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피세포계에서 이소플라본의 eNOS와 세포부착물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조혜연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두 식품이 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폐경기질환을 완화하는데 유익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을 개선하여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음이 동물 및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들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에 의한 것으로 이소플라본의 종류에는 genistin, daidzin, glycitin과 그들의 aglycone 형태인 genistein, daidzein, glycitein이 있으며, genistein과 daidzein의 aglycone형태는 사람에게서 많은 양이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β-glucoside형태보다 높은 생리활성을 가진다. 또한 genistein과 daidzein은 protein kinase inhibitor로 작용하거나, 활성산소종 (ROS)에 의해 매개되어 DNA 손상을 일으키는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제로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소플라본의 죽상동맥경화와 관련된 산화적 스트레스와 동맥경화관련 유전자 발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피세포를 이용해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genistein과 daidzein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kB활성과 동맥경화 관련 유전자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s-1 (VCAM-1), 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백경화의 초기단계에는 염증이 일어나는 동안 내피세포의 표면에 세포부착분자의 발현이 증가되고 순환하던 염증성 세포가 모여들어 무차별적으로 내피속으로의 침투가 일어난다. 본 실험의 목적은 TNF-α로 자극한 HUVECs에서 genistein과 daidzein이 산화적 스트레스 (지질과산화, GSH, 항산화 효소계)와 VCAM-1, ICAM-1, MCP-1과 같은 세포부착물질과 eNOS 발현, NFkB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TNF-a로 자극한 내피세포에 20, 50, 100 μM의 genistein 을 처리했을 때 TBARS는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GSH level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catalase, GSH-px, GSH-reductase와 같은 항산화효소계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50, 100 μM의 daidzein을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TBARS값이 감소하였으며, GSH level, SOD, GSH-reductase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TNF-α로 자극한 내피세포에 20, 50, 100 μN의 genistein을 처리했을 때 VCAM-1, ICAM-1 MCP-1의 mRNA 유전자 발현이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sVCAM-1, MCP-1의 생성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50, 100 μM의 daidzein은 TNF-α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내피세포에서 MCP-1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나, VCAM-1, ICAM-1의 mRNA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지는 않았다. 가용성의 세포부착분자는 그들의 병리학적 역할이 명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사람에게서 또는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다양한 질병 발생시 위험을 알려주는 예언자로 사용되고 있다. eNOS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혈관을 확장하여 백혈구나 혈소판의 부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TNF-α로 자극한 내피세포에 genistein과 daidzein을 처리했을 때 모두 eNOS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결국 NO의 생성도 증가시켰는데 daidzein보다 genistein을 처리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뚜렷하였다. 또한 genistein과 daidzein은 모두 대조군에 대해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kB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는 genistein과 daidzein이 내피세포에서 NFkB활성의 억제를 통해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eNOS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세포부착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며, daidzein보다 genistein이 효과적인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genistein은 daidzein보다 강력한 생리활성을 지니며, 다양한 염증성 질환 및 동맥경화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치료제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umerous animal and human studies recently support that soybean have not only preventing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colon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 osteoporosis, and postmenopausal symptoms but also lowering of blood cholesterol, decreasing oxidative stress via relieving the function of endothelial cells. It is due to isoflavone in soybeans, the major isoflavones are genistin, daidzin, glycitein and their correponding aglycones, genistein, daidzein, glycitein. Daidzein and genistein have the higher biological activities than their own β-glucoside forms because aglygones were absorbed faster and in greater amounts in hμMans. Also isoflavones, antioxidant components of soybeans, have been identified as a protein kinase inhibitor and reported to have various bioactivities, such as scavenging free radicals to prevent ROS-mediated DNA damage.