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ability evaluation of curcuminoid-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during food unit processing

        조혜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나노기술의 우수한 생체이용률 개선 및 불용성 천연소재들의 분산성 및 안정성 향상 기능에도 불구하고 나노전달체의 식품 적용 사례 및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 실적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커큐미노이드 탑재 nanostructured lipid carrier(NLC)를 제조하였고, 식품 단위공정에 따른 NLC의 이화학적 특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제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27 가지의 NLC를 제조하여 스크리닝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높은 소수성과 curcuminoid의 용해율을 보이는 glyceryl tristearate (GTS), soybean oil이 각각 고체 지질과 액체 지질로 선정되었다. 또한, 지질대비 80%(w/w)의 유화제 혼합제를 유상에 첨가함으로써 NLC 입자의 분산성과 안정성을 증대시켰다. 제조된 NLC의 평균 입자 크기는 110 - 120 nm, 제타전위는 약 -22 mV로 나타나 한달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다. 커큐미노이드 encapsulation efficiency(%)는 85-90%로 나타나 나노전달체로서 NLC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의 제조법이 확립된 NLC의 식품 단위공정에 따른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그 중, NLC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pH 조절, 살균공정 단계를 모방하여 실험이 진행되었다. NLC의 pH가 낮아질수록 평균 입자 크기는 약 200 nm까지 증가하였으며 제타전위는 -2 mV, EE는 약 80%까지 저하되었다. 이를 통해, 식품의 pH 범위에 해당하는 중성, 약산성에서는 NLC의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LTLT (Long Temperature Long Time; 63∘C, 30 분), HTST (High Temperature Short Time; 75∘C, 15 초) 그리고 고온고압의 가혹조건인 steam sterilization (121∘C, 15 분, autoclaving)에 따른 살균 전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와 제타전위에는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steam sterilization의 경우 고온고압의 조건으로 인한 지질 가수분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pH가 감소함에 따라 제타전위 역시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EE 또한 60%까지 감소하여 steam sterilization은 NLC의 살균 법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TLT, HTST 살균법의 경우, NLC의 지질구조가 열에 의해 α-form에서 더 안정적인 형태의 β-form으로 전환되면서 그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열살균 공정에도 NLC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용 NLC를 제조하는 기술을 확립하고 단위공정에 따른 안정성을 확립함으로써, 식품의 고부가가치 향상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Consumers recently expect that foods contribute to satisfaction of hunger as well as health promo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demand for functional foods has been increasing noticeably. However, most bioactive compounds in the functional foods have low bioavailability and can be destroyed easily by environments such as light, oxygen, and heat. In this study, we aimed at developing suitable formulation of curcuminoid-loaded nanostructured lipid carrier (Cur_NLC) which could be applied to food in order to preserve bioactive compounds from environments and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them. Glyceryl tristearate (GTS), soybean oil, and emulsifier mixture in the ratio of 1:1.5 (Span 80®: Tween 80®) by 80% (w/w) compared to the total lipids were chosen as the most optimal formulation among the 27 types of the BLK_NLC. Therefore, Cur_NLC was fabricated with this formulation. The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Cur_NLC after pH adjustments and heat treatments (pasteurization, sterilization) were investigated to prove the possibilities of Cur_NLC application to food and figured out the most optimal processing methods for Cur_NLC. In present study, the pH conditions of Cur_NLC were adjusted to pH 2.0 – 6.5 and Cur_NLC was treated by LTLT, HTST pasteurization, and steam sterilization which was emulated retort sterilization. Basically, average particle siz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dicated that the Cur_NLC particles have size ranging from 100 to 130 nm. The results of zeta potential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EE) showed approximately -25 mV and 80%, respectively. After food unit processing,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except Cur_NLC at pH 2.0 and treated by steam sterilization. Cur_NLC showed flocculation because of low surface charge between particles at acidic pH condition. It showed the most optimal pH condition for Cur_NLC was the neutral. In addition, steam sterilization resulted in low zeta potential and EE because lipids which were compositions of NLC were destroyed by high heat and pressure producing free fatty acids. On the other hand, Cur_NLC treated by HTST pasteurization represented good stability. The results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X-ray diffractometry (XRD) indicated that the α form of lipids structure was changed to the β form which is more stable by the heating and cooling processes during Cur_NLC preparation and pasteurization, sterilization. In this study, the prepared Cur_NLC could maintain the stability after food unit process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curcuminoid could be protected by NLC structure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In conclusion, it can help to increase aqueous stability and oral bioavailability of bioactive compound in foods when treating the NLC with appropriate food processing methods.

