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 외상환자에 관한 연구

        지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노인 외상 환자에 대한 조사 연구로, 노인의 외상 예방 중재와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E 대학부속 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에 2006년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내원한 65세 이상 노인 외상 환자 75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저자가 연구 목적에 부합되게 만든 자료수집 문항을 통해서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 외상 관련 요인과 외상 결과를 의무기록을 통해 작성하였다. 대상자의 63.5%가 낙상 및 추락을 통해 외상을 입었고, 57.2%가 오전 6시부터 18시 사이에 외상을 입었으며, 주거지에서 55%가 외상이 발생하였다. 평균 입원일수는 21.2일이었으며, 입원한 대상자 중 평균 중환자실 체류 일수는 6.7일이었고, 평균 총 진료비 중 외래 진료비는 231,299원 이었으며, 입원 진료비는 6,594,301원이었다. 대상자는 골절(42.4%)의 외상 형태를 가장 많이 보였으며, 상해를 입은 부위는 사지와 골반대(47.2%)가 가장 높았다. 외상으로 인해서 59.8%는 집으로 귀가하거나, 전원하였고, 39.5%는 병실이나 중환자실로 입원 하였고, 0.7%는 응급실내에서 사망하거나 도착 시 사망 상태였다. 외상 기전에 따른 외상 부위(x2=102.06, p=.000), 외상 형태(x2=116.37, p=.000), 진료 결과(x2=126.83, p=.000)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낙상 및 추락 시 사지와 골반대(51.92%)부위가 가장 높았고, 골절(51.8%)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40.1%가 입원 하였다. 입원 일수는 21.1일 이었으며, 손상 계수인 ISS(Injury severity scale)는 5.37점으로 경증 손상을 나타내었다. 교통사고 시 38%의 대상자가 두경부와 안면부에 외상을 입었고, 골절(33.7%)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외상 기전 중 가장 입원률이 높았는데, 38.6 %가 입원 하였으며, 입원 일수는 17.8일 이었고 ISS는 5.81점 이었다. 기타 외상 시 56%가 두경부와 안면부가 가장 많았으며, 외상 형태는 피부 손상(43.4%)이 높았고, 18.1%는 입원 하였으며, 입원일수는 57일로 가장 높았고, ISS는 4점이었다. 관통상의 경우에는 사지 및 골반대(73.2%)가 가장 많았으며, 외상 형태는 피부 손상(92.9%)의 형태가 가장 많았고, 12.8%가 입원 하였다. 입원일수는 24.8일이었으며, ISS가 1.7점으로 손상도가 가장 낮았다. . 폭력의 경우에는 두경부(61.7%)가 높았고, 외상의 형태는 피부손상(54%)이 가장 많았다. 입원일수는 24.8일이었고, ISS는 1.72점이었다. 자해의 경우에는 두경부와 안면부위(61.7%)가 높았고, 피부손상(15.4%)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28.6%가 입원하였고, 입원일수는 16일이었고, ISS는 24.4점으로 가장 손상지수가 높은 중증 손상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 관련 특성과 ISS, 입원 일수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과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ISS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t=2.194, p=.657, t=1.363, p=.583), 입원 일수는 65세이상 75세 미만인 초기 노인군이 75세 이상 후기 노인군보다 입원 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t=0.866, p=.027). 질병이 있는 대상자가 질병이 없는 대상자보다 중환자실 체류 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t=0.814, p=.190). 노인 외상이 주로 낙상 및 추락으로 인해서 발생하며, 주로 대상자가 거주하는 주거지이고, 의도적 외상인 자해가 가장 손상 지수가 높고, 사망률이 높은 점은 중재를 통해서 예방 가능한 외상이라는 점이다. 노인 전문 간호사는 노인 외상에 대한 요인들과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을 통해서 예방책을 찾고, 중재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노인 인구증가와 더불어 나타나는 노인 의료비의 증가와 삶의 질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rauma-related factors and result of trauma in the elderly-trauma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cords of trauma injured elderly aged 65 and older who visited at E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center over a period of 1 year, March, 2006- February, 2007.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757 elderly patients. The questionaire was composed of 14 items : 2 about demogrphic variables, 1 about preexisting disease, 4 about trauma-related factors and 7 about results of traum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ost common place of trauma injuries was residential area(55%),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ies(MOIs) was falling(63.5%), and injured time was 6am-6pm(57.2%). Forty-two percent of subjects was involved fracture, the most common injured part was extremities & pelvic girdle(47.2%), admission rate was 39.5%. The average stay in hospital was 21.2 days and the average admission expense caused by trauma per person was 6,594,301 won. 2. When MOI was falling, subjects were injured extremities & pelvic girdle(51.9%), admission rate was 40.1%, which was the highest admission rate among MOIs. 3. The average ISS(Injury Severity Score) was 5.2(score). Among the MOIs, the highest ISS was self-harm(24.4 score), but the longest average admission period was other mechanism. 4. The group of age under 75 had longer total admission period (t=0.866, p=.027) and ICU(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period(t=1.896, p=.002) than the group of age above 75. Elderly trauma was caused by falling, common place was residential area, the highest ISS was self-harm, which showed us trauma could prevent through preventive intervention. With this finding of study, it may have practical value in developing trauma preventive intervention and prevention strategy.

