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진선미의「8인 주자를 위한 "派生"」의 분석

        진선미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79

        현대음악은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으로 20세기의 정신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인간이 예술적 직관을 소리라는 매체를 통해 옮기려고 오랫동안 노력해 온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진선미의 「8인 주자를 위한 “파생(派生)”」은 이러한 현대적 사상을 표현한 곡으로서 이 논문을 통해 본인의 작품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와 틀을 만드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작품의 형식과 화음 및 음정관계, 리듬, 음색의 면에서 분석하였는데 그것을 요약하면 형식 및 구조: 주제의 발전과 변형, 연주기법, 음색의 변화에 따라 크게 네 부분(Part Ⅰ,Ⅱ, Ⅲ, Ⅳ)으로 나뉘고 Part Ⅰ은 a-b-c-d부분으로 구분되고 Part Ⅱ는 e-e`부분으로, Part Ⅲ는 f-g부분으로, Part Ⅳ는 h부분으로 구분된다. 음정 및 화음: 곡 전체에 걸쳐 증4도와 단2도를 주로 사용했으며 제한된 음정을 가지고 다양하게 발전. 변형시켰다. 리듬: 마디1에서 제시된 리듬이 곡 전체에 걸쳐 변형, 발전되면서 강조된다. 음색: 각 악기의 고유한 음색과 특수주법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음색이 적절히 배합되어 긴장과 이완의 효과를 적절히 나타내었다. Contemporary music advocates the 20th century mentality through its various and abundant expressions.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long sought effort to formalize ones artistic intuition by the media perceived as sound. The Analytic Study on the 「"Derivation" for Eight Players」of Sun mi Jin expresses these modernism. Through this paper I seeks to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analyze my work in order to rationale the framework This paper is divided into four part; the form, chord and interval, rhythm, and tone color. The form and structure : are divided into four parts based on subject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performance technique, and the change of its tonal color. Part I is composed of parts a b c d. Part II is composed of e and e' parts. Part III is composed of parts f and g. Part IV is composed of part h. The chords and intervals : are mainly used by the augmented 4th and minor 2nd chords and are expressed in diverse ways through its limited intervals. The rhythm : was developed and emphasized throughout the entire piece by using the theme as presented in the first measure. The tonal color : expresses the effects of tension and relief through the harmony of individual instrumental tones and special effect tones.

      • 끌로드 모네(Claude Monet)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지베르니기를 중심으로