      • -Henry Purcell, Johann StraussⅡ의 성악곡과, George Gershwin, Richard Rodgers, Andrew Lloyd Webber, Frank Wildhorn의 뮤지컬 곡 중심으로-

        조혜은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작품집에서는 바로크 시대의 성악곡과 19세기 오페레타 그리고 여섯편의 뮤지컬 작품들을 연주자적 관점에서 분석 하였다. 보다 깊이 있는 연주를 할 수 있도록 각 작품의 작곡가의 생애와 대표작품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등장인물과 줄거리 그리고 구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대표곡을 선별하여 가사와 음악적 특징, 곡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바로크 시대의 성악곡으로는 퍼셀(Henry Purcell, 1659 - 1695)의 <음악이 함께하는 동안: Music For a While, 1692>을, 19세기 오페레타로는 왈츠의 왕이란 호칭을 갖고 있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ssⅡ, 1825 - 1899)의 오페레타 《박쥐, 1874》를 본 작품집에 포함하였다. 20세기 초중반 뮤지컬 작품으로는 조지 거쉬인(George Gershwin, 1898 - 1937)의 《포기와 베스, 1935》 중에서 <여름날: Summertime, 1935>,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dgers, 1902 - 1979)의 《사운드 오브 뮤직, 1959》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들: My Favorite Things, 1959>가 이 작품집에 포함 된다. 20세기 후반의 대표적 작곡가인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 )의 뮤지컬 곡으로는 《송 앤 댄스, 1982》중에서 <Tell Me On a Sunday, 1982>와 《오페라의 유령, 1988》의 <당신이 여기 있었으면 좋겠어요: Wishing You Were Somehow Here Again, 1988>를 포함 하였고, 프랭크 와일드 혼(Frank Wildhorn; 1959 - )이 작곡한 《지킬 앤 하이드, 1992》의 두 곡 <나를 받아줘요: Take Me As I Am, 1990>과 <한때는 꿈에: Once Upon a Dream, 1990>도 본 작품집에 포함된다. ■ 주요어: 퍼셀(Henry Purcell, 1659 - 1695), 요한 슈트라우스 2세(Johann StraussⅡ, 1825 - 1899), 조지 거쉬인(George Gershwin, 1898 - 1937), 리차드 로저스(Richard Rodgers, 1902 - 1979), 앤드류 로이드 웨버(Andrew Lloyd Webber, 1948 - ), 프랭크 와일드 혼(Frank Wildhorn; 1959 - ) I have analyzed this collection of the vocal pieces from Baroque, the operetta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six musical pieces from the performer‘s point of view. I have researched the composer, his or her life, and his or her masterpieces of each piece, and I studied the main characters, the storyline, and the components of each piece in order to perform with greater and deeper understanding. I have chosen the most well-known pieces and analyzed their lyrical and musical uniqueness and their make-ups. In this collection, I have included Henry Purcell(1659 - 1695)’s <Music For a While, 1692> as the Baroque vocal selection, and the “king of waltz” Johann Strauss II(1825 - 1899)’s operetta, 《Die Fledermaus, 1874》 as the nineteenth century operetta selection. For the mid-twentieth century musical, I have chosen Geroge Gershwin(1898 - 1937)’s <Summertime, 1935> from 《Porgy and Bess, 1935》, and Richard Rodgers(1902 - 1979)’s <My Favorite Things, 1959> from 《Sound of Music, 1959》. For the late-twentieth century, I have picked two musicals of Andrew Lloyd Webber(1948 - )’s <Tell Me On a Sunday, 1982> from 《Song and Dance, 1982》 and <Wishing You Were Somehow Here Again, 1988> from 《Phantom Of The Opera, 1988》, and two songs of Frank Wildhorn(1959 - )’s <Take Me As I Am, 1990> and <Once Upon a Dream, 1990> from 《Jekyll & Hyde》. ■ Keyword : Henry Purcell, Johann StraussⅡ, George Gershwin, Richard Rodgers, Andrew Lloyd Webber, Frank Wildhorn

      • 계속구강건강관리(IDC) 프로그램이 17세미만 환자의 치면세균막 관리능력과 치아우식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혜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Comparing the past time when most of dental treatment was focused on therapy, recently interests on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as well as their therapy are enhanced. Hence, this research intends to contribute to application of IDC program in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furthermore in schools and companies through the changes of oral conditions which can be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IDC program on patients under 17 years old Subjects and Methods : Against 35 patients under 17 years old who wished participation in the IDC program among patients visited in M dental clinic located in Kwangju from January, 2008 to October, 2008, their before and after effects of the IDC progra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is IDC program on the patient's oral condition chang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Mechanical Tooth Cleaning ability assessment through O'Leary plaque index and PHP index, comparison of CFU from S.mutans and Lactobacillus test, and Alban test as a salivary acid productivity test using Paired t-test were performed. Besides, correlation between bacteria concerning dental caries identified through phase-contrast microscope, and various parameters of caries activity test was analyzed with Person's corelation. Result 1. As results of dental caries activity test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IDC program, S. mutant test 36.7%, Alban test 33.12%, salivary release rate 14.72%, and salivary buffering capacity test 78.57%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result from Lactobacillus test 19.38% didn'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As results of dental caries activity test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IDC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bacterial numbers in bacilli 40.75% and cocci 34.5% were re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program. 