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data on effects of isoflavones in oxidative stress and cell adhesion molecules expression related to atherosclerosis in endothelial cells. Thus we observed the effects of genistein and daidzein, components of isoflavones, on oxidative stress, nuclear factor KB (NFkB)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and gene expression of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intracellular cell adhesion molecule-1 (ICAM-1), monocyte chernoattractant protein-1(MCP-1) via endothelial cells. Adhesion of leukocytes to the endothelium is a primary step during inflammation. During inflammation,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 is up-regulated in the surface of endothelial cells thus altering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vasculature and allowing indiscriminate infiltration of the leukocytes across the blood vesse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genistein and daidzein may modulate oxidative stress (TBARS, GSH,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expressions of cell adhesion molecules, such as VCAM-1, ICAM-1, MCP-1, nuclear transcriptional factor NFkB and eNO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stimul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α(TNF-α). Genistein at 30, 50, 100 μN significantly reduce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TBARS) production and enhanced glutathione level, antioxidant enzyme such as catalase, GSH-px, GSH-reductase in TNF-a-stimulated HUVECs. Daidzeln at 50, 100 μM sligtly reduced TBARS production and enhanced glutathlone level, SOD, GSH-reductase in TNF-α-stimulated HUVECs. Furthermore, Genistein (20, 50, 100 μM) significantly reduced VCAM-1, ICAM-1, and MCP-1 mRNA levels and soluble VCAM-1 (sVCAH-1 and MCP-1 concentration in dose-dependent manners. Daidzein at 50 and 100 μM significantly inhibited MCP-1 production in TNF-α-stimulated HUVECs, but did not modulated VCAM-1, ICAM-1 gene expression. Levels of soluble adhesion molecules have been postulated to be useful risk predictors of cardiovascular events in healthy populations and various settings of disease, even though their pathological role remains uncertain. The nitric oxide (NO) produced by eNOS dilates blood vessels, and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platelet and leukocyte adhesion. Genistein and daidzein treatment stimulated NO production via eNOS gene expression and genistein significantly evaluated NO production than daidzein in TNF-α-stimulated HUVECs. Also, NFkB DNA binding activity was down-regulated in TNF-α-stimulated HUVECs pre-incubated with genistein and daidzein. Because anti-inflammatory and anti-atherogenic effect of genistein, daidzein in TNF-α-stimulated HUVECs is involved with a suppressed oxidative stress, cell adhesion molecules expression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NFkB and up-regulation of eNOS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istein possessi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an daidzein could be used a candidate drug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 나쓰메 소세키『마음(こころ)』의 ‘공간 읽기’

        조혜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은 인간의 마음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경험과 심리를 공유한다. 모든 인간은 태어나 자라는 동안 그가 경험한 장소와 깊은 관계를 맺으며 특정 감정과 애착을 느낀다. 이 연구는 일본의 근대작가인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 『마음』의 주제, 사상 등이 작가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하숙집’과 깊은 연관이 있음에도 하나의 연구로서 시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마음』에 나타난 공간과 그 속의 인간 심리를 탐구하고, 더 나아가 그 탐구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시 말해, 『마음』의 3부 <선생님의 유서>에 나타난 배경인 ‘하숙집’에 주목하여 장소와 인간이 갖는 상호작용을 살피고, 작품 속에서 공간이 어떻게 심리와 엮여 묘사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공간 읽기’라고 정의하고, ‘공간 읽기’를 통해 3부 <선생님의 유서>를 재추적해 나가면서 텍스트와 시각언어로 재구성, 재가공하였다. 공간과 인물들 간의 관계 변화에 따라 1)칩거의 시기, 2)해빙기, 3)고백을 위한 내적갈등의 지속, 4)질투와 경쟁의 시기, 5)혼란과 냉전기, 6)고백과 죽음으로 나누어 각 시기에 나타난 공간과 인물 사이의 관계에 따른 심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후, 텍스트가 아닌 시각언어로써 ‘공간 읽기’를 반복한다. 