        진선미 경기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끌로드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인상주의의 작가로 간주되고 있다.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는, 그 어느 인상주의 화가들보다도 시각적 특성이 뛰어났기 때문일 것이다. 더욱이 모네가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되어 지는 것도, 이러한 시각에서 비롯되는데 그것은 모네에 대한 폴 세잔(Paul Cezanne, 1839∼1906)의 유명한 말에서 적절히 나타나고 있다. "모네에겐 오직 한가지 눈밖엔 없다. 그러나 그 눈이 어떤 눈이었던가 !" 이러한 시각적 특성으로 인하여 모네에게 있어서 대상의 선택은 하나의 방법론으로 등장하며, 이같은 연유로 말미암아 대개는 모네의 작품 과정을 설정하는 시기 중 베떼이유(Vetheil)시기(1878∼1881)나 지베르니(Giverny)시기(1883 ∼1926)에 나온 많은 연작들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상주의는 하나의 혁명으로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미학에 있어서 인상주의는 하나의 획기적인 사실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그것은 시각의 혁명이다. 인상주의자들은 종래의 시각을 거부하였고, 그들이 교육되어지고 길들여진 대상에 대한 선입견을 철저히 배제한 채, 화면에 자가들이 본바, 그대로 작가의 감성적 직관에 의지해 그렸던 것이다. 비록 그 사물을 형태와 고유의 색채를 통해서는 아닐지 모르지만 지각된 형태를 통해 물체를 표현하고 있다. 인상주의는 기존의 권위나 과거의 형식에서 이탈하여 진부하고 무의미해진 회화의 인습을 밝히려는 데서 시작되었는데 모네는 이러한 운동의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또한 그러한 인상주의자들과 구별되어지는 회화 세계를 열었다. 즉 사실주의의 객관성에서 벗어나 감성적 직관에 의해서 빛을 포착하려는 그의 시각의 특성에서 다른 인상주의 화가들과 구별된다. 모네의 눈은 깊이감 보다는 펼쳐진 면으로서 자연을 보았고 형태를 나타낼 때에는 어두움 대신에 선명한 색조로 빛의 진동을 표현했다. "모네는 눈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얼마나 희한한 눈인가 !" 세잔느의 이러한 표현도 외광 가운데서 자연을 대하는 모네의 시각적 특성을 말해 주고 있다. 모네 작품의 변화사를 보면, 1872년에서 1878년까지 아르쟝떼이유(Argenteuil)에 체류하게 되는데, 이시기를 아르쟝떼이유기라고 부른다. 이때 그 유명한 〈인상, 해돋이〉를 그렸다. 1878년 초부터 1881년까지를 베떼이유기라 한다. 베떼이유기의 모네는 시골 풍경의 해설자가 되기를 원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의 여러 현상들을 묘사했다 1883년부터 지베르니에 정착하여 1926년 그가 죽을 때까지 43년이라는 시간동안 작업 생활을 펼쳐나가게 된다. 이 시기를 지베르니기라고 하는데, 그는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 갈 수 있는 환경들과 여기서 만나게 되고, 혼신을 다한 창작 활동을 통하여 화법의 다양성과 혁신가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게 된다. 모네는 순간적인 것을 재현하기 위해서 야외에 이젤을 세우고 주제의 재현에 착수하면서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는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탈피하여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하였다. 무엇을 그려야 하는가 보다는 어떻게 보는가를 더 중요시 여겼던 것이다. 이러한 모네의 시각적 특성으로 지베르니에서 〈짚가리〉 〈포플러〉 〈루앙대성당〉 〈수련〉 등의 연작들을 그리게 된다. 이 연작들은 지베르니 이전의 작품들보다 복잡한 양상을 띄며 다소 양식적 차이점을 지닌다. 〈짚가리〉 〈포플라〉 연작은 색채와 구도의 변화로서 표현되어지고, 〈루앙 대성당〉은 동일 구도로써, 빛의 효과만을 변화하는 경우이다. 〈수련〉에서는 모네의 색채에 대한 집착을 알 수 있다. 지베르니기에서 작가는 인상을 그대로 재현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인상 자체를 표현하려는 예술을 향한 진정한 창조적 혁명을 이룩했으며, 전통적인 회화 세계에서 탈피하여 자유스러운 표현과 수법을 말해 주었고, 물체의 고정적 관념에서 해방되어 독자적인 색의 세계, 즉 빛 위주의 자연을 창조 했다. 그리하여 빛에 치중하여 이에 따르는 색조의 지배적인 표현으로 회화상의 여러 구성요소가 제외 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학적이고 사회적인 외양요소도 사라지게 되었다. Claude Monet (1840-1926)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most outstanding figure among Impressionists. He had a different sense of vision from any other Impressionists because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inalism. This fact can separate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Paul Cezanne (1839-1906) pointed out that Monet had only one eye but he got great eye. He became to consider