3. As results of Mechanical Tooth Cleaning ability assessment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IDC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HP index 62.5% and O'Leary plaque index 57.47% were re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compared with those before the program. 4. The correlation between bacteria concerning dental caries identified through phase-contrast microscope, and various parameters of caries activity tes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cci and salivary buffering capacity before implementing the IDC program(r=.395, p<.05)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there was medium positive correlation(r=.645, p<.001) between them. Beside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weak positive correlation(r=.337, p<.05) between cocci and Alban test and that there was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cilli and S.mutans test(r=.337, p<.05). Conclusions : It was identified that regular fluoride application, PMTC, tooth brushing technique training proper to the dental state of each patient, and dental care training gave positive effects on change of oral conditions from approval of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care by S.mutans test, Alban test, and salivary flow rate test, salivary buffering capacity test. Also the mechanical tooth cleaning index assessment through PHP index and O'Leary plaque index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care, and it seems to give a great effect in improving mechanical tooth cleaning ability of patients through the good tooth brushing technique training. As also in bacterial number test through a phase contrast microscope, both bacilli and cocci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care than that of before care, reduction of dental caries through the program can be expected, but the result from Lactobacillus test didn'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shown in the above results, the IDC program is a very effective method in oral health of patients. When this prevention program is applied in hospitals, clinics, schools, and business places in a way proper to their situation, it seems to give positive effects in oral health of patients, furthermore of people. 1. 연구목적 구강건강을 증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에 본 연구는 IDC 프로그램이 17세미만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될 때 얻어지는 구강환경 변화를 통해 치과 병·의원, 더 나아가서는 학교 및 기업체에서 IDC 프로그램의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광주에 소재한 M치과병원에 2008년 1월부터 2008년 10월 사이 내원한 환자 중 구강관리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17세 미만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구강관리 프로그램의 전, 후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IDC 프로그램이 환자의 구강환경변화에 주는 영향을 시행 전과 후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PHP index와 O'Leary plaque index를 통한 치면세균막관리능력 평가, S. mutans, Lactobacillus검사의 CFU비교와 Alban검사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고, 위상차현미경을 통해 확인 된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세균들과 우식활성화검사의 여러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으로 통계처리하였다. 3. 결과 1) IDC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치아우식활성화검사 결과 S. mutans 검사는 36.7%, Alban 검사 33.12%, 타액분비율 검사 14.72%, 타액완충능 검사 78.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Lactobacillus 검사 결과는 19.38%로 다소 낮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2) IDC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위상차현미경 상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세균 수의 변화는 간균 40.75%, 구균 34.5%의 감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IDC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치면세균막관리능력 검사 결과 PHP index 는 62.5%, O'Leary plaque index는 57.47%로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의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위상차현미경을 통해 확인된 치아우식에 관여하는 세균과 우식활성화검사의 여러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IDC 프로그램 시행 전에는 구 균과 타액완충능 사이에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395, p<.05). 프 로그램 시행 후에는 구균과 타액완충능 간의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 였고(r=.645, p<.001), 구균과 Alban검사 사이에도 약한 양의 상관관계 (r=.337, p<.05)를, 간균과 S.mutans검사도 약한 양의 상관관계(r=.337, p<.05)를 나타내었다. 4. 