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주도영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of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Home Health Care APN).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7, 2021 to October 31, 2021 for 141 Home Health Care APN. As a research tool, for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measurement tool (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2002) was modified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ung(2007). The Korean version of the Gratitude Questionnaire-6(K-GQ-6) developed by McCullough, Emmons and Tsang(2002) and adapted by Kwon, Kim, & Lee (2006) was u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developed by Ryff(1989) Through analysis,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a validated scale for Korean adult males and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140(99.3%)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51.01±8.32 years. As for marital status, 101(71.6%) were married. In the case of religious affiliation, 115(81.6%) of the study subjects had religion. There were 56(39.7%) people with a Catholic religion and 46(32.6%) people with a Christian religion. 69(49%) of the Home Health Care APN have a master's degree or higher. The average total hospital work experience was 24.22±7.33 years. The average of work experience of Home health nursing was 11.79±7.65 years, with 15 to 20 years having the most 39(27.7%). The highest number of respondents 42(29.8%) said their monthly salary was between 3 million won and 4 million won. For the leisure time, 86(61%) of the subjects answered ‘yes’. 2)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Home Health Care APN was averaged 5.62±0.65 out of 7 points, gratitude disposition averaged 4.71±0.47 out of 7 poi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veraged 3.76±0.42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purpose was the highest (4.01±0.54 points), and autonomy was the lowest (3.36±0.57 points). 3)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me Health Care AP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leisure time (t=3.782, <.001) and religion (F=4.263, =.007), especially in Christian (3.86±0.34) and Buddhist (3.83±0.33) groups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cores(a, c > b, d).. 4)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test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atitude disposition of Home Health Care AP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quantitative correlation(=.527, <.001),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were It showed a significant quantitative correlation(=.240, =.004), and the gratitude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quantit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445, <.001). 5)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ome Health Care APN, emotional intelligen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450, <.001). Next, leisure time (=.206, =.005) and Christianity (=.209, =.040)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order,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3.9%. Keywords: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s(Home Health Care APN), Emotional Intelligence, Gratitude Dispositon,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지능,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의 의료기관 가정간호사업소에 소속되어 6개월 이상 가정간호업무를 수행한 가정전문간호사 141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남서울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 승인(NSU-202109-006) 후 2021년 10월 07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감성지능은 Wong 과 Law(2002)가 개발한 감성지능 측정 도구(WLEIS;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정현우(2007)가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감사성향은 McCullough, Emmons와 Tsang(2002)가 개발하고 권선중, 김교헌과 이홍석(2006)이 번안한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The Gratitude Questionnaire-6; K-GQ-6)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가 수정, 번역하여 한국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타당화 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여성이 140명(99.3%)이었고, 평균연령은 51.01±8.32세, 혼인 상태는 기혼이 101명(71.6%)이었다. 종교가 있는 경우는 115명(81.6%)으로 가톨릭이 56명(39.7%)으로 가장 많았고, 기독교가 46명(32.6%)이었다. 최종학력은 대학원 이상이 69명(49%)이었다. 총 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24.22±7.33년이고, 가정간호사업소 근무경력은 평균 11.79±7.65년으로 15년 이상 20년 미만이 39명(27.7%)으로 가장 많았다. 월 급여는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이라고 한 응답이 42명(29.8%)으로 가장 많았다. 여가시간은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86명(61.0%)이었다. 2) 가정전문간호사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 중 평균 5.62±0.65점, 감사성향은 7점 만점 중 평균 4.71±0.47점, 심리적 안녕감은 5점 만점 중 평균 3.76±0.42점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이 4.01±0.5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자율성이 3.36±0.57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정전문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은 여가시간이 있는 경우(t=3.782, <.001), 종교를 가진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F=4.263, =.007). 특히 기독교(3.86±0.34점)와 불교(3.83±0.33점)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높았다(a, c > b, d). 4) 가정전문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 감성지능, 감사성향 간의 상관관계 검정 결과, 심리적 안녕감은 감성지능(=.527, <.001), 감사성향(=.240, =.004)과 각각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감사성향은 감성지능(=.445, <.001)과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가정전문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구대상자의 감성지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450, <.001). 다음으로 여가시간(=.206, =.005), 기독교(=.209, =.040) 순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9%였다. 주제어: 가정전문간호사, 감성지능,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