choosing an object as one of methodologies due to these different senses of vision. Most of studies about Monet's paintings mainly have dealt with pictures of series that were made during his staying at Vetheil(1878-1881) or Giverny(1833-1926) cause of these reasons. We also consider Impressionism as one of innovation. In esthetics, Impressionism suggested an epoch making event to us, that is, an innovation of vision. They denied an existing viewpoint of other painters. As removing their prejudice that was educated and trained for a target, they made pictures according to their sense of intuition and what they saw. Even if they did not present things through the form of things and original color, they expressed things through form that was perceived. Impressionism began to disclose a tradition of drawing that became an old fashioned and meaningless by escaping from an authority and form that were already existed. Monte has acted as a leader of this Impressionism movement and on the other hand he has opened his specific drawing world that was different from these Impressionists. That is, his different sense of vision that he tried to catch the lights on the basis of his sense of intuition as growing out of objectivity of formalism may distinguish him from other Impressionists. Monet saw the nature horizontally rather than vertically and when he presented a figure of darkness he used a bright color that looked like a light vibration. He painted two great pictures, Portrait and Sunrise, during his staying at Argenteuil(1872-1878) and this period is call Argenteuil. During his artistic year of 1878-1881, he painted various natural phenomenon that showed his desire of interpreter of nature. He settled down at Giverny in 1883 and had drawn many pictures during 43 years until he passed away in 1926 and this period called Giverny. Within this period, he met his favorable circumstance of nature and through his own creative work he showed various paintings and finally became innovator of painting. It was more important to him to capture expression at the moment itself. He finally created a nature focused on lights and own colored world beyond formal sense. Monet analyzed in his painting the effects of changing light; in order to capture changing conditions he painted entire series of pictures, transforming nature into art. How to see is more important than how to paint. With this mind, he painted some series pictures such as Haystacks, Poplar, Rouen Cathedral, Water-lilies. These series pictures show more complicated and different aspect than his previous period painting. Haystacks and Poplar series express a change of color and structure. Rouen Cathedral series is same style but use different color effect. Water-lilies series picture shows his color adherence. During Giverny period, Monet made a creative innovation differ from other Impressionists. Beyond the formalistic art manner, he created own colored word, that is, nature of lights. Therefore, this mainstream of color expression eliminated various drawing structures as well as literate and social formal elements.