결론 IDC 프로그램을 시행한 환자의 S.mutans 검사, Alban 검사, 타액분비율, 타액완충능 검사 결과 시행 전과 후의 유의한 차이가 인정된 것으로 보아 정기적 불소이온도포와 PMTC, 환자 구강상태에 맞는 적절한 잇솔질법 교육과 구강보건교육이 환자의 구강환경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PHP index와 O'Leary plaque index를 통한 치면세균막관리 능력 평가 또한 시행 전과 후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는 환자에게 올바른 잇솔질법을 꾸준히 교육하고 위상차현미경을 통해 동기유발을 시키면서 치면세균막관리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위상차현미경을 통한 세균검사에서도 환자의 우식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간균과 구균 모두 관리 전보다 관리 후에 세균수가 의미 있게 감소하여서 프로그램 시행을 통한 치아우식 감소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반면 Lactobacillus 검사는 시행 전, 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프로그램을 통한 Lactobacillus 세균감소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IDC 프로그램은 17세 미만 환자의 치면세균막관리 능력의 향상과 치아우식활성도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향후 같은 조건의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합창수업지도방안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조혜은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he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about Kodaly's lectures, and its apply to the real educational situations. Especially, with Kodaly's lectures this study makes students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and the prosperity of each person's lives, and result in the concrete guide-line about Kodaly's lectures. With domestic references about Kodaly's lectures, the theoretical ground, the background of teaching know-how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its real application to teaching map of students could be viewed. By these foundations can be gained through Kodaly's lectures. The reminders of teaching map. First, use of voice Second, experience of music with Kodaly's lectures. Third, appropriate and effective method with regard to the ages. Fourth, the pecaliarity of choir, the harmony of many musical execution: Teaching map of choir is designed about upper degrees of elementary students and before puberty students and made for elementary school's lectures. 본 논문은 코다이의 교수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음악 교육 현장에서 코다이 교수법을 통한 음악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본 논문은 코다이 교수법에 의한 합창지도을 수행함으로써 합창이 개개인의 소중한 체험이 되어, 음악의 아름다움을 향수하고 표현하며, 더 나아가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힘이 될 수 있도록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실제적 지도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국내외의 문헌을 참고로 하여 코다이 교수법의 이론적 근거와 합창지도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합창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합창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살려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합창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창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합창 지도안의 구성 시 다음 네가지 사항을 고려하였다. 첫째, 합창의 기초 기능인 가창을 잘 활용한다. 둘째, 가창에만 치중하지 않고, 코다이의 교수법을 활용하여 음악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합창단원의 연령에 맞는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악곡을 선택하고, 코다이교수법을 적절히 활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넷째, 합창의 특성, 즉 여러명이 조화를 이루는 음악 활동이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합창 지도안에서의 지도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의 변성기 이전의 남녀 어린이로 구성된 합창단이며, 합창 연주 활동에 치중하지 않고 연습 과정에 더 의미를 둘 수 있는 초등학교 수업활동을 위해 구성되었다. 지도안 제시에 앞서 합창 연습 과정을 발성연습과 음악적 개념 익히기(연습 준비, 발성, 리듬, 음정), 악곡 해석, 합창의 혼합과 균형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와 부모진로지지, 교사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의 구조적 관계

        조혜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와 부모진로지지, 교사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과기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구조모형의 인과적 경로에서 진로포부와 부모진로지지, 교사지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27일부터 2019년 4월 17일까지 우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도권 및 비수도권, 성별의 비율을 고려하여 11개 학교에 500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 수집결과 492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거하여 최종 469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 for Window와 AMOS 21.0 프로그램을 통계적 유의수준 P<0.5로 설정하여 처리하였고, 구조방정식 부트스트래핑 방법과 팬텀변인을 활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론은 첫째, 진로포부, 부모진로지지, 교사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과기대의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따라서 본 구조모형은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으로 적합하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는 진로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진로지지와 교사지지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 발달에 있어 부모나 교사지지는 중요한 선행변인이지만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 다른 변수에 의해 매개되는 매커니즘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반계 고등학생에게 진로포부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가정과 학교차원의 노력이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일반계 고등학생 진로포부 발달의 경로를 연구하고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본 연구에서 부모진로지지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과기대에 의해 완전매개 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에서 진로와 관련된 부모지지가 자녀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정보수집, 목표설정의 과정을 돕는 과정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자녀의 진로포부 발달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넷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 발달에 있어 교사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에 의해 완전매개 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의 진로포부 발달을 위해 