시각언어로의 ‘공간 읽기’는 작품에서 드러난 1)인물, 2)인물 사이 관계, 3)사물에 대한 파편적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다시 시기별로 재구성, 재배치시켜 공간 속에서 심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한눈에 살피는 과정이다. 이러한 ‘공간 읽기’를 통해 첫 번째로, 인간이 공간 안에서 장소에 대한 정체성과 애착을 형성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장소성과 장소애착은 소설 속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공간 간 이동 횟수, 거리의 정도가 달라짐으로써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조되는 두 공간을 배치시켜 묘사함으로써 분위기를 더욱 강조하기도 하였다. 두 번째는 텍스트(문자언어)와 시각언어가 가진 차이를 살피고 각각이 가진 특징이 상호 보완됨으로써 독자의 상상과 작업자의 표현 범위가 확대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또한, 공간과 우리의 마음이 매우 밀접하게 공유된다는 추상적인 개념을 텍스트와 시각언어를 통해 좀 더 명확하게 구체화시켰다. 이 연구는 소설 속의 공간과 그 속에 담긴 심리를 찾아내고, 그것을 텍스트와 이미지로 재추적하는 과정과 결과가 다소 주관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공간 읽기’라는 과정을 통해 시간적 흐름에 대한 서사구조를 공간적 흐름으로 해석하는 방식과, 시각언어를 통해 해석과 상상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다른 차원의 탐구 방식과 이미지 생산 과정에 대한 탐구가 이미지를 다루는 디자이너들의 작업 과정과 결과물 도출에 있어 의미있는 연구가 되길 바란다. Space is intimately related to people’s hearts and shares their experiences and psychology. Everyone is born to have some feelings about and become attached to places he or she has gone through. The rationale for this study is that the theme and idea of Japanese modern author Natsume Soseki’s <Kokoro>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oarding house,’ which is its spatial setting formulated by the author but has never been documented in a scholarly manner. Thus, this study casts light on the space and relevant human psychology portrayed in <Kokoro>, takes into account an exploratory approach to the ‘boarding house’ that serves as the spatial setting in the part three of <Kokoro>, <Sensei and His Testament>, and elucidates the interaction between a place and people and how the space is intertwined with their psychology in the context of the novel. The approach, or the process, taken in this study is defined as ‘reading space’ for the purpose of revisiting the part three <Sensei and His Testament> and recasting and reproducing it with texts and visual language. The changes of psychology in light of the shif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characters are referred to as the following periods: 1) Seclusion, 2) Thawing, 3) Continuing inner conflict for confession, 4) Jealousy and competition, 5) Confusion and cold war, and 6) Confession and death. Then, ‘reading space’ is repeated not in texts but in visual language. ‘Reading space’ in visual language is a process of generating fragmentary images of 1) characters, 2)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3) objects revealed in the novel, and reorganizing or rearranging them in accordance with the foregoing periods so as to put the flow of psychology in the space into perspective. ‘Reading space’is conducive to, firstly, discovering a process where a man forms an identity and attachment to a place in the space. Such a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are depicted by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the angles from which characters look at objects in the novel, the number of travels and the distance between spaces. Also, two contrasting spaces juxtaposed with each other emphasize the atmosphere further. Secondly, ‘reading space’ sheds light on the difference between texts(written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and helps experience a process of expanding readers’ imagination and artists’scope of expression via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 abstract idea that our hearts covertly share their aspects with the space is further clarified by means of texts and visual languag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cluding the subjectivity of the process and outcomes of highlighting the psychology conveyed in a space described in the novel and revisiting it via texts and images. However, the process of ‘reading space’ gives insight into a method of rendering a narrative structure of a temporal flow into a spatial flow, and of using visual language to broaden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and imagination. The proposed exploratory approach from a different angle to the process of image creation will be conducive to designers’ work process and outcomes.