      • 잔느 귀용의 영성 신학에 관한 소고 : 생애와 영성 신학적 통찰을 중심으로

        진선미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내면 안에서 하나님에 이르는 길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풍부 한 영성 신학적 통찰을 남긴 17-8세기 프랑스의 영성가 잔느 귀용(Jeanne Guyon, 1648-1717)의 영성 신학에 관한 소고이다. 귀용의 영성 신학적 통찰은 다 섯 가지 주제를 포함하는 포함한다. 첫째, 회심, 하나님의 뜻에 대한 지각, 수동성 과 내면의 희생, ‘벌거벗겨진 믿음’ 등 하나님께 이르는 여정의 기초적 단계이다. 둘째, 어린아이와 같은 단순함으로 하나님의 뜻에 모든 것을 맡긴 채 만족하는 상태인 자기-포기요, 셋째, 영혼이 정화되면서 자기의 본래 모습이 드러나는 시기 인 ‘복된 겨울’이다. 넷째와 다섯째는 긴밀하게 연관되는데, ‘복된 겨울’의 시기를 지나면서 영혼은 ‘신비적 죽음’에 이르고 마침내 하나님과의 연합 가운데 ‘새로운 존재’가 탄생한다. 이와 같은 주제를 포함하는 귀용의 영성 신학은 예수 그리스도 와의 내적인 연합과 내면 안에서의 하나님을 발견하는 일을 강조하는바 신앙의 본질을 추구하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생활의 보다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

        진선미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의학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 및 노인인구의 급등에 따라 노인에 관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노인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약해져가며, 은퇴와 더불어 경제적 불안정을 경험하고 그들이 속해 잇는 사회와 가족으로부터 역할의 변화를 경험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체제 속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과 관련하여, 그들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이 주요한 이슈로 등장하게 됨에 따라, 우리는 그들이 삶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아야 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해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 봐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먼저,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정도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노인의 삶의 여러 방면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그들이 독립적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간과될 수 있는 요소로서 사회적 지지정도가 있다. 이는 개인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결속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물질적 정신적 도움을 의미한다. 인간의 정신적 · 신체적 건강은 이러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일상생활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더 건강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활만족도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노인들이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였다고 느끼며, 자신을 가치있다고 여기고, 정서적 사회적 어려움없이 그들의 욕구가 충족되는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활동정도, 그리고 사회적 지지정도를 측정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보여지며,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써 노인간호 중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Kats(1963)와 Lawton(1971)에 의해 고안된 설문지를 통해 일상생활활동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박지원(1985)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사회적 지지정도를, 윤진(1982)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측정하였고,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일상생활활동정도, 사회적 지지정도 그리고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대상은 재가노인 160명이며, 이 중 6명은 설문조사가 완전치 않아 제외되었다. 2. 대상자 일상생활활동정도는 평균 평점이 2.91, 표준편차는 ±.22로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정도(평균 2.93~2.99)에 비해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정도 점수(평균 2.76~2.97)가 다소 낮았으며, ‘1가지 이상 약간 도움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는 25%이었으며, ‘1가지 이상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한 경우는 7.8%였다. 모든 문항에서 ‘많은 도움이 필요하다’고 한 대상자는 없었다. 3.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의 평균평점은 3.71, 표준편차는 ±.55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생활만족도는 평균 2.18, 표준편차가 ±.47로 나타났다. 5.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는 사회적 지지(r=.24, p<.05)와 생활만족도(r=.37, p<.05)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r=.61, p<.05)간에도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일상생활활동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증가하며,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활만족도가 증가함을 나타낸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정도는 연령(F=14.39, p=.00), 건강상태(F=.02, p=.00), 여가활동(t=-2.81,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건강상태(F=3.94, p=.01), 여가활동(t=-2.60, 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8.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건강상태(F=7.81, p=.00), 여가활동(t=-6.34, p=.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노인들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와 일상생활활동정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보여지며, 또한 일상생활활동정도, 사회적 지지, 생활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여가활동정도는 노인간호의 중재개발에 있어 의미있는 변수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2. 재가노인뿐만이 아닌 시설노인과 입원노인 등에도 확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 3.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여가활동과 관련한 심도있는 연구와 함께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As the population of old people increases,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ith old people in terms of many aspects such as physical, psychic, and social aspects. They get weaker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s they become older. So, how much old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s their aging and quality of life is emerging from among these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ADL,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home residents. Subjects were 152 elderly home residents in Seoul, Korea. The tool in this study were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Kats(1963), IADL(Instrument of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by J. W. Park(1984) and the instrumen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old people by J. Yoon(1982)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PSS PC+: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mean value of ADL score was 2.91±0.22. The score of ADL(2.93~2.99) was lower than that of IADL (2.76~2.97). The percentage of old people who answered that they needed help a little bit and a lot in doing at least one item among queery were 25% and 7.8%, respectively. No one answered that they needed much help in doing every items. 2. The mean value of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3.71±0.55 3. The mean value of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was 2.18±0.47. 4. The higher the degree of ADL wa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r=0.24, p<0.05)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r=0.37,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which shows tha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as the degree of ADL increased, an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5. The degree of ADL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y became older(F=14.39 p=0.0000). Also,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0.02 p=0.000)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2.81 p=0.01), their degree of ADL was significantly higher. 6.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3.94, p=0.01),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2.60 p=0.01),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7. The healthier they thought themselves(F=7.81, p=0.00), and the more they had extra time to spare(t=-6.34 p=0.00),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clusion, the health status of old people and their extra time to spare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degree of ADL,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I suggest the followings: 1.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kind of study should be repeated. 2. The old people who stay in asylum or hospital should be included in future studies. 3. The method which can utilize extra time of old people to increase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is needed.