      • 마늘(大蒜)첨가 막장의 효능과 관능평가에 따른 상품화 연구 : 마늘첨가막장,막장,된장의 비교 분석 중심

        지은주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막장은 된장의 일종으로 숙성된 후에도 간장을 분리하지 않아 감칠맛과 풍부한 영양성분으로 인해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발효식품이다. 특히 최근에는 장류의 효능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효능이 있는 부재료 마늘을 막장에 첨가하여 실험을 통한 효능, 관능평가를 통한 선호도를 알아보고, SWOT분석으로 상품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류와 마늘, 메주에 관한 선행연구, 이론적 배경을 통한 SWOT분석, 장류산업의 현황과 비교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으로는 된장, 막장, 마늘을 첨가한 마늘첨가막장의 품질을 비교 실험하였다. 연구를 구체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서울지역의 30대부터 60대까지의 남․녀를 대상으로 관능평가에 의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마늘(大蒜)첨가 막장의 효능과 관능평가에 의한 상품화 가능성에 대한 유의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연구, 장류현황, SWOT분석에 의한 품질비교를 통해 상품화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특히 마늘 첨가로 인한 가격 상승요인은 항균, 항암 등 마늘의 우수한 기능성을 강조하여 대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둘째, 품질과 영양성분을 비교하였다. 된장, 막장, 마늘첨가막장의 시료를 제조하여 품질을 비교한 결과 부재료 마늘의 첨가로 인하여 된장보다 산미가 적고, 당도가 더 높았으며 낮은 염도를 나타냈다. 마늘첨가막장은 당도와 염도에서 막장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된장과는 많은 차별화를 가져왔다. 셋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칼 소거능 검사를 통하여 나온 항산화 활성능에서 마늘첨가막장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서 기능성 식품으로서 상품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농도 100(㎍/㎖) 기준일 때 된장보다 막장이 4배, 막장보다 마늘첨가막장은 2배, 된장에 비해 마늘첨가막장은 8배 높은 활성도 차이를 보여 우수성이 나타났다. 넷째, 마늘의 항균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곰팡이 관찰 실험을 시행하였다. 막장은 3일후부터 곰팡이 발생이 시작되었고, 마늘첨가막장은 따뜻한 실내에서 20일까지 곰팡이가 생성되지 않아 마늘의 항균성을 입증하였다. 이는 장류 생산에 있어 부패 위험도를 낮출 수 있고, 나아가 기능성 장으로서의 우수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이다. 다섯째, 관능평가 참여자의 구성은 총 100명 중 여성 70명(70%), 50대 34명(34%), 주부 30명(30%) 순으로 빈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일반특성에서 된장, 막장은 색, 향, 맛의 전반적 선호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마늘첨가막장의 전반적 선호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p < .01. 남자(평균=4.97, 표준편차=1.38)일 때보다 여자(평균=5.79, 표준편차=1.09)일 때 더 높았다. 연령에 따른 색, 향, 맛의 선호도 차이는 50대일 때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군에서는 약용작물학과생이 6.40±0.83으로 유의하였다. 선호도 종류 간 차이 검정에서는 맛 선호도의 된장(평균=4.79, 표준편차=1.27), 막장(평균=4.98, 표준편차=1.15), 마늘첨가막장(평균=5.77, 표준편차=1.09) 간 차이는 유의하였다, p < .001. 막장에 마늘을 첨가한 마늘첨가막장은 마늘의 향미(香味)를 더하여 장의 발효취를 덜 느끼게 하였고, 숙성된 마늘의 맛이 섞여서 맛과 향 선호도에서 막장보다 훨씬 더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는 장류 제조에 다양한 약용작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높은 상품화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마늘첨가 막장은 맛, 영양, 기능성을 비롯한 품질비교와 관능평가의 선호도에 있어서도 우월함을 입증하여 기능성 발효식품으로 인정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류를 기반으로 한국의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늘어나고 있는 지금, 국내와 세계에 모두 통용될 상품으로 내세울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과 그 활용이 필요하다.