      • 압축 센싱을 이용한 반투명 물체의 3차원 복원 연구

        조혜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공학과 컴퓨터공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상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물체의 3차원 복원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3차원 복원으로는 영상(이미지,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복원과 의료 영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CT, MRI, PET와 같이 에너지 강도를 이용한 3차원 복원 등이 있다. 자연계에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물체들이 존재한다. 다양한 물리적 특성 중 광학적 특성으로 물체들을 분류한다. 광학적 특성은 빛의 반사, 흡수, 투과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광학적 특성에 따라 자연계의 물체들은 불투명, 반투명, 투명한 물체로 구분 할 수 있다. 3차원 복원을 위해서는 이러한 3가지의 특성을 지닌 물체의 복원이 모두 필요하다. 하지만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3차원 복원은 아직 불투명한 물체의 복원 연구에 집중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기반 반투명 물체의 3차원 복원을 진행하였다. 불투명한 물체는 빛을 반사하는 성질만 가지고 있지만 반투명한 물체는 빛을 반사, 투과, 흡수하는 모든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체의 내부 복원도 반드시 필요하다. 물체의 내부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 ART(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압축 센싱(Compressive sensing, CS)과 같이 내부 정보의 예측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원을 위하여 ART의 단점인 번짐 현상을 줄이고 많은 계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압축 센싱을 이용한 반투명 물체의 3차원 복원 연구를 제안하고 결과를 획득하였다. The development of imaging technology progressing a lot.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research of various objects also progressing these days. There are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based on image (image and video), and using energy intensity such as CT, MRI or PET which are often used in medical images. In the natural world, there are objects with various physical properties. Among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bjects can be classified by optical properties. Optical properties are reflection, absorpt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According to these optical properties, objects in nature can be classified into opaque, semi-transparent, and transparent objects. All of these three properties are necessary fo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Howeve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based on image are focused on reconstruction of opaque objects. In this pape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image-based semi-transparent objects is performed. An opaque object has only the property of reflecting light, but a semi-transparent object has all the properties of reflecting, transmitting, and absorbing light, so internal reconstruction of the object is also necessary. In order to recover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object, it is necessary to use an algorithm that can predict the internal information such as ART(Algebraic Reconstruction Technique) and Compressive sensing(CS). In this paper, propose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study of semi-transparent objects using compressive sensing to reduce blurr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ART and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 소설 『광장』의 이야기와 화자 교육방법 연구

        조혜연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학교육은 '문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기름으로써 가치 있는 삶을 영위케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은 문학에 대한 감상능력이 바탕이 된다. 작품의 감상은 작품에 대한 이해라는 선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다. 소설 작품에 대한 감상은 단순히 작품의 주제를 파악하고 내용을 파악하는 과정만이 아니다. 소설교육 방법론은 소설의 본질인 매개과정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해야 하며 소설의 형식과 내용을 포괄하여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원리를 중심으로 찾아야 한다. 즉, 독자가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대하면서 상상력과 인식의 폭을 넓혀 가는 과정이 올바른 독서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는 인물 ・ 환경 ・ 플롯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데, 이 세 요소는 어느 하나만으로 기능할 수 없고 세 요소가 서로 관련을 맺으면서 하나의 이야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야기는 그 자체로 독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화자의 매개를 거쳐야만 한다. 화자는 자신의 관점과 언어를 통해 이야기를 서술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학습자가 소설을 읽는 과정에서 이야기와 화자의 관계를 파악하고 인식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설의 의미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이야기의 구성요소와 화자의 특성 및 역할을 찾아내는 학습이 필요하며,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폭넓게 읽어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학습자가 소설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하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통합적 층위에서의 소설 수업을 위한 방법을 고려하여, Ⅱ장 '소설교육에서의 이야기와 화자'에서는 소설교육을 위한 소설 이론으로서 특히, 제7차 교육과정과 문학교과서에서의 이야기와 화자이론을 검토하여 기존의 소설 이론을 교육적으로 변형하고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최인훈의 『광장』의 이야기와 화자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작품 분석에 앞서 Ⅲ-1에서는 현행 문학교과서에서의 『광장』의 단원별 배치 양상을 통해『광장』의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비교 ・ 분석하여『광장』을 통해 강조하는 핵심적인 학습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실제『광장』의 이야기와 화자의 분석에 있어 강조할 점과 보완할 점을 알아 보았다. Ⅲ-2에서는 실제 『광장』의 이야기와 화자를 서사구조, 인물, 배경, 화자, 주제의 순서로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교수 ・ 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앞에서 살펴본『광장』의 분석과 해석을 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역동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교수 ・ 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렇게 구안한 교수 ・ 학습을 위한 모형을『광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해봄으로써 교육 방안을 해보았다.