      • 주거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대한 실증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진선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original residents in urban areas have been displaced to suburbs due to the increase of property value as well as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residential areas in Seoul. The displacement of low-income household which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social phenomenon in the urban area is often seen as a problem of the gentrification. However, many research interests are more focused on the commercial gentrification as well as the art-led gentrification because these types of the gentrification are much more noticeable issues in Seoul. Accordingly, it is relatively hard to bring the attention as the research performance in the residential gentrification. In terms of gentrification, it is a phenomenon in which low-income occupiers are displaced by middle-income class as the property value increase in the urban area because the housing market trend tends to change. Gentrification implicates ‘back to the city movement’ that middle-income household tends to moving into the city for taking geographical opportunities. Obviously, gentrific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urban revitalization based on the diverse urban developments. On the other hand, gentrification is seriously recognized as the social issues: displacement, class inequality, social struggle, and neighborhood change. As the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extra-urbanization in Seoul have accelerated, the residential gentrification is becoming the social issues in Korea. According the annual population mobility statistics data in 2017 by the Statistics Korea, 85.3% of the reasons for the population migration are related to the residential factors. The main cause of the displacement was confirmed through many empirical researches as a high property value pressure, which is judged to be related to the reason for the depopulat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lack of affordable housing and the rise in property value in Seoul, the higher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low-income households increases relative instability in residential mobility. To analyze the residential mobility patterns on gentrification, the residential mobility can be divided into two directions: in-mover which is moving to the urban area from the suburbs and out-mover which is displaced to the suburbs from the urban area. The research purpose is to confirm whether the residential gentrification occurs among the 25 districts in Seoul and what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the phenomenon.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s that the residential gentrification is occurring in the 25 districts of Seoul based on the individual factors,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ousing factors, and the transit accessibility are affected. The residential gentrification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highly risk for gentrification, the moderate risk, and the low risk. According to the assessment results in gentrification, the 8 districts (32%) among the 25 districts in Seoul is analyzed the high risk for gentrification. The 9 districts (36%) is classified as the moderate and the other 8 districts (32%) is the low risk. Finally, the research would like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the crucial findings on where and why to move based on the residential mobility patterns on gentrification.

