers to pick up another novel. To know 'experience' in life is like to know the meaning of novel. To accomplish many unexperienced things in a novel offers a valuable chance to understand not 'others' but 'me'.

      • 코로나19 대응에서 나타난 네트워크 시민참여 요인에 관한 연구

        진정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돌발 사태는 대중의 삶과 심신 건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중국 정부의 리스크 대응과 관리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중국 사회가 리스크에 대응하는 하나의 중요한 방식이 되었고, 이는 양방향의 상호소통을 강조한다. 시민참여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양호한 효과를 확보하는 핵심 요소의 역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사회의 대두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좋은 플랫폼을 제공했다. 그러나, 플랫폼은 단지 시민참여에 가능성만 제공할 뿐, 시민들의 이성적이고 질서 있는 참여를 보장할 수 없다. 한편, 네트워크 시민참여의 부족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감대 형성이 어려워 리스크 관리와 대응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본 연구는 시민의 시점에서 실증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대응에 나타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중에서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시민참여의 수준을 향상하는 전략을 제안해 중국 정부의 리스크 거버넌스에 참고 가치가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민참여이론, DBO이론, 자기결정이론 등과 접목해, 네트워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기능 인식, 지각된 리스크,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참여 효능감, 자율적 동기, 제어적 동기, 참여욕구, 기회, 사태의 심각 수준, 네트워크 시민참여 등의 10가지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했다. 또한, 네트워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기능 인식, 지각된 리스크,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참여 효능감, 자율적 동기, 제어적 동기를 독립변수로, 참여욕구를 매개변수로, 기회와 사태의 심각 수준을 조절변수로, 그리고 네트워크 시민참여를 종속변수로 설정해서 연구모형을 구축했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4가지 유형의 가설을 설정하였고. 코로나19 사태 발생기간 동안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관련 의제에 대해 토론한 중국 시민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 논문은 SPSS26.0, Amos24.0 등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잠재변수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다중선형회귀모형, 다집단 분석모형 등을 구축해서 가설을 검정하고, 코로나19 대응에 나타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서 네트워크 시민참여의 핵심 요인 및 그 영향관계를 논의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각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보다 높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은 4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신념과 동기가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대한 영향 분석결과에서, 네트워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기능 인식, 지각된 리스크,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참여 효능감, 자율적 동기, 제어적 동기는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참여 효능감과 네트워크 자아효능감의 영향이 가장 컸다. 둘째, 참여욕구의 매개효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지각된 리스크,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참여 효능감, 자율적 동기, 제어적 동기는 모두 참여욕구를 통해 네트워크 시민참여 행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기능 인식과 네트워크 시민참여 행위 간의 영향관계에서 참여욕구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기회의 조절효과 분석결과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기능 인식, 지각된 리스크, 자율적 동기 각각과 네트워크 시민참여의 영향관계에서 기회는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참여 효능감, 제어적 동기 각각과 기회의 상호작용 효과가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주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넷째, 사태의 심각 수준에 따라 지각된 리스크, 참여 효능감, 제어적 동기가 네트워크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네트워크 시민참여 시점에서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을 결합해서 연구를 전개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시민 등의 2가지 차원에서 시민들의 참여 효능감 향상, 네트워크 자아효능감 제고 그리고 사태의 심각 수준 등을 고려해 네트워크 시민참여의 협상체제, 소통체제, 감독체제, 효과의 평가체제 등을 구축하고, 건강과 온라인 미디어 정보의 해독력 교육 강화, 사태의 리스크 등급에 따른 차별화된 조치 실시 등 전략을 제안하였다. 이는 코로나19 대응에 나타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네트워크 시민참여체제 구축을 완비하고, 정부의 공공관리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대립관계 연결 표현의 한·중 대조 연구

        진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어 대립 관계 연결어미와 중국어 전환 관계 접속사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대립 관계 연결어미를 사용하고 파악하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데 있다. 제2장은 한국어 대립관계연결어미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각 연결어미의 의미기능을 살펴본 다음에 각 대립연결어미의 통사적 제약을 주어 일치 제약, 서술어 제약, 시제 제약, 문장 종류 제약, 부정문 제약 총 5가지로 살펴보았다. 제3장은 중국어 전환관계 접속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각 전환접속사의 의미기능을 살펴본 다음에 각 전환접속사의 통사적 제약을 접속문 구성시의 위치, 문장 종류 제약, 부정법제약 총 3가지로 분석하는 것이다. 제4장은 본고의 핵심 부분이다. 제4장에서는 한국어 대립 관계 접속어미 '-지만''-ㄴ/은/는데''-아/어/여도'를 중심으로 대조연구를 진행하였다. 대립관계 접속어미 '-지만''-ㄴ/은/는 데''-아/어/여도'의 의미 기능을 따라, 각각 중국어표현에 어떻게 대응하는 지를 찾아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고에서 살펴본 한국어 대립 관계 접속어미 '-지만''-ㄴ/은/는 데''-아/어/여 도'와 중국어 대응 표현에 대하여 결론을 내는 것이다.