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to enrich the lives of students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and impression. These two factors are essential for students to gain a full appreciation of literature. Appreciating literary works, however, is not based entirely on merely understanding literary themes and contents. When implementing the novel educational method theory, learners must initially recognize the essence of a novel through intermediary procedures. Furthermore, learners must understand a novel's form and contents by utilizing conceptual principles. Students can learn how to read properly by actively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text and expanding their imaginations and recognition. A story must include three essential factors: plot, characters, and setting. These crucial story elements must be interrelated to form a complete story. A story cannot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reader. Narrator intermediation is necessary in order for the story to be conveyed effectively. Narrators transmit the story using their own unique viewpoints and language. Therefore, while students are reading a particular novel, they can understand the story by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story. Learners ne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the plot and the narrator's character and rol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y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story completely.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focuses on how learners can understand and appreciate literary works properly from a methodical standpoint. In relation to the unified method used in literature class presented in Chapter Two, entitled "The Narrator and Story Teaching Method for Novel Education,"by reviewing the story and narrator theory of the seventh part, it is evident that literature textbooks try to make thecurrent novel theory educationally systematic. In Chapter Three, based on this theory, I provide explanation and analysis of the story and narrator of 『Gwangjang』, authored by Choi, In Hoon. Before analyzing this work in Chapter Three, Section One, through the placement of each unit of 『Gwangjang』i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I reviewed the learning cont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ctivities of the novel. By doing this, I discovered what I need to emphasize and corrected the weaknesses. When I analyzed the story and narrator of 『Gwangjang』in Chapter Three, Section Two, I analyzed and explained the story and narrator of this novel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description, character, setting, narrator, and subject, in this order specifically. In Chapter Four, considering the professor and learning model, I attempted to find a solution by offering an analysis and explanation of the novel that teachers can use in their teaching practices. Based on Ku, In Hwan's model. I developed a model for effectively teaching 『Gwangjang』by converting the original authors' learning objectives and the character of their work. In my opinion, this model will be a successful tool that teachers can use to properly teach 『Gwangjang』.

      • 페루의 도시 저소득 지역에서의 고혈압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중재효과 평가

        조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non-communicable diseases(NCDs) in developing countries is high, but the rates of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of hypertension are lower compared to the rates of high-income countries. In Peru, although the burden of high blood pressure and NCDs is great, studies on interventions for the blood pressure(BP) management are poor.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controlling hypertension in low-income urban areas in Peru implemented by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KOICA), and to provide an evidence for further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model in similar areas. For this study, we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mong the study subjects, 340 people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who completed a 12-week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controlling hypertension from April to December 2017, while 317 peopl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who only participated in pre- and post- need assessment during the same period. Same standards of selection were applied o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we selected adults aged 18 years or older and in a pre-hypertension or hypertension state.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individualized consultations, group health education sessions, regular self-help group meetings, and text messages providing health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 difference-in-differenc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n the level of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level of practicing health behavior,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rate of blood pressure cont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blood pressure control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results, the level of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rather than in the control group(p<.001). Level of practicing health behavior related to eating habits, stress management and medication complianc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he control group (p<.05). However, the change of experimental group in smoking, drinking and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blood pressure control was improved(p<.01) and systolic blood pressure(p<.001) and waist circumference(p<.05) was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over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changes in BMI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experimental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efore