      • 장애전문어린이집의 의사소통 상황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어휘 조사

        지은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인, 노인, 학령기아동,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휘 수집이 이루어지며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전문어린이집 특수교사의 교수활용을 위한 어린이집 일과의 의사소통 상황별 어휘를 수집하고 그 중에서 핵심 어휘와 품사별 어휘 비율을 찾아 장애전문어린이집에서 AAC 도구의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개별 AAC 도구의 적용을 위한 어휘 목록 개발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전문어린이집 교사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작성해서 조사하고 단어와 문장을 수집하였다. 어린이집 하루 일과를 고려하여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 자유선택활동, 등원·하원, 간식·점심, 신변처리, 낮잠의 10가지의 대화상황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는 장애전문어린이집 4곳의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0,625개의 어휘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결과처리는 전체 어휘 분석으로 전체 어휘 중 빈도백분율이 0.5% 이상의 빈도를 보인 어휘로 전체상황 핵심 어휘와 품사별 비율이 분석 되었다. 상황별 어휘 분석으로 각 상황별 어휘 중 빈도백분율이 0.5% 이상의 빈도를 보인 어휘로 각 상황별 핵심 어휘와 품사별 비율이 분석 되었다. 이렇게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어휘에서 핵심 어휘의 전체 낱말 수(NT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상황별에서 핵심 어휘의 전체 낱말 수(NTW)와 다른 낱말 수(NDW)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체로 아동이 많이 참여하고 일상생활과 연계되는 상황일수록 전체 낱말 수(NTW)와 다른 낱말 수(NDW)가 높게 나타났다. 품사별 어휘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전체 어휘의 핵심 어휘에서 동사가 42%, 명사가 41%로 높게 나타났고 형용사 10%, 부사 4%, 대명사 2%, 감탄사 1%로 나타났다. 상황별 각각의 핵심 어휘에서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유선택활동, 낮잠의 6개 상황에서는 동사,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순으로 품사별 비율이 나타났고, 자연탐구, 등원·하원, 간식·점심, 신변처리의 4개 상황에서는 명사, 동사, 형용사, 대명사 순으로 품사별 비율이 나타났다. 따라서 동사와 명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핵심 어휘는 어린이집 일과에서 장애전문어린이집의 교사들이 AAC 도구로 교수활동을 할 경우 중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Across adults, the elder, school-age children, the disabl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Vocabularies are being corrected with various methods as the interest in it increases. The research collected the vocabulary by each communication situation that happens during working hours in daycare centers for disabled children. The vocabularies were collect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use for their work. The core vocabularies and the proportions of each part of speech were found to be offered for the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hildren as basic data in order to make the vocabularies available for the daycare centers to apply individual AAC tools.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offer useful data for those who develop the list of vocabulary for the application of AAC tools. For this, the survey with open-ended questions was created and used for the research, and words/sentences were collected. Considering the daily schedules of the daycare centers, 10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selected; Exercise/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Artistic experience, Nature exploration, Freely selected activities, Going to/coming back from the center, Snack·Lunch, Dealing with personal matters, and Napping. As research data, surveys of 50 teachers in 4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hildren was used and 20,625 vocabularies in total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bout the analysis of total vocabularies, the vocabularies that have a frequency percentage of more than 0.5%, the core vocabularies for all situations, and the proportions of each part of spee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below. The core vocabularies appeared to take up 89% of the number of total words (NTW). Regarding the proportion of the number of total words(NTW)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in the core vocabularies upon each situation, NTW and NDW appeared to increase as more children attend the situation and the situation is more related to daily life. As the result from the anylsis of the proportion of vocabularies by each part of speech, Verbs were 42% and nouns were 41% of the total core vocabularies. Furthermore, other results followed; adjectives were 10%, adverbs were 4%, pronouns were 2%, and interjections were 1%. In terms of core vocabularies upon each situation, Exercise/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Artistic experience, Freely selected activities, and Napping has the order of verbs-nouns-adjectives-pronouns regarding their proportion. In Nature exploration, Going to/coming back from the center, Snack·Lunch, and Dealing with personal matters, the order was nouns-verbs -adjectives-pronouns. Accordingly, the proportion of verbs and nouns appeared to be high, and it is indicated that the core vocabularies that are being used with high frequency could be importantly applied when the teachers do their work with AAC tools in their day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hildren during the working hours.

