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2M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인증 기법 설계

        진병욱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M2M(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이란 사물 지능 통신이라 불리고 있으며, 한 기기가 비슷한 다른 기기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술을 말한다. M2M 환경의 특성 상 저전력, 소규모, 저렴한 가격, WAN, WLAN 등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또한 사람의 개입이 없이도 운영이 가능할 수 있는 특징이 요구된다. 그러나 사물통신 기기들의 요구사항으로 인하여 무선 통신 등에 취약점은 가지게 되고, 각 기기를 관리 혹은 제어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한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M2M환경에서 Device 및 Gateway와 Network Domain간의 안전한 인증 프로토콜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프로토콜은 ID-Based Encryption 기반으로 인증 하며, Network Domain안에 Access Server 및 Core Server간의 세션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세션키를 활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키 갱신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자동으로 식별값을 갱신한다. 기존에 사용되어 지고 있는 M2M 통신기술하고 PKI 기반의 인증기술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제안 프로토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비교하였다. 성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증 프로토콜은 기존 PKI인증 기술보다 전체적인 동작 시스템에서 83% 향상이 되었다. 또한 기존 위협환경에서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과 기기의 자격 증명 타협에 대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었다. 제안한 인증 프로토콜을 M2M 환경에 적용하면 기존 PKI 기술의 인증 프로토콜의 위협적 공격인 중간자 공격, 재전송 공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Network Domain에서 M2M Device 및 Gateway에게 ID를 부여 및 자동 식별 갱신 프로토콜을 삽입하여 관리에 대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M2M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refers to technologies that allow wired and wireless systems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with similar capabilities. M2M has special features which consist of low electricity consumption, cheap expenses, WAN, WLAN and others. Therefore, it can communicate via a network. Also, it can handle itself without a person's management. However, it has a wireless-communicate weakness because of the machine-communicate request, and also it is difficult to administrate and control each other. So In this Paper, It suggests the safety protocol between Device, Gateway and Network Domain in M2M environment. Proposed protocol is based on ID-Based encryption's certificate and creates session key between the Access Server and the Core Server in the Network Domain. It uses that session key for sending and receiving data in mutual, and adds key renewal protocol so it will automatically update discern resul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isting M2M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PKI-based certificate technology is compared with the proposed protocol efficiency and safety. The efficiency result of Proposed protocol in this paper is at 83% elevation in the whole activity system than the existing PKI certificate technology. It is also complementary to Data's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and machine's qualified proof compromise from the existing intimidating environment. If Proposed protocol is applied to M2M environment, it will protect it from the existing PKI technology's certificate protocol's intimidating attack to middle management and re-sending the attack, and etc. By giving id to M2M device and Gateway in the Network Domain as well as adding key renewal protocol, it will have great advantage for management.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IoT 융합환경에서 사용자 인증 및 메시지 관리를 위한 완전 준동형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 설계

        진병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인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환경에서의 급속한 발전을 통하여 사물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물이 상호간의 소통하는 초연결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기존의 IoT환경의 디바이스는 저전력, 저용량, 제한적 퍼포먼스에 대해서 한계적 특징이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접목되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융합 패러다임에 대한 해결해야하는 과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보안적인 측면의 데이터 관리, 정보보호 등의 취약점 해결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IoT 융합 환경에서 통신 프로토콜 사용자 인증 및 메시지 관리를 위한 완전 준동형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완전 준둥형 암호 알고리즘의 RLWE(Ring Learning With Error)기법을 활용하여 게이트웨이와 사용자는 상호인증 및 등록과정, 데이터 관리 기법, 