the intervention, factors affecting blood pressure control of experimental group were sex, age and th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fter the intervention, sex, age, use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nd eating habit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blood pressure control of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we verified tha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 for controlling hypertension implemented in the low-income urban area in Peru was effective in improving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level, eating habits, stress management, adherence to anti-hypertensive medication, decreasing waist circumferenc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and controlling the blood pressure of the particip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 model to other similar areas in Peru. For this,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relevant regulations at the regional health department level, supplement health personnel and build their capacity on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nd create a environme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of the community people. 개발도상국에서 고혈압과 합병증인 만성질환의 발생률은 높은 수준이지만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및 조절률은 고소득국가들보다 낮다. 남미 지역 국가인 페루 역시 고혈압으로 인한 질병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나 고혈압관리 중재에 관해 수행된 지역 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페루의 도시 저소득 지역에서 수행된 지역사회 기반 KOICA 고혈압관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고, 향후 중재 모형을 확대 적용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비교 유사실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고혈압 또는 고혈압 전단계 상태인 18세 이상의 성인으로, 실험군은 2017년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 동안 3개의 실험군 보건소에서 고혈압관리 중재를 이수한 340명, 대조군은 같은 기간에 2개의 대조군 보건소에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에 참여한 317명이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12주 과정으로 개별 상담, 집단 보건교육, 자조모임, 문자메시지 전송을 통한 혈압관리 행동지침 전달 등으로 구성되었다. 중재 참여자의 건강지식 수준, 건강행동 수행정도,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혈압 조절 여부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중재 참여자의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혈압 관련 지식, 식생활 관련 지식, 신체활동 관련 지식은 중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p<.001). 둘째, 식습관, 스트레스 관리, 복약순응 관련 건강행동 수행 정도는 중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p<.05). 신체활동 실천, 금연, 절주 관련 건강행동 수행 정도는 중재 전보다 후에 지표가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셋째, 혈압 조절 여부(p<.01)와 수축기혈압(p<.001), 허리둘레(p<.05)는 중재 후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체질량지수와 이완기혈압에서는 중재 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중재 전에는 성과 연령, 혈압약 복용 여부가 혈압 조절 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재 후에는 성, 연령, 혈압약 복용 여부와 식습관 점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페루의 도시 저소득 지역에서 수행한 지역사회 기반 고혈압관리 중재는 참여자의 고혈압 관련 지식 수준과 식습관, 스트레스 관리, 복약순응에 관한 건강행동 수행정도, 허리둘레 감소, 수축기혈압 감소 및 혈압 조절률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페루 내 유사 지역에 고혈압관리 중재 모형을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건강증진 관련 보건의료인력 확충과 역량강화,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과 지자체 또는 지역보건국 차원의 사업 시행 관련 규정 및 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 Johannes Brahms Viola Sonata No. 2 in E♭Major, Op. 120에 관한 연구

        조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전형식에 신선한 예술미와 새로운 기교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표현해 온 19세기 중기의 대표적인 작곡가 Johannes Brahms(1833-1897)의 Viola Sonata Op. 120, No. 2 작품을 연구분석하고 음악적 특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Brahms는 고전적인 기법을 유지하면서 그만의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풍부한 감성을 효과적으로 융합시켜 자신의 음악세계를 구축하였다. 대체로 Brahms의 작품은 보편적으로 웅장하고 깊이가 있으며, 이는 그가 작곡 방식에 있어서 신중을 기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4개의 교향곡과 관현악곡 등 많은 작품을 남겼고 실내악 분야에서도 24곡의 작품이 있다. 그 중에서 Violin Sonata 3곡, Cello Sonata 2곡,Clarinet Sonata를 그 자신이 Viola로 편곡한 Sonata 2곡은 많이 연주되고 있다. 특히 2곡의 Viola Sonata는 Brahms 말년의 몇 작품과 더불어 고전주의에 더 큰 비중을 둔 그의 가장 원숙한 작품들이다. 본 논문에서 다룰 Viola Sonata Op. 120, No. 2는 3개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악장은 고전적인 양식에 의한 전형적인 Sonata 형식으로 되어있고, 2악장은 Trio를 포함하는 Scherzo 악장으로 복합 3부 형식이고, 3악장은 주제와 5개의 변주곡을 포함하는 변주곡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분석의 방법은 문헌과 참고자료를 통하여 Brahms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을 살펴본 후 본 논문에서 다룰 이 곡의 전 악장을 중심으로 동기의 전개방식, 형식, 화성진행, 리듬형태와 전개 등을 연구 분석하고자 한다. In this thesis, Viola Sonata No. 2 in E♭ Major, Op. 120, the last chamber music composed by Brahms, is analyzed. Brahms i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of the romantic period in the 19th century. He created his own music world by blending his rich and romantic sense with the classical form. Especially, the chamber music was the most fit genre for him among various forms of music such as symphony, ensemble, and concerto. This piece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takes a traditional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is a scherzo form including trio and involves compound ternary form, and the third movement takes the form of a theme and five variations. As for the harmony, Brahms used chromatic harmonies in this piece such as the secondary dominant 7th chord, the secondary diminished 7th chord, the augumented 7th chord, etc. Also, the piece adopted romantic composition techniques such as the syncopation, the hemiola rhythm, and triplet rhythm. Including all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the detailed review and analysis of Brahms'life, his chamber music and Violasonata.no.2 are presented in the thesis.