      • 청소년의 권리실제 및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의 관계

        지은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청소년의 권리실제 및 자아개념과 사회적 기술의 관계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학교생활에서 침해되기 쉬운 청소년의 권리실제,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의 관계와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권리실제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 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청소년 권리보장과 사회적 기술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의 중․고등학교 4곳을 대상으로 청소년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69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2학년은 279명(남자 151명, 여자 128명), 고등학교 2학년 290명(남자 142명, 여자 148명)이다. 청소년의 권리실제를 측정하는 척도는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개발한 아동의 권리인식 질문지 중 ‘권리의 보유 정도 인식’을 사용하였다. 본 측정도구는 UN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하여 보호, 양육, 발달 및 참여권을 중심으로 총 30개 문항을 구성되었다. 자아개념 척도는 고진영(2004)이 개발한 중․고등학생 자아개념 검사로 비학문적 자아 영역인 신체외모, 운동능력, 친구관계, 부모관계, 정서적 안정, 정직신뢰가치와 학문적 자아 영역인 수학, 언어 일반교과 등 9개의 하위 요인과 총 6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기술 척도는 Gresham과 Elliott(1990)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로 문성원(1997)이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본 척도는 협동성, 주장성, 공감, 자기통제 등 4개의 하위요인과 3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이원변량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권리실제,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은 유의한 상관이 있다. 청소년의 권리 실제와 친구관계 자아, 부모관계 자아, 정서적 안정 자아 등의 자아개념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협동성, 주장성, 공감 기술, 자기통제 기술에서도 각각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과 학년에 따른 권리실제,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을 살펴보면 주효과로 성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권리실제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성과 학년에 성과 학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자아개념 하위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과 학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주효과로 하위변인별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은 신체외모 자아, 운동능력 자아, 정서적 안정 자아, 수학적 자아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여자 청소년은 부모관계 자아와 일반교과 자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학적 자아는 중학생이 높게, 신체외모 자아는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술에서는 남자 청소년보다 남자 청소년은 자기통제가, 여자 청소년은 공감 기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사회적 기술에서 성과 학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권리실제와 자아개념이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리실제가 높을수록 협동성, 주장성, 공감 기술, 자기통제 기술이 높으며, 운동능력 자아, 친구관계 자아, 정직신뢰가치 자아, 일반교과 자아가 긍정적일수록 협동성이 높다. 신체외모 자아, 운동능력 자아, 친구관계 자아, 정직신뢰가치 자아가 긍정적일수록 주장성이 높았다. 또한 운동능력 자아, 친구관계 자아, 정직신뢰가치 자아가 긍정적일수록 공감 기술이 높으며, 부모관계 자아, 정직신뢰가치 자아, 정서적 안정 자아, 수학적 자아, 일반교과 자아가 긍정적일수록 자기통제 기술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청소년의 권리실제,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내고 있었으며, 적절한 권리실제와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낮은 사회적 기술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권리의 올바른 행사와 청소년 시기에 형성해야 할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획득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권리실제, 자아개념, 사회적 기술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분석

        지은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래의 영어 교육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 정책으로 인해 읽기 교육이 중시되었고, 의사 소통 중심 교육 과정으로 전환되면서 듣기와 말하기를 강조하였다. 반면에 쓰기는 문자를 통한 의사 소통 능력으로, 의사 소통에 필수적인 기능임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언어 학습 시 유창성과 정확성을 함께 강조하고,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으로 나누어 통합적인 지도를 통한 다양한 학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쓰기 교육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결과 지향적 교수요목 뿐만 아니라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도 도입하여, 결과와 과정을 모두 중시하는 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이 교육 과정의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3종의 교과서를 통해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영어인 중학교 1학년(7단계)에서 고등학교 1학년(10단계), 그리고 고등학교 선택 영어 교과인 영어 I까지의 5단계를 연계를 두어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쓰기 활동의 분석에 기준이 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교과서의 단원 내에 나타난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체제를 살펴보았고, 둘째, 쓰기 유형을 크게 통제 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 하에 여러 가지 세부 사항을 두어 항목 수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년/단계별 쓰기 활동 성취 기준에 부합하도록 쓰기 항목이 구성되었는지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쓰기와 타 언어 기능과의 연관성에 관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보면, 세 교과서 모두 각 단원마다 쓰기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부분이 한두 부분이 보이고, 다른 구성 요소에서 쓰기를 