      • 활동이론에 근거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실천 활동체제 분석

        진선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융합의 시대로의 변화는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역량 제고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는 ICT 육성을 기반으로 분야별 신성장동력 창출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ICT 기술 발달이 기반이 되는 정보혁명의 기술 변화의 중심에는 스마트 기기로 대변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 대비의 출발점을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으로 보고 있다. 실지로 교육 분야에서는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교육 환경에서 활용하는 교육을 ‘모바일 러닝’이라 명명하며, 학습자 중심이라는 교육철학을 교수법의 중심에 두고 이와 더불어 모바일 기반의 각종 콘텐츠와 저작도구, 커뮤니케이션 기능 등을 접목하여 진정한 의미에서 IT와 페다고지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교수·학습환경으로서 모바일 러닝을 강조하고 있다. 모바일 러닝이라는 환경을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실제적인 모바일 러닝 학습환경을 구성하는 교수설계자의 역할이 새삼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으며, 모바일 러닝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IT기술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이를 교육환경 변화에 접목하는 모바일 러닝 전문 인력인 교수설계자가 부족한 실정이고, 최신의 테크놀로지가 결합한 모바일 러닝을 설계하는 교수설계자의 역량개발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기관이 미비한 상황이다. 결국, 이러한 점들은 모바일 러닝이 기대와는 달리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의 중요도와 효과적인 실천이 인지되고 있지만, 여전히 교수설계자가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에 기반한 교수설계를 실천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실제적이며, 복잡하고 역동적인 모바일 러닝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실천 현장에 있는 교수설계자의 현황을 활동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 혼합 연구(Creswell, 2009)를 채택하였다. 그에 따라 첫째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일반적인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실천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설문지 활용 및 분석)를 시행하였다. 특히 설문지 개발 시, 다양한 분야에서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과 기술의 보유는 물론, 교수·학습과정에 테크놀로지를 적절히 통합·적용하는 능력을 동시에 분석하는 틀인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 Technology, Pedagogy, & Content Knowledge 이하 TPACK)’을 활용하여 요인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설문지를 교수설계자에게 온라인 배포한 후 수거된 설문결과를 토대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현황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후, 모바일 러닝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그에 기반한 실천을 활발히 실시하고 있다고 추천된 4인의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을 선택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그들의 응답을 활동이론의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를 중심으로 활동이론에 근거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활동체제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활동체제의 변화의 과정을 탐색하여 변화와 발전을 주도하는 모순과 이를 극복하여 어떻게 현 체제에 이르렀는지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 실천의 패러다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의 성공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연구결과로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 실천현황의 모습은 첫째, 정형화된 이러닝 프레임의 획일성과 비용 효과성을 강조하는 모바일 러닝 개발 현장의 영향으로 인해 다수의 학습관리시스템이 다른 플랫폼과의 호환성, 확장성이 낮고, 획일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모바일 러닝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교수설계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과 문제들 속에서 정답을 구할 수 없으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적용되는 교수설계 지식, 방법들을 모두 습득하는 것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천적 지식 함양이 가능한 교육 및 매뉴얼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셋째,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주어지는 직급의 역할에 따라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를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기회가 불평등하게 제공된다는 것이다.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개별적 활동체제를 분석한 결과 활동체제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출하였다. 활동체제 요소로서 물리적 도구는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에서 활용되는 테크놀로지, 모바일 콘텐츠, 모바일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는 저작툴, 모바일 러닝의 학습공간인 학습관리시스템(LMS)이며, 인식적 도구는 교수설계자의 체제적 교수설계에 대한 이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목적이 결과로 변형되어 활동의 최종 산출물인 모바일 러닝에 적합한 주제별 영상형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 정립, 웹기반의 이러닝과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모바일 러닝의 유기적인 연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활용한 학습자의 상호작용 강화, 빅데이터 기반의 대상별 맞춤형 교육을 위한 활동을 생산하고 있음이 결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공동체는 체제적 교수설계과정의 참여 구성원으로서 한 공간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내부 참여자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콘텐츠 개발 및 학습관리시스템(LMS)에 전문성을 갖춘 외부 전문업체, 학습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로 구분이 된다. 내부 참여자를 좀 더 세분화하면 교수설계자, 콘텐츠 개발자, 영상제작자, 운영자, 시스템 담당자, 관리자, 내용전문가, 튜터의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교수설계 실천 활동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규칙의 경우 정부에서 제공하는 지침이 있으며, 소속 회사, 기관이 지향하는 방향성에 따라 매년 수립되는 모바일 러닝 교육 규정이 있었다. 그리고 담당 업무와 관련된 업무 매뉴얼이 포함되며, 모바일 러닝 프로그램 기획단계에서 도출되는 교수설계전략안이 있었다. 분업은 내부 참여자들의 담당 업무 매뉴얼에 따른 역할분담, 업무 매뉴얼 이외의 행정, 홍보 등의 기타업무, 프로젝트 참여과정에서 주어지는 직급에 따른 역할분담, 내부 참여자와 외부 참여자 간의 역할분담이 있었다. 활동체제의 구성요소 안에서 발생하는 모순은 업무과중, 부서간의 갈등, 인력부족, 학습관리시스템 오류 및 기능 지원, 업무 매뉴얼, 대상별 교육 체계도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 4인의 활동체제는 구성요소 안,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모순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교수설계의 목적이 달라지면서 2~3번의 활동체제의 변화 과정이 나타났다. 그리고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 사회·문화적 맥락 속 실천현황에 미치는 요인과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개별적 활동체제 분석에서 보여진 연구결과를 토대로 문화·제도 기반, 인적자원기반, 과정 개발 및 운영기반, 시스템 기반 조성 측면에서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 실천활동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가 지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수설계자가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을 구축하는 실천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규명하였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모바일 러닝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교수설계자의 현황을 활동체제로 분석하여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를 수행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상황의 요인을 체계화하였다. 다시 말해, 복잡성, 상호관련성, 실제적인 과제와 문제해결 등의 상황에 놓여 있는 교수설계자의 실천활동을 매개물과 같은 현실 세계의 중요한 부분들을 체계적이고 면밀히 접근한 것이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 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해 준다. 교수설계 활동체제가 현장에서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수설계 활동을 발전적으로 확장하게 되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자료를 제시해주고 있다. 이를 통해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들이 복합적이며 유연한 모바일 러닝 교수·학습환경에서 최소한의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어려움을 극복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교수설계 활동을 할 수 있는 안내의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향후 모바일 러닝 교수설계자의 실천활동과 분석틀로서의 활동이론을 주제로 한 후속 연구에 있어 기초적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hange to the age of fusion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manding the capability boosting to respond actively in terms of the individual and country; accordingly countries proclaimed to intensively propel the creation of new growth power by field based on ICT fosterage. Like this, there is a ‘mobile device’ represented as the smart device in the center of the technical change of the information revolution based on the ICT technology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nsidered as the education using this mobile device in the education field as well. Actually, the education using this mobile devic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named ‘m-learn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philosophy is put in the center of the teaching method and all kinds of contents, production tools, and communication function based on the mobile are engrafted into the educational philosophy to emphasize the m-learning as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at IT and pedagogy are integrated organicall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role of the instructional designer who provides the learners effectively with the environment called the m-learning and constitutes the practical m-learning environmen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hing, and the demand for the manpower specializing in m-learning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there are few instructional designers, the manpower specializing in m-learning, who engrafts the IT technology and infra into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re are few institutions which systematically cultivate the capability of instructional designers who design the m-learning combined with the up-to-date technology. Finally, these