      • 네스토리우스의 그리스도 이해 연구 - 428 - 주후 년 그의 성탄절 설교문을 중심으로

        조혜연 대전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후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 받은 네스토리우스 라는 인물과 그의 그리스도론적 입장이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드러난 그의 설교문을 재조명한다 그의 신학이 이단으로 정 . 죄를 받을 만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 의 연구와 달리 본고는 , 네스토리우스를 논쟁의 도마에 오르게 한 그의 설교문의 진의에 집중한다. 본 연구의 주된 본문이 된 네스토리우스의 설교문은 그가 콘스탄티노플의 총대 주교로 서임된 해 주( 428 ) 후 년 성탄절에 한 설교로 “테오토코스(Theotokos)”, 곧 “ ” 하나님의 어머니 라는 칭호가 적합한지에 관한 네스토리우스의 견해가 담겨있다. 이 설교에 드러난 그의 그리스도 이해를 문제 삼아 그의 이단성에 대한 고소와 논 쟁이 이어졌으며 그 중심에 , . 키릴루스라는 인물이 있었다 무엇이 논쟁의 소지가 되고 있는지 살피기 위해서 키릴루스가 네스토리우스에게 보낸 편지 중 교리적인 부분에 대한 지적이 담긴 두 번째 편지 또한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논쟁의 접점이 되고 있는 것은 “ ” 테오토코스 라는 말에 대한 입장이다. 키릴루 스는 이 말을 지지했다 성. 육신하신 자는 태초부터 계신 로고스(Logos)라는 믿음을 담아 교부들로부터 고백되어온 말로 여겼기 때문이다. 네스토리우스는 이 믿음의 내용에 전적으로 동의하기 때문에 이 말에 반대했다. 둘째는 두 본성의 연합에 관 한 것이다. 네스토리우스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이 완전한 연합으로 하나 되었음을 언급했다. 키릴루스는 두 본성이 연합 이후에는 구분되지도 나누어질 수도 없으므 로 이러한 사고를 불러일으킬 만한 소지의 말을 하는 것조차 불경한 것으로 경고했 고, . 네스토리우스가 사실은 두 아들을 말하고 있다고 치부했다 네스토리우스가 위와 같은 내용을 설교에 담은 것은 그리스도를 이해함에 있어 서 하나님께서 그분을 통해 이루고자 하신 구원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보았기 때 문이다. “ ” 테오토코스 라는 말은 그리스도의 신성만이 지나치게 강조된 말이며 이, 것은 신자들의 신앙을 바른 방향으로 이끌지 못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그리스도 . 통해 드러나시는 것은 구원을 이루시는 하나님뿐이므로 그가 완전한 인성을 지니셨 음을 인정하더라도 전혀 그분의 완전한 신성에 위해가 가지 않는다는 것이 네스토 리우스의 관점이다 신자들에게 바 . 른 믿음의 내용을 담은 언어를 되찾아주고 싶어 했던 그는 논쟁가가 아니라 한 명의 성직자요 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