교사지지가 학생의 진로고민 뿐 아니라 전반적인 학교생활에서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최대한 학생 스스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면, 학생의 진로포부 발달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반영하여 집단을 나누고, 다집단 경로분석을 통해 집단별 구조적 차이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의 학생 진로지원 활동과 관련하여 진로지도 및 상담역량의 전문성을 분석 및 측정하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 대상으로 적합한 진로포부에 대한 측정 도구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포부측정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 있는 선행변인(독립변인)과 결과변인들을 추가하여, 일반계 고등학생에 적합한 진로 및 학습의 영역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모형구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생이 졸업 후 진로선택의 결과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과 이후의 구조적 경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장기적인 관점의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mail surveys from March 27, 2019 to April 17, 2019.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from 11 general high schools were distributed to take into account both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gions and gender of the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492 people of which 469 were retain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or non-responses. For the analysis, Windows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s program was utiliz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f .05. To estimate th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ootstrapping and analysis for using phantom variable were used.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structural causal model of career aspiratio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s was identified as suitable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s it was proved to accurately predic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Therefore, this structural model is suitable to present the theoretical model of career aspir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teacher suppor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but not a direct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n developing of career aspiration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oth parent and teacher support are vital preliminary variables, but instead of having a direct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there is a mechanism at play that influences these aspirations through social cognitive variables. Third, the effects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on career aspirations were mediated completely b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s in this study conducted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is suggests that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does not lead to career aspiration development unless the student themselves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exploring their own career, whether it be researching information or setting a goal. Fourth, the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career aspirations were mediated completely b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outcome expectations in this study conducted o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s that teachers establishing close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discovering what kind of help the student may need concerning their career anxieties, school grades, and overall school life, as well as teachers supporting their students so that they may explore their own career options as much as possible are both very important in regards to improving career aspirations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ollow-up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subdivide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y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o conduct a multi-group analysis to study the possible structural differences in career aspiration development. Second,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a thorough research by investigating, analyzing and measuring the degree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competency of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in regards to student career support activities.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and develop a possible and appropriate measurement system to gauge career aspiration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integrated modeling by adding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aspirations and outcome variables that influence career aspirations to construct a model to cover career and academic aspect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Fifth, a longitudinal analysis is needed on how South Korea's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experiences post-graduation influence career aspirations and the course of career aspiration development.