메시지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였으며, 해쉬트리기반의 서명값 관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IoT환경의 통신 프로토콜과 제안한 통신 프로토콜의 성능분석을 수행하여 안전성 및 보안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통신 프로토콜의 암∙복호화에 따른 시간복잡도 및 공간복잡도를 비교분석하여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하고, 동등한 수준의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안한 해쉬트리기반의 서명값 관리기법에 대해서 안전성 및 효율성의 분석결과는 중간자 공격, 재전송 공격, 데이터 변조 공격에 안전하고 서명값 갱신 관리 측면에서 신뢰성 유지의 강화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완전 준동형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은 향후 클라우드 컴퓨터와 IoT 융합 환경에서 사용자 정보 침해 및 유출, 데이터 무결성 침해 부분의 취약점을 해결할 것으로 예상한다. Due to rapid development of ICT environment, the cor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objects are connected through wire-wireless network and objects-objects, man-man communicate mutually has arrived. The current IoT environment device is limited in low power, low capacity and restricted performance, so it is suggested as new paradigm by linking to cloud computing technology. However, there are problems to be solved regarding new fusion paradigm, especially requiring the problem solution such as data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tection in security. This study designed a fully homomorphic communication protocol to authenticate communication protocol user and manage message in IoT fusion environment based on cloud computing. By utilizing RLWE(Ring Learning With Error) method of fully homomorphic password algorithm, the study designed mutual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process, data management technique, message communication protocol for gateway and user, and proposed signature value management method based on hash tree. The study conducted performance analysis on current IoT environment communication protocol and suggested communication protocol to verify the safety and security. The study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time complexity and space complexity by the encryption of suggested communication protocol to provide strong security and confirmed the equal level of efficiency. Also, as for the analysis result of safety and efficiency regarding the suggested signature value management technique based on hash tree, it verified the protection to man in the middle attack, replay attack and data modulation attack and reinforcement of reliability maintenance in terms of signature value renewal management. Therefore, the fully homomorphic communication protocol proposed by the thesis is expected to solve the weaknesses such as invasion and leak of user information and data integrity invasion in cloud computer and IoT fusion environment

      • 디지털 카메라 디자인 변천과정과 미래의 디자인 방향 연구

        진병욱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member the turntable which often generated irritating noises, the wall mounted clock for which you had to wind the spring regularly, the old mechanical typewriter with the clanking keys whose ink ribbon had to be replaced all the time, and the manual camera whose shutter speed and focus had to be adjusted by hand? These are all analog devices that exist only in people’s memories for the most part these days, but they nevertheless stir up cozy yearnings and engender joyful reminisces. What compels people to seek joy and comfort in the past? It may well be that people feel greater warmth and display a keener sensitivity toward natural objects rather than artificial ones, and familiar objects rather than new ones. A next camera will be born in the heat of passion and sweat, brings with it the concept of ‘Reviving lost sensitivity’. As such, the appearance of the next camera is new but not unfamiliar, and friendly but not common. The emphasis on a large circular lens fitted to a small and slim body represents a move away from the cold and hard image of the typical digital camera. As if reminiscing over the good old times, it gives a sense of natural warmth and quickly becomes a part of you. The subdued color of the body and the lively shutter sound conjures up the analog emotion, stimulating the five senses. The reason that a state-of-the-art digital camera can create such warmth is not only because it has successfully recreated the sense of a manual camera; it was actually inspired by a classic camera that was once regarded as the most beautiful and precise in the history of cameras, and has recreated the reliability of