      • 한·중 한국어 교재의 조사와 조사 결합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진정 조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Comparative Analysis on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Jin Jeong Advisor: Prof. Suk Ju Yeon Depart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with respect to names, orders, and descriptions of Korean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of those problems.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great difficulties in learning Korean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Korean textbooks used in colleges and language institutions in Korea and China are a first medium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s the number of Korean textbooks increases, those problems appear in Korean textbooks. Since there is no corresponding particle forms in Chinese grammar, learning Korean particles is perplexing for Chinese in beginning and/or intermediate Korean classes. It is confusing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master complex particles which combine several particles in distinctive order. Complex particles ar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single particles in a low. In this thesis I selected six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China to find out problems on names, sequential orders, and descriptions of single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unified names of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in Korean textbooks, which are confusing to Chinese learners. Second, the order of particles in complex particles is different form editor to editor. Third, descriptions on complex particles are not sufficient for Chinese learners. The improvement of this thesis as follows: First, Korean textbooks should be written in the terminology of the Korean grammar, such as names of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The usage and context of each particle should be provided with Chinese terminology. Second, the order of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in Korean textbooks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rate of them. Third, description of particles and complex particles should be followed by their meaning and usage as well as their basic sentence structures. This implementation would help Chinese Korean learners. Principles of types of combinations for complex particles and the order of particles will be left for a further research. 국문초록 한·중 한국어 교재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진 정 지도교수: 석주연 국어교육과 조선대학교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 배열순서, 설명 방법 등의 문제점을 찾아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할 때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혹은 언어교육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가 최초로 한국어를 접촉할 수 있는 매개(媒介)이다. 한국 국내·외 한국어 교재가 많아지면서 그 중의 문제점도 보인다. 한국어 조사와 같은 중국어에서 전혀 없는 체계라서 중국인 초·중급 단계 학습자들에게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조사 간의 서로 결합할 수 있는 특징에 대해 단일 조사보다 더 혼란스럽다. 한국어 조사 간 결합형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끼리의 결합 현상을 조사 간 결합형이라고 통칭 하고자 한다. 이를 능숙하게 파악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 대표적 한국어 교재 여섯 가지를 선정하여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 제시 순서, 설명 방법에 대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에 관한 문제점은 교재내의 명칭의 기준을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 문법 명칭으로 제시하면 모두 명칭을 통일해야 한다. 하지만 선정된 여섯 가지 교재에서 조사의 명칭은 통일하지 않고 혼란스럽다. 둘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제시 순서에 관한 문제점은 교재에서의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제시 순서가 따른 기준이 보이지 않고 편찬자의 주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셋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설명 방법에 관한 문제점은 설명이 부족하거나 전면적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명칭은 한국어 문법 명칭을 기준으로 삼고 각 조사의 용법이나 사용 환경에 따라 중국어 용어와 더불어 제시하여야 한다. 한국어 문법 명칭으로 제시해 주어야 혼동이 되지 않고 효율적 학습할 수 있다. 둘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제시 순서는 한국어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사용 빈도에 따라 제시해 주어야 한다. 셋째,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설명 방법은 조사와 조사 간 결합형의 의미·용법을 제시하고 사용 한계성과 기본 문형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서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하지만 본고에서 조사 간 결합형의 결합 원리와 결합 순서를 구체적 제시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 중국 중소기업의 원가관리회계시스템 도입실태와 전망 : 상해지역을 중심으로

        진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China's entrance to the WTO, the opening of domestic market, Chinese products are confronted with competitions throughout the world. Promot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capacity, upgrading the products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becomes the most essential topic for Chinese enterpreneurs to deal with. Meanwhile, the appropriate design and proper operation are the basis for the essential topic just mentioned. However, most Chinese enterprises'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is unable to operate normally for not well adapting to the great changes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ee the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problems of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in Shanghai and suggest the future management accounting. This thesis designed topics and investigated the staff working in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from 108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in Shanghai. The investigation includes 1)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in operation. 2) The comprehension of the staff on the concept of cost management. 3) The adaptation of current cost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4)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accounting methods to improve the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 and management system of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in Shanghai is unable to adaptable to the changes of the new environment. They have not invested their time and effort on the new environmental changes. Second, the accurate distinction on the basic concept in cost and management for the accountants in medium and small sized enterprises, the grasp on the accounting methods, the practice of information on cost accounting all remain backward. Third, confronted with such a high-speed varied business environment, the enterprises are able to increase their capacity of competition only by accepting the advanced management well cooperated with the present market and by improving the traditional module on cost management. Even though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inese management accounting sysstem, the research includes the limitations. Many findings in this thesis can't be generalized because the survey was mostly done at the end of the year, when all the accountants in every enterprise were in their busiest time. So there is no enough time for me to answer the 42 questions raised on the paper. Further research can be based on this, and through deeper survey, it can develop the cost and management accounting model which suits the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