      • DACUM 기법을 활용한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혜은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의료시장이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됨과 더불어 고객도 보다 나은 서비스를 위해 직접 의료서비스를 선택하고 평가하는 능동적 측면으로 변화하는 환경에서 치과 의료서비스의 중심에 있는 치과코디네이터에 대한 요구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더욱 전문화되고 표준화된 치과코디네이터 교육과정 마련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교육기관에서 치과코디네이터만을 위한 교육과정이 미흡한 실정이고, 임상현장에서 바로 적용되는데 한계가 있어 진료 분야가 차별화된 치과의 근무에 적합한 전문 인력양성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어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전문 치과코디네이터 양성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015년 6월 8일부터 7월 31일까지 광주·전남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134명과 치과위생사 2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존 병원코디네이터 교육과정을 운영 중인 기관 20곳의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전조사 결과를 토대로 DACUM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치과코디네이터 직무분석 및 실무형 프로그램 개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의사의 근무지에서 치과코디네이터가 ‘없다’가 50.8%, 치과위생사의 근무지에서 치과코디네이터가 ‘있다’가 52.8%로 ‘없다’의 응답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치과코디네이터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근무지 진료과목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모두 1순위는 보철진료과목이었다. 2.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되어야 할 교육내용에 대한 조사 결과, 1순위로 치과의사는 치과보험청구, 치과위생사는 상담능력향상으로 조사되었다. 3. 치과코디네이터 직무분석 결과, 8개의 책무와 34개의 작업으로 도출되었고, 이중 핵심작업은 21가지로 나타났다. 또한 치과코디네이터의 수행 작업별 지식, 기능, 태도에 대한 매트릭스를 8가지 수행 작업에 따라 각각의 표로 도출하였다. 4. 개발된 치과코디네이터 교육시간은 이론교육 42시간, 실습교육 18시간으로 총 60시간, 선수 교육되어야 할 과목은 보건의료관계법규 과목, 최종 교육 프로그램의 대 주제는 치과코디네이터 개론, 치과외부고객 응대, 치과전산 활용 및 문서관리, 치과진료의 이해, 치과보험 청구, 치과내부고객 관리, 환경·안전관리, 홍보·기획·물품관리, 자기개발의 총 9가지이고 그에 따른 세부 교육내용 및 기자재 등이 결정되었다. 5. 병원코디네이터 교육기관 20곳의 교육내용과 DACUM 기법으로 새로 개발된 치과코디네이터 교육내용을 비교한 결과, DACUM 기법으로 개발된 치과코디네이터 프로그램에서 추가로 개발된 내용은 비즈니스 예절, 거래처·외부고객 관리, 전신질환, 구강용품 교육, 방사선필름보관, 치과보험청구, 환경관리, 감염·안전관리, 물품 재고·구매·보관, 컴퓨터 교육, 외국어교육의 11가지 항목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DACUM 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세부적인 치과코디네이터 실무형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활용과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전문적인 치과코디네이터 인력양성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신체이미지의 변형을 통한 조형적 표현에 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혜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는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어지며 개인은 경험과 상황에의 적응을 통해 그 시대정신을 창출한다. 예술작품 속에는 개인의 힘으로 풀 수 없는 복잡한 고리가 존재하는데 그 속에 수많은 질서와 가치가 스며든 그 시대상황과 개인적 체험의 변화를 통해 예술가의 잠재적 감성세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도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은 그러한 변화에 적응하려 노력하지만 변화의 속도를 채 따라가지 못한다. 그런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정신과 육체는 세계를 파악하고 반응하는 지각의 창이므로 환경의 변화에 적응 혹은 거부하기 위해 정신과 육체에 있어 다양한 질과 양의 모습을 지닐 수밖에 없다. 즉 현대사회에서의 인간의 신체는 사회전반적인 환경요인과 개인의 순수성간의의 갈등에서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몸'이 회화작업에서 예술적 표현의 과정에 반영될 때, 인간은 그 이미지를 통하여 자신이 처한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신체는 그 외형뿐 아니라 존재자체로서 상징성과 의미 때문에 모든 작가들의 오랜 주제가 되어왔다. 역사의 주체가 인간이고 동시에 그 역사에 의해 희생되어진 대상 또한 인간이라고 한다면 현존하는 즉시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육체에 대한 가치 평가는 그 시대 상황에 따라 무척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과거 미술사에서는 아름다움의 근원이 인간의 비례에서부터 나온다고 파악하고 인간의 신체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을 넘어서 비례와 형태 있어서 이상적인 도상(Icon)을 구축해왔다고 한다면, 신체는 변하기 쉽고, 유동적이며, 불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현시대에 살고 있는 본인의 작업에서의 신체는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닌 순간반사적 반응 즉, 모든 세계에 반응하는 불안정한 자아에서 접근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인 작업에 나타나는 신체는 자아의 순수성과 새로운 세계 환경과 체험사이에서 변형된 것이다. 