those classic cameras. It is said that the classics have a powerful life force because their artistic achievement and level of quality reach beyond time and space. Next digital camera recreates art and the soundness of the classic camera to become an elegant digital camera, improving upon the weaknesses of typical digital cameras, which are known to be ‘light, instant, and short-lived’. More than simply a convergence of the refined sensitivity of digital and the emotion of analog, next camera also offers the perfect performance, embodied in the new interface. With the most used menus displayed on the LCD screen, all the functions can be run with a single touch. As the touch screen and sensor on the key can be operated with just a slight touch of finger, it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camera closer and friendlier. Such a new interface will bring greater convenience and heighten the joy of taking pictures, as familiarity and intimacy are quickly established with the product among both the digital generation and those who thus far have been un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You can rediscover lost emotions through its beautiful design and experience the joy of picture taking with its friendly interface, so let’s recover bygone times and the many small things overlooked in our busy lives. Imaging though next camera, the dreary streets become full of warmth, and distant people become friendly with one another. What next digital camera proposes is to touch each other’s hearts and emotions to let people know that there are kind people in this urban jungle and bright flower blossoms on the dark asphalt. Next digital camera shows us that there is special value in the routine life by reawakening our dried emotions in this digital world. 산업전반에 걸쳐 디지털 빅뱅이 일어나고 있는 오늘날, 세계는 지금 이미지 혁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 이미지 생성의 도구인 카메라는 1887년 프랑스에서 화가들에 의해 발명되어, 1.2차 세계대전시 광학과 정밀기계산업의 중심국이던 독일을 거쳐, 35mm 롤필름을 발명한 미국으로, 현재는 전자산업의 중심국인 일본으로 카메라산업의 중심이 옮겨져 왔으며, 최근 카메라에 디지털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부터는 전세계 반도체산업을 리드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이 디지털카메라 산업의 중심국가가 되기에 매우 유리한 조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1975년 미국 Kodak사(社)의 한 엔지니어에 의해 발명되었고, 1986년 일본의 소니사(社)가 최초로 상용화한 플로피디스크 기록형의 ‘MAVICA’ 이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2011년 현재 전세계 약 1억4천만대의 시장규모로 성장. 발전하였다. 또한 디자인에 있어서도 기술과 결부된 핵심 디바이스의 발달에 의해 시대적으로 그 변화를 거듭해 오고 있고, 최근에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랜드에 맞춘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어서, 카메라디자인 부문에서의 각 메이커들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처음에는 업무용이나 연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시장의 요구에 의해 보도용과 상업사진용으로도 확대되게 된다. 보도 사진용으로는 종래의 35mm 일안레프 바디를 활용한 것(주로 코닥) 새로운 바디를 활용 한 것(니콘, 후지)의 두 가지 큰 흐름이 있었다. 코닥은 캐논이나 니콘의 바디를 사용해, 촬상 소자가 35mm판 보다 작은 만큼, 렌즈의 화각이 35mm 일안레프와 다른 방식을 채용했다. 한편, 니콘과 후지필름의 공동 개발에 의한 일안레프는 축소 광학계를 사용하여, 지금까지의 렌즈 화각을 유지하고 있었다. 상업용으로는 서구의 메이커들로부터 뷰 카메라나 중판 카메라에 부착하는 백커버 착탈 방식의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백)를 개발. 보도 사진과 커머셜 사진의 용도로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카시오 QV-10의 출시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전까지의 플로피 디스크 기록방식을 카메라 본체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하는 방식을 채용하게 되면서 적절한 가격을 형성하게 되어, PC사용자들로부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95년 이래의 인터넷 붐에 편승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이른바 홈페이지 제작의 도구로 애용되게 된 것이다. 그로부터 후지 필름, 올림푸스 등의 필름, 카메라 메이커가 이 분야에 참가하여 과거 필름카메라에서 축적된 Know-how를 바탕으로 성능을 향상시켜 나갔다. 이후, 다른 카메 메이커도 이 경쟁에 가담하여 컴팩트 카메라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상 소자의 화소수가 매년 2배로 증가하는 경쟁에 돌입하게 되었다. 또한, 1999년에는 니콘이 고급 디지털 일안레프로는 저가격의 D1을 발매. 이전까지 신문사자 잡지사의 일부 등에서 사용되었던 디지털 일안레프의 시장을 단숨에 확대시켰다. 그 후, 후지 필름, 캐논도 저가격의 보급 타입 디지털 일안레프를 등장시켰고, 2001년 말부터 2002년 초에는 캐논과 교세라로부터 고급 디지털 일안레프가 발매되었다. 보도사진 촬영을 직업으로 하는 ‘Pro 사진가’ 들에 있어서의 카메라란 그들의 생계를 책임지는 도구이므로, 신제품을 수용할 때 매우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하게 되고, 그들을 추종하는 수 많은 사진 애호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의 사건은 업계에서 유명한 일화로 회자되고 있다. 4년마다 개최되는 올림픽에서 가장 주목을 받는 종목은 육상 100M 인데, 선수들이 역주하는 약 10초간의 생생한 모습을 카메라에 담기 위해 트랙의 맞은편에는 전세계 모든 언론사에서 파견된 Pro 카메라맨들이 포진하고 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만 해도 그자리의 풍경은 검은색 망원 랜즈에 노란줄이 있는 니콘제품이 군락을 이루었으나,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하얀색 망원 랜즈에 빨간줄이 있는 캐논제품의 군락으로 바뀌어 버린 것. 