respects become the main cause that m-learning cannot win success unlike the expectation. Hereby, this study focus on the fact that instructional designers still have many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m-learning teaching learning environme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effective execution of it are recognized in the current education field. Accordingl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structional designers who design the practical, complex, and dynamic m-learning environment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will be analyzed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The mixing study(Creswell, 2009) focused on the qualitative study was adopted as the study method for it. First, the quantitative study(use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situation of the general instructional designers of m-learning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s. In particular, during the questionnaire development, the factors were constituted by means of ‘Technology, Pedagogy & Content Knowledge(TPACK)’, a framework which analyzed the ability to integrate and apply the technology properly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hile retaining the technology-related knowledge in various fields. The condition study was conducted which apprehended w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way above and distributed online to the instructional designers. Afterwards, 4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ho were actively carrying out the practice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m-learning were chosen to conduct an in-depth interview,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activity theory. The activity system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hich was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was drawn focusing on the analysis data,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activity system was explored to reveal the contradiction lead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and the paradigm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 The plan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sought. When it comes to the practice condition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first, multipl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are less compatible with other platforms and comprised of the uniform user interfaces due to the effect of the m-learning development site which emphasized the uniformity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stereotyped e-learning frame, resulting in a difficulty realizing the m-learning. Second, since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answer in various situations and problems arising du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o acquire the instructional design, knowledge, and methods applied to the problems arising on the site, the education and manual that can cultivate th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on the practice site are required. Third, the necessary chance for carrying out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along the role of position given during the m-learning program development is provided unequ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ividual activity system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activity system components were drawn. The physical tool was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he learning space of the contents development tool and m-learning which is used to produce the technology and mobile contents used in the m-learn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gnitive tool was the instructional designers’ understanding of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and th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It was revealed that the theme-video contents production process was established which accorded with the m-learning, the final product of the activity, as the goal turned into the result, the web-based e-learning and mobile device-based m-learning were connected organically, the interaction of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was reinforced, and the activity for the customized education based on the big data was being produced. The community is divided into the inner participants who perform the work in a space as the participating member of the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oreign professional firm specializing in the contents development and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during the program development, and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learning process. To subdivide the inner participants, there are instructional designers, contents developer, image producer, operator, system manager, administrator, content expert, and tutor. In the case of the rule that should be observed du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 activity, there is a guideline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there was a m-learning education regulation that was established every year according to the directivity for which the relevant firm and institution aimed. The relevant duty and manual were included, and there was a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plan drawn from the stage of the m-learning program planning. When it comes to the division of labor, there were the rol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duty manual of inner participants, administration and public relations besides the work manual, role alloc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given during the project participation, and role allocation between inner participants and external participants. The contradiction arising inside the components of the activity system included the heavy workload, conflict among departments, lack of manpower, error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function offer, work manual, and education system chart by target. In the activity system of 4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drawn in this way, the contradiction happened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 components, and the change process of 2~3-time activity system appeared as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ed.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shown from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condition in the social·cultural texts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the individual activity system analysis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the plan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practice activity by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drawn in terms of the culture·system base, human resource base, operation base, and system base. The meaning this study has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d the difficulty arising in the practice process when the instructional designers forged the environment for m-learning teaching·learning. The overall process of performing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could be examined in the social context by analyzing the instructional designers’ condition who designed the complex and dynamic m-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factor of the conflict situation happening in the practice process of th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was systematized. In other words, with respect to the practice activity of the instructional designers put in the situation such as the complexity, correlation, practical task, and problem solving, the important parts of the real world such as carrier were examined closely and systematically. Third, it adduces the directivity of the m-learning teaching·learning design using the technology. It adduces the practical materials about how th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system overcomes the difficulty on the site and expands the activity of instructional design in a developmental way. It will play a role of guide for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to execute the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more efficiently by experiencing the minimum trials and errors, and overcoming the difficulty in the complex and flexible m-learn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foundation for the practice activity of the future m-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for the follow-up study focusing on the activity theory as the analytic framework.