이는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형되는 '환경적 신체'로 무수한 시간과 내외적 체험을 통해 공간 밖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집단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개개의 독특한 욕망구조로 형성된 현대적의미의 신체는 세계를 지각하는 생생한 장소로서 세계를 이루는 주체이자 사회적 양상의 일부로 세계와 상호 관계성을 유지하고 또는 이해되는 곳으로 존재한다. 그렇게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로의 매계로서 신체는 본인의 작품에 끊임없이 변형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기의식의 발현으로서의 신체가 어떠한 모습, 표현으로 보여질 수 있는가를 본인의 작품을 통해 주제표현내용과 입체방법으로 시도된 작품에 대해 분석해 보고 신체에 대한 현대적 표현양식으로서의 접근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연구를 통해 작업의 배경이 되는 시대정신을 이해하고, 본인의 작업이 가질 수 있는 보다 폭넓은 의미생성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A society is formed through interaction of individuals, and individuals produce the spirit of the era through experience and adaptation to different circumstances. In a work of art, there exists a complex network of rings that cannot be untied by individuals. The innumerable orders and values in those rings that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age and individual experiences maintain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world of potential emotions of the author. In today's society which is rapidly changing, individuals are trying to adapt themselves to such changes, but fail to catch up with their paces. Due to the fact that the mind and body is a way of interpreting as well as reacting to the world while being exposed to such environment, they inevitably have a diverse form of quality and quantity in order to adapt to or to go against such change of environment. In other words, the physical feature of the human body in modern society is formed through the social factors as a whole as well as through pure conflicts. Thus, when the 'body' is used in the process of artistic expression of conversation, the human beings will then be able to identify the existence that they are a part of through the image. The human body is an eternal subject as well as a focus of every artist in terms of the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its existence. Considering that both the subject and the victim of history is man, the evaluation of man's body has always differed historicall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different eras. In the past, artists pursued an ideal icon in terms of symmetry and form in belief that beauty of a human body derives from symmetry. Nevertheless, a body is susceptible to changes, imperfect, and variable. The bodies described in my works reflect such elements, deriving from instant reactions to the world and an instable individual identity. This means that the body shown in one's own work is changed by the purity of the ego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a new environment. This 'environmental body' which has been consistently changed by the relationship of its surroundings, reacts on the outside through long periods of time and many inner/outer experiences. In the sense of modern definition, the body, which was formed by each particular shape of desire and was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groups, maintains the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exists as a comprehended place, which also makes the body. the subject that makes the world and is a part of the social appearance as lively place that perceives the world. Thus, I have used the human body in various forms for my works as a medium between an individual identity and the world. I have intended to analyze the human body expressed dimensionally in my works and consider its potential as part of modern art in this essay. Also, by analyzing my works extensively, I have intended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era that backs my works and inquire into possibility of creating a new meaning in my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