이것은 오랜동안 필름카메라시대의 절대강자로 군림했던 니콘의 시대가 저물고, 디지털 카메라시대의 새로운 강자로 캐논이 등극을 하게 된 사건이었다. 또 하나의 기억될 만한 일화로 미놀타의 몰락을 들 수 있는데, 미놀타는 일본의카메라 역사와 함께 한 대표적인 기업으로, 카메라산업 관련 기술혁신의 변곡점이 된 시기마다 혁신적인 신제품으로 화제를 불러모았던 기업이었고, 1987년에 발표한 알파7000이라는 신제품을 통하여 Pro용 카메라 분야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하게 되어, 전세계 수많은 팬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후에도 APS System카메라는 물론 디지털 초창기제품에도 그 절대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을 무렵 미국 하니웰로부터 ‘AF기술’에 대한 특허침해 소송에 휘말려 1992년 당시 천육백억원의 배상을 하고,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 결국은 몰락하게 된 일이다. 이처럼 시대적 패러다임이 바뀔 때 마다 카메라 Industry의 중심국가가 이동되어 왔고,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여 확장되기도 한 반면, 한 시대를 풍미하며 업계의 절대강자로 군림하던 기업이 하루아침에 몰락하게 된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카메라의 디자인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범위를 디지털카메라로 한정하여, 여러가지 요인에 의한 디자인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근 미래에 진화하게 될 새로운 디지털카메라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카메라 손잡이 디자인의 affection evaluation 방법 연구 : 렌즈 교환식 카메라를 중심으로

        진병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Designers should consider various aspects for creating a product and it is related to selection of materials, manufacturing methods, product marketing, price and practicability and easiness of using or understanding a product. However, many designers do not realize that the design and use of a product contain emotional factors (Norman, 2006). In some ways, the emotional aspect of design is more emphasized for the success of a product than the practical factor.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is studies that started with a purpose to plan much more convenient, agreeable and safe human life by quantita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and ergonomically analyzing human emotion for its application to product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sign. Camera products have been more convenient and lighter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of invention due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since its invention. In particular, since digital technology became incorporated into cameras in the 2000s, individuals have had many chances to create images and as communication activities of images using means of communication are expanded, products with high quality functions are made in a size that is always portable and satisfy user‘s emotional desire. But sometimes, usability becomes lower as much as portability becomes easier due to its small sizes and in case of the lens interchangeable camera that is generally called D-SLR, it can not g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users without an emotionally excellent grip. The research on grips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 has progresses active research in the fields of human engineering and physics. As for the case study on human engineering, there are correlation analysis of finger movements in gripping by Ryu Tae-byeom and one researcher (2001), a study on the power of grip of a hand by Gong Yong-gu and two researchers (2009) and a study on the grip design metho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utilizing physical measurement data of a hand by Lee Won-seop and two researchers (2008). Concerning the case study on the field of medical physics, there i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lbow joint bend on the power of grip of the wrist by Lee Sang-yong (2006) and a study on grip changes according to the angles of the shoulder joint by Hwang Byeong-deok and Ju Min (1998). Besides,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hands and a grip including a study on design of the hand grip and manual control device considering finger muscular strength by Kim Jae-yeong and two researchers (1994) considering the behavior not only holding a grip and but also operating a grip. Previous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power of the hand, fatigue of muscles and manipulability in the viewpoint of engineering and medicine but a study on the emotional evaluation method on grip design has not been found. In particular, because people have been lately using the camera products as an important method for image communication, concrete research on emotion grips is more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n emotional