약간씩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단원 내의 여러 구성 부분에서 쓰기를 학습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구성요소의 제시 순서가 대체로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순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쓰기가 타 언어 기능에 비해 늦게 학습되고 어려운 영역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으로 통제, 유도, 자유 작문으로 쓰기 유형을 구분하고 세부 유형으로 나누어 항목 수를 조사해보니, 전체 쓰기 항목 수는 단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고, 통제 작문의 비율이 단계별로 약 80% 가량을 차지하며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은 단계가 진행될수록 비율이 낮아지거나 하위 단계와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같은 EFL 상황에서는 학습자의 쓰기 발달 단계에 맞춰 통제 작문의 비율을 서서히 줄여가면서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비율을 늘려가야 하지만, 이것을 제대로 따르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각 단계에 제시된 쓰기 활동은 학년/단계별 성취 기준에 대체로 부합하였으나 요구하는 성취 기준과 정확하게 맞지 않거나 제시된 성취 기준에 일치하는 쓰기 항목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서 성취 기준이 달성되기를 요구하는 단계가 아닌 상위나 하위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각 교과서가 성취 기준을 완벽하게 달성했다고는 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쓰기와 타 언어 기능이 통합되어 나타난 항목이 전체 쓰기 항목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쓰기와 상호 관련이 있는 읽기가 듣기나 말하기에 비해 쓰기와 자주 통합되어 나타났다. 상위 단계로 갈수록 타 언어기능과 연관된 쓰기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언어 4기능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과서에 쓰기 항목을 구성함에 있어서 몇 가지 제안 사항이 있다. 우선 교과서 제작 이전에 교육과정이 충실하게 마련되어 그 내용이 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언어 기능의 제시 순서를 일률적으로 듣기-말하기-읽기-쓰기 순으로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작문의 비율도 학습 초기에는 통제 작문의 비율을 높게 구성하고 점차적으로 유도 작문과 자유 작문의 구성 비율을 늘리는 것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배양에 효과적이다. 한편, 각 단계에서 모든 학생들이 쓰기와 관련된 공통된 과제를 성취하여 이후의 단계에서 다른 교과서로 학습하더라도 학습이 용이하도록 단계별로 제시된 성취 기준이 해당 단계에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교사는 교과서에 제시된 통제, 유도, 자유 작문을 지도하면서 결과 뿐 아니라 과정도 중시하여야 한다. 결과 중심 쓰기 활동을 통해 수사법, 담화 규칙, 내용 구성 방식 등을 학습하고, 과정 중심 쓰기 활동을 통해 작문 과정을 개선해 효과적인 작문을 할 수 있도록 작문 전략과 절차를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쓰기 과정을 이해하고, 필요성을 인식하며 글의 내용과 구성을 다듬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쓰기의 결과물을 자유롭게 양산해낼 수 있도록 쓰기에 필요한 지식, 여러 절차와 방법을 알려줘야 한다. Writing skills have been neglected compared with listening, speaking and reading skills, even though they are essential for the communication. But these days we think writing skills are as important as the other language skills and can reinforce the other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gard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s important skills, and intends to integrate these four skills while teaching language. Besides it introduces not only product-oriented syllabus but also process-oriented syllab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lans for the next effective writing activities. The criteria of the textbook analysis depends on the following standards. 1. How many sections of each lesson contain writing activities mainly. 2. How the ratio of controlled, guided, free writing and the particular writing activities of them increases as the grade goes up. 3. Do writing activities correspon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writing activities by grade and stage? 4. How many writing activities are integrated with the other language skills. The results of the textbook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ituents of the each lesson have one or two sections which contain writing activities mainly, and many sections have writing activities partially. And each lesson has listening-speaking-reading-writing order uniformly, which means that textbook writers regard writing skills as difficult skills to learn and the students can learn lastly compared with the other language skills. Second, the number of total writing activities increases as the grade or stage goes up. But controlled writing takes up about 80% and the ratio of guided and free writing is very low every grade. Though the textbook writers should make controlled writing decrease and guided and free writing increase gradually in EFL situations like Korea, they failed to do that. Third, the writing activities by grade and stage correspon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roughly. But there are some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not exactly consistent with achievement standards and are given in the other grade or stage, not in the very stage which they have to be shown. Finally, writing activities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other language skills are approximately 50% of tot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ratio of writing activities integrated with reading skills is higher than those integrated with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Writing activities integrated with the other language skills are increasing at the higher grade and then the students can enhance communicative competence gradually by integrating four language skill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suggest some ways about construction of writing activities. Textbook writers had better make the ratio of controlled writing high at the beginning stage and increase that of guided and free writing step by step.