      • 미니에멀젼 중합에 의한 전도성고분자 PEDOT의 제조방법 : Facile Preparation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Nanoparticles via a Mini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진선미 인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nanoparticles were prepared via a mini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The chemical oxidative polymerization of 3,4-ethylenedioxythiophene (EDOT) occurred in the presence of β-1,3-glucan with the injection of an aqueous oxidant solution, and the nanodroplets of EDOT were transformed to PEDOT nanoparticles dispersed in the aqueous medium. The aqueous emulsion of PEDOT nanoparticles showed relatively long emulsion stability (> 8 weeks), and the recovered solid nanoparticles were also redispersible in deionized water without phase separati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PEDOT nanoparticles could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ultrasonifier before the polymerization process. The building-up of a shearing force decreases the size of the PEDOT nanoparticles and also causes the occurrence of a multimodal size distribution for the PEDOT nanoparticle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EDOT nanoparticles was 0.28~1.20 S/cm.

      •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백서의 심장 및 배양심근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화

        진선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의 급성 중독 시 동반되는 심장에서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백서에 아세트아미노펜 1,000 mg/kg을 단회 경구투여한 후 간 및 심장을 적출하여 마이크로어레이 기법으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배양된 심근세포에 세포독성이 발현되는 10 mM 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고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아세트아미노펜을 경구 투여 시 기존의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간 독성은 확인되었으나 심장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심근에서 총 352개 유전자의 발현이 변화 (증가 271개, 감소 81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근에서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는 유전자로는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heme oxygenase 1, xanthine oxidase,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lectin-like) receptor 등이 확인되었고, 염증 및 세포사멸과 관련하여서는 chemokine ligand 10,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및 caspase 1, 4, 12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아세트아미노펜에 노출된 배양심근세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heme oxygenase-1, thioredoxin reduc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synthetase 등이 증가하였고, DNA손상 및 세포사멸에 관련된 Ddit3, GADD45, caspase 4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그 밖에 심근세포의 이온통로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심근세포의 성장 및 세포 분열에 관련된 Cdc, cyclin, fibroblast groth factor 1 등의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심장의 수축 이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gap junction membrane channel protein, phospholamban 등의 유전자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전자 발현은 in vivo와 in vitro에서 일치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in vivo에서는 투여된 아세트아미노펜이 간에서 대사되어 다양한 대사체가 심장에 영향을 미치지만, in vitro에서는 대사체의 영향을 볼 수는 없으나 고농도의 아세트아미노펜에 심근세포가 직접 노출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in vivo, in vitro 실험 모두 아세트아미노펜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을 변화시킴으로써 심장 기능에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ardiac influence in rats with acute liver damage induced by acetaminophen and the molecular events occurring within the myocardium following acetaminophen insult. Gene expressions were investigated in the rat heart and liver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acetaminophen (1,000 mg/kg) using microarray assay. Alterations in gene expressions were also investigated using cultured cardiomyocytes treated with acetaminophen (10 mM). Although there were no histopathological changes, gene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altered in the heart of the acetaminophen treated rat. Among the 26000 genes, 352 genes were changed; 271 genes were up-regulated and 81 genes were down-regulated. Genes related to the oxidative stress (including heme oxygenase 1, xanthine oxidase, and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nd genes related to inflammatory processes and apoptosis (including chemokine ligand 10,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caspase 1, 4, 12)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In cultured cardiomyocytes treated with acetaminophen, oxidative stress-related genes (heme oxygenase-1, thioredoxin reduc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synthetase), DNA damage and apoptosis-related genes (Ddit3, GADD35, and caspase 4) and ion channel-related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However, cell proliferation-related genes (Cdc, cylin, and fibroblast growth factor 1) and contractility-related genes (phospholamban, gap junction membrane channel protein) were repressed. W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gene expressions in vivo with those of in vitro, th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The differences may be partially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the metabolism of acetaminophen. Orally administered acetaminophen enters to the liver and being metabolized to several metabolites, then delivered to the heart. The effects of the metabolites on the gene expressions of the heart may be different to those of acetaminophen itself. The activity of drug metabolizing enzymes in cultured cardiomyocytes may be too low to produce the diverse metabolites as in the liver. Nonetheless, the expressions of common clusters of genes such as gene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poptosis, and contractility were found to be changed by acetaminophen both in vivo and in vitro conditions.

      • 모리 오가이의 '기러기' 고찰 : -등장인물의 묘사와 그 속에담긴 작가의 삶-

        진선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took three years and six months for Wild Goos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serial publication and Youth can be the matrix of it. Wild Goose is a novel published serially for two years, from Sep. 1911 to May 1913 immediately since Ogai had finished writing Youth, an installment of 12 times intermittently from Chapter 1 to 21 in Magazine, Subaru. And then, Chapters 22-24 were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Wild Goose was finished in May 1915. The Body of this paper examined the background of writing and that of the writer's life until Wild Goose was finished, and studied the characters appearing in Wild Goose. Especially, it investigated what the intent of setting characters of the writer who described the process in which a woman named Otama, having her own will, fell in love with Okada and the failure. As examined in Section 1 of the Body, Wild Goose is an enthusiastic work that was published serially with A Lump of Ash immediately after Youth(Mar. 1910 - Aug. 1911) had been completed. As examined already, taking the first publication of Subaru an opportunity, Ogai unfolded energetic and superhuman writing activities. The background of the then Ogai's writing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e was stimulated by So-oseki's activities; he reacted against Naturalism which surged at the time; Magazine, Subaru was published; and lastly, his position in the Army was stabilized. Section 2 of the Body inquired writer, Ogai's life. It shed new light from life experience perspective on his life shown as if he had lived a splendid life as an army surgeon and writer as many people know. It investigated his career in his youth, his military life and domestic life through his will. As his last words, ‘I was really stupid(Bakabakashii),’ it can be examined that his life journey was not smooth and on his entire life connected to it. Section 3 of the Body analyzed characters focusing especially on the main characters and found that all had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writer, Ogai: First, it can be found that Otama is a character who always resigned himself to his fate. His life philosophy that tried to find rather the calmness of mind through resignation is reflected on heroine, Otama; Second, Okada is identified Ogai in terms of external conditions. He is described that he enrolled in the Medical School of Tokyo University, boarding house, Gamijo, and was interested in literature so without exception stopped by used book stores during walk. And in every aspect: e.g. he had a view of womanhood with which he considered beautiful woman only is ideal one, and even study in Germany, same as Ogai himself; Third narrator, ‘I’ also have many in common with the features of Ogai. Especially, ‘I’ who look back on his life represents Ogai who is nervous in old age. As examined in the above, through characters in Ogai's retrospective work, Wild Goose, it was found that Ogai's life experiences were project. In this sense, it is thought to be helpful in expanding the width of understanding of Ogai's life and works is helpful by reading this novel, though which it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works through this. It would be also worth researching on in what look Ogai's life is projected in other works published in the period similar to h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