evaluation method of a grip that is applied to the camera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ip design applied to the lens interchangeable camera of each maker found until now by applying the emotional evaluation method. Particularly,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of Charles Egerton Osgood was utilized and the factors and method used for measuring emotion in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were partially introduced to acquire objectivity on the emotional evaluation on the camera grip design and to implement academic foundation. For this, it is going to analyze a theoretical system of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nd emotional evaluation to develop useful factors for the camera grip design and apply the developed factors and apply them to the camera grip design. This study that applies the emotional factors to the evaluation on the camera grip design will contribute to the judgment of design preference of the camera grip in the future. 고객의 제품에 대한 요구가 다양해지고 제품의 시장주기가 점점 짧아져 감에 따라 기업은 지속 성장을 위해 제품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차별화된 기술로 제품의 고급화와 개발기간 단축을 통한 빠른 시장대응 등의 원가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정량적인 노력도 필요하겠으나, 시시각각으로 변해가는 고객의 기호와 개성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기 위해 쾌적함, 편리함 등의 감성적 측면에서의 요구에 대해 정성적인 요소로 고객에게 대응을 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카메라 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이미징 산업은 최근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서로 공유하는 문화가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고도의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스마트폰의 영향으로 휴대성을 강조한 콤팩트 제품은 시장에서 완전히 퇴출이 되고,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이라고 하는 렌즈교환 방식의 고급형 제품으로의 시장수요가 이동 되고 있다. 과거 전문가들이 주로 사용하던 D-SLR 제품이 이제는 이왕이면 더욱 좋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싶어 하는 일반인들에게도 그 Needs가 확산되어, 현재의 사진 분야에는 D-SLR로 찍은 사진과 스마트폰 사진으로 크게 양극화 되고 있다. 일반인들이 사진을 잘 찍고는 싶으나, 크고 무거운 D-SLR을 일상적으로 휴대 하기란 그다지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최근 각 메이커에서는 D-SLR의 단점을 보완, 작고 가볍게 만든 렌즈교환 방식의 하이브리드 카메라를 대거 출시하고 있어서 늘어나는 고급기 시장에서의 소비자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렌즈 교환식 카메라 (D-SLR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카메라)의 감성적 가치의 중요성을 제고하기 위해, 카메라 손잡이에 대한 여러 가지 감성적 평가와 실증적 제품실험을 실시한 것이다. 먼저, 평가의 지표를 만들기 위해 카메라 손잡이에 관련된 중요 감성형용사를 추출 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실험제품에 대한 시각적(이미지)평가와 촉각적(파지감)평가를 병행 실시한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촉각적 평가에서는 파지감을 향상시키는 요소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병행 하였다. 아울러 제품의 기능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전 실험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의 조사를 통해 얻게 된 공통적 연구방법인 감성형용사의 수량화 이론을 활용하여 감각, 묘사, 평가, 태도의 네 가지 유형에 해당하는 194개의 감성형용사를 활용하였다. 20대~40대의 연령층별 100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된 194개의 감성형용사 중에서 카메라 그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감성형용사 32개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각 유형별 감성형용사의 중요도를 평가 하여, 카메라 그립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감성형용사를 유형별로 각각 감각적형용사 8개, 묘사적형용사 3개, 평가적형용사 5개, 태도적형용사 1개, 총17개의 중요 형용사를 추출하였다. 셋째, 17개의 카메라 손잡이 관련 중요 형용사를 활용, 실험 제품의 시각적(이미지)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동일한 내용의 중요 형용사를 활용, 실제로 제품을 파지했을 때의 촉각적(파지감)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실험제품의 착지감 만족도와 파지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파지감 만족도에 대한 평가의 실시 및 상호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파지감에 영향을 주는 부가적인 요소 중 손잡이의 소재특성에 따른 탄력감과 마찰감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책정하기 위하여 모형제작 및 평가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일곱째, 파지감 만족도와 제품의 실사평가를 통한 분석의 결과가 일치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5년 7월부터 9월까지에 걸쳐 제품의 기능적(실사촬영) 평가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여덟째, 연구의 활용방안과 향후연구방향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연구는 카메라 손잡이가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변수를 감성평가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구된 사례이다. 감성형용사를 활용한 카메라 손잡이의 감성평가 지표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제품의 이미지평가와 파지만족도 평가, 그리고 제품의 실사촬영에 대한 평가 및 분석 이라는 세 가지의 과정을 통해 평가를 하는 것이다. 아울러 통계적 기법을 더하여 연관성을 분석 한다면 유의한 결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방법을 참고로 향후 다른 손잡이(Grip) 디자인의 감성평가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