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had better be shown at the arranged stage in order that the students learn the same types of writing each stage. Also, teachers should account both product and process as important things while teaching writing skills. And so teachers should have their students learn the knowledge, procedure and methods which are needed at writing so that the students can know writing process and embellish their writing and then make their own product freely.

      • 우엉분말을 활용한 스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지은주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엉스낵의 기능성을 함유한 가장 적합한 함량의 비율을 찾기 위하여 예비실험을 통하여 0%, 3%, 5%, 8%의 대조군을 만들어 이화학적 성분 분석과 스낵으로서의 품질학적 특성 분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엉분말의 일반적 영양성분은 탄수화물 72.2%, 조단백 13.6%, 조지방 0.27%, 조회분 6.65%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성분 분석 결과로 우엉분말의 polyphenol 함량은 1.26 ± 0.03 mg/g, flavonoid 함량은 0.77 ± 0.02 mg/g 이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91.72 ± 0.34, ABTS radical 소거능은 13.06 ± 1.07, FRAP 환원능은 45.71 ± 0.19로 나타났다. 우엉 스낵의 일반분석 결과 수분의 양이 우엉분말 첨가량에 따라 줄어들어 우엉분말은 부재료의 영향을 안 받고 함량비율 그대로 적용되어 단단해짐을 볼 수 있었다. 항산화성의 지표를 분석한 결과 우엉스낵의 폴리페놀함량은 4가지 대조군중 5% 첨가스낵에서 가장 높은 0.78±0.01mg/g이 나왔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0.37 ± 0.01mg/g나왔다. DPPH 소거능은 8% 첨가스낵에서 33.01±0.89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ABTS 소거능은 5% 첨가스낵에서 5.98±0.56, 8% 첨가스낵에서는 8.80±1.57로 유의적인 증가하였다. FRAP 환원능을 보면 5% 첨가스낵에서 15.21±1.10, 8% 첨가스낵에서 20.84±0.3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보면 우엉분말을 첨가하는 농도에 의존하여 항산화성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는데 항산화성이 높음을 알 수 있어서 우엉의 기능성식품으로서 활용도를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스낵의 품질특성을 살펴보면 3% 첨가스낵의 26,150.0±977.2에서 8% 첨가스낵 31,023.8±1,872.8까지 함량에 따라 견고성이 꾸준히 늘어남을 보여주었다. 관능검사에서는 3% 첨가스낵이 색 5.9±1.0, 향 5.0±1.2, 맛 5.7±1.1 질감 5.9±0.9, 전반적 기호도 5.8±1.0 으로 나타나서 전체적으로 품질특성과 관능적인 면에서는 우수하다고 보여져서 상품화 용량에 적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3% 우엉분말을 배합한 경우가 품질특성과 관능적인 면에서는 우수했고, 전체적인 항산화성을 보았을 때는 5% 우엉분말이 배합된 경우가 더 우수했다. 상품화에 있어서 기능적인 측면만 고려한다면 5%첨가 스낵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지만, 우엉스낵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의 최초 접근성을 고려해서는 3%첨가 스낵도 항산화성을 나타내므로 상품개발에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 아동의 다문화 경험과 문화간 감수성 및 부모 고정관념이 아동의 다문화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지은주 대구가톨릭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ive chilldren's multicultural experience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their parents's stereotype on children's stereotype toward multicultural group in Korea. Children's stereotypic perception toward multiculrural family is known to aggravate the condition in which many descendants of multicultural family in our country face adaptive problems. For this study, cross-sectional data collected from 143 male and female children (aged 12-13 years), 116 mothers, and 90 fathers were used to find out the determinants of children's stereotypic perception toward multiculrural group. Information on children's inter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al experiences, stereotype toward multucultural family, and parents' intercultural sensitivity, stereotype toward multicultural family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st factor which affects native children's stereotype toward multicultural group is child's intercultural sensitivity(B= -.535, p<.05). And indirect media-mediated multicultural experience(B= -.263, p<.05) and the stereotypes of his/her father (B= .202, p<.05) were influential factors. Especially, children's indirect media-mediated multicultural experience was found to have greater influence on children's stereotype than direct multicultural experiences.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tereotype and father's one is high. The effects of father's stereotype on child's stereotype toward multicultural group had greater than mother's one on that. According to gender, ther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child's stereotypes toward multicultural group.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adaptive problems.

      • 비상장 중소기업 CEO들의 risk hedge를 위한 보험의 역할 : 종신보험을 중신으로

        지은주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소기업 CEO는 법인과 분명히 분리되어있는 형태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영현실은 전문 경영인체제가 아닌 이상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고 대부분 소유와 경영을 같이 하고 있다. 출자 범위내에서 유한책임을 가져야할 범위가 이미 개인자산의 담보와 본인 및 가족의 보증 뿐 아니라 제2차 납세의무와 근로기준법상의 문제로 부딪치고 있다. 즉, 현실적으로는 무한책임을 가지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CEO가 가지고 있는 가장 어려운 현실이라고 볼 수 있다. 기업CEO의 예상치 않은 유고로 어느 정도 성장괘도에 올라가던 회사조차도 경영난뿐 아니라 쌓여있는 부채로 인해 회사의 상속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는 회사자체의 존속은 물론이고 그 동안 축적했던 경영의 노하우와 생산기술은 물론이고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로인해 기업은 사업중단이나 폐업의 상태로까지 몰고 가고 있다. 또한 회사에 속한 CEO의 가족들까지도 금융기관에 담보를 제공한 상태이므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우리는 주변에서 흔히 보게 된다. 예전에 종신보험은 일반적으로 개인 재무설계에서 가장의 사망 시 한 가족의 대비책으로 많이 인식되어지고 활용 되어 왔다. 종신보험의 일반적인 활용도를 시각을 조금 바꾸어 기업의 운영에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오늘 이 논문에서 살펴볼 문제이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CEO들은 기업을 경영하는 동안 기업의 영속성을 위한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제도적 보안장치나 대비를 해야 한다. 또한 기업CEO의 유고 시 문제점까지도 종신보험을 활용하여 기업의 영속성을 지속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 어머니의 마음상태 용어와 유아의 마음상태 용어 및 마음이론과의 관련성 연구

        지은주 부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at types and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36 to 70 month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use while they read a wordless picture-book together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Question 1. While mothers and children read a picture-book, what and how many mental state terms do mothers and children use? Question 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mothers' mental state terms and those of children's? Question 3.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3-1. Do the types and the tokens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correlate with children'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Do the methods on how children use the mental state terms correlate with children'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2. How are children'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affected by the types and the tokens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or by the methods on how children use them? Question 4.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4-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r the tokens of mothers' mental state terms and children's false belief and emotion understanding? Do mothers' methods about using the mental state terms correlate with children's false belief and emotion understanding? 4-2. How are children's false belief and emotion understanding affected by the types and the tokens of mothers' mental state terms or by the methods in which mothers use the mental state ter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6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se children were 36 to 70 months old and attended two daycare centers located at a middle class living area in Pusan. By means of the five sub-categories of the mental state terms ((1) emotion, (2) thinking and believing, (3) knowing, (4)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5) moral evaluation and obligation), the types and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studied. Furthermore, EMS(Elaborated Mental State), ENMS(Elaborated Non-Mental State), NEMS(Non-Elaborated Mental State), and NENMS(Non-Elaborated Non-Mental State) were also studied as the methods on how to use the mental state terms. To research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several tasks of false belief and emotion understanding were considered. As tests of false belief, 'exchange contents task' and 'unexpected transfer task' were used. For the study of emotion understanding, 'emotion situations task'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task' were applied. The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as measured by using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iven research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roperly chosen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obtained as below. First, the types and the tokens of mothers' mental state terms were respectively 13.58% and 34.06% out of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while they read a picture-book with their children. Considering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the mothers used more sub-categories of the mental state terms in the order of emotion, thinking and believing,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For the case of the tokens, more sub-categori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used by the mothers in the order of thinking and believing,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and emotion. The order from the most to the least frequently used method in using the mental state terms was NENMS, NEMS, EMS and ENMS. For children, the types and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took 9.81% and 17.44% over the number of total utterances, respectively. Thinking and believing, emotion and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was the order of the mental state term sub-categories used by the children from the most to the least frequent when the types were considered. When the token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order of the sub-categories from the most to the least was thinking and believing, knowing and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As the methods on how to us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the children used the methods in the order of NENMS, NEMS, ENMS and EMS from the most to the least frequent. Secondly, when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the correlation study on mothers' mental state terms and those of childre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mental state term sub-categories and children's as the following: (1) mothers' emotion versus children's emotion, (2) mothers' thinking and believing versus children's thinking and believing and knowing, and (3) mothers' knowing versus children's thinking and believing and knowing. The result of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hile children's age and linguistic ability were controlled, gave that the following mothers' sub-categories and those of childre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1) mothers' emotion versus children's emotion, (2) mothers' thinking and believing versus children's thinking and believing and knowing, and (3) mothers' knowing versus children's knowing. When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taken into account, (1) mothers' thinking and believing and children's emotion and thinking and believing, and (2) mothers' knowing and children's knowing term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hen a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while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1) mothers' thinking and believing and children's thinking and believing, (2) mothers' knowing and children's knowing, and (3) mothers' moral evaluation and obligation and children's moral evaluation and oblig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when the methods on how the mental state terms were used by the mothers and the children were considered, (1) mothers' EMS and children's ENMS, (2) mothers' ENMS and children's EMS, ENMS and NENMS, (3) mothers' NEMS and children's EMS, ENMS, NEMS and NENMS, and (4) mothers' NENMS and children's EMS, ENMS, NEMS and NENM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hile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g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1) mothers' ENMS and children's EMS, ENMS and NENMS, (2) mothers' NEMS and children's EMS, ENMS, NEMS and NENMS, and (3) mothers' NENMS and children's EMS, ENMS, NEMS and NENMS. Thirdly,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was studi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ings. When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emo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4) know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5)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When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n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and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were found in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hen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the correlation analysis yield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know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and (3)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ing terms and emotion understanding was found in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hile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In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methods on how to use the mental state terms, (1) EMS and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ENMS and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 NEMS and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and (4) NENMS and false belief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However, when children's age and linguistic ability were controlled,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gave n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which was deduced by children's mental state terms, showed that the types and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or the methods yielded no effect on false belief. Furthermore,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and the method had no effect on emotion understanding, either. Only the tokens of the knowing ter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 understanding. Fourthly, the study gave results on how mothers' mental state terms correlated with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as the followings. When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taken into accou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emo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4) knowing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and (5) the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hile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g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the emo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 the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4) the knowing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and (5) the wishing/wanting and intention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When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studi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the emo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and (3) the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When children's age and linguistic ability were treated as controlled variables,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yield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1) the whole mental state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2) the emotion terms versus false belief or emotion understanding, (3) the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and (4) the knowing ter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When the methods on how to use the mental state terms were taken into accou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1) EMS versus false belief and emotion understanding, and (2) NE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E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and in NEMS versus emotion understanding in the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hen the age and linguistic ability of the children were controlle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theory of mind for children driven by mothers' mental state terms showed that mothers'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yielded an effect on children's false belief when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When the tokens were considered, mothers' emotion term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false belief. However, mothers' methods on how to use the mental state terms had no effects on children's false belief. The regression analysis of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gave that mothers' emotion and thinking and believing ter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when the type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considered. As the tokens of the mental state terms were taken into account, this analysis showed that mothers' emotion terms gave some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Furthermore